맨위로가기

아르보 패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보 패르트는 에스토니아 출신의 작곡가로, 1935년 파이데에서 태어났다. 초기에는 신고전주의, 12음 기법 등 다양한 음악 양식을 시도했으나, 소련의 음악 정책에 실망하여 중세 음악과 르네상스 음악을 연구하며 틴티나불리 양식을 창시했다. 틴티나불리는 단순한 화성, 리듬, 템포를 특징으로 하며, 라틴어 또는 교회 슬라브어 가사를 사용한다. 1980년 소련을 떠나 오스트리아와 독일에서 활동했으며, 2000년대 초 에스토니아로 귀국했다. 그의 작품은 영화 음악으로도 널리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토니아의 작곡가 - 에르키스벤 튀르
    에르키스벤 튀르는 에스토니아의 작곡가이며, 록, 후기 낭만주의, 미니멀리즘 등 다양한 스타일을 혼합한 음악적 특징을 보이며, 오페라, 교향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작곡했다.
  • 에스토니아의 작곡가 - 크누도게 리사게르
    덴마크의 작곡가 크누도게 리사게르는 덴마크 신고전주의 음악의 대표적인 인물로, 발레 음악 분야에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덴마크 왕립 음악원 원장을 역임했다.
  • 독일에 거주한 에스토니아인 - 카롤 메츠
    카롤 메츠는 에스토니아 축구 선수로, FC 장크트 파울리에서 뛰고 있으며, FC 플로라 탈린 데뷔 후 여러 유럽 클럽, 사우디아라비아, 불가리아, 스위스 리그를 거쳐 에스토니아 국가대표로 100경기 이상 출전했다.
  • 독일에 거주한 에스토니아인 - 인드레크 페르텔손
    에스토니아 유도 선수 인드레크 페르텔손은 세계 주니어 선수권 동메달과 유럽 주니어 선수권 우승을 시작으로 올림픽 동메달 2개, 세계 유도 선수권 은메달을 획득했다.
  • 루터교에서 동방 정교회로 개종한 사람 - 예카테리나 2세
    예카테리나 2세는 1762년부터 1796년까지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여제로, 계몽주의 정책 추진, 영토 확장, 문화 예술 장려를 통해 러시아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루터교에서 동방 정교회로 개종한 사람 - 예카테리나 1세
    평민 출신으로 표트르 1세의 황후가 된 예카테리나 1세는 멘시코프의 지지를 받아 러시아 여제가 되어 군사비 감축, 세금 감면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를 설립하는 등 러시아 발전에 기여했다.
아르보 패르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르보 패르트 (2008년 더블린의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에서)
아르보 패르트 (2008년 더블린의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에서)
본명(알 수 없음)
출생지파이데, 얘르바주, 에스토니아
사망(알 수 없음)
사망 장소(알 수 없음)
국적에스토니아
배우자노라 패르트
음악 활동
장르클래식 음악
현대 음악
종교 음악
직업작곡가
활동 기간(알 수 없음)
레이블ECM 레코드
관련 활동(알 수 없음)
영향(알 수 없음)
교육에스토니아 음악 연극 아카데미
작품작품 목록
수상

2. 생애

아르보 패르트는 7세에 음악을 시작해 14~15세에 작곡을 시작했다. 탈린 음악원에서 작곡을 공부했다. 1940년부터 에스토니아는 소비에트 연방에 속해 있었고, 당시 소련에는 서유럽의 음악이 거의 전해지지 않았다.

초기 작품은 쇼스타코비치, 프로코피예프, 버르토크와 같은 신고전주의 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후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12음렬 기법과 음렬주의를 쓰기 시작했으나, 소련 당국의 비판을 받았다. 이 시기에 패르트는 소련 체제에 염증을 느끼고 그레고리오 성가와 르네상스 시대 폴리포니를 연구하며 러시아 정교회 신앙을 갖게 되었다.

