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한겔스크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한겔스크 현은 1784년 아르한겔스크 총독부로 설치되어 1929년 세베르니 크라이에 통합될 때까지 존재했던 러시아 제국의 행정 구역이다. 초기에는 7개의 우예즈드로 구성되었으며, 행정 구역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189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약 34만 6천 명의 인구가 거주했으며, 러시아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역대 총독과 군정 장관이 통치했으며, 1917년 혁명 이후 현의 권력 구조가 바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제국의 현 - 티플리스현
티플리스현은 1846년 러시아 제국이 조지아-이메레티 주를 해체하면서 설립된 행정 구역으로,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우예즈드와 오크루그로 재편되었고, 조지아 민주 공화국 존속 후 조지아가 소비에트 연방에 편입되며 해체되어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라이온으로 재편성되었으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사용되었다. - 러시아 제국의 현 - 바사주
바사 주는 1634년에 설립되어 1997년에 폐지된 핀란드의 역사적 행정 구역으로, 오스트로보트니아 주에서 분리되었고 중앙수오미 주가 분리되는 등 변화를 거쳐 서핀란드 주 등으로 통합되었다.
아르한겔스크현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명칭 | 아르한겔스크 현 |
로마자 표기 | Arkhangel'skaya guberniya |
국가 | 러시아 제국 러시아 공화국 소비에트 러시아 |
존속 기간 | 1796년 - 1929년 |
설치 시작일 | 1796년 12월 12일 |
해체일 | 1929년 1월 14일 |
수도 | 아르한겔스크 |
정치 구역 | 9개의 우예즈드 |
통계 | |
인구 (1903년) | 376,126명 |
면적 | 842,531 제곱킬로미터 |
역사 | |
이전 | 볼로그다 총독부 |
이후 | 북방 지방 |
2. 역사
1780년, 아르한겔고로드 현이 폐지되고 볼로그다 총독부로 개편되면서 아르한겔스크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 세분화되었다. 1784년 3월 26일, 아르한겔스크 오블라스트는 분리되어 '''아르한겔스크 총독부'''가 설치되었다.[1] 파벨 1세는 1796년 12월 12일 칙령을 통해 아르한겔스크 총독부를 아르한겔스크 현으로 개편하고, 올로네츠 총독부가 폐지되면서 켐스키 우예즈드와 포베네츠키 우예즈드의 일부를 아르한겔스크 현으로 편입시켰다.[1]
초기에 아르한겔스크 오블라스트(이후 아르한겔스크 총독부)는 아르한겔스키 우예즈드(아르한겔스크), 홀모고르스키 우예즈드(홀모고리), 콜스키 우예즈드(콜라), 메젠스키 우예즈드(메젠), 오네시스키 우예즈드(오네가), 피네시스키 우예즈드(피네가), 셴쿠르스키 우예즈드(셴쿠르스크)의 7개 우예즈드로 구성되었다.
1801년, 포베네츠키 우예즈드의 일부가 올로네츠 현으로 이관되고, 켐을 중심으로 한 켐스키 우예즈드는 아르한겔스크 현에 남았다. 크림 전쟁 중인 1854년, 콜라 시가 파괴되면서 콜스키 우예즈드는 켐스키 우예즈드에 합병되었다. 1883년 콜스키 우예즈드가 복구되었으나, 1899년 우예즈드의 중심지가 알렉산드로프스크로 이전되면서 알렉산드로프스키 우예즈드로 개명되었다. 1891년에는 우스트-칠마를 중심으로 페초르스키 우예즈드가 메젠스키 우예즈드에서 분리되었다.
1917년 혁명 이후에도 현 구조는 유지되었으나, 1918년 알렉산드로프스키 우예즈드의 서부 지역이 핀란드로 이관되고, 나머지 우예즈드는 무르만스크 현으로 편입되었다. 1920년에는 켐스키 우예즈드가 카렐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의 전신인 카렐 노동 코뮌으로 이관되었다. 1922년, 페초르스키 지구의 주요 부분이 코미-지르얀 자치 오블라스트로 이동되었다.
