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비마엘 구스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비마엘 구스만은 페루의 마르크스주의 혁명가이자, 1970년 결성된 게릴라 조직 '빛나는 길'의 지도자였다. 그는 1934년 페루에서 태어나 철학 교수로 활동하며 좌익 정치에 참여했고, 중국에서 간부 훈련을 받은 후 '빛나는 길'을 결성하여 마오주의 혁명을 주창했다. 1980년부터 무장 투쟁을 시작하여 페루 정부와 대립하였으며, 1992년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곤살로 사상'을 통해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를 융합한 혁명 노선을 제시했다. 2021년 사망할 때까지 수감되었으며, 그의 사상은 페루 공산당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루 분쟁 - 빛나는 길
    빛나는 길은 아비마엘 구스만이 창설한 페루의 마오쩌둥 사상 추종 공산주의 무장 단체로, 페루 내전 기간 동안 폭력을 행사하여 인명 피해를 야기했으며 구스만 체포 후 분열되어 소규모 집단으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마오쩌둥 사상 - 휴이 뉴턴
    휴이 뉴턴은 미국의 흑인 권리 운동가이자 보비 실과 함께 흑표당을 공동 창립하여 흑인 공동체의 자치권을 주장하고 흑인들의 주거, 고용, 교육 문제 개선을 추구했으나 경찰과의 충돌과 불법 활동으로 논란을 빚었으며, 존 프레이 경관 살해 혐의로 유죄 판결 후 석방, 암살당한 후 그의 유산은 지속적인 논의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 마오쩌둥 사상 - 알랭 바디우
    알랭 바디우는 존재론, 집합론, 정치를 융합한 독자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하고 진리, 사건, 주체 등의 개념을 정립하여 서구 민주주의를 비판하고 공산주의를 옹호한 프랑스의 철학자, 수학자, 정치 활동가이다.
아비마엘 구스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비마엘 구스만 초상화
본명마누엘 루벤 아비마엘 구스만 레이노소
출생일1934년 12월 3일
출생지몰렌도, 페루
사망일2021년 9월 11일
사망지카야오, 페루
별칭곤살로 동지, 곤살로 의장, 마르크스-레닌주의-마오쩌둥주의의 네 번째 검
국적페루
직업교수, 게릴라 지도자
정치 및 활동
소속 정당페루 공산당 – 빛나는 길
직책페루 공산당 의장
재임 시작1969년
재임 종료1992년 9월 12일
후임오스카르 라미레스
주요 활동페루 내부 분쟁
군사 계급사령관
가족 관계
배우자결혼: 아우구스타 라 토레, 1964년 ~ 1988년 (사망)
결혼: 엘레나 이파라기레, 1989년
자녀정보 없음
재판 및 형량
범죄테러 살인
형량종신형 2회
수감 상태수감 중 사망
기타
로마자 표기Manuel Rubén Abimael Guzmán Reynoso
스페인어 표기Presidente Gonzalo
영어 표기Chairman Gonzalo
추가 정보
사상마르크스-레닌-마오쩌둥주의, 반수정주의

2. 초기 생애

마누엘 루벤 아비마엘 구스만 레이노소(Manuel Rubén Abimael Guzmán Reynosoes)는 1934년 12월 3일 리마에서 남쪽으로 약 1000km 떨어진 아레키파 지역 이슬라이 주의 항구 도시 몰렌도에서 태어났다.[4] 그는 5명의 다른 여성과 8명의 자녀를 둔 부유한 상인의 사생아였으며, 어머니 베레니스 레이노소(Berenice Reynosoes)는 그가 다섯 살 때 사망했다.[5]

구스만은 아레키파에서 철학법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그의 논문 제목은 "칸트의 공간 이론"과 "부르주아 민주 국가"였다.

1964년 2월, 그는 아우구스타 라 토레와 결혼했다.[7][8] 구스만은 오랫동안 무신론자로 알려져 있었다.[10] 그는 종교를 "인민의 아편"으로 본 칼 마르크스의 견해에 동의했으며, 종교를 "착취의 결과로 생겨나는 사회 현상이며 착취가 사라지고 새로운 사회가 등장하면 사라질 것"이라고 보았다. 다만 종교적 다양성을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1]

2. 1. 학문적 경력과 정치 입문

아레키파 출신으로, 15세에 공산당에 입당하였다. 아레키파 대학교에서는 이마누엘 칸트 철학을 전공했다. 1962년 대학 졸업 후 아야쿠초에 있는 산 크리스토발 데 우아망가 국립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학생들 사이에서는 어떤 일이든 납득시킨다 하여 "샴푸"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1964년부터 세 차례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문화대혁명의 영향을 받았다. 1970년에는 페루 공산당 내 친중국 노선에서 갈라져 나온 마오쩌둥주의 그룹을 센데로 루미노소(Sendero Luminoso, 빛나는 길)로 명명하고 조직을 이끌기 시작했다.