1976년, 틴티나불리라는 새로운 작곡 스타일을 선보였다. 이는 3화음과 단순한 화성, 리듬, 그리고 라틴어교회 슬라브어 종교적 가사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패르트의 음악은 50개가 넘는 영화에 쓰였다. 벤저민 브리튼을 추모하는 성가는 마이클 무어화씨 9/11에서 테러 직후 장면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 2011년에는 교황 베네딕토 16세에 의해 교황 문화 평의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35년 ~ 1963년)

아르보 패르트는 1935년 에스토니아 파이데에서 태어나, 어머니와 계부 밑에서 에스토니아 북부의 라크베레에서 자랐다.[1] 7살 때 라크베레의 음악 학교에 다니면서 음악 교육을 시작했고,[3] 14~15세 무렵에는 이미 작곡을 하고 있었다. 집 피아노의 중간 음역대가 망가져서, 피아노의 가장 높은 음과 낮은 음을 가지고 실험하기도 했다.[2]

1954년 탈린 음악 중학교에서 본격적으로 공부를 시작했지만, 1년도 채 되지 않아 군 복무를 위해 잠시 중단하고 군악대에서 오보에와 타악기를 연주했다.[3] 군 복무 후 탈린 음악원(현 에스토니아 음악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헤이노 엘러에게 작곡을 배웠다.[4] 동급생들은 그에 대해 "소매를 흔드는 것만으로도 음표가 쏟아져 나오는 듯했다"고 회상한다.[5]

1950년대에 그는 어린이 합창단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첫 번째 성악곡인 칸타타 ''Meie aed'' (우리 정원)를 작곡했다. 1961년에는 오라토리오 『세계의 걸음』으로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전소련 청소년 작곡 콩쿠르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패르트가 태어났을 당시 에스토니아는 독립 공화국이었지만, 1940년 독소 불가침 조약으로 인해 소비에트 연방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후 에스토니아는 나치 독일의 지배 시기를 제외하고는 54년 동안 소비에트 연방의 일부로 남았다. 당시 소련에는 서유럽의 음악이 거의 전해지지 않았고, 비합법적인 테이프와 악보 정도만 구할 수 있었다.

패르트는 1963년에 탈린 음악원을 졸업했다.

2. 2. 초기 활동과 소련의 억압 (1957년 ~ 1979년)

패르트는 7살에 음악을 시작해 14~15살에 곡을 쓰기 시작했다. 탈린 음악원(현: 에스토니아 음악 아카데미)에서 작곡을 배웠다. 1940년부터 에스토니아는 소비에트 연방에 속해 있었고, 당시 소련에는 서유럽의 음악이 전해지지 않았다.

패르트의 초기 작품은 쇼스타코비치, 프로코피예프, 버르토크와 같은 신고전주의 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뒤에는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12음렬 기법과 음렬주의를 쓰기 시작했다. 1962년 티혼 흐렌니코프는 파르트가 에스토니아에서 쓰인 최초의 12음 기법 음악인 ''네크롤로그''(1960)에서 음렬주의를 사용한 것에 대해 "외국적 영향에 대한 취약성"을 지적했다.[10] 하지만 9개월 후 파르트는 전(全) '작곡가 연합'이 주최한 1,200 작품 중 경연에서 1등을 차지했는데, 이는 소련 정권이 허용할 수 있는 것에 대해 합의를 이루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6]

이 시기에 패르트는 소비에트 연방에 염증과 음악적 한계를 느꼈다. 그는 오히려 과거로 돌아가 그레고리오 성가와 르네상스 시대의 폴리포니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1972년 루터교에서 동방 정교회로 개종했다.[7][8] 이 시기에 러시아 정교회를 믿기 시작한 것으로 보아서는 그가 현실에 받은 충격이 음악적인 것만은 아니었을지도 모른다.

그의 첫 번째 명백한 종교적 작품인 ''크레도''(1968)는 그의 경력과 삶의 전환점이었다. 개인적으로 그는 지금까지 사용해 온 기법과 표현 수단을 포기하게 만든 창작의 위기에 도달했고, 사회적으로 이 작품의 종교적 성격으로 인해 그는 비공식적으로 검열을 받았으며 그의 음악은 콘서트홀에서 사라졌다. 그 후 8년 동안 그는 새로운 음악 언어를 찾기 위해 중세 음악과 르네상스 음악 연구에 집중하며 거의 작곡을 하지 않았다.

1979년에 가족과 함께 국외로 나가 오스트리아의 빈으로 이주하여 시민권을 획득했다.

