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덴마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덴마크어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북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영어 알파벳에 Æ, Ø, Å 세 글자가 추가된 형태를 띤다. 스웨덴어와 상호 이해 가능성이 높으며, 노르웨이어와도 상당 부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덴마크어는 크게 섬 덴마크어, 유틀란드어, 동부 덴마크어의 세 가지 방언 지역으로 나뉘며, 표준 덴마크어는 코펜하겐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문법적으로는 굴절이 적고 어순이 고정된 분석적인 언어이며, 20진법을 기반으로 하는 독특한 수사 체계를 가지고 있다. 어휘는 고대 노르드어, 저지 독일어,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덴마크어는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 자료와 말뭉치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린란드의 언어 - 그린란드어
    그린란드어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에 속하며 그린란드의 공식 언어로, 1200년대 툴레인의 이주로 전래되어 서그린란드어, 동그린란드어, 북그린란드어 등의 방언이 있고, 덴마크어의 영향을 받았으나 자치정부 수립 후 강화 정책으로 지위를 확보했음에도 유네스코는 "취약한" 언어로 분류하며, 복잡한 형태론적 특징을 가진 능격-대격어이지만 주격-대격어로의 변화 가능성도 있다.
  • 페로 제도의 언어 - 페로어
    페로어는 페로 제도의 공용어이자 덴마크의 지역어이며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북게르만어군에 속하는 굴절어의 특징을 보이는 언어로, 구전 전통을 통해 유지되다가 19세기 중반 현대 표준 페로어가 제정되면서 부활하여 현재 페로 제도의 민족 정체성을 지키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덴마크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덴마크어
로마자 표기법danseukeo
사용 국가덴마크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사용 지역덴마크,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독일); 페로 제도그린란드
사용자 수597만 명
사용 민족덴마크인
사용 날짜2019년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하위 언어 계통게르만어파
북서게르만어
북게르만어군
동스칸디나비아어
조상 언어고대 노르드어
고대 동노르드어
고대 덴마크어
중세 덴마크어
방언유틀란트 방언
섬 덴마크어
페로 덴마크어 악센트
남슐레스비히 덴마크어
페르케르단스크
다노-노르웨이어
앙겔 덴마크어
동덴마크어
남유틀란트어
문자 체계라틴 문자 (덴마크어 알파벳)
덴마크어 점자
공용 국가덴마크 왕국
덴마크
페로 제도
북유럽 이사회
유럽 연합
소수 언어 사용 국가그린란드
독일
언어 규제 기관덴마크어 위원회
ISO 639-1 코드da
ISO 639-2 코드dan
ISO 639-3 코드dan
지역 코드Insular Danish (섬 덴마크어)
지역 코드Jutlandic (유틀란트어)
Glottolog 코드dani1285
Glottolog 이름Danish (덴마크어)
Glottolog 코드juti1236
Glottolog 이름Jutish (유틀란트어)
기타 정보
1350년에 복사된 코덱스 홀미엔시스의 1241년 유틀란트 법의 첫 페이지. 첫 번째 문장은: "" 현대 정서법: "" 영어 번역: "법으로 나라를 세워야 한다"

2. 문자

덴마크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영어 알파벳에 Æ, Ø, Å 세 글자가 추가된 형태이다. 1948년 철자법 개혁을 통해 Å가 도입되었다. C, Q, W, X, Z는 외래어 표기에만 사용된다.

덴마크어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대문자소문자
Aa
Bb
Cc
Dd
Ee
Ff
Gg
Hh
Ii
Jj
Kk
Ll
Mm
Nn
Oo
Pp
Qq
Rr
Ss
Tt
Uu
Vv
Ww
Xx
Yy
Zz
Ææ
Øø
Åå


3. 분류

덴마크어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북게르만어군 동스칸디나비아어(동노르드어)에 속한다. 스웨덴어와 함께 고대 노르드어의 동부 방언에서 유래했다. 덴마크어는 방언 연속체의 일부로 간주되며, 스웨덴어, 노르웨이어와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덴마크어로 "militærpoliti"(군사경찰)라고 쓰여있는 경찰 차량


약 2,000개의 복합어가 아닌 덴마크어 단어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했고, 궁극적으로는 프로토-인도-유럽어에서 비롯되었다. 덴마크어는 후기 중세 시대의 저지 독일어에서 차용어를 많이 받아들였으며, 17세기와 18세기에는 표준 독일어프랑스어가 저지 독일어의 영향을 대체했고, 20세기에는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어가 차용어의 주요 공급원이 되었다.[4]

덴마크어는 노르웨이어스웨덴어와 상당 부분 상호 이해 가능하다. 세 언어 중 어느 하나에 능숙한 화자는 다른 언어들을 상당히 잘 이해할 수 있지만, 연구에 따르면 상호 이해 가능성은 비대칭적이다. 노르웨이어 화자는 일반적으로 스웨덴어와 덴마크어를 스웨덴인이나 덴마크인이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는 것보다 훨씬 더 잘 이해한다. 마찬가지로, 스웨덴인과 덴마크인은 서로의 언어보다 노르웨이어를 더 잘 이해한다.

