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베 베룸 코르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베 베룸 코르푸스는 라틴어로 된 가톨릭 성가로,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태어난 예수의 몸을 찬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300년경부터 전해져 내려왔으며, 다양한 변형과 번역본이 존재한다. 이 가사를 바탕으로 모차르트, 리스트, 차이콥스키 등 여러 작곡가들이 곡을 작곡했으며, 그레고리오 성가, 르네상스, 바로크, 고전주의, 낭만주의, 20세기와 21세기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해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앤섬 - 국가 (노래)
    국가는 국민 통합을 위해 한 나라를 상징하는 공식적인 노래로, 근대 초기 유럽 왕가 국가에서 기원하여 국민 국가 발흥과 함께 채택이 일반화되었고, 국제 스포츠 행사와 탈식민화 시대에 중요성이 더욱 커졌으며, 법적 지위와 가사는 국가마다 상이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며, 정치적 변화에 따라 변경되기도 한다.
  • 앤섬 - 교가
    교가는 학교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노래로, 학생들에게 소속감과 자긍심을 심어주며, 동아시아 국가에서 보편적으로 찾아볼 수 있고, 학교의 특성과 문화를 반영하며, 청각 장애 학생들을 위한 수어 교가도 존재한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그레고리오 성가
    그레고리오 성가는 서방 기독교 전례에서 사용되는 무반주 일성부 성가로, 로마와 갈리아 성가의 통합을 거쳐 서방 기독교 세계의 표준 성가로 자리매김했으며, 교회 선법 체계화 및 네우마 기보법 발달과 함께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성모송
    성모송은 가브리엘 대천사와 엘리사벳의 인사말에 기반하여 하느님 찬양과 성모 마리아에게 애원과 찬미를 드리는 가톨릭교회의 대표적인 기도로, 묵주기도의 기본이 되며 다양한 언어 번역본과 음악 작품으로 널리 사용된다.
아베 베룸 코르푸스
개요
종류성체 찬미가
언어라틴어
작곡가불명 (전통적으로 교황 인노첸시오 6세 또는 교황 요한 22세로 여겨짐)
작곡 시기14세기
가사아베 베룸 코르푸스, 나툼 데 마리아 비르기네,
설명
의미기뻐하라, 참된 몸,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나신 분, 진실로 고난을 당하시고, 제단 위에서 희생되신 분. 창에 찔리신 옆구리에서 흘러나온 거룩한 피, 고통받는 우리를 위해 주신 참된 아들 예수, 마리아의 아들이시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아멘.
용도성체성사 때 사용되는 짧은 성가
다른 설정많은 작곡가들이 다양한 설정을 작곡함 (모차르트의 Ave verum corpus가 가장 유명함)

2. 가사

라틴어 가사는 다음과 같다.[10]

:''Ave verum corpus,''

:''Natum de Maria Virgine,''

:''Vere passum, immolatum''

:''In cruce pro homine,''

:''Cujus latus perforatum''

:''fluxit aqua et sanguine,''

:''Esto nobis prægustatum''

:''mortis in examine.''

:''O Jesu dulcis, O Jesu pie,''

:''O Jesu fili Mariæ.''

한국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나신,

:진정한 성체를 경배하나이다.

:모진 수난과 십자가에 못박혀 죽으심은

:인류를 위한 것이었네.

:뚫린 가슴에서

:물과 피를 흘리셨네.

:우리가 죽을 때

:그 수난을 기억하게 하소서.

:오 좋으신 예수님, 오 자애로운 예수님,

:오 마리아의 아들이신 예수님.

다른 판본에는 다음과 같은 변형이 존재한다.[10]


  • "de Maria Virgine" 대신 "ex Maria Virgine"
  • "fluxit aqua et sanguine" 대신 "unda fluxit et sanguine", "unda fluxit sanguine", "vero fluxit sanguine"
  • "mortis in examine" 대신 "in mortis examine"
  • "O Iesu dulcis, O Iesu pie, O Iesu, fili Mariae. Miserere mei. Amen." 대신 "Miserere nobis"가 있거나, "O Iesu" 이하가 생략되기도 한다.

2. 1. 라틴어 가사 (표준)

:''Ave verum corpus,''

:''Natum de Maria Virgine,''

:''Vere passum, immolatum''

:''In cruce pro homine,''

:''Cujus latus perforatum''

:''fluxit aqua et sanguine,''[10]

:''Esto nobis prægustatum''

:''mortis in examine.''

:''O Jesu dulcis, O Jesu pie,''

:''O Jesu fili Mariæ.''

