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덴마크어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북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영어 알파벳에 Æ, Ø, Å 세 글자가 추가된 형태를 띤다. 스웨덴어와 상호 이해 가능성이 높으며, 노르웨이어와도 상당 부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덴마크어는 크게 섬 덴마크어, 유틀란드어, 동부 덴마크어의 세 가지 방언 지역으로 나뉘며, 표준 덴마크어는 코펜하겐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문법적으로는 굴절이 적고 어순이 고정된 분석적인 언어이며, 20진법을 기반으로 하는 독특한 수사 체계를 가지고 있다. 어휘는 고대 노르드어, 저지 독일어,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덴마크어는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 자료와 말뭉치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린란드의 언어 - 그린란드어
그린란드어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에 속하며 그린란드의 공식 언어로, 1200년대 툴레인의 이주로 전래되어 서그린란드어, 동그린란드어, 북그린란드어 등의 방언이 있고, 덴마크어의 영향을 받았으나 자치정부 수립 후 강화 정책으로 지위를 확보했음에도 유네스코는 "취약한" 언어로 분류하며, 복잡한 형태론적 특징을 가진 능격-대격어이지만 주격-대격어로의 변화 가능성도 있다. - 페로 제도의 언어 - 페로어
페로어는 페로 제도의 공용어이자 덴마크의 지역어이며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북게르만어군에 속하는 굴절어의 특징을 보이는 언어로, 구전 전통을 통해 유지되다가 19세기 중반 현대 표준 페로어가 제정되면서 부활하여 현재 페로 제도의 민족 정체성을 지키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덴마크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덴마크어 |
로마자 표기법 | danseukeo |
사용 국가 | 덴마크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
사용 지역 | 덴마크,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독일); 페로 제도 및 그린란드 |
사용자 수 | 597만 명 |
사용 민족 | 덴마크인 |
사용 날짜 | 2019년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
하위 언어 계통 | 게르만어파 북서게르만어 북게르만어군 동스칸디나비아어 |
조상 언어 | 고대 노르드어 고대 동노르드어 고대 덴마크어 중세 덴마크어 |
방언 | 유틀란트 방언 섬 덴마크어 페로 덴마크어 악센트 남슐레스비히 덴마크어 페르케르단스크 다노-노르웨이어 앙겔 덴마크어 동덴마크어 남유틀란트어 |
문자 체계 | 라틴 문자 (덴마크어 알파벳) 덴마크어 점자 |
공용 국가 | 덴마크 왕국 덴마크 페로 제도 북유럽 이사회 유럽 연합 |
소수 언어 사용 국가 | 그린란드 독일 |
언어 규제 기관 | 덴마크어 위원회 |
ISO 639-1 코드 | da |
ISO 639-2 코드 | dan |
ISO 639-3 코드 | dan |
지역 코드 | Insular Danish (섬 덴마크어) |
지역 코드 | Jutlandic (유틀란트어) |
Glottolog 코드 | dani1285 |
Glottolog 이름 | Danish (덴마크어) |
Glottolog 코드 | juti1236 |
Glottolog 이름 | Jutish (유틀란트어) |
기타 정보 | |
![]() |
2. 문자
덴마크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영어 알파벳에 Æ, Ø, Å 세 글자가 추가된 형태이다. 1948년 철자법 개혁을 통해 Å가 도입되었다. C, Q, W, X, Z는 외래어 표기에만 사용된다.
덴마크어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대문자 | 소문자 |
---|---|
A | a |
B | b |
C | c |
D | d |
E | e |
F | f |
G | g |
H | h |
I | i |
J | j |
K | k |
L | l |
M | m |
N | n |
O | o |
P | p |
Q | q |
R | r |
S | s |
T | t |
U | u |
V | v |
W | w |
X | x |
Y | y |
Z | z |
Æ | æ |
Ø | ø |
Å | å |
덴마크어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북게르만어군 동스칸디나비아어(동노르드어)에 속한다. 스웨덴어와 함께 고대 노르드어의 동부 방언에서 유래했다. 덴마크어는 방언 연속체의 일부로 간주되며, 스웨덴어, 노르웨이어와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3. 분류
약 2,000개의 복합어가 아닌 덴마크어 단어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했고, 궁극적으로는 프로토-인도-유럽어에서 비롯되었다. 덴마크어는 후기 중세 시대의 저지 독일어에서 차용어를 많이 받아들였으며, 17세기와 18세기에는 표준 독일어와 프랑스어가 저지 독일어의 영향을 대체했고, 20세기에는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어가 차용어의 주요 공급원이 되었다.[4]
덴마크어는 노르웨이어 및 스웨덴어와 상당 부분 상호 이해 가능하다. 세 언어 중 어느 하나에 능숙한 화자는 다른 언어들을 상당히 잘 이해할 수 있지만, 연구에 따르면 상호 이해 가능성은 비대칭적이다. 노르웨이어 화자는 일반적으로 스웨덴어와 덴마크어를 스웨덴인이나 덴마크인이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는 것보다 훨씬 더 잘 이해한다. 마찬가지로, 스웨덴인과 덴마크인은 서로의 언어보다 노르웨이어를 더 잘 이해한다.