같은 동부 노르드어에 속하는 언어로는 스웨덴어가 있다. 코펜하겐과 스웨덴을 잇는 다리가 2000년에 완공됨으로써 말뫼가 코펜하겐의 통근권이 된 것으로 인해, 이 지역의 스웨덴어는 다시 덴마크어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다.

덴마크어는 유틀란트 반도와 독일 지역과의 거리적 관계로 북유럽에서 가장 독일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4세기 이후 번영한 한자 동맹 도시들과의 교류에 의한 낮은 독일어의 영향과, 17, 18세기에 교양어로서의 지위를 높인 높은 독일어의 영향이 있다.[31]

3. 1. 주요 방언

덴마크어 방언은 크게 세 가지 주요 방언 지역으로 나뉜다.[14]

  • 섬 덴마크어(ømålda): 셸란섬, 퓔렌섬, 롤란섬, 팔스터섬, 묄른섬 등 덴마크 섬 방언을 포함한다.
  • 유틀란드어(jyskda): 북부 유틀란드어, 동부 유틀란드어, 서부 유틀란드어, 남부 유틀란드어로 더 세분된다.
  • 동부 덴마크어(østdanskda): 본홀름(bornholmsk), 스코네, 할란드 및 블레킹예 방언을 포함한다.


덴마크 방언 지도


덴마크 방언에서 stød의 분포: 분홍색 지역은 표준 덴마크어와 같이 를 사용, 녹색 지역은 스웨덴어노르웨이어처럼 억양을 사용, 파란색 지역은 나 억양을 사용하지 않음.


덴마크 방언에서 1, 2, 3성의 문법적 성의 분포.


유틀란드어는 다시 남부 유틀란드어와 북부 유틀란드어로 나뉘며, 북부 유틀란드어는 북부 유틀란드어와 서부 유틀란드어로 세분된다. 섬 덴마크어는 셸란, 퓔렌, 묄른 및 롤란-팔스터 방언 지역으로 나뉘며, 각 지역 내에도 추가적인 변이가 있다. 본홀름어는 덴마크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동부 덴마크 방언이다. 1645/1658년 스웨덴이 동부 덴마크 지방인 스코네, 할란드 및 블레킹예를 정복한 이후, 그곳의 동부 덴마크 방언은 스웨덴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현재 많은 주민들이 표준 스웨덴어의 지역적 변종을 사용한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은 여전히 스코네, 할란드(hallandskda) 및 블레킹예(blekingskda)의 방언을 동부 덴마크 방언 그룹의 일부로 간주한다.[15][16][17] 1995년 스웨덴 국립 백과사전은 스코네 방언을 "남부 스웨덴 요소가 포함된 동부 덴마크 방언"으로 분류한다.[18]

전통적인 방언은 음운론, 문법 및 어휘에서 표준 덴마크어와 다르다. 음운론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는 stødda의 존재 여부이다. stødda의 구현에는 네 가지 주요 지역적 변종이 있다. 문법적으로 중요한 특징은 문법적 성의 수이다. 표준 덴마크어는 두 가지 성을 가지고 있으며 명사의 정관사 형태는 접미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반면, 서부 유틀란드어는 하나의 성만 가지고 있으며 명사의 정관사 형태는 명사 앞에 관사를 사용하여 서게르만어파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다. 본홀름 방언은 세 가지 문법적 성을 구분하는 등 오늘날까지 많은 고어적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 섬 덴마크어 전통 방언도 세 가지 문법적 성을 보존했다. 1900년까지 셸란 섬 방언은 표준어의 영향으로 두 가지 성으로 줄었지만, 퓔렌 방언과 같은 다른 섬 변종은 그렇지 않았다.

4. 역사

덴마크어는 8세기경 원시 노르드어에서 분화된 고대 노르드어에서 기원했다. 고대 노르드어는 동부 고대 노르드어(덴마크어, 스웨덴어의 조상)와 서부 고대 노르드어(노르웨이어, 아이슬란드어, 페로어의 조상)로 나뉜다.

10세기 초 고대 노르드어 및 관련 언어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


  • 서부 고대 노르드어 방언 (빨간색)
  • 동부 고대 노르드어 방언 (주황색)
  • 고대 괴틀란드어 방언 (분홍색)
  • 고대 영어 (노란색)
  • 크리미아 고트어 (파란색)
  • 고대 노르드어와 상호 이해 가능성을 유지했던 다른 게르만어족 언어들 (녹색)


동부 고대 노르드어와 서부 고대 노르드어를 구분하는 변화는 덴마크에서 시작된 혁신으로, 스코네를 통해 스웨덴으로, 그리고 해상 접촉을 통해 노르웨이 남부로 확산되었다.[5] 예를 들어 이중모음 'æi'(서부 고대 노르드어 'ei')가 단모음 'e'로 변화하거나, 'au'가 'ø'로 변화하는 현상 등이 있었다.