2. 3. 틴티나불리 양식의 탄생과 망명 (1970년대 ~ 1980년대)

패르트는 초기에는 쇼스타코비치, 프로코피에프, 버르토크와 같은 신고전주의 음악의 영향을 받았으나, 이후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12음렬 기법과 음렬주의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1962년 티혼 흐렌니코프는 파르트가 에스토니아 최초의 12음 기법 음악인 ''네크롤로그''(1960)에서 음렬주의를 사용한 것에 대해 "외국적 영향에 대한 취약성"을 지적했다.[10] 그러나 9개월 후 파르트는 전(全) '작곡가 연합'이 주최한 경연에서 1등을 차지하며 소련 정권 내 음악적 허용 범위에 대한 논란을 일으켰다.[6]

1968년, 첫 종교적 작품인 ''크레도''는 그의 음악 인생에 전환점이 되었다. 그는 창작 위기를 겪으며 이전의 기법을 포기했고, 이 작품의 종교적 성격으로 인해 비공식적인 검열을 받았다. 이후 8년 동안 중세 음악과 르네상스 음악을 연구하며 새로운 음악 언어를 찾기 위해 노력했고, 1972년 루터교에서 동방 정교회로 개종했다.[7][8]

1976년, 파르트는 틴티나불리라는 새로운 작곡 스타일과 기법을 통해 작곡가로 복귀했다.[8] 틴티나불리 양식은 3화음과 같은 단순한 화성을 사용하며, 리듬이 단순하고 템포 변화가 거의 없다. 또한 라틴어교회 슬라브어로 쓰여진 종교적인 가사를 사용했다.

2. 4. 국제적 명성과 귀향 (1980년대 이후)

1980년대 이후, 파르트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에스토니아로 귀향했다. 1976년, 그는 새로운 작곡 스타일이자 기법인 틴티나불리(Tintinnabuli)를 사용하여 작곡가로 재등장했다.[8] 파르트의 음악은 서방 세계에서 주로 만프레드 아이허 덕분에 대중의 관심을 받게 되었는데, 그는 1984년부터 ECM 레코드를 통해 파르트의 여러 작품을 녹음했다.

발터 핑크의 초청으로 파르트는 2005년 라인가우 음악 축제의 연례 Komponistenporträt에서 15번째 작곡가로 선정되어 4번의 콘서트에 참여했다. 에스토니아 대통령 레나르트 메리를 기리기 위해 작곡된 ''Für Lennart''는 2006년 3월 26일 메리의 장례식에서 연주되었다.[19]

2012년의 아르보 패르트와 그의 아내 노라


2006년 10월 7일 러시아 탐사 저널리스트 안나 폴리트코프스카야 암살에 대한 반응으로, 파르트는 2006년과 2007년에 연주될 모든 작품을 그녀의 죽음을 기리는 곡으로 할 것이라고 선언했다.[20] 파르트는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열린 2008년 Raidió Teilifís Éireann 리빙 뮤직 페스티벌[21]의 주목받는 작곡가였다.

파르트의 2008년 교향곡 4번은 ''로스앤젤레스''로 명명되었으며 미하일 호도르코프스키에게 헌정되었다. 이 곡은 2009년 1월 10일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월트 디즈니 콘서트홀에서 초연되었으며,[24] 2010년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클래식 현대 작곡상 후보에 올랐다.[25]

2011년 12월 10일,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파르트를 5년 임기의 교황 문화 평의회 위원으로 임명했다.[9] 2014년 1월 26일, 토누 칼루이스테가 지휘하는 에스토니아 필하모닉 챔버 합창단 등은 패르트의 ''아담의 탄식'' 공연으로 그래미 최우수 합창 공연상을 수상했다.[26]

아르보 패르트는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연주된 생존 작곡가였지만, 이후 존 윌리엄스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연주된 작곡가가 되었다.[17] 2022년, 아르보는 Bachtrack에서 다시 1위를 차지했다.