같은 동부 노르드어에 속하는 언어로는 스웨덴어가 있다. 코펜하겐과 스웨덴을 잇는 다리가 2000년에 완공됨으로써 말뫼가 코펜하겐의 통근권이 된 것으로 인해, 이 지역의 스웨덴어는 다시 덴마크어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다.
덴마크어는 유틀란트 반도와 독일 지역과의 거리적 관계로 북유럽에서 가장 독일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4세기 이후 번영한 한자 동맹 도시들과의 교류에 의한 낮은 독일어의 영향과, 17, 18세기에 교양어로서의 지위를 높인 높은 독일어의 영향이 있다.[31]
3. 1. 주요 방언
덴마크어 방언은 크게 세 가지 주요 방언 지역으로 나뉜다.[14]
유틀란드어는 다시 남부 유틀란드어와 북부 유틀란드어로 나뉘며, 북부 유틀란드어는 북부 유틀란드어와 서부 유틀란드어로 세분된다. 섬 덴마크어는 셸란, 퓔렌, 묄른 및 롤란-팔스터 방언 지역으로 나뉘며, 각 지역 내에도 추가적인 변이가 있다. 본홀름어는 덴마크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동부 덴마크 방언이다. 1645/1658년 스웨덴이 동부 덴마크 지방인 스코네, 할란드 및 블레킹예를 정복한 이후, 그곳의 동부 덴마크 방언은 스웨덴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현재 많은 주민들이 표준 스웨덴어의 지역적 변종을 사용한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은 여전히 스코네, 할란드(hallandskda) 및 블레킹예(blekingskda)의 방언을 동부 덴마크 방언 그룹의 일부로 간주한다.[15][16][17] 1995년 스웨덴 국립 백과사전은 스코네 방언을 "남부 스웨덴 요소가 포함된 동부 덴마크 방언"으로 분류한다.[18]
전통적인 방언은 음운론, 문법 및 어휘에서 표준 덴마크어와 다르다. 음운론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는 stødda의 존재 여부이다. stødda의 구현에는 네 가지 주요 지역적 변종이 있다. 문법적으로 중요한 특징은 문법적 성의 수이다. 표준 덴마크어는 두 가지 성을 가지고 있으며 명사의 정관사 형태는 접미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반면, 서부 유틀란드어는 하나의 성만 가지고 있으며 명사의 정관사 형태는 명사 앞에 관사를 사용하여 서게르만어파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다. 본홀름 방언은 세 가지 문법적 성을 구분하는 등 오늘날까지 많은 고어적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 섬 덴마크어 전통 방언도 세 가지 문법적 성을 보존했다. 1900년까지 셸란 섬 방언은 표준어의 영향으로 두 가지 성으로 줄었지만, 퓔렌 방언과 같은 다른 섬 변종은 그렇지 않았다.
4. 역사
덴마크어는 8세기경 원시 노르드어에서 분화된 고대 노르드어에서 기원했다. 고대 노르드어는 동부 고대 노르드어(덴마크어, 스웨덴어의 조상)와 서부 고대 노르드어(노르웨이어, 아이슬란드어, 페로어의 조상)로 나뉜다.
10세기 초 고대 노르드어 및 관련 언어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
- 서부 고대 노르드어 방언 (빨간색)
- 동부 고대 노르드어 방언 (주황색)
- 고대 괴틀란드어 방언 (분홍색)
- 고대 영어 (노란색)
- 크리미아 고트어 (파란색)
- 고대 노르드어와 상호 이해 가능성을 유지했던 다른 게르만어족 언어들 (녹색)
동부 고대 노르드어와 서부 고대 노르드어를 구분하는 변화는 덴마크에서 시작된 혁신으로, 스코네를 통해 스웨덴으로, 그리고 해상 접촉을 통해 노르웨이 남부로 확산되었다.[5] 예를 들어 이중모음 'æi'(서부 고대 노르드어 'ei')가 단모음 'e'로 변화하거나, 'au'가 'ø'로 변화하는 현상 등이 있었다.
