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부쿠마급 호위구축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부쿠마급 호위구축함은 해상자위대의 호위함들을 대체하기 위해 건조된 1,900톤급 호위함이다. 1980년대 해상자위대의 전력 증강 계획에 따라 6척이 건조되었으며, 스텔스 기술과 전자전 능력이 강화되었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취역하여 연안 경비 및 해상 교통로 보호 임무를 수행했으며, 2027년까지 퇴역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위대에 관한 - 하루시오급 잠수함
    하루시오급 잠수함은 일본 해상자위대가 운용한 디젤 추진 잠수함으로, 유시오급 잠수함을 기반으로 소음 감소 대책을 강화하고 디지털 소나 시스템과 신형 어뢰를 탑재하여 전력 강화에 기여했으며, 일부는 연습 잠수함으로, 아사시오함은 스털링 AIP 시험 플랫폼으로 활용되었다.
  • 자위대에 관한 - 소류급 잠수함
    해상자위대가 운용하는 소류급 잠수함은 비대기 의존 추진 시스템과 리튬 이온 전지를 탑재하여 수중 작전 능력을 강화한 디젤-전기 추진 방식의 잠수함으로, 오야시오급 잠수함 설계를 기반으로 12척이 건조되었다.
  • 자위함 - 하루시오급 잠수함
    하루시오급 잠수함은 일본 해상자위대가 운용한 디젤 추진 잠수함으로, 유시오급 잠수함을 기반으로 소음 감소 대책을 강화하고 디지털 소나 시스템과 신형 어뢰를 탑재하여 전력 강화에 기여했으며, 일부는 연습 잠수함으로, 아사시오함은 스털링 AIP 시험 플랫폼으로 활용되었다.
  • 자위함 - 소류급 잠수함
    해상자위대가 운용하는 소류급 잠수함은 비대기 의존 추진 시스템과 리튬 이온 전지를 탑재하여 수중 작전 능력을 강화한 디젤-전기 추진 방식의 잠수함으로, 오야시오급 잠수함 설계를 기반으로 12척이 건조되었다.
아부쿠마급 호위구축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JS 오요도 (DE-231)
JS 오요도 (DE-231)
함종호위함(DE)
명명 기준일본의 하천 이름
이전 함급유바리급
다음 함급모가미급(FFM)
제원
기준 배수량2,000톤
만재 배수량2,900톤
전장109.0 m
전폭13.4 m
흘수3.8 m
깊이7.8 m
추진 체계
방식CODOG 방식
주 엔진미쓰비시 S12U-MTK 디젤 엔진 × 2기
SM1A 가스터빈 엔진 × 2기
추진기가변 피치 프로펠러 × 2축
출력디젤: 9,300 hp, 가스터빈: 27,000 hp
전력M1A-02 가스터빈 주 발전기 (1,000 kW) × 2기
디젤 주 발전기 (600 kW) × 2기
최대 속력27 노트
항속 거리5,624 해리 (18노트 순항 시)
승조원120명
무장
함포62구경 76mm 단장 속사포 × 1기
CIWS고성능 20mm 기관포(CIWS) × 1기
SSM하푼 SSM 4연장 발사통 × 2기
SUM애스록 SUM 8연장 발사기 × 1기
어뢰324mm 3연장 단어뢰 발사관 × 2기
탑재 장비
헬기착함/운용 설비 없음. VERTREP, HIFR만 가능
C4I
사격 통제 장치
주포용FCS-2-22C~E × 1기
수중용SFCS-8 × 1기
레이더
대공 수색용OPS-14C × 1기
대수상 수색용OPS-28C × 1기
항해용OPS-20 × 1기 (01DE만 장비)
소나
종류OQS-8 선수 장착 × 1기
전자전 장비
종류NOLR-8 전파 탐지 장치
OLT-3 전파 방해 장치
Mk.137 6연장 기만기 발사기 × 2기
기타OAX-1B 적외선 암시 장치 × 1기
건조 및 배치
건조 조선소미쓰이 E&S 조선
스미토모 중기계 공업
운영 주체해상자위대
건조 기간1988년 - 1993년
취역 기간1989년 - 현재
계획 수량11척
건조 수량6척
함선 목록
DE-229 아부쿠마 (あぶくま)1989년 12월 12일 취역
DE-230 진쓰 (じんつう)1990년 2월 8일 취역
DE-231 오요도 (おおよど)1990년 2월 8일 취역
DE-232 센다이 (せんだい)1991년 3월 15일 취역
DE-233 지쿠마 (ちくま)1993년 2월 4일 취역
DE-234 도네 (とね)1993년 2월 4일 취역