3. 음악적 특징

아르보 패르트의 음악은 크게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초기에는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벨러 버르토크의 영향을 받은 신고전주의 음악 스타일을 보였다. 이후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12음 기법과 음렬주의를 사용했으나, 이는 소련 당국의 검열과 창작의 한계에 부딪히게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패르트는 그레고리오 성가르네상스 시대의 다성 음악을 연구하며 서양 음악의 뿌리를 탐구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 정교회 신앙을 갖게 되었고, 이는 그의 음악적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1. 틴티나불리 양식

패르트는 틴티나불리 양식을 스스로 "종의 울림"이라 표현했다. 이 시기 그의 음악은 3화음이나 단음과 같이 매우 단순한 화성을 사용했다. 리듬 또한 단순하며 템포 변화가 거의 없다. 가사는 에스토니아어 대신 라틴어교회 슬라브어 등 정교회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된 종교적인 가사가 주로 쓰였다.

초기 유럽 다성 음악의 정신은 파르트의 과도기적 작품인 교향곡 3번(1971) 작곡에 영향을 미쳤다. 그 후 그는 초기 음악에 몰두하여 서양 음악의 뿌리를 다시 연구했다. 그는 단성가, 그레고리오 성가, 그리고 유럽 르네상스 음악에서 다성 음악의 출현을 연구했다.[4]

이 시기 이후의 음악은 이전과 근본적으로 달랐다. 1977년 작품인 ''프라트레스'', ''벤자민 브리튼을 기리는 칸투스'', ''타불라 라사'' 등이 이 시기의 대표적인 작품이다.[4] ''거울 속의 거울''(1978)은 틴티나불리 양식의 잘 알려진 예시로, 많은 영화에서 사용되었다.

패르트의 후기 작품은 종종 성경 텍스트를 사용하며, 라틴어나 정교회 전례에 사용되는 교회 슬라브어를 선택했다. 종교적 텍스트에서 영감을 받은 대규모 작품으로는 ''베를린 미사'', ''성 요한 수난곡'', ''테 데움'' 등이 있으며, ''리타니''의 텍스트는 4세기 신학자 요한 크리소스토무스가 작성했다.[16] 이 시기의 합창 작품으로는 ''마니피카트''와 ''팔복''이 있다.[4]

패르트는 틴티나불리 양식의 작품을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많은 상을 받았다. 2014년에는 고마쓰노미야 기념 세계 문화상을 수상했다.[63]

3. 2. 초기 작품 경향

패르트는 7살에 음악을 시작해 14~15살에 곡을 쓰기 시작했다. 탈린 음악원에서 작곡을 배웠다. 초기 작품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벨러 버르토크와 같은 신고전주의 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후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12음 기법과 음렬주의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는 소련 당국의 분노를 샀을 뿐만 아니라 창작의 막다른 골목으로 이어졌다.[4] 소련 검열관들이 초기 작품을 금지하자 파르트는 성찰의 침묵 시기를 보냈다.[4]

4. 주요 작품

아르보 패르트는 7세에 음악을 시작하여 14~15세에 작곡을 시작했다. 초기 작품은 쇼스타코비치, 프로코피에프, 버르토크와 같은 신고전주의 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후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12음렬 기법과 음렬주의를 사용했으나, 소비에트 연방에 대한 염증과 음악적 한계를 느끼고 그레고리오 성가와 르네상스 시대 폴리포니를 연구했다. 이 시기부터 그의 음악은 3화음과 같이 단순한 화성과 리듬을 사용하며, 라틴어교회 슬라브어로 된 종교적 가사를 사용하는 특징을 보인다. 패르트는 자신의 음악 스타일을 "tintinnabular(종의 울림)"라고 표현했다.

패르트의 음악은 50개가 넘는 영화에 쓰였다. 벤자민 브리튼을 추모하는 성가는 마이클 무어화씨 9/11에서 테러 직후 장면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

패르트의 대표적인 기악곡으로는 현악 오케스트라와 종을 위한 ''벤자민 브리튼을 기리는 칸투스''(1977)와 현악 5중주 ''형제들(Fratres) I''(1977, 1983년 개정)이 있다. ''형제들(Fratres) I''은 현악 오케스트라와 타악기, 바이올린 독주 "형제들 II", 첼로 앙상블 "형제들 III"(모두 1980년)로 편곡되었다. 그의 명성은 ''타불라 라사(Tabula Rasa)''와 ''거울 속의 거울(Spiegel im Spiegel)''과 같은 기악 작품에 기반을 두고 있다.[11]

그의 성악곡은 러시아 정교회 신앙을 갖게 되면서 종교적인 색채를 띄게 되었다.