중세 시대에 덴마크어는 스웨덴어와 분리되어 독자적인 언어로 발전했다. 라틴어가 주요 문자 언어였지만, 율란드 법과 스코네 법과 같이 구어체 덴마크어로 작성된 법률 문서도 나타났다. 1350년부터 덴마크어는 행정 언어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왕실 서신과 유언장 등 새로운 유형의 문학이 덴마크어로 쓰이기 시작했다. 이 시기 덴마크어는 저지 독일어와 접촉하면서 많은 차용어가 도입되었다.
16세기 종교 개혁 이후 덴마크어는 종교 및 행정 언어로 사용되면서 문학 언어로 발전했다. 1495년 최초의 덴마크어 책인 Rimkrøniken|운문 연대기da가 출판되었고,[7] 1550년에는 크리스티에른 페데르센이 번역한 성경 번역본이 출판되어 덴마크어 저술의 표준을 세웠다. 이 시기에 덴마크어는 stød와 같은 독자적인 언어적 특징을 갖게 되었다.
스웨덴어는 같은 동부 노르드어군에 속하며, 양국어 화자 간에 상당한 수준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17세기까지 덴마크 영토였던 스코네 지방에서는 덴마크어에 가까운 방언이 사용된다. 덴마크어는 독일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한자 동맹 도시들과의 교류로 인한 낮은 독일어의 영향과 17, 18세기 높은 독일어의 영향이 있었다.[31]
4. 1. 덴마크어의 확산과 쇠퇴
덴마크어는 덴마크의 정복 활동을 통해 확산되기도 하고, 쇠퇴하기도 했다. 덴마크의 정복으로 동부 고대 노르드어는 한때 잉글랜드 북동부 데인로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1645년/1658년 스웨덴이 동부 덴마크 지방인 스코네, 할란드, 블레킹에를 정복한 이후, 그곳의 동부 덴마크 방언은 스웨덴어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슐레스비히가 독일에 넘어가면서 많은 독일어 화자가 유입되어 덴마크어 사용자가 소수 민족으로 전락하였다.[31] 1920년 슐레스비히 주민투표 이후, 많은 덴마크인들이 독일 영토 내 소수 민족으로 남았다.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페로 제도는 20세기 중반까지 덴마크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는 덴마크 식민지였다.
5. 음운론
덴마크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의 수가 많고 특이한 운율을 가지고 있어 독특하다. 비공식적이거나 빠른 말에서는 무성음절이 상당히 축약되는 경향이 있으며, 그 결과 모음이 없는 음절에 자음이 실어지는 현상과 어말 자음의 축약이 발생한다. 게다가 덴마크어의 운율은 다른 많은 언어와 달리 문장 구조에 대한 단서를 많이 제공하지 않아 말의 흐름에서 서로 다른 소리를 인식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19] 이러한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덴마크어 발음은 학습자에게 어려움을 주며, 연구에 따르면 덴마크 아동은 초기 아동기에 말을 구분하는 데 약간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한다.[20]
옌스 페데르센 회이스가르드의 문법은 stødda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여 덴마크어 음운론과 운율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최초로 제시하였다.