중세 시대에 덴마크어는 스웨덴어와 분리되어 독자적인 언어로 발전했다. 라틴어가 주요 문자 언어였지만, 율란드 법과 스코네 법과 같이 구어체 덴마크어로 작성된 법률 문서도 나타났다. 1350년부터 덴마크어는 행정 언어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왕실 서신과 유언장 등 새로운 유형의 문학이 덴마크어로 쓰이기 시작했다. 이 시기 덴마크어는 저지 독일어와 접촉하면서 많은 차용어가 도입되었다.

16세기 종교 개혁 이후 덴마크어는 종교 및 행정 언어로 사용되면서 문학 언어로 발전했다. 1495년 최초의 덴마크어 책인 Rimkrøniken|운문 연대기da가 출판되었고,[7] 1550년에는 크리스티에른 페데르센이 번역한 성경 번역본이 출판되어 덴마크어 저술의 표준을 세웠다. 이 시기에 덴마크어는 stød와 같은 독자적인 언어적 특징을 갖게 되었다.

스웨덴어는 같은 동부 노르드어군에 속하며, 양국어 화자 간에 상당한 수준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17세기까지 덴마크 영토였던 스코네 지방에서는 덴마크어에 가까운 방언이 사용된다. 덴마크어는 독일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한자 동맹 도시들과의 교류로 인한 낮은 독일어의 영향과 17, 18세기 높은 독일어의 영향이 있었다.[31]

4. 1. 덴마크어의 확산과 쇠퇴

덴마크어는 덴마크의 정복 활동을 통해 확산되기도 하고, 쇠퇴하기도 했다. 덴마크의 정복으로 동부 고대 노르드어는 한때 잉글랜드 북동부 데인로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1645년/1658년 스웨덴이 동부 덴마크 지방인 스코네, 할란드, 블레킹에를 정복한 이후, 그곳의 동부 덴마크 방언은 스웨덴어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슐레스비히가 독일에 넘어가면서 많은 독일어 화자가 유입되어 덴마크어 사용자가 소수 민족으로 전락하였다.[31] 1920년 슐레스비히 주민투표 이후, 많은 덴마크인들이 독일 영토 내 소수 민족으로 남았다.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페로 제도는 20세기 중반까지 덴마크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는 덴마크 식민지였다.

5. 음운론

덴마크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의 수가 많고 특이한 운율을 가지고 있어 독특하다. 비공식적이거나 빠른 말에서는 무성음절이 상당히 축약되는 경향이 있으며, 그 결과 모음이 없는 음절에 자음이 실어지는 현상과 어말 자음의 축약이 발생한다. 게다가 덴마크어의 운율은 다른 많은 언어와 달리 문장 구조에 대한 단서를 많이 제공하지 않아 말의 흐름에서 서로 다른 소리를 인식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19] 이러한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덴마크어 발음은 학습자에게 어려움을 주며, 연구에 따르면 덴마크 아동은 초기 아동기에 말을 구분하는 데 약간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한다.[20]

옌스 페데르센 회이스가르드의 문법은 stødda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여 덴마크어 음운론과 운율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최초로 제시하였다.

덴마크어는 stødda(문자 그대로 "추진력")이라고 불리는 음운론적 특징을 보인다. 이는 성문음화(聲門音化) 또는 쉰 목소리의 한 형태이다. 일부 자료에서는 이를 성문 폐쇄음으로 설명했지만, 이는 매우 드문 현상이며, 오늘날 음성학자들은 이를 발성 유형 또는 음운론적 현상으로 간주한다.[21] 그 발생은 강세에 따라 달라지며, 일부 방언에서는 주로 음조로 실현되기도 한다.[22] stødda는 음소적 지위를 가지는데, bønderda("농부들", stødda 있음)과 bønnerda("콩", stødda 없음)과 같이 의미가 다른 단어들을 구별하는 유일한 특징이기 때문이다. 어휘에서 stødda의 분포는 대부분의 노르웨이 방언과 스웨덴 방언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스칸디나비아 피치 악센트의 분포와 관련이 있다.[23]

강세는 음소적이며, billigstda ("가장 싼")과 bilistda ("운전자")와 같은 단어들을 구별한다.[24]

억양은 강세 그룹, 문장 유형 및 음운론적 구를 반영한다. 코펜하겐 표준 덴마크어에서 피치 패턴은 강세 그룹 내에서 강세 있는 음절에서 가장 낮은 피크에 도달한 다음 다음의 강세 없는 음절에서 가장 높은 피크에 도달하고, 그 후 다음 강세 그룹까지 점차 감소한다.[25] 상호작용에서 피치는 이야기의 끝[26]과 턴테이킹을 표시할 수 있다.[27]

전문가에 따라 다르지만, 현대 덴마크어에는 긴 모음 12개와 짧은 모음 13개, 그리고 무성음절에서 발생하는 흐린 모음, 중설 중앙 모음(IPA:/ə/)과 중설 거의 열린 모음(IPA:/ɐ/)을 합쳐 총 27개의 모음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는 세계 언어 중에서도 상당히 많은 수이다.[28] 최소 19개의 다른 이중 모음이 있으며, 모두 첫 번째 음절은 단모음이고, 두 번째 음절은 경구개 반모음(IPA:/j/), 유성 양순 연구개 반모음(IPA:/w/) 또는 IPA:/ɐ̯/로 끝난다.[29]

5. 1. 모음

분석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현대 덴마크어의 대부분의 변종은 긴 모음 12개, 짧은 모음 13개, 그리고 무성음절에서만 나타나는 중설모음와 두 개를 구분한다. 이는 총 27개의 다른 모음 음소를 의미하며, 세계 언어 중에서는 매우 많은 수이다.[1] 최소 19개의 이중모음도 존재하는데, 모두 첫 번째 모음이 짧고 두 번째 음절은 , , 또는 이다.[2] 아래 표는 가 제시한 현대 표준 덴마크어의 모음 분포를 대략적으로 보여주며, IPA/Danish에 사용된 기호를 사용한다.