2. 2. 한국어 번역 (가톨릭 성가)

:동정녀 마리아에게서[10]

:진정한 성체가 나심을 경배하나이다.

:모진 수난, 십자가에 못박혀 죽으심은

:인류를 위한 것,

:뚫린 가슴에서

:물과 피를 흘리셨네.[10]

:우리가 죽을 때에

:그 수난을 기억하게 하소서.

:오 좋으신 예수님, 오 자애로운 예수님,

:오 마리아의 아들이신 예수님.

2. 3. 다른 번역

다음은 라틴어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내용이다.[10]

원문 (라틴어)번역 (한국어)
Ave verum corpus natum de Maria Virgine.동정녀 마리아에게서 나신 참된 성체여.
Vere passum immolatum in cruce pro homine:인류를 위해 십자가에서 참된 고난을 받으시고 희생되셨네.
Cujus latus perforatum fluxit aqua et sanguine.꿰뚫린 옆구리에서 물과 피를 흘리셨네.
Esto nobis praegustatum mortis in examine.저희가 죽을 때 그 수난을 기억하게 하소서.
O Iesu dulcis,오, 좋으신 예수여,
O Iesu pie,오, 자애로운 예수여,
O Iesu Fili Mariae. Amen.오, 마리아의 아들 예수여. 아멘.


2. 4. 가사의 변형

라틴어 가사는 다음과 같다.[10]

:''Ave verum corpus,''

:''Natum de Maria Virgine,''

:''Vere passum, immolatum''

:''In cruce pro homine,''

:''Cujus latus perforatum ''

:''fluxit aqua et sanguine,''

:''Esto nobis prægustatum''

:''mortis in examine. ''

:''O Jesu dulcis, O Jesu pie,''

:''O Jesu fili Mariæ.''

한국어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진정한 성체가 나심을 경배하나이다.

:모진 수난, 십자가에 못박혀 죽으심은

:인류를 위한 것,

:뚫린 가슴에서

:물과 피를 흘리셨네,

:우리가 죽을 때에

:그 수난을 기억하게 하소서.

:오 좋으신 예수님, 오 자애로운 예수님,

:오 마리아의 아들이신 예수님.

다른 버전에서는 다음과 같은 변형이 있다.

  • "de Maria Virgine" 대신 "ex Maria Virgine"
  • "fluxit aqua et sanguine" 대신 "unda fluxit et sanguine", "unda fluxit sanguine", "vero fluxit sanguine"
  • "mortis in examine" 대신 "in mortis examine"
  • "O Iesu dulcis, O Iesu pie, O Iesu, fili Mariae. Miserere mei. Amen." 대신 "Miserere nobis"가 있거나, "O Iesu" 이하가 생략되기도 한다.


1300년경부터 전승되어 온 이 텍스트에는 수많은 변형이 있지만, 초기 형태는 다음과 같았을 것으로 추정된다.[9]

:Ave '''verum''' corpus natum

:ex Maria virgine,

:'''vere''' passum, immolatum

:in cruce pro homine,

:cuius latus perforatum

:'''vero''' fluxit sanguine,

:esto nobis praegustatum

:mortis in examine.

:O dulcis, o pie,

:o fili Mariae.

3. 음악적 해석

《아베 베룸 코르푸스》는 모차르트[2], 윌리엄 버드, 에드워드 엘가 등 여러 작곡가에 의해 음악 작품으로 만들어졌다. 모든 작곡가가 전체 가사를 작곡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차르트의 작품은 "in mortis examine"에서 끝나고, 엘가의 작품은 "fili Mariae"에서 끝난다. 마르크앙투안 샤르팡티에는 세 가지 버전을 작곡했다.

프란츠 리스트, 카미유 생상스, 오를랑드 드 라수스, 이만트 라민시,[3] 알렉상드르 질망, 윌리엄 마티어스, 콜린 모비, 맬컴 아처,[4] 잭 기번스[5] 등의 버전도 있다. 리스트는 그레고리오 알레그리의 《미제레레》를 앞부분에 붙이고, 모차르트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환상곡을 《시스티나 예배당에서》라는 제목으로 작곡했으며, 오케스트라 버전과 피아노 4중주 버전의 환상곡은 두 번째 피아노 버전을 거의 그대로 따른다. 오르간 버전인 《시스티나 예배당에서의 떠올림》도 있다.

풀랭은 오페라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에 이 성가를 포함시켰으며, 1952년에는 다른 "아베 베룸 코르푸스"를 작곡했다. 표트르 차이콥스키는 모차르트의 악기만을 위한 버전을 그의 모차르트 헌정곡인 《모차르티아나》의 한 부분으로 편곡했다. 콜린 모비는 20세기에 작품을 만들었고, 21세기에는 스웨덴 작곡가 프레드릭 칙스텐[6]영국 작곡가 필립 스탑포드[7]의 작품이 있다.