2. 역사적 배경

아부쿠마급은 이전의 이스즈급, 치쿠고급, 유바리급 등 기존 호위함들을 대체하기 위해 건조되었다. 1980년대 해상자위대의 전력 증강 계획에 따라 건조가 추진되었으며, 당초 11척이 계획되었으나 최종적으로 6척만 건조되었다.[2] 건조 과정에서 스텔스 기술 도입, 전자전 능력 강화 등 다양한 기술적 발전이 이루어졌다.[2] 특히, 일본 해상자위대는 스텔스 기술을 처음으로 적용하여 레이더 반사 면적을 줄였다.[2]

1985년 계획에서는 유바리급의 운용 실적을 바탕으로 OYQ-5 개량형 전술 정보 처리 장치와 개함 방공 미사일 시스템을 탑재하는 등 장비를 강화한 2,200톤급 DE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개함 방공 미사일 탑재는 여러 문제로 재검토되었고, RAM근접 방공 미사일을 후일 장비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최종적으로 1986년에 2척의 예산이 성립되어 아부쿠마급 건조가 시작되었다.[2]

아부쿠마급은 상부 구조물은 전통적인 수직 형태를 유지했지만, 선체는 레이더 단면적을 줄이기 위해 약 7도의 경사를 주었다.[2] 이는 해상자위대 호위함 중 최초로 스텔스성을 도입한 설계로 평가받지만, 실제로는 함 내부 공간 확보와 수중 저항 감소를 위한 조치였다.[2] 결과적으로 레이더 반사 면적(RCS)도 감소하였다.[2]

또한, 승무원 거주 환경 개선을 위해 2단 침대를 채택하고, 레스트 에어리어를 도입하는 등 거주성을 향상시켰다.[2]

3. 설계

아부쿠마급은 기본적으로 아사기리급 구축함의 설계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해상자위대 함정 중 최초로 스텔스 기술이 적용되었는데, 선체레이더 반사 면적을 줄이기 위해 경사지게 설계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처음부터 스텔스성을 의도했다기보다는, 수중 저항을 줄이면서 함 내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였고 결과적으로 레이더 반사 면적이 줄어드는 효과를 얻었다.

승조원의 거주 환경 개선을 위해 3단 침대 대신 2단 침대가 도입되었고, 레스트 에어리어 등 편의 시설이 확충되었다.

헬기 운용 능력은 없지만, 헬기를 이용한 함대 공중 급유(HIFR) 및 수직 보급(VERTREP)은 가능하다. 이를 위해 후갑판에는 VERTREP 구역이 있고, 후장(後檣)에는 수평등이, 후부 구조물 천개에는 진입각 지시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체 안정화를 위해 핀 안정기 1조를 장비하고 있다.

2020년부터는 저시인성 도장으로 변경되고 있다. 굴뚝 정상부의 검은색 띠가 없어지고, 함 번호와 함명이 회색으로 바뀌었으며, 함교 위에 있던 대공 표시는 제거되었다.

3. 1. 기관

아부쿠마급은 CODOG(Combined Diesel or Gas turbine) 추진 방식을 채택하여, 고속 기동 시에는 가스터빈 엔진을, 순항 시에는 디젤 엔진을 사용한다. 좌우 2축에 각각 1조의 CODOG 기관을 배치하는 방식으로, 2기의 가스터빈 엔진(롤스로이스・가와사키 스페이 SM1A)과 2기의 디젤 엔진(미쓰비시 S12U-MTK 4 사이클직렬 12기통)으로 구성된다.[1]

냉전 말기 소비에트 연방 해군 잠수함의 고속화에 대응하여, 속력은 27노트로 인상되었다.[2] 수중 방사 소음 감소를 위해 저회전 하이 스큐 프로펠러를 채용했다.[1]