모음 음소
rowspan="3" |전설중설후설
비원순원순
짧은짧은짧은짧은
중고
중저



5. 2. 자음

덴마크어는 16~17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1]



파열음은 음성학적으로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분이 없고, 대신 유기음의 유무로 구분된다.[1] /p t k/는 음절 첫머리에서는 유기음으로 발음되며 [pʰ, tˢʰ, kʰ]로 실현되지만, 음절 끝에서는 그렇지 않다.[1] 't'의 발음인 [tˢʰ]는 단순 유기음 [tʰ]와 완전한 폐쇄음화된 [tˢʰ]의 중간에 있다.[1]

/r/은 음절 첫머리에서는 연구개-인두 접근음 [ʁ]로 실현되지만, 음절 끝에서는 비음절 저중앙모음 [ɐ̯]로 실현되거나 이전 모음과 단순히 합쳐진다.[1]

5. 3. 운율

덴마크어는 stødda(문자 그대로 "추진력")이라고 불리는 음운론적 특징으로 특징지어진다. 이것은 성문화 또는 쉰 목소리의 한 형태이다. 일부 자료에서는 이것을 성문 폐쇄음으로 설명했지만, 매우 드문 현상이며, 오늘날 음성학자들은 이것을 발성 유형 또는 음운론적 현상으로 간주한다.[4] stødda는 강세에 따라 발생하며, 일부 방언에서는 주로 음조로 실현되기도 한다.[5] stødda는 음소적 지위를 가지는데, bønderda("농부들", stødda 있음)과 bønnerda("콩", stødda 없음)과 같이 의미가 다른 단어들을 구별하는 유일한 특징이기 때문이다. stødda의 분포는 대부분의 노르웨이 방언과 스웨덴 방언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스칸디나비아 피치 악센트의 분포와 관련이 있다.[6]

강세는 음소적이며, billigstda ("가장 싼")과 bilistda ("운전자")와 같은 단어들을 구별한다.[7]

6. 문법

덴마크어 문법은 영어와 마찬가지로, 풍부한 굴절 형태론과 비교적 자유로운 어순을 가진 전형적인 인도유럽어의 종속 표시 패턴에서, 굴절이 거의 없고 어순이 상당히 고정된(SVO 어순) 복잡한 구문을 가진 대부분 분석적인 패턴으로 점진적으로 변화해왔다. 덴마크어에는 게르만어의 특징 중 일부가 남아 있다. 예를 들어, tager/togda("takes/took") 및 fod/fødderda("foot/feet") 쌍과 같이 어근 모음의 변화를 통해 어미가 불규칙적으로 굴절되는 강한 어간과 접사를 통해 어미가 굴절되는 약한 어간(elsker/elskededa "love/loved", bil/bilerda "car/cars")의 구분이 있다. 게르만어의 격과 성 체계의 흔적은 대명사 체계에서 발견된다. 인도유럽어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덴마크어는 주격-목적격 체계를 따른다. 덴마크어는 동사, 명사, 수사, 형용사, 부사, 관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 및 의성어 등 최소한 7개의 주요 품사를 구분한다.[20]

덴마크어의 기본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SVO)이다.[21] 그러나 덴마크어는 V2 언어이기도 하므로, 동사는 항상 문장의 두 번째 구성 요소가 되어야 한다. 덴마크어 문법학자 폴 디데리히센은 덴마크어 문법은 자리 또는 영역으로 구성된 것으로 분석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정 유형의 문장 요소를 동사 앞(또는 '기초') 영역으로 이동하여 다양한 실용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22] 일반적으로 동사 앞 자리를 차지하는 문장 요소는 실용적으로 표시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새로운 정보 또는 화제이다. 주어가 동사 앞 자리에 와야 한다는 규칙은 없지만, 주어와 화제가 일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주 그렇게 된다. 따라서 주어가 아닌 문장 요소가 동사 앞 위치에 오면 주어는 동사 뒤 위치로 내려가고 문장 순서는 VSO가 된다.[23]


  • Peter (S) så (V) Jytte (O)da: "Peter saw Jytte" (피터(주어)는 윱테(목적어)를 보았다)
  • I går så (V) Peter (S) Jytte (O)da: "Yesterday, Peter saw Jytte" (어제 피터는 윱테를 보았다)


동사 앞 자리를 차지할 실용적으로 표시된 구성 요소가 없을 때(예를 들어 모든 정보가 새로운 경우), 그 자리는 가짜 주어 "der"를 취해야 한다.[24]

  • der kom en pige ind ad dørenda: there came a girl in through the door, "A girl came in the door" (문으로 한 소녀가 들어왔다)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은 예/아니오 의문문과 다르게 형성된다. 의문사 의문문에서 의문사는 그 문법적 역할이 주어이든 목적어이든 부사어이든 관계없이 동사 앞 자리에 위치한다. 예/아니오 의문문에서는 동사 앞 자리가 비어 있으므로 문장이 동사로 시작한다.