3. 정치 활동과 '빛나는 길' 결성

구스만은 1960년대 중화인민공화국 방문 이후 마오쩌둥주의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28][29] 이를 바탕으로 1970년, 기존 페루 공산당에서 분리하여 자신을 따르는 세력과 함께 '센데로 루미노소'(Sendero Luminoso, 빛나는 길)를 창설하고 지도자가 되었다. 초기에는 대학가를 중심으로 이념 활동을 펼쳤으나, 점차 아이아쿠초 지역을 기반으로 무장 투쟁을 준비하는 게릴라 조직으로 성격을 바꾸었다.

구스만은 마오주의를 페루 현실에 적용한 독자적인 '곤살로 사상'을 발전시켰으며, 이를 센데로 루미노소의 핵심 이념으로 삼았다. 그는 이 사상을 통해 마오쩌둥 사후 중국개혁개방 노선을 비판하고, 자신을 카를 마르크스, 블라디미르 레닌, 마오쩌둥을 잇는 세계 공산주의 혁명의 지도자로 내세웠다.

1980년, 센데로 루미노소는 페루 정부 전복을 목표로 무장 투쟁을 공식적으로 시작했다. 이들의 활동은 페루 전역으로 확산되며 정부군과의 격렬한 충돌을 야기했고, 이는 수많은 인명 피해를 낳은 페루 내전으로 이어졌다.[12] 센데로 루미노소는 군경뿐 아니라 정부 관료, 다른 좌익 단체, 심지어 정부에 협조하는 농민과 노동자까지 공격 대상으로 삼으며 극단적인 폭력성을 드러냈다.

3. 1. 중국 방문과 마오주의 영향

구스만은 1964년부터 세 차례에 걸쳐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문화대혁명의 영향을 받았다. 귀국 후 1970년, 페루 공산당 내 "중국파"에서 분리하여 마오쩌둥주의를 따르는 파벌을 창설하고 이를 '센데로 루미노소(Sendero Luminoso, 빛나는 길)'라 명명하며 스스로 지도자가 되었다.

1976년 마오쩌둥 사후 집권한 덩샤오핑개혁개방 노선을 수정주의로 규정하며 강하게 비판했다. 구스만은 스스로를 잉카 신화의 구세주에 빗대며, 카를 마르크스, 블라디미르 레닌, 마오쩌둥에 이어 세계 공산주의 혁명을 이끌 네 번째 지도자라고 주장하며 독자적인 혁명 노선을 추구했다.

3. 2. 센데로 루미노소 결성과 무장 투쟁

1964년부터 세 차례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문화대혁명의 영향을 받은 구스만은 페루로 돌아와 자신만의 혁명 노선을 구상했다.[28][29] 1970년, 그는 페루 공산당(Partido Comunista Peruano) 내 “중국파”에서 분리된 마오쩌둥주의 그룹을 이끌고 센데로 루미노소(Sendero Luminoso, 빛나는 길)를 결성했다. 이 운동은 처음에는 페루 대학가를 중심으로 활동했으나, 1970년대 후반에는 아이아쿠초 지역을 기반으로 한 게릴라전 집단으로 변모했다.

1976년 마오쩌둥 사후 집권한 덩샤오핑개혁개방 노선을 수정주의라고 비판하며 독자적인 길을 걸었다. 구스만은 스스로를 카를 마르크스, 블라디미르 레닌, 마오쩌둥에 이은 "세계 공산주의의 네 번째 계승자"로 칭했다. 그는 자신의 저술과 사상 체계인 '곤살로 사상'을 통해 마오주의를 "인민전쟁"으로 재정의하고 이를 "마르크스주의의 세 번째이자 더 높은 단계"라고 주장하며 센데로 루미노소의 이론적 기반을 다졌다.