4. 1. 기악곡

아르보 패르트의 잘 알려진 기악곡으로는 현악 오케스트라와 종을 위한 ''벤자민 브리튼을 기리는 칸투스(Cantus in Memoriam Benjamin Britten)''(1977)와 현악 5중주 ''형제들(Fratres) I''(1977, 1983년 개정)이 있으며, ''형제들(Fratres) I''은 현악 오케스트라와 타악기, 바이올린 독주 "형제들 II", 첼로 앙상블 "형제들 III"(모두 1980년)로 편곡되었다. 그의 명성은 ''타불라 라사(Tabula Rasa)''와 ''거울 속의 거울(Spiegel im Spiegel)''과 같은 기악 작품에 기반을 두고 있다.[11]

패르트의 기악곡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제목연도
파르티타1959년
교향곡 1번 "폴리포닉"1963년
무궁동1963년
B-A-C-H 주제에 의한 콜라주1964년
교향곡 2번1966년
첼로 협주곡 "찬과 부"1966년
교향곡 3번1971년
아리나를 위해 - 아리누슈카의 치유에 근거한 변주곡1976년
파리 인터발로1976년
트리비움1976년
아르보스1977년
칸투스 - 벤자민 브리튼의 추억에1977년
타블라 라사1977년
거울 속의 거울1978년
페스티나 렌테1988년
나의 길1988/89년
현악 합주를 위한 성삼축문(트리사기온)1992년
동양과 서양2000년
체칠리아, 로마의 처녀2000년
라멘테레2002년
교향곡 4번 "로스앤젤레스"2008년


4. 2. 성악곡

패르트는 초기에는 쇼스타코비치, 프로코피에프, 버르토크와 같은 신고전주의 음악의 영향을 받은 작품을 썼다. 이후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12음렬 기법과 음렬주의를 사용하기도 했으나, 소비에트 연방 체제에 대한 염증과 음악적 한계를 느끼고 그레고리오 성가와 르네상스 시대 폴리포니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 러시아 정교회 신앙을 갖게 되면서 그의 음악은 단순한 화성과 리듬, 그리고 라틴어교회 슬라브어로 된 종교적 가사를 사용하는 특징을 보이게 되었다. 패르트는 자신의 음악 스타일을 "tintinnabular(종의 울림)"라고 표현했다.

그의 성악곡은 다음과 같다:

제목연도비고
칸타타 "우리의 정원"1962년
우리는 바빌론의 강가에 앉아, 눈물을 흘렸다1976년
사라, 90세였다1976년
미사 실라비카1977년
슘마1978년
데 프로푼디스(깊은 곳에서)1980년
요한 수난곡1982년
순례의 노래1984년
스타바트 마테르1985년
테 데움1985년
마니피카트1989년
미제레레1989년
베를린 미사1990년
실루안의 노래1991년
자, 어떤 바리새인이1992년
연도(리타니)1994년
참회의 카논 전곡1997년[1]정교회 성가, 무반주 성악, 교회 슬라브어 가사, 크리토의 안드레이에 의함
4부 합창을 위한 삼가경1998년[2]정교회 성가, 무반주 성악, 영어 가사
물을 찾는 사슴처럼1998년
체칠리아, 로마의 처녀2000년
눈크 디미티스2001년
인 프린치피오(처음에)2003년
주여, 평화를 주소서2004년
다 파체음 도미네2004년
성해포2005년