  • 의문사 의문문: hvem så hun?da: 누구를 그녀가 보았는가, "그녀는 누구를 보았는가?"
  • 예/아니오 의문문: så hun ham?da: 그녀가 그를 보았는가?, "그녀는 그를 보았는가?"


종속절에서는 어순이 주절과 다르다. 종속절 구조에서 동사는 주어와 가벼운 부사어(예: 부정)가 앞에 온다.[25] 보어절은 "접속어 부분"에서 atda라는 어미로 시작한다.

  • ''Han sagde, '''at han ikke ville gå''''': 그는 그가 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가 가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관계절은 관계대명사 somda 또는 derda로 표시되며, 이는 동사 앞 자리를 차지한다.

  • ''Jeg kender en mand, '''som''' bor i Helsingør:[24] "헬싱외르에 사는 한 남자를 알고 있다"

6. 1. 명사

덴마크어 명사는 통성(common gender)과 중성(neuter) 두 가지 성(gender)을 가진다. 명사는 수(단수, 복수)와 정성(한정, 비한정)에 따라 굴절한다. 덴마크어 명사의 약 75%는 '통성'이며, '중성'은 종종 무생물에 사용되지만, 명사의 성은 일반적으로 예측하기 어려워 대부분 암기해야 한다.[20] 명사의 성은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형태와 정관사 접미사의 형태를 결정한다.[20]

정관사는 명사 뒤에 접미사로 붙는 후치 정관사(definite suffix)이다. 중성 명사는 접미사 etda을 취하고, 통성 명사는 enda을 취한다. 부정 명사는 enda (통성) 또는 etda (중성) 관사를 취한다.[20][21]

  • 예시:
  • 통성 명사: en mandda "한 남자" (부정) -> mandenda "그 남자" (정)
  • 중성 명사: et husda "한 집" (부정) -> husetda "그 집" (정)


복수형에는 규칙 복수와 불규칙 복수가 있다. 규칙 복수형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20]

덴마크어 복수형 어미 패턴[20]
1종2종3종
단수복수정관사가 있는 복수단수복수정관사가 있는 복수단수복수정관사가 있는 복수
månedda
månederda
달들
månederneda
그 달들
dagda
dageda
날들
dageneda
그 날들
årda
årda
년들
åreneda
그 년들
bilda
bilerda
차들
bilerneda
그 차들
hundda
hundeda
개들
hundeneda
그 개들
fiskda
생선
fiskda
생선들
fiskeneda
그 생선들



불규칙 복수형은 어근 모음이 변화된(어간 모음 변화) 변격 복수형이거나, 어근 모음 변화와 접미사가 결합된 형태, 또는 고유한 복수형을 가진다.[20]

덴마크어 불규칙 복수[20]
단수복수복수 정관사
mandda
남자
mændda
남자들
mændeneda
그 남자들
koda
암소
køerda
암소들
køerneda
그 암소들
øjeda
øjneda
눈들
øjneneda
그 눈들
kontoda
계정
kontida
계정들
kontieneda
그 계정들


6. 2. 대명사

나migda
나를min/mit/mineda
나의, 내2인칭 단수duda
너digda
너를din/dit/dineda
너의, 네3인칭 단수han/hun/den/detda
그/그녀/그것ham/hende/den/detda
그를/그녀를/그것을hans/hendes/dens/detsda
그의/그녀의/그것의1인칭 복수vida
우리osda
우리를voresda
우리의2인칭 복수Ida
너희들jerda
너희들을jeresda
너희들의3인칭 복수deda
그들demda
그들을deresda
그들의3인칭 재귀N/Asigda
그 자신, 자기들 자신sin/sit/sineda
자신의



영어와 마찬가지로 덴마크어 대명사 체계는 주격과 탈격(주어가 아닌 모든 경우)의 구분을 유지한다. 3인칭 단수 대명사는 생명체 남성(handa "그"), 생명체 여성(hunda "그녀") 형태와 무생물 중성(detda "그것") 및 무생물 보통 성(denda "그것")을 구분한다.[1]



소유 대명사는 독립적, 한정사적 용법을 가지지만, 형태는 동일하다.[2] 이 형태는 소유된 명사 앞에 한정사로 사용되고 (det er min hestda "그것은 나의 말이다"), 소유된 명사 대신 독립적으로 사용된다 (den er minda "그것은 나의 것이다"). 3인칭 단수에서, 문장의 주어가 소유자이기도 할 때는 sinda이 사용되고, 소유자가 문법적 주어와 다를 때는 hansda ("그의"), hendesda ("그녀의") 및 dens/detsda ("그것의")가 사용된다.[3][4]