1929년 1월 14일, 전러시아 중앙 집행 위원회의 명령에 따라 아르한겔스크 현은 볼로그다, 세베르나야 드비나 현, 코미-지르얀 자치 오블라스트와 함께 세베르니 크라이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1]
2. 1. 행정 구역 변화
1780년, 아르한겔고로드 현이 폐지되고 볼로그다 총독부로 개편되면서 아르한겔스크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 세분화되었다. 1784년 3월 26일, 아르한겔스크 오블라스트는 분리되어 '''아르한겔스크 총독부'''가 설치되었다.[1] 파벨 1세는 1796년 12월 12일 칙령을 통해 아르한겔스크 총독부를 아르한겔스크 현으로 개편하고, 올로네츠 총독부가 폐지되면서 켐스키 우예즈드와 포베네츠키 우예즈드의 일부를 아르한겔스크 현으로 편입시켰다.[1]초기에 아르한겔스크 오블라스트(이후 아르한겔스크 총독부)는 아르한겔스키 우예즈드(아르한겔스크), 홀모고르스키 우예즈드(홀모고리), 콜스키 우예즈드(콜라), 메젠스키 우예즈드(메젠), 오네시스키 우예즈드(오네가), 피네시스키 우예즈드(피네가), 셴쿠르스키 우예즈드(셴쿠르스크)의 7개 우예즈드로 구성되었다.
1801년, 포베네츠키 우예즈드의 일부가 올로네츠 현으로 이관되고, 켐을 중심으로 한 켐스키 우예즈드는 아르한겔스크 현에 남았다. 크림 전쟁 중인 1854년, 콜라 시가 파괴되면서 콜스키 우예즈드는 켐스키 우예즈드에 합병되었다. 1883년 콜스키 우예즈드가 복구되었으나, 1899년 우예즈드의 중심지가 알렉산드로프스크로 이전되면서 알렉산드로프스키 우예즈드로 개명되었다. 1891년에는 우스트-칠마를 중심으로 페초르스키 우예즈드가 메젠스키 우예즈드에서 분리되었다.
1917년 혁명 이후에도 현 구조는 유지되었으나, 1918년 알렉산드로프스키 우예즈드의 서부 지역이 핀란드로 이관되고, 나머지 우예즈드는 무르만스크 현으로 편입되었다. 1920년에는 켐스키 우예즈드가 카렐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의 전신인 카렐 노동 코뮌으로 이관되었다. 1922년, 페초르스키 지구의 주요 부분이 코미-지르얀 자치 오블라스트로 이동되었다.
1929년 1월 14일, 전러시아 중앙 집행 위원회의 명령에 따라 아르한겔스크 현은 볼로그다, 세베르나야 드비나 현, 코미-지르얀 자치 오블라스트와 함께 세베르니 크라이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1]
2. 2. 역대 총독 및 군정 장관
아르한겔스크 현은 총독과 군정 장관이 통치했다. 총독은 민정을 담당했고, 군정 장관은 군사 및 행정 업무를 담당했다.[2] 군정 장관은 항상 임명되지는 않았지만, 임명될 경우에는 총독과 공동으로 통치했다.[2]1784년부터 1796년까지 이반 로마노비치 리벤, 1796년부터 1797년까지 이반 일리치 그레벤스가 아르한겔고로드 부왕령의 총독을 역임했다.[2] 1796년 이반 로마노비치 리벤이 다시 총독을 맡았다.[2]
아르한겔스크 현의 총독으로는 1797년 드미트리 표도로비치 글린카, 1798년부터 1799년까지 나자리 스테파노비치 무라비요프, 1802년 알렉세이 마트베예비치 오쿨로프, 1805년부터 1807년까지 카지미르 아쉬, 1823년부터 1824년까지 야코프 표도로비치 간스카우, 1827년부터 1829년까지 이반 야코블레비치 부하린, 1831년부터 1837년까지 일리야 이바노비치 오가료프, 1837년 빅토르 야코블레비치 로슬라베츠, 1837년 니콜라이 이바노비치 크멜니츠키가 재임하였다.[2] 이전에 데카브리스트 반란에 연루되었던 알렉산드르 무라비요프는 1837년부터 1839년까지 총독을 역임했다.[2] 1843년부터 1856년까지는 빌렘(비켄티) 프란체비치 프리베르스, 1866년부터 1869년까지는 세르게이 파블로비치 가가린, 1871년부터 1880년까지는 니콜라이 파블로비치 이그나티예프, 1881년부터 1882년까지는 니콜라이 바라노프가 총독직을 수행했다.[2] 1885년부터 1893년까지는 후에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총리가 되는 니콜라이 드미트리에비치 골리친이 총독을 역임했다.[2] 1901년부터 1904년까지는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림스키-코르사코프, 1907년부터 1911년까지는 이반 바실리에비치 소스노프스키, 1911년부터 1917년까지는 세르게이 드미트리에비치 비비코프가 총독이었다.[2]