5. 수상 및 영예

연도수상 및 영예
1996년미국 예술 문학 아카데미 음악부 회원 [28]
1996년시드니 대학교 명예 음악 박사 [29]
1998년타르투 대학교 명예 예술 박사 [30]
2003년더럼 대학교 명예 음악 박사 [31]
2006년국가 문장 훈장 1등급 [32]
2007년브뤼케상 [33]
2008년레오니 소닝 음악상, 덴마크 [34]
2008년오스트리아 과학 예술 훈장, 1등급 [35]
2009년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외국인 회원 [36]
2010년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명예 음악 박사 [37]
2011년레지옹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기사), 프랑스 [38]
2011년교황청 문화 평의회 회원 [39]
2013년세계 총대주교청의 관구 대주교 [40]
2014년프라에미움 임페리얼상 수상, 일본 [41]
2014년성 블라디미르 정교 신학 대학원 명예 성가 박사 [42]
2016년옥스퍼드 대학교 명예 음악 박사 [43]
2017년라칭거 상, 독일 [44]
2018년폴란드 문화 공로 금메달 – 글로리아 아르티스 [45][46]
2018년프레데리크 쇼팽 음악 대학교 명예 음악 박사 [47]
2019년인정 훈장, 2등급, 라트비아 [48]
2020년지식의 경계상, BBVA 재단, 스페인 [49]
2021년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 훈장 [50]
2022년오크 왕관 훈장 장교, 룩셈부르크 [51]
2023년폴라 음악상, 스웨덴 [52]
2024년로열 필하모닉 협회 금메달 [53]