6. 3. 동사

덴마크어 동사는 형태적으로 단순하며, 주어의 인칭이나 수에 따라 굴절하지 않는다. 19세기 후반까지는 복수 주어 표시가 서면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동사는 과거, 비과거, 원형, 과거 및 현재 분사형, 수동태 및 명령형으로 활용된다.[1]

동사는 크게 강동사/불규칙 동사와 약동사/규칙 동사의 두 종류로 나뉜다.[2] 규칙 동사는 다시 과거 시제 접미사 -te|테da를 취하는 동사와 -ede|에데da를 취하는 동사의 두 종류로 나뉜다.[3]

원형 동사는 항상 모음으로 끝나며, 보통 -e (발음: [ə])로 끝난다. 어떤 통사적 기능에서는 관사 at|앗da가 앞에 온다.[4] 과거가 아닌 시제 또는 현재 시제는, 몇몇 불규칙한 비과거 형태를 가진 강동사를 제외하고는, 접미사 -r|르da를 취한다. 과거형은 반드시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반사실적이거나 조건적인 의미도 가지며, 비과거형은 현재 시제 시간 참조 외에도 많은 용도가 있다.[5]

현재분사는 -ende|엔데da로 끝나고 (예: løbende|뢰베네da "달리는"), 과거분사는 -et|에da (예: løbet|뢰베da "달린"), -t|트da (예: købt|쾹트da "산")로 끝난다. 완료 시제는 영어와 마찬가지로 at have|아 하베da ("~하다")와 분사 형태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일부 타동사는 at være|아 바레da ("~이다")를 사용하여 완료 시제를 만들고, 어떤 동사는 의미에 따라 두 가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수동태는 접미사 -s를 취한다: avisen læses hver dag|아비센 레세스 베르 다da ("신문은 매일 읽힌다"). 또 다른 수동태 구문은 조동사 at blive|아 블리베da "되다"를 사용한다: avisen bliver læst hver dag|아비센 블리베르 레스트 베르 다da.[6][7]

명령형은 마지막 슈와 모음이 없는 원형 동사이며, 음절 구조에 따라 stød|스퇴da가 적용될 수 있다.

덴마크어 동사 형태
원형현재 시제과거 시제
at være|아 바레da
(be다)
er|에르da
(이다)
var|바르da
(였다)
at se|아 세da
(보다)
ser|세르da
(본다)
så|소da
(보았다)
at vide|아 비데da
(알다)
ved|베da
(안다)
vidste|비스테da
(알았다)
at huske|아 후스케da
(기억하다)
husker|후스케르da
(기억한다)
huskede|후스케데da
(기억했다)
at glemme|아 글레메da
(잊다)
glemmer|글레메르da
(잊는다)
glemte|글렘테da
(잊었다)


6. 4. 수사

덴마크어의 숫자들은 특정한 규칙을 가진 20진법 체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20보다 큰 숫자는 일의 자리가 십의 자리 앞에 오는데, 예를 들어 21은 enogtyveda로 표현되며, 이는 문자 그대로 "하나와 스무"를 의미한다.[22]

50, 60, 70, 80, 90과 같은 숫자들은 20진법 체계를 기반으로 하는데, 이는 스코어(20)가 계산의 기본 단위로 사용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Tresda는 60을 의미하며, 이는 "스무의 세 배"를 뜻하는 tre-sinds-tyveda의 축약형이다. 50은 halvtredsda인데, 이는 "스무의 세 번째의 절반"을 뜻하는 halvtredje-sinds-tyveda의 축약형으로, 스무의 두 배와 세 번째 스무의 절반을 의미한다.[22]

halvandenda는 1½을 의미하며(문자 그대로 "두 번째의 절반", 즉 "하나와 두 번째의 절반"을 의미함), halvtredjeda (2½), halvfjerdeda (3½), halvfemteda (4½)는 구식이지만 20진법 체계에서 여전히 암묵적으로 사용된다.[22]

접미사 sindstyveda는 "스무 배"를 의미하지만, 현대 덴마크어에서는 더 이상 기수에는 포함되지 않고 서수에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현대 덴마크어에서 52는 tooghalvtredsda로 표현되지만, 52번째는 tooghalvtredsendeda 또는 tooghalvtredsindstyvendeda로 표현된다.[22]

20은 tyveda이며(옛 덴마크어 tiughuda, 고대 노르드어 형태 tuttuguda에서 유래, "두 개의 십"을 의미함[22]), 30은 trediveda(옛 덴마크어 þrjatiughuda, "세 개의 십"), 40은 fyrreda이다(옛 덴마크어 fyritiughuda, "네 개의 십"[23], 오늘날에도 고어 fyrretyveda로 사용됨).