1917년 2월 이후, 현의 최고 권력은 현 위원에게 속했고, 1917년 11월 이후에는 현 집행 위원회에 속했다. 러시아 내전 기간, 아르한겔스크가 연합군에 점령되었을 때를 제외하고는 더 이상 총독은 임명되지 않았다.[2]
아르한겔스크 현의 군정 장관으로는 1797년부터 1798년까지 이반 로마노비치 리벤, 1798년 드미트리 로바노프-로스토프스키, 1799년부터 1801년까지 카를 안드레예비치 리벤, 1802년부터 1803년까지 세르게이 안드레예비치 베클레쇼프, 1811년부터 1813년까지 알렉세이 그리고리에비치 스피리도프, 1842년부터 1850년까지 알렉산드르 이바노비치 트라베르세, 1854년부터 1857년까지 스테판 페트로비치 흐루쇼프, 1907년 드미트리 다비도비치 그리고리예프가 있었다.[2]
다음 총독이 임명되었다:[2]
- 1820–1823 알렉세이 페도토비치 클로카체프(Alexey Fedotovich Klokachyov)
- 1823–1830 스테판 이바노비치 미니츠키(Stepan Ivanovich Minitsky)
- 1836–1842 이오시프 이바노비치 술리마(Iosif Ivanovich Sulima)
- 1862–? 콘스탄틴 이바노비치 이스토민(Konstantin Ivanovich Istomin)
- 1915 아르카디 미하일로비치 발루예프(Arkady Mikhaylovich Valuyev), 총독 대리
2. 3. 인구 및 언어
1897년 제정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아르한겔스크현의 인구는 약 34만 6천 명이었다.[3] 주요 언어는 러시아어(85.1%)였으며, 코미어(6.7%), 카렐리아어(5.6%), 사모예드어파(1.1%), 사미어(0.5%)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었다.[3] 이는 아르한겔스크 현이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이었음을 보여준다.언어 | 인구 | 비율 (%) | 남성 | 여성 |
---|---|---|---|---|
러시아어 | 294,865 | 85.1 | 139,174 | 155,691 |
코미어 | 23,259 | 6.7 | 11,058 | 12,201 |
카렐리아어 | 19,522 | 5.6 | 8,737 | 10,785 |
사모예드어파 | 3,874 | 1.1 | 2,030 | 1,844 |
사미어 | 1,742 | 0.5 | 870 | 872 |
핀란드어 | 1,276 | 0.4 | 645 | 631 |
폴란드어 | 456 | 0.0 | 350 | 106 |
독일어 | 309 | 0.0 | 118 | 191 |
벨라루스어 | 256 | 0.0 | 133 | 123 |
이디시어 | 253 | 0.0 | 156 | 97 |
노르웨이어와 덴마크어 | 226 | 0.0 | 125 | 101 |
로마니어 | 147 | 0.0 | 84 | 63 |
리투아니아어 | 81 | 0.0 | 80 | 1 |
에스토니아어 | 76 | 0.0 | 70 | 6 |
우크라이나어 | 51 | 0.0 | 45 | 6 |
기타 | 143 | 0.0 | 109 | 34 |
합계 | 346,536 | 100.0 | 163,784 | 182,752 |
3. 한국과의 관계
3. 1. 이동휘 국무총리 체포 사건
참조
[1]
웹사이트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е деление Архангельской губернии в XVIII – XX вв.
https://web.archive.[...]
Архивы России
2011-08-25
[2]
웹사이트
Архангельская область
https://web.archive.[...]
narod.ru
2011-08-25
[3]
뉴스
Language Statistics of 1897
http://demoscope.r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