덴마크어는 stødda(문자 그대로 "추진력")이라고 불리는 음운론적 특징을 보인다. 이는 성문음화(聲門音化) 또는 쉰 목소리의 한 형태이다. 일부 자료에서는 이를 성문 폐쇄음으로 설명했지만, 이는 매우 드문 현상이며, 오늘날 음성학자들은 이를 발성 유형 또는 음운론적 현상으로 간주한다.[21] 그 발생은 강세에 따라 달라지며, 일부 방언에서는 주로 음조로 실현되기도 한다.[22] stødda는 음소적 지위를 가지는데, bønderda("농부들", stødda 있음)과 bønnerda("콩", stødda 없음)과 같이 의미가 다른 단어들을 구별하는 유일한 특징이기 때문이다. 어휘에서 stødda의 분포는 대부분의 노르웨이 방언과 스웨덴 방언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스칸디나비아 피치 악센트의 분포와 관련이 있다.[23]
강세는 음소적이며, billigstda ("가장 싼")과 bilistda ("운전자")와 같은 단어들을 구별한다.[24]
억양은 강세 그룹, 문장 유형 및 음운론적 구를 반영한다. 코펜하겐 표준 덴마크어에서 피치 패턴은 강세 그룹 내에서 강세 있는 음절에서 가장 낮은 피크에 도달한 다음 다음의 강세 없는 음절에서 가장 높은 피크에 도달하고, 그 후 다음 강세 그룹까지 점차 감소한다.[25] 상호작용에서 피치는 이야기의 끝[26]과 턴테이킹을 표시할 수 있다.[27]
전문가에 따라 다르지만, 현대 덴마크어에는 긴 모음 12개와 짧은 모음 13개, 그리고 무성음절에서 발생하는 흐린 모음, 중설 중앙 모음(IPA:/ə/)과 중설 거의 열린 모음(IPA:/ɐ/)을 합쳐 총 27개의 모음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는 세계 언어 중에서도 상당히 많은 수이다.[28] 최소 19개의 다른 이중 모음이 있으며, 모두 첫 번째 음절은 단모음이고, 두 번째 음절은 경구개 반모음(IPA:/j/), 유성 양순 연구개 반모음(IPA:/w/) 또는 IPA:/ɐ̯/로 끝난다.[29]
5. 1. 모음
분석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현대 덴마크어의 대부분의 변종은 긴 모음 12개, 짧은 모음 13개, 그리고 무성음절에서만 나타나는 중설모음와 두 개를 구분한다. 이는 총 27개의 다른 모음 음소를 의미하며, 세계 언어 중에서는 매우 많은 수이다.[1] 최소 19개의 이중모음도 존재하는데, 모두 첫 번째 모음이 짧고 두 번째 음절은 , , 또는 이다.[2] 아래 표는 가 제시한 현대 표준 덴마크어의 모음 분포를 대략적으로 보여주며, IPA/Danish에 사용된 기호를 사용한다.
5. 2. 자음
덴마크어는 16~17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1]
파열음은 음성학적으로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분이 없고, 대신 유기음의 유무로 구분된다.[1] /p t k/는 음절 첫머리에서는 유기음으로 발음되며 [pʰ, tˢʰ, kʰ]로 실현되지만, 음절 끝에서는 그렇지 않다.[1] 't'의 발음인 [tˢʰ]는 단순 유기음 [tʰ]와 완전한 폐쇄음화된 [tˢʰ]의 중간에 있다.[1]
/r/은 음절 첫머리에서는 연구개-인두 접근음 [ʁ]로 실현되지만, 음절 끝에서는 비음절 저중앙모음 [ɐ̯]로 실현되거나 이전 모음과 단순히 합쳐진다.[1]
5. 3. 운율
덴마크어는 stødda(문자 그대로 "추진력")이라고 불리는 음운론적 특징으로 특징지어진다. 이것은 성문화 또는 쉰 목소리의 한 형태이다. 일부 자료에서는 이것을 성문 폐쇄음으로 설명했지만, 매우 드문 현상이며, 오늘날 음성학자들은 이것을 발성 유형 또는 음운론적 현상으로 간주한다.[4] stødda는 강세에 따라 발생하며, 일부 방언에서는 주로 음조로 실현되기도 한다.[5] stødda는 음소적 지위를 가지는데, bønderda("농부들", stødda 있음)과 bønnerda("콩", stødda 없음)과 같이 의미가 다른 단어들을 구별하는 유일한 특징이기 때문이다. stødda의 분포는 대부분의 노르웨이 방언과 스웨덴 방언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스칸디나비아 피치 악센트의 분포와 관련이 있다.[6]강세는 음소적이며, billigstda ("가장 싼")과 bilistda ("운전자")와 같은 단어들을 구별한다.[7]
6. 문법
덴마크어 문법은 영어와 마찬가지로, 풍부한 굴절 형태론과 비교적 자유로운 어순을 가진 전형적인 인도유럽어의 종속 표시 패턴에서, 굴절이 거의 없고 어순이 상당히 고정된(SVO 어순) 복잡한 구문을 가진 대부분 분석적인 패턴으로 점진적으로 변화해왔다. 덴마크어에는 게르만어의 특징 중 일부가 남아 있다. 예를 들어, tager/togda("takes/took") 및 fod/fødderda("foot/feet") 쌍과 같이 어근 모음의 변화를 통해 어미가 불규칙적으로 굴절되는 강한 어간과 접사를 통해 어미가 굴절되는 약한 어간(elsker/elskededa "love/loved", bil/bilerda "car/cars")의 구분이 있다. 게르만어의 격과 성 체계의 흔적은 대명사 체계에서 발견된다. 인도유럽어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덴마크어는 주격-목적격 체계를 따른다. 덴마크어는 동사, 명사, 수사, 형용사, 부사, 관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 및 의성어 등 최소한 7개의 주요 품사를 구분한다.[20]