1980년 5월, 센데로 루미노소는 페루 정부에 대한 무장 투쟁을 공식적으로 시작했다. 이들은 1964년 이후 페루에서 처음 실시되는 민주 선거를 방해하기 위해 아이아쿠초 인근 마을 추스치에서 투표함을 불태우는 것으로 첫 행동을 개시했다. 센데로 루미노소의 목표는 무력을 통해 페루 정부를 전복시키고 자신들이 권력을 장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군대와 경찰뿐만 아니라 정부 관료, 투팍 아마루 혁명 운동(MRTA)과 같은 다른 좌익 단체, 파업에 동참하지 않는 노동자, 정부에 협조하는 농민(민주 선거 투표자 포함), 주요 도시의 중산층까지 광범위하게 공격 대상으로 삼았다.

센데로 루미노소는 점차 페루 중남부의 넓은 농촌 지역을 장악하고 수도 리마 외곽에서도 공격을 감행하며 세력을 넓혔다. 1989년 구스만은 자신들의 투쟁이 인민전쟁에서 "운동 전쟁" 단계로 발전했으며, 이를 통해 "전략적 균형"을 달성하여 정부를 통치 불능 상태로 만들고 최종적으로 "전략적 공세"로 나아갈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러한 무장 투쟁 과정에서 1992년 리마의 상업 지구인 칼레 타라타에서 발생한 차량 폭탄 테러(타라타 폭탄 테러)는 수많은 사상자와 막대한 재산 피해를 낳으며 페루 사회 전체에 큰 충격을 주었다. 구스만은 사망할 때까지 이 테러에 대한 자신의 책임을 부인했다.[13] 페루 진실화해위원회는 센데로 루미노소와 정부군 간의 내전으로 약 7만 명이 사망했으며, 이 중 절반가량은 센데로 루미노소에 의해, 3분의 1은 정부군에 의해 희생된 것으로 추정했다.[12]

4. 곤살로 사상과 이념

구스만은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 마오주의를 기반으로 한 자신의 저술, 즉 "곤살로 사상"이라는 새로운 이론적 이해를 내세웠다. 그는 마오주의를 "인민전쟁"으로 정의하며, 이를 "마르크스주의의 세 번째이자 더 높은 단계"라고 선언했다. 1989년 구스만은 빛나는 길(스스로는 "페루 공산당"이라 칭함)이 인민전쟁에서 "운동 전쟁"의 단계로 발전했다고 선언했다. 그는 이것이 마오주의의 인민전쟁 이론에 따라 가까운 미래에 "전략적 균형"을 이루기 위한 단계라고 주장했다. 구스만은 이러한 균형 상태가 오면 기존 체제("구체제")는 통치 불능 상태에 빠질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그때 빛나는 길은 "전략적 공세"로 나아갈 준비를 갖추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5. 체포 및 투옥

1992년 알베르토 후지모리 정권 하에서 페루 정부는 빛나는 길 소탕 작전에 집중했다. 테러 진압 국가국장부(DIRCOTE)는 리마의 한 주택을 감시하던 중 결정적인 단서를 확보하였고, 1992년 9월 12일 '비토리아 작전'(Operación Victoria)을 통해 아비마엘 구스만과 그의 연인이자 조직의 2인자인 엘레나 이파라구이레 등 지도부를 체포했다.[14][15][16] 이 체포는 빛나는 길의 활동에 결정적인 타격을 주었다.

체포 후 구스만은 후지모리 정부가 헌법 위기 이후 제정한 법률에 따라 가면을 쓴 군사 재판관들에게 재판을 받고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17] 초기에는 리마 연안의 산 로렌소 섬 해군 기지에 수감되었다.[18] 이후 당시 대통령 고문이었던 블라디미로 몬테시노스와의 협상 의혹 속에서 1993년 페루 정부와의 "평화"를 선언하며 조직 내부에 분열을 야기하기도 했다.[19][20]

2000년대 들어 여러 차례 재심이 시도되었으나 절차적 논란 속에 진행되었고,[17] 결국 2006년 가중 테러[21]살인[22] 혐의로 다시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2018년에는 1992년 리마 타라타 폭탄 테러 사건과 관련하여 두 번째 종신형이 추가되었다.[23][24] 구스만은 2021년 사망할 때까지 칼라오 해군 기지의 최고 보안 감옥에 수감되었다.[18][25]