3. 1. 그레고리오 성가

Ave verum corpusla

3. 2. 르네상스 시대

모차르트의 아베 베룸 코르푸스 D장조, KV 618[1], 그레고리오 성가 아베 베룸 코르푸스[2]

3. 3. 바로크 시대

3. 4. 고전주의 시대

모차르트1791년 6월 17일에 모테트 《아베 베룸 코르푸스》(K. 618)를 작곡했다.[2] 이 곡은 모차르트가 아내 콘스탄체의 요양을 도왔던 합창 지휘자 안톤 슈톨을 위해 작곡한 것이다. 혼성 4부 합창, 바이올린, 비올라, 콘트라베이스, 오르간(통주 저음)으로 편성되었으며, 연주 시간은 약 3분이다. 절묘한 전조에 의한 고요한 분위기로 모차르트 후기의 걸작으로 여겨진다.

프란츠 리스트는 이 곡을 피아노용으로 편곡하여 『알레그리와 모차르트 시스티나 예배당에서』(S.461)를 남겼다. 표트르 차이콥스키는 리스트의 편곡을 오케스트레이션하여 「4번 모음곡 ‘모차르티아나’」의 제3곡 ‘기도’로 했다.

3. 5. 낭만주의 시대

프란츠 리스트는 피아노용으로 편곡한 알레그리와 모차르트 시스티나 예배당에서(S.461)를 작곡했다.[2] 표트르 차이콥스키는 리스트의 편곡을 오케스트레이션하여 모음곡 4번 '모차르티아나'의 제3곡 '기도'로 만들었다.

3. 6. 20세기와 21세기

20세기와 21세기에는 윌리엄 버드, 에드워드 엘가를 비롯한 여러 작곡가들이 《아베 베룸 코르푸스》를 작곡했다. 모든 작곡가가 전체 가사를 작곡한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모차르트의 작품은 "in mortis examine"에서 끝나고, 엘가의 작품은 "fili Mariae"에서 끝난다.[2] 마르크앙투안 샤르팡티에는 세 가지 버전을 작곡했다. 프란츠 리스트, 카미유 생상스, 오를랑드 드 라수스, 이만트 라민시,[3] 알렉상드르 질망, 윌리엄 마티어스, 콜린 모비, 맬컴 아처,[4] 잭 기번스[5] 등의 버전도 있다.

리스트는 그레고리오 알레그리의 《미제레레》를 앞부분에 붙이고, 모차르트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환상곡을 《시스티나 예배당에서》라는 제목으로 작곡했다. 오케스트라 버전과 피아노 4중주 버전의 환상곡은 두 번째 피아노 버전을 거의 그대로 따른다. 오르간 버전인 《시스티나 예배당에서의 떠올림》도 있다.

풀랭은 오페라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에 이 성가를 포함시켰으며, 1952년에는 다른 "아베 베룸 코르푸스"를 작곡했다. 표트르 차이콥스키는 모차르트의 악기만을 위한 버전을 그의 모차르트 헌정곡인 《모차르티아나》의 한 부분으로 편곡했다.

20세기에는 콜린 모비가 작품을 만들었고, 21세기에는 스웨덴 작곡가 프레드릭 칙스텐[6]영국 작곡가 필립 스탑포드[7]의 작품이 있다.

4. 한국에서의 아베 베룸 코르푸스

모차르트의 아베 베룸 코르푸스 D장조, KV 618와 그레고리오 성가의 아베 베룸 코르푸스가 있다.

참조

[1] 서적 Corpus Christi: The Eucharist in Late Medieval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Mozart, Haydn and Early Beethoven: 1781–1802 W. W. Norton & Co.
[3] Youtube Imant Raminsh: "Ave Verum Corpus" https://www.youtube.[...]
[4] Youtube Malcolm Archer: "Ave Verum" https://www.youtube.[...]
[5] Youtube Jack Gibbons "Ave Verum Corpus", Op. 90 https://www.youtube.[...]
[6] Youtube Fredrik Sixten: "Ave Verum Corpus" https://www.youtube.[...]
[7] Youtube Philip Stopford: "Ave Verum" https://www.youtube.[...]
[8] 웹사이트 Ave Verum에 대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강론 (1983년 6월 5일) http://www.vatican.v[...] 1983-06-05
[9] 서적 Lírica Latina Medieval II - Poesía Religiosa Biblioteca de Autores Cristianos
[10] 문서 Ave Verum의 다른 버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