전원으로는 출력 1,000 kW의 가스터빈 주 발전기 1기, 500 kW의 디젤 주 발전기 2기, 300 kW의 디젤 비상 발전기 1기를 탑재했다. 가스터빈 주 발전기의 원동기는 하츠유키형 DD와 같은 가와사키 중공업M1A-02 가스터빈 엔진이며,[3] 발전기의 총 출력 2,300 kW는 범용 호위함(DD)에도 필적할 수 있는 강력한 것이었다.[2]

4. 장비

아부쿠마급은 대함, 대잠, 대공 무장을 균형 있게 갖추고 있다. 주포는 오토 브레다 76mm 함포 1문을 함수에, 팰렁스 CIWS 1기를 함미에 각각 탑재하고 있다.

병장 배치 (저시인성 도색이 적용된 "센다이") : 전방 갑판에 76mm 속사포, 중앙 갑판에 ASROC 발사기와 어뢰 발사관, 후방 갑판에 하푼 SSM과 CIWS


대함 미사일로는 하푼 함대함 미사일 8발,[1] 대잠 무장으로는 ASROC 대잠 로켓 8발[2]과 324mm 3연장 어뢰 발사관 2기를 탑재하고 있다. 하푼 미사일은 후부 굴뚝 후방에 서로 어긋나게 장비되어 양현을 향해 발사하는 방식이며, ASROC 8연장 발사기(74식 ASROC 런처)는 전후 굴뚝 사이의 중부 갑판에 설치되어 있고 예비탄은 탑재되어 있지 않다. 324mm 3연장 단어뢰 발사관(수상 발사관 HOS-301(D))은 중부 양현에 장비되어 있다.

RAM 근접 방어 미사일은 탑재되지 않았으나, 추후 장비를 위한 공간은 확보되어 있다. 12.7mm 중기관총을 장비할 수 있는 기관총좌가 함교 구조물 양현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운용된다.

4. 1. 센서

레이더는 당초 대공 수색용으로 OPS-14C, 대수상 수색용으로 OPS-28C를 탑재했다. 후기형(치쿠마, 토네)에서는 나다시오 사건의 재발 방지책으로 OPS-20 항해 레이더를 추가 탑재했으며, 이 때문에 앞 돛대를 1.5미터 높여 스테이지 1단을 증설했다.[1]

전파 탐지 장치(ESM) NOLR-8과 OLT-3 전파 방해 장치를 탑재하여 DE로서는 처음으로 전자 공격 기능을 부여받았다. 디코이 발사 장치로는 Mk 36 SRBOC를 양현에 1기씩 장비했다.[2]

소나로는 미국 레이시온사의 중주파 소나인 DE-1167의 라이선스 생산에 의한 OQS-8을 바우 돔에 수용하여 탑재했다.[1]

또한, OAX-1B (야시경 장치)를 함교 천개 위에 탑재하여, 국제 해협 통과 선박 감시, 훈련 해역 부근 및 기타 특정 해역 선박 왕래 자료 수집, 연안 방비 등에서의 야간 정보 수집 능력 향상을 꾀했다.[3]

전술 정보 처리 장치는 탑재되지 않았으며, 전투 지휘소는 재래형으로 탑재 무기 시스템의 전능 발휘에 제약이 있었다.[4]

4. 2. 무장

아부쿠마급은 대함, 대잠, 대공 무장을 균형 있게 갖추고 있다. 주포는 오토 브레다 76mm 함포 1문을 함수에 탑재하고 있다. 근접 방어를 위해 팰렁스 CIWS 1기를 함미에 탑재하고 있다.

대함 미사일로는 하푼 함대함 미사일 8발을 탑재하고 있다.[1] 이 미사일은 후부 굴뚝 후방에 서로 어긋나게 장비되어 양현을 향해 발사하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대잠 무장으로는 ASROC 대잠 로켓 8발[2]과 324mm 3연장 어뢰 발사관 2기를 탑재하고 있다. ASROC 8연장 발사기(74식 ASROC 런처)는 전후 굴뚝 사이의 중부 갑판에 설치되어 있으며, 예비탄은 탑재되어 있지 않다. 324mm 3연장 단어뢰 발사관 (수상 발사관 HOS-301(D))은 중부 양현에 장비되어 있다.