5. 1. 체포 작전 (비토리아 작전)

1992년, 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의 첫 번째 임기 동안 페루 정부는 빛나는 길 소탕에 집중했다. 테러 진압 국가국장부(DIRCOTE)는 테러리스트들의 은신처로 의심되는 리마의 여러 주택에 대한 감시를 시작했다. 이 중 상류층 지역인 수르코에 위치한 한 주택은 발레 스튜디오로 위장되어 있었다. 이 집은 춤 교사인 마리차 가리도 레카 혼자 사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DIRCOTE 요원들은 정기적으로 집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조사하며 의심스러운 점을 발견했다. 한 사람이 배출하는 양보다 훨씬 많은 쓰레기가 나왔고, 결정적으로 아비마엘 구스만이 앓고 있던 것으로 알려진 건선 치료 크림 튜브가 발견되었다.[14]

이 정보를 바탕으로 1992년 9월 12일, DIRCOTE의 정예 부대는 '비토리아 작전'(Operación Victoria)을 개시하여 수르코의 해당 주택(바르소비아 거리 459번지)을 급습했다.[15] 작전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요원들은 집 2층에서 아비마엘 구스만과 그의 연인이자 조직의 2인자인 엘레나 이파라구이레, 로라 삼브라노를 포함한 다른 8명을 발견하고 체포했다.[16] 이 작전의 성공으로 빛나는 길은 지도부를 잃고 크게 약화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5. 2. 재판과 수감 생활

후지모리 정부가 1992년 4월 헌법 위기 이후 5월에 제정한 법률 25475조 15조와 16조에 따라, 구스만은 가면을 쓴 군사 재판관들의 법정에서 재판을 받았다.[17] 3일간의 재판 끝에 구스만은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리마 연안의 산 로렌소 섬에 있는 해군 기지에 수감되었다.[18]

이후 그는 당시 대통령 고문이었던 블라디미로 몬테시노스와 협상하여 페루 정부가 빛나는 길의 무장 활동을 종식하는 데 도움을 주는 대가로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이 있다. 구스만은 페루 텔레비전에 여러 차례 출연했고, 1993년 10월 1일 페루 정부와의 "평화"를 공개적으로 선언했다.[19] 이 선언은 빛나는 길 내부에 분열을 초래했으며, 조직의 미래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당내 약 6,000명의 게릴라가 이를 패배의 신호로 받아들이고 항복했다.[20]

구스만의 재판은 2004년 11월 5일 다시 시작되었다. 빛나는 길 간부들이 판사들에게 등을 돌리고 언론석에 혁명적 경례를 하자, 국제 언론은 방음실에 수용되었고 모든 언론의 재판 참관이 금지되는 등 논란이 있었다. 구스만이 국제 언론 앞에서 "페루 공산당 만세! 마르크스-레닌주의-마오주의 만세! 페루 국민 만세! 인민 전쟁의 영웅들 만세!"라고 외치자 법정 마이크가 꺼졌고, 언론은 이후의 절차를 들을 수 없었다. 11월 12일 재판이 재개되었을 때도 기자의 참관은 허용되지 않았다. 결국 두 명의 판사가 회피하면서 재판은 혼란 속에 마무리되었다. 구스만의 세 번째 재판은 2005년 9월에 시작되었으나, 언론 보도 금지 속에서 진행되어 어떤 기자도 참석할 수 없었다.

2006년 10월 13일, 구스만은 가중 테러[21]살인[22] 혐의로 종신형을 다시 선고받았다. 선고 당시 세 명의 판사가 6시간 이상 판결문을 낭독했다.[22]

2014년, 구스만과 그의 아내 엘레나 이파라기레는 25명이 사망한 1992년 리마 타라타 폭탄 테러 사건으로 다시 재판을 받았다.[23] 2018년 9월 11일, 그는 이 사건과 관련하여 두 번째 종신형을 선고받았다.[24]

구스만은 2021년 사망할 때까지 리마 항구인 칼라오 해군 기지의 최고 보안 감옥에 수감되었다. 그곳에는 투팍 아마루 혁명 운동 지도자 빅토르 폴라이와 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 시절 국가정보국 국장을 지냈으며 해당 감옥 건설을 감독했던 블라디미로 몬테시노스 등이 함께 수감되어 있었다.[18][25]