덴마크어의 기본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SVO)이다.[21] 그러나 덴마크어는 V2 언어이기도 하므로, 동사는 항상 문장의 두 번째 구성 요소가 되어야 한다. 덴마크어 문법학자 폴 디데리히센은 덴마크어 문법은 자리 또는 영역으로 구성된 것으로 분석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정 유형의 문장 요소를 동사 앞(또는 '기초') 영역으로 이동하여 다양한 실용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22] 일반적으로 동사 앞 자리를 차지하는 문장 요소는 실용적으로 표시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새로운 정보 또는 화제이다. 주어가 동사 앞 자리에 와야 한다는 규칙은 없지만, 주어와 화제가 일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주 그렇게 된다. 따라서 주어가 아닌 문장 요소가 동사 앞 위치에 오면 주어는 동사 뒤 위치로 내려가고 문장 순서는 VSO가 된다.[23]
- Peter (S) så (V) Jytte (O)da: "Peter saw Jytte" (피터(주어)는 윱테(목적어)를 보았다)
- I går så (V) Peter (S) Jytte (O)da: "Yesterday, Peter saw Jytte" (어제 피터는 윱테를 보았다)
동사 앞 자리를 차지할 실용적으로 표시된 구성 요소가 없을 때(예를 들어 모든 정보가 새로운 경우), 그 자리는 가짜 주어 "der"를 취해야 한다.[24]
- der kom en pige ind ad dørenda: there came a girl in through the door, "A girl came in the door" (문으로 한 소녀가 들어왔다)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은 예/아니오 의문문과 다르게 형성된다. 의문사 의문문에서 의문사는 그 문법적 역할이 주어이든 목적어이든 부사어이든 관계없이 동사 앞 자리에 위치한다. 예/아니오 의문문에서는 동사 앞 자리가 비어 있으므로 문장이 동사로 시작한다.
- 의문사 의문문: hvem så hun?da: 누구를 그녀가 보았는가, "그녀는 누구를 보았는가?"
- 예/아니오 의문문: så hun ham?da: 그녀가 그를 보았는가?, "그녀는 그를 보았는가?"
종속절에서는 어순이 주절과 다르다. 종속절 구조에서 동사는 주어와 가벼운 부사어(예: 부정)가 앞에 온다.[25] 보어절은 "접속어 부분"에서 atda라는 어미로 시작한다.
- ''Han sagde, '''at han ikke ville gå''''': 그는 그가 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가 가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관계절은 관계대명사 somda 또는 derda로 표시되며, 이는 동사 앞 자리를 차지한다.
6. 1. 명사
덴마크어 명사는 통성(common gender)과 중성(neuter) 두 가지 성(gender)을 가진다. 명사는 수(단수, 복수)와 정성(한정, 비한정)에 따라 굴절한다. 덴마크어 명사의 약 75%는 '통성'이며, '중성'은 종종 무생물에 사용되지만, 명사의 성은 일반적으로 예측하기 어려워 대부분 암기해야 한다.[20] 명사의 성은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형태와 정관사 접미사의 형태를 결정한다.[20]정관사는 명사 뒤에 접미사로 붙는 후치 정관사(definite suffix)이다. 중성 명사는 접미사 etda을 취하고, 통성 명사는 enda을 취한다. 부정 명사는 enda (통성) 또는 etda (중성) 관사를 취한다.[20][21]
- 예시:
- 통성 명사: en mandda "한 남자" (부정) -> mandenda "그 남자" (정)
- 중성 명사: et husda "한 집" (부정) -> husetda "그 집" (정)
복수형에는 규칙 복수와 불규칙 복수가 있다. 규칙 복수형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20]
불규칙 복수형은 어근 모음이 변화된(어간 모음 변화) 변격 복수형이거나, 어근 모음 변화와 접미사가 결합된 형태, 또는 고유한 복수형을 가진다.[20]
단수 | 복수 | 복수 정관사 |
---|---|---|
mandda 남자 | mændda 남자들 | mændeneda 그 남자들 |
koda 암소 | køerda 암소들 | køerneda 그 암소들 |
øjeda 눈 | øjneda 눈들 | øjneneda 그 눈들 |
kontoda 계정 | kontida 계정들 | kontieneda 그 계정들 |
6. 2. 대명사
나나를
나의, 내
너
너를
너의, 네
그/그녀/그것
그를/그녀를/그것을
그의/그녀의/그것의
우리
우리를
우리의
너희들
너희들을
너희들의
그들
그들을
그들의
그 자신, 자기들 자신
자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