RAM 근접 방어 미사일은 탑재되지 않았으나, 추후 장비를 위한 공간은 76mm 단장 속사포와 함교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12.7mm 중기관총을 장비할 수 있는 기관총좌가 함교 구조물 양현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운용된다.

5. 동형함

타마노 사업소1988년 3월 17일1988년 12월 21일1989년 12월 12일호위함대 제12호위대
(구레 기지)DE-230진츠히타치 조선
마이즈루 공장1988년 4월 14일1989년 1월 31일1990년 2월 28일호위함대 제13호위대
(사세보 기지)DE-231오요도미쓰이 조선
타마노 사업소1989년 3월 8일1989년 12월 19일1991년 1월 23일호위함대 제15호위대
(오미나토 기지)DE-232센다이스미토모 중공
오이하마 조선소 우라가 공장1989년 4월 14일1990년 1월 26일1991년 3월 15일호위함대 제14호위대
(마이즈루 기지)DE-233치쿠마히타치 조선
마이즈루 공장1991년 2월 14일1992년 1월 22일1993년 2월 24일호위함대 제15호위대
(오미나토 기지)DE-234토네스미토모 중공
오이하마 조선소 우라가 공장1991년 2월 8일1991년 12월 6일1993년 2월 8일호위함대 제12호위대
(구레 기지)



사세보 기지에 정박 중인 (왼쪽부터) 토네, 센다이, 오요도

6. 운용 현황 및 평가

아부쿠마급은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총 6척이 건조되어 해상자위대의 지방대에 배치되어 연안 경비 및 해상 교통로 보호 임무를 수행해 왔다. 각 함정의 취역일과 모항은 다음과 같다.

함번호함명취역모항
DE-229아부쿠마1989년 12월 12일마이즈루
DE-230진츠1990년 2월 28일오미나토
DE-231오요도1991년 1월 23일사세보
DE-232센다이1991년 3월 15일사세보
DE-233치쿠마1993년 2월 24일오미나토
DE-234토네1993년 2월 8일사세보



2008년 3월 26일, 자위함대의 대개편으로 지방대가 두 자릿수 호위대로 개편된 이후에도 아부쿠마급은 계속해서 해당 호위대에서 운용되었다. 2020년부터는 순차적으로 저시인성 도장으로 변경되었다.[5]

2022년 12월 16일, 일본 방위성은 방위력 정비 계획을 통해 2027년까지 아부쿠마급 전 함정을 퇴역시킬 것이라고 발표했다. 아부쿠마급의 후계 함정으로는 모가미급 호위함(FFM)이 건조되고 있다.[5]

대한민국 해군 또한 아부쿠마급과 유사한 임무를 수행하는 호위함을 운용하고 있으며, 두 함급 간의 성능 및 운용 교리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7. 등장 작품



: "오요도"가 등장한다. 연안부를 항행하던 중 해안에 있던 DAIS에 들어가기 전의 키사라기 코우로부터 큰 소리로 불려, 그에 대해 기적으로 응답한다.

: "지쿠마"와 "토네"가 등장한다. 나치 독일이 세계 제패를 눈앞에 둔 다른 역사를 걷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시간 여행으로 타임 슬립한 일본으로 자원을 운반하는 수송선단을 U보트로부터 호위한다.

: 전 함정이 등장한다. "아부쿠마", "진츠", "오요도"가 "이시카리", "유바리", "유베츠"와 임시로 제5함대를 편성하여 고토 열도 해역에서 대한민국 해군 함대와 교전한다. "센다이", "지쿠마", "토네"는 제2호위대군에 편입되어 동중국해에서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함대와 충돌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bukuma Class Destroyer Escorts https://www.naval-te[...] 2024-07-09
[2] 웹사이트 Japan Countering China’s Naval Build-up with Modern Fleet https://news.usni.or[...] 2024-07-09
[3] 웹사이트 長崎県地域防災計画 基本計画編 自衛隊派遣要請計画 http://www.pref.naga[...] 2013-11-20
[4] 문서 防衛力整備計画の概要 https://www.mod.go.j[...]
[5] 웹사이트 中期防衛力整備計画(平成26年度~30年度)について https://www.mod.go.j[...] 2013-09-03
[6] 웹사이트 我が国の防衛と予算 - 平成26年度概算要求の概要 https://www.mod.go.j[...] 2013-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