6. 사망

구스만은 2021년 사망할 때까지 리마 항구인 칼라오 해군 기지의 최고 보안 감옥에 수감되었다. 그곳의 동료 수감자로는 투팍 아마루 혁명 운동 지도자 빅토르 폴라이와 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 밑에서 국가정보국 국장을 지낸 블라디미로 몬테시노스가 있었다.[18][25]

2021년 7월 13일, 그는 음식을 거부하여 보건부 의료진의 치료를 받았다. 혈액 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받았고, 며칠 후인 7월 17일 추가 관찰을 위해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그는 86세의 나이로 2021년 9월 11일 칼라오 해군 기지 최고 보안 센터에서 사망했다.[26][28][29]

구스만의 시신은 2021년 9월 24일 새벽에 화장되었고, 그의 유골은 그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지는 것을 막기 위해 비밀 장소에 뿌려졌다.[27]

7. 영향

아비마엘 구스만이 말년에 주장한 곤살로 사상(Pensamiento Gonzaloes)은 페루 공산당 내 분열을 촉발하는 결과를 낳았다.[31] 이 영향으로 1980년대 말에는 칠레 공산당 적색분파와 브라질 공산당 적색분파가 결성되기도 했다.

구스만이 이끌었던 빛나는 길(Sendero Luminoso) 운동은 초기에 페루 대학의 학계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나, 1970년대 후반에는 아이아쿠초를 거점으로 활동하는 게릴라전 집단으로 발전했다. 1980년 5월, 빛나는 길은 페루에서 1964년 이후 처음 실시된 민주 선거를 방해할 목적으로 아이아쿠초 인근 마을 추스치에서 투표함을 불태우며 페루 정부를 상대로 한 무장 투쟁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후 빛나는 길은 페루 중남부의 광대한 농촌 지역을 장악하고 수도 리마 외곽에서도 공격을 감행하며 세력을 넓혔다. 그들의 목표는 폭력적인 방식으로 페루 정부를 무력화하고 전복시켜 자신들이 권력을 장악하는 데 유리한 상황을 만드는 것이었다. 빛나는 길은 군대와 경찰뿐만 아니라 모든 계급의 정부 관료, 투팍 아마루 혁명 운동(MRTA)과 같은 다른 좌익 무장 단체, 자신들이 조직한 파업에 동참하지 않은 노동자, 정부와 협력하는 농민(민주 선거 투표자 포함), 그리고 페루 주요 도시의 중산층 주민들까지 공격 대상으로 삼았다.

이러한 무장 투쟁 과정에서 극심한 폭력이 발생했으며, 진실화해위원회는 이로 인한 페루 내전 기간 동안 약 7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했다. 위원회는 사망자의 약 절반은 빛나는 길에 의해, 나머지 3분의 1가량은 국가 공권력에 의해 희생되었다고 밝혔다.[12]

특히 1992년 리마의 번화한 상업 지구 중 하나인 타라타 거리에서 발생한 차량 폭탄 테러는 수많은 사상자와 막대한 재산 피해를 낳으며 페루 사회 전체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 사건 이후 구스만은 무자비한 이미지를 갖게 되었으나, 그는 사망할 때까지 타라타 폭탄 테러에 대한 자신의 책임을 부인하며 자신 모르게 일어난 일이라고 주장했다.[13]

구스만이 체포된 이후에는 빛나는 길을 국제적으로 지원하려는 신페루우호협회가 조직되었고, 페루 국내에서도 그의 석방을 요구하는 여러 단체들이 만들어졌다.

8. 가족

구스만은 부유한 상인의 사생아로 태어났으며, 어머니 베레니스 레이노소는 그가 다섯 살 때 사망했다.[5] 1964년 2월, 그는 빛나는 길 창설에 중요한 역할을 한 아우구스타 라 토레와 결혼했다.[7][8] 라 토레는 1988년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 속에서 사망했으며, 구스만과 그의 오랜 동지이자 연인이었던 엘레나 이파라구이레는 투옥된 이후 라 토레의 사망 경위에 대해 언급하기를 거부했다.

이후 구스만은 이파라구이레와 2010년 8월 말 감옥에서 결혼했다.[9] 당시 이파라구이레 역시 다른 감옥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었으며, 구스만은 2006년 가을 그녀에게 청혼한 뒤 단식 투쟁을 벌여 결혼 허가를 얻어냈다.