기수덴마크어직역서수덴마크어직역
1énda / étda하나1번째førsteda첫 번째
12tolvda열두12번째tolvteda열두 번째
23treogtyveda세 개와 스무23번째treogtyvendeda세 개와 스무 번째
34fireogtrediveda네 개와 서른34번째fireogtred(i)vteda네 개와 서른 번째
45femogfyrre(tyve)da다섯 개와 마흔(네 개의 십)45번째femogfyrretyvendeda다섯 개와 마흔 번째
56seksoghalvtreds(indstyve)da여섯 개와 [두 스코어 더하기] 세 번째의 절반(스코어)56번째seksoghalvtredsindstyvendeda여섯 개와 [두 스코어 더하기] 세 번째 스코어의 절반 번째
67syvogtres(indstyve)da일곱 개와 세(스코어)67번째syvogtresindstyvendeda일곱 개와 세 스코어 번째
78otteoghalvfjerds(indstyve)da여덟 개와 [세 스코어 더하기] 네 번째의 절반(스코어)78번째otteoghalvfjerdsindstyvendeda여덟 개와 [세 스코어 더하기] 네 번째 스코어의 절반 번째
89niogfirs(indstyve)da아홉 개와 네(스코어)89번째niogfirsindstyvendeda아홉 개와 네 스코어 번째
90halvfems(indstyve)da[네 스코어 더하기] 다섯 번째의 절반(스코어)90번째halvfemsindstyvendeda[네 스코어 더하기] 다섯 번째 스코어의 절반 번째


7. 어휘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덴마크어 단어는 약 2,000개 정도이며, 이 중 1,200개는 명사, 500개는 동사, 180개는 형용사이다.[4] 덴마크어는 차용어를 많이 받아들였는데, 대부분 후기 중세 시대의 저지 독일어에서 차용되었다. 가장 자주 사용되는 500개의 덴마크어 단어 중 100개가 중세 저지 독일어에서 차용되었는데, 이는 저지 독일어가 덴마크-노르웨이 연합의 제2공용어였기 때문이다.[4] 17세기와 18세기에는 표준 독일어프랑스어가 저지 독일어의 영향을 대체했고, 20세기에는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어가 차용어의 주요 공급원이 되었다. 많은 오래된 노르드어 단어가 남아 있지만, 일부는 차용된 동의어로 대체되었다.[4]

차용어 외에도, 기존 단어를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기도 한다. 현대 덴마크어 표준 텍스트에서 중세 저지 독일어 차용어는 어휘의 약 16~17%, 그리스-라틴어 차용어는 4~8%, 프랑스어는 2~4%, 영어는 약 1%를 차지한다.[4]

덴마크어와 영어는 모두 게르만어파 언어이다. 덴마크어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북게르만어군이고, 영어는 고대 영어에서 유래한 서게르만어군이다. 고대 노르드어는 초기 중세 시대에 고대 영어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덴마크어와 영어의 공통된 게르만어 유산은 두 언어에서 매우 유사한 많은 단어로 입증된다. 예를 들어, 덴마크어 동사, 명사 및 전치사인 haveda, overda, underda, forda, giveda, flagda, saltda, armda은 영어 사용자에게 쉽게 알아볼 수 있다. 다른 일부 단어는 스코틀랜드어와 거의 동일하다. 예를 들어 kirkeda (스코틀랜드어 ''kirk'', 즉 '교회') 또는 barnda (스코틀랜드어 및 북부 영어 ''bairn'', 즉 '아이')이다. 또한 '마을' 또는 '도시'를 의미하는 byda라는 단어는 데인로 시대 바이킹 점령의 잔재로 ''Whitby''와 ''Selby''와 같은 많은 영어 지명에 나타난다.

모든 게르만어와 마찬가지로 덴마크어는 복합 명사를 형성한다. 덴마크어 표기법에서는 이를 하나의 단어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kvindehåndboldlandsholdetda는 "여자 국가 핸드볼 팀"을 의미한다. 어떤 경우에는 명사가 본래 소유격 기능을 가진 연결 요소인 ''s''로 결합되기도 하는데, landsmandda (landda, "국가"와 mandda, "남자"에서 유래, "동포"를 의미)가 그 예이다.

같은 동부 노르드어에 속하는 언어로는 스웨덴어가 있다. 스웨덴 남부, 덴마크와 가까운 스코네 지방은 17세기까지 덴마크 왕국 영토였기 때문에, 덴마크어에 가까운 방언이 사용된다. 코펜하겐과 스웨덴을 잇는 다리가 2000년에 완공됨으로써 말뫼가 코펜하겐의 통근권이 된 것으로 인해, 이 지역의 스웨덴어는 다시 덴마크어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덴마크어는 유틀란트 반도와 독일 지역과의 거리적 관계로 북유럽에서 가장 독일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4세기 이후 번영한 한자 동맹 도시들과의 교류에 의한 낮은 독일어의 영향과, 17, 18세기에 교양어로서의 지위를 높인 높은 독일어의 영향이 있다.[31]