참조

[1] 웹사이트 Sounds emanating love – the story of Arvo pärt http://estonianworld[...] 2017-08-22
[2] 웹사이트 Arvo Pärt http://sinfinimusic.[...] Sinfini Music
[3] 웹사이트 Arvo Pärt – Biography & History https://www.allmusic[...] 2017-10-24
[4] 간행물 Program Notes New York City Ballet 2008-01
[5] 서적 Arvo Pärt
[6] 서적 The Baltic States, Years of Dependence, 1940–198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 웹사이트 His Music, Entwined With His Faith https://www.nytimes.[...] 2019-12-15
[8] 웹사이트 Arvo Pärt Biography https://www.arvopart[...] 2019-12-15
[9] 웹사이트 Nomina di Membris del Pontifico Consiglio Della Cultura http://press.catholi[...] 2021-02-09
[10] 뉴스 Arvo Pärt interview: 'music says what I need to say' https://www.telegrap[...] 2017-08-23
[11] 문서
[12] 서적 Górecki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3] 문서
[14] 논문 I Believe… in What? Arvo Pärt's and Alfred Schnittke's Polystylistic Credos http://www.tandfonli[...] 2010
[15] 논문 Systems, Symbols, & Silence: The Tintinnabuli Technique of Arvo Pärt into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www.jstor.or[...] 2008
[16] 웹사이트 Litany https://www.arvopart[...] arvopart.ee 2020-07-18
[17] 웹사이트 Arvo Pärt was the world's second most performed living composer in 2019 https://estonianworl[...] 2020-03-10
[18] 뉴스 The Reich stuff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4-01-02
[19] 웹사이트 Für Lennart in memoriam – Arvo Pärt Centre https://www.arvopart[...] 2022-04-07
[20] 논문 Arvo Pärt commemorates Politkovskaja http://www.universal[...] Universal Edition 2011-02-19
[21] 간행물 Arvo Pärt describes RTÉ Living Music Festival as 'best festival of my life' http://www.rte.ie/ab[...] Raidió Teilifís Éireann
[22] 웹사이트 Baltic Voices in Ireland: Arvo Pärt's World Premiere – Louth Contemporary Music Society http://www.louthcms.[...] 2018-10-12
[23] 웹사이트 Premiere of "The Deer's Cry" by Arvo Pärt in Ireland https://www.emic.ee/[...] 2022-04-07
[24] 웹사이트 In Detail: Arvo Pärt's Symphony No. 4 'Los Angeles' https://archive.toda[...] 2009-01-27
[25] 웹사이트 Arvo Part https://www.grammy.c[...] 2018-10-12
[26] 웹사이트 Arvo Pärt's "Adam's Lament" wins Grammy Award in the Best Choral Performance category! http://estonianworld[...] 2014-01-26
[27] 서적 Mixed identities in Arvo Pärt's Adam's Lament Cambridge Scholars
[28] 웹사이트 Arvo Pärt – Estonian composer https://www.britanni[...] britannica.com 2018-10-15
[29] 웹사이트 Honorary Awards: University of Sydney http://www.usyd.edu.[...] 2009-01-12
[30]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Arvo Pär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5-17
[31] 웹사이트 Arvo Pärt: Doctor of Music http://www.dur.ac.uk[...] 2008-05-31
[32] 웹사이트 President Arnold Rüütel jagab heldelt üliharuldast ordenit http://www.postimees[...] 2014-09-25
[33] 웹사이트 Internationaler Brückepreis geht an: / 2007 – Arvo Pärt / Estnischer Komponist http://www.brueckepr[...] 2017-08-17
[34] 웹사이트 Arvo Pärt https://www.sonningm[...] 2021-07-12
[35] 웹사이트 DiePresse.com http://diepresse.com[...] 2014-03-31
[36] 웹사이트 Endre Süli elected Foreign Member of the Serb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https://www.maths.ox[...] 2021-05-10
[37] 웹사이트 Honorary Degrees June 2009 http://www.st-andrew[...] 2009-06-17
[38] 웹사이트 Le compositeur Arvo Pärt décoré de l'ordre de la Légion d'Honneur http://www.ambafranc[...] ambafrance-ee.org
[39] 웹사이트 Vatican information service http://visnews-en.bl[...] 2011-12-12
[40] 뉴스 Arvo Pärt Receives Distinction from Patriarch Bartholomew http://news.err.ee/c[...] 2013-09-09
[41] 뉴스 Arvo Pärt, Athol Fugard among recipients of Praemium Imperiale awards http://www.latimes.c[...] 2014-07-16
[42] 웹사이트 Honorary Degrees May 2014 http://www.svots.edu[...] svots.edu 2014-05-31
[43] 웹사이트 Oxford announces honorary degrees for 2016 http://www.ox.ac.uk/[...] ox.ac.uk 2016-02-25
[44] 웹사이트 An Orthodox, a Lutheran, and a Catholic win the 2017 Ratzinger Prize https://cruxnow.com/[...] 2017-09-26
[45] 뉴스 Kompozytor Arvo Part uhonorowany Złotym Medalem Zasłużony Kulturze Gloria Artis https://dzieje.pl/ku[...] 2018-11-26
[46] 웹사이트 Lista laureatów Medalu Zasłużony Kulturze Gloria Artis https://www.gov.pl/w[...] Ministerstwo Kultury i Dziedzictwa Narodowego
[47] 웹사이트 Two eminent prizes to Arvo Pärt from Poland https://www.arvopart[...] 2018-11-25
[48] 웹사이트 Estonian composer Arvo Part decorated with Latvia's Cross of Recognition, 2nd Class http://www.baltic-co[...] The Baltic Course 2019-03-11
[49] 웹사이트 Arvo Pärt receives Frontiers of Knowledge Award https://www.arvopart[...] Arvo Pärt Centre 2020-03-31
[50] 웹사이트 Bundesverdienstkreuz für Arvo Pärt https://www.deutschl[...] 2021-11-13
[51] 웹사이트 Arvo Pärt awarded the state order of Luxembourg https://www.balticti[...]
[52] 웹사이트 2023 Laureate – Arvo Pärt https://www.polarmus[...] Polar Music Prize 2023-03-28
[53] 웹사이트 RPS awards Gold Medal to Arvo Pärt https://www.classica[...]
[54] 웹사이트 Radio :: SWR2 http://www.swr.de/sw[...]
[55] 뉴스 Arvo Pärt: The Symphonies review – the Parts that make the whole https://www.theguard[...] 2018-04-19
[56] 서적 Arvo Pärt null
[57] 웹사이트 Arvo Pärt Special 1: How Sacred Music Scooped an Interview http://www.theartsde[...] null
[58] 서적 The Music of European Nationalism: Cultural Identity and Modern History null
[59] 웹사이트 About the Centre https://www.arvopart[...]
[60] 뉴스 Arvo Pärt: 'El virus demuestra que somos un único organismo' https://www.abc.es/c[...] 2020-04-07
[61] 문서 Paul Griffiths, Modern Music and After, 3rd Edition, p.257; ISBN 978-0-19-974050-5
[62] 문서 ローチケHMV(2014年10月10日) https://www.hmv.co.j[...]
[63] 문서 高松宮殿下記念世界文化賞 http://www.praemium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