참조

[1] 뉴스 Abimael Gumzan, founder of Peruvian terrorist group Shining Path, dies https://www.reuters.[...] 2021-09-11
[2] 웹사이트 Murió Abimael Guzmán, cabecilla de la organización terrorista Sendero Luminoso https://elperuano.pe[...] 2021-09-11
[3] 뉴스 Blow to Rebels in Peru: An Elusive Aura Is Lost https://www.nytimes.[...] 1992-09-14
[4] 뉴스 Abimael Guzmán, Leader of Guerrilla Group That Terrorized Peru, Dies at 86 https://www.nytimes.[...] 2021-09-11
[5] 서적 The SAGE Encyclopedia of Terrorism,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SAGE 2011-06-15
[6] 서적 Transpacific Revolutionaries: The Chinese Revolution in Latin Americ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1-17
[7] 웹사이트 Women's popular movement and the Shining Path: The contradictions of patriarchal women's emancipation https://libcom.org/h[...] 2018-05-05
[8] 뉴스 Bloody Peruvian terrorist also had fuzzy side https://web.archive.[...] Latin American Herald Tribune 2008-01-06
[9] 뉴스 Peru's Shining Path rebel leaders marry https://www.bbc.co.u[...] 2010-08-20
[10] 웹사이트 ¿Indulto para líder de SL? - Crespo: Abimael se ha planteado asumir su responsabilidad política https://exitosanotic[...] 2017-12-27
[11] 웹사이트 Entrevista al Presidente Gonzalo http://www.solrojo.o[...]
[12] 뉴스 LOS NÚMEROS DE LA VIOLENCIA https://web.archive.[...] peru.com 2003-08-29
[13] 뉴스 Founder of Peru Shining Path rebellion given second life sentence https://www.reuters.[...] 2018-09-11
[14] 뉴스 Ballerina hid brutal terrorist chief https://www.telegrap[...] 2005-10-05
[15] 뉴스 Abimael Guzmán desafió a sus captores al ser detenido en Lima https://elpais.com/d[...] El País 1992-09-20
[16] 뉴스 Peru marks 27 years of terrorist leader's capture https://andina.pe/in[...] Andina Agencia Peruana de Noticias 2019-09-12
[17] 웹사이트 Establecen la penalidad para los delitos de terrorismo y los procedimientos para la investigación, la instrucción y el juicio https://web.archive.[...]
[18] 웹사이트 Alberga prisión peruana a ex líderes rebeldes y a Montesinos https://web.archive.[...] 2017-11-11
[19] 웹사이트 Historia de la lucha armada de Sendero Luminoso en Perú http://www.elmundo.e[...] elmundo.es 2006-10-14
[20] 뉴스 Profile: Peru's Shining Path https://web.archive.[...] BBC 2005-11-05
[21] 뉴스 Shining Path militant leaders given life sentences in Peru https://www.cbc.ca/n[...] CBC News 2006-10-13
[22] 뉴스 Peru's Shining Path founder sentenced to life for terrorism, murder http://www.abc.net.a[...] ABC News 2006-10-14
[23] 뉴스 Former Shining Path leader 'Presidente Gonzalo' faces Peru court https://www.theguard[...] 2014-01-20
[24] 뉴스 Founder of Peru Shining Path rebellion given second life sentence https://www.reuters.[...] 2018-09-14
[25] 웹사이트 At home in Peru's nastiest cell-block https://web.archive.[...] The First Post 2006-10-14
[26] 웹사이트 Murió Abimael Guzmán, cabecilla del grupo terrorista Sendero Luminoso https://rpp.pe/polit[...] 2021-09-11
[27] 뉴스 Ashes of Peru's Most Murderous Terrorist Scattered in Secret Location https://www.bloomber[...] 2021-09-24
[28] 뉴스 「センデロ・ルミノソ」創設者死去 https://web.archive.[...] 2021-09-12
[29] 뉴스 ペルー左翼ゲリラ「センデロ・ルミノソ」の創設者、獄中で病死 https://www.cnn.co.j[...] 2021-09-12
[30] 뉴스 Blow to Rebels in Peru: An Elusive Aura Is Lost https://www.nytimes.[...] 뉴욕타임즈
[31] 간행물 라틴아메리카 마오쩌둥주의에 대한 역사:무장투쟁과 인민을 위한 봉사 https://www.redaly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