8. 연구

덴마크어는 활발히 연구되는 언어이며, 덴마크의 여러 대학교에는 덴마크어 또는 언어학과가 설립되어 덴마크어에 대한 활발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고, 많은 사전과 기술적 자료가 존재한다. 덴마크어 위원회는 국내외적으로 덴마크어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24] 방언에 특화된 연구 센터도 있다. 오르후스 대학교의 피터 스카우트럽 센터(The Peter Skautrup center)는 유틀란드 반도의 방언과 변종을 설명하고 유틀란드 방언 사전을 편찬하고 있으며,[25] 코펜하겐 대학교의 방언 연구 센터(Center for Dialect Research)는 섬 지역 덴마크어 변종을 연구한다.[26] 오르후스 대학교의 덴마크 연구위원회가 지원하는 연구 프로젝트인 [https://projects.au.dk/the-puzzle-of-danish 덴마크어의 수수께끼(Puzzle of Danish)]는 덴마크어의 어려운 음운 구조가 모어 화자의 덴마크어 처리 및 생성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덴마크어 모어 화자는 다른 비슷한 언어의 모어 화자보다 맥락적 단서를 사용하여 덴마크어 음운과 문장을 처리하는 경향이 있으며, 대화에서 어휘적, 통사적, 의미적으로 더 많은 중복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말뭉치의 덴마크어 데이터가 이용 가능하다. [https://gigaword.dk/ 덴마크 기가워드 프로젝트(Danish Gigaword project)]는 10억 단어의 정제된 말뭉치를 제공한다. KorpusDKda는 덴마크어로 된 서면 텍스트 말뭉치이다.[27] 또한 TalkBank의 덴마크어 부분인 SamtaleBankenda에는 여러 대화 데이터가 있다.[28]

덴마크어에 대한 학술적 설명은 덴마크어와 영어로 모두 출판된다. 가장 완벽한 문법서는 에릭 한센(Erik Hansen)과 라스 헬토프트(Lars Heltoft)가 저술한 Grammatik over det Danske Sprogda(덴마크어 문법)이며, 덴마크어로 쓰여졌고 1800페이지가 넘는다. 여러 음운론이 저술되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바스볼(Basbøll)과 그뢰눔(Grønnum)의 연구이며, 이는 코펜하겐 대학교의 전 음성학 연구소에서 이루어진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ansk – Den Danske Ordbog https://ordnet.dk/dd[...] 2018-05-16
[2] 웹사이트 Older Runic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2-05-24
[3] Glottolog
[4] 웹사이트 Antal arveord og låneord http://sproget.dk/ra[...] Dansk Sprognævns svarbase 2016-04-07
[5] 웹사이트 Ynglinga saga http://www.heimskrin[...]
[6] 웹사이트 Viking place names and language in England http://www.viking.no[...] Viking.no 2013-09-22
[7] 웹사이트 Bog Museum (Book Museum) https://web.archive.[...] Royal Danish Library
[8] 웹사이트 lavkøbenhavnsk http://dialekt.ku.dk[...] 2006
[9] 웹사이트 § 82b LVwG, Regional- und Minderheitensprachen vor Behörden - Gesetze des Bundes und der Länder http://www.lexsoft.d[...]
[10] 뉴스 Dansk er blevet officielt sprog i Slesvig https://www.tvsyd.dk[...] 2015-05-14
[11] 웹사이트 Nordic language co-operation https://web.archive.[...] Nordic Council
[12] 웹사이트 Wie bitte? Friesisch? Was ist das denn? (Seite 2) https://www.ndr.de/k[...] NDR
[13] 서적 Svenska dialekter Natur och Kultur
[14] 웹사이트 Hvor mange dialekter er der i Danmark? https://dialekt.ku.d[...] University of Copenhagen 2006-09-26
[15] 서적 Dansk dialektantologi. Bind 1: Østdansk og ømål København
[16] 서적 Dialects and written language in Old Nordic II: Old Danish and Old Swedish
[17] 웹사이트 danske dialekter | Gyldendal – Den Store Danske http://www.denstored[...] Denstoredanske.dk
[18] 웹사이트 Dialekter - Uppslagsverk - NE.se https://www.ne.se/up[...] Nationalencyclopedin
[19] 웹사이트 Stød http://dialekt.ku.dk[...] University of Copenhagen, Center for Dialect Studies 2015-04-22
[20] 웹사이트 Navneordenes køn http://dialekt.ku.dk[...] Copenhagen University, Center for Dialect Research 2015-04-22
[21] null
[22] 웹사이트 tyve,4 – ODS http://ordnet.dk/ods[...]
[23] 웹사이트 de danske tal; halvtreds https://sproget.dk/r[...] Dansk Sprognævn 2009-10-21
[24] 웹사이트 Udgivelser https://dsn.dk/udgiv[...] Dansk Sprognævn
[25] 웹사이트 Peter Skautrup Centeret https://jysk.au.dk/ Aarhus University
[26] 웹사이트 Center for Dialektforskning https://nors.ku.dk/f[...] Department of Nordic Studies and Linguistics 2008-06-23
[27] 웹사이트 KorpusDK https://ordnet.dk/ko[...] Det Danske Sprog- og Litteraturselskab
[28] 웹사이트 SamtaleBank https://web.archive.[...] TalkBank.org
[29]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ohchr.or[...]
[30] 뉴스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31] 서적 現代ヨーロッパの言語 岩波書店 1985-0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