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시니아 위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비시니아 위기는 1934년 이탈리아와 에티오피아 사이의 국경 분쟁인 왈왈 사건을 계기로 발발한 국제적 위기이다. 왈왈 사건은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 영토 내에 요새를 건설하면서 발생했으며, 양측의 무력 충돌로 이어졌다. 국제 연맹의 중재 시도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와 영국은 이탈리아에 유리한 협정을 맺어 에티오피아를 침략하려는 이탈리아를 묵인했다. 결국 이탈리아는 1935년 에티오피아를 침공하여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이 발발했고, 국제 연맹의 무능함과 열강의 이기심을 드러냈다. 이 사건은 국제 연맹의 권위 실추, 파시즘 세력 강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의 원인이 되었으며, 1941년 에티오피아의 주권 회복으로 마무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4년 분쟁 - 오스트리아 내전
오스트리아 내전은 1934년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 말기에 돌푸스 정권의 권위주의적 통치에 맞선 사회민주당의 무장봉기로 발발하여 정부군의 승리로 끝나고 사회민주당은 패배했으며, 오스트리아 정치사에 깊은 영향을 남겼다. - 1934년 분쟁 - 장정
장정은 1934년부터 1936년까지 중국 공산당 홍군이 국민당군의 포위 공격을 피해 장시성에서 옌안까지 이동한 전략적 이동으로, 국공내전과 토벌 작전 실패로 시작되었으며 마오쩌둥 지도력 확립과 중국 현대사 형성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나 역사적 사실에 대한 논란도 있다.
아비시니아 위기 | |
---|---|
개요 | |
명칭 | 아비시니아 위기 |
다른 명칭 |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위기 |
로마자 표기 | Abisinia Keuwisi |
이탈리아어 명칭 | La crisi abissina |
위기 발발 원인 | 왈왈 사건 |
배경 | |
원인 |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공 계획 |
목표 | 무솔리니의 이탈리아 제국 확장 정책 |
국제 연맹의 무능 | 국제 사회의 미온적인 대처 |
주요 사건 | |
왈왈 사건 | 1934년 12월 |
이탈리아의 침공 | 1935년 10월 |
국제 연맹의 제재 | 경제 제재 부과 |
호어-라발 협정 | 프랑스와 영국이 이탈리아에 유리한 조건 제시 |
이탈리아의 승리 | 1936년 5월, 아디스아바바 점령 |
결과 | |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합병 |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형성 |
국제 연맹의 약화 | 국제적 신뢰도 하락 |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조 | 파시즘 세력의 팽창 |
관련 인물 | |
주요 인물 | 하이레 셀라시에 1세 베니토 무솔리니 피에트로 바돌리오 |
참고 | |
관련 문서 |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국제 연맹 이탈리아 제국 |
2. 왈왈 사건의 배경
1928년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조약에 따르면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와 에티오피아 사이 국경은 바나디르주 해안에서 평행하게 21 리그(약 118.3km) 떨어져야 했으나, 국경선이 모호하여 분쟁의 여지가 있었다.
1934년 11월 22일, 피타우리(에티오피아 군사-정치 사령관) 3명이 이끄는 에티오피아 민병대 1,000명이 왈왈 근처에 도착하여, 그곳에 주둔하고 있던 두바트 수비대(병사 약 60명)에게 이 지역에서 철수할 것을 공식적으로 요청했다.[2] 주둔군을 이끄는 소말리아 부사관은 철수를 거부하고 20km 떨어진 우아르데 주둔군 사령관 치마루타 대위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3]
1934년 12월 6일, 하일레 셀라시에 에티오피아 황제는 이탈리아의 월월 침략에 항의했다. 그러나 이탈리아는 12월 8일 에티오피아의 침략을 주장하며 맞섰고, 12월 11일에는 사과와 함께 금전적, 전략적 보상을 요구했다.[27]
1935년 10월 3일, 국제 연맹이 왈왈 사건에 대해 양측 모두 책임이 없다고 발표한 직후, 에리트레아의 이탈리아군은 선전포고 없이 에티오피아를 침공하며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이 발발했다.[27] 에티오피아가 이탈리아에 선전 포고를 하면서 전쟁이 시작되었다.
1936년 5월 5일,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아바바를 점령하면서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은 이탈리아의 승리로 끝났다. 에티오피아는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Africa Orientale Italiana'', AOI)의 일부가 되었다.[16]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는 망명길에 올랐고, 국제 연맹에 도움을 호소했지만, 국제 사회는 이탈리아의 점령을 묵인했다.[16]
왈왈 사건은 1934년 이탈리아령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국경의 왈왈 오아시스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이다. 이 사건은 제국주의 열강이었던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를 침략하는 구실로 이용되었다.[10]
[1]
서적
The Italian Army in North Africa: A Poor Fighting Force or Doomed by Circumstance
Fonthill Media
1930년 이탈리아는 조약에서 정한 경계보다 훨씬 안쪽인 오가덴 동부 월월 오아시스에 요새를 건설했다.[18] 이 요새는 현재 에티오피아 영토 내 130km 지점에 있다. 왈왈 오아시스는 물과 목초지가 풍부하여 유목민에게 중요했고, 이탈리아는 이 요새를 통해 에티오피아 내륙 진출의 전략적 거점을 확보했다.
1934년 9월 29일, 이탈리아와 에티오피아는 상호 불가침 공동성명을 발표했다.[18]
3. 왈왈 사건의 전개
다음 날, 영국령 소말릴란드와 에티오피아 사이의 국경을 조사하던 영국-에티오피아 국경 위원회가 왈왈에 도착하여 새로 도착한 이탈리아군과 대치하게 되었다. 영국인 위원들은 항의했지만 국제적 사건을 피하기 위해 철수했다. 그러나 에티오피아인 위원들은 왈왈에 머물렀다.[4]
12월 5일부터 7일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이유로 이탈리아군에 복무하는 소말리아 수비대와 무장한 에티오피아군 사이에 교전이 벌어졌다. 이탈리아 측은 에티오피아군이 소말리아군에게 소총과 기관총 사격을 가했다고 주장했다.[5] 에티오피아 측은 이탈리아군이 전차 2대와 항공기 3대의 지원을 받으며 그들을 공격했다고 주장했다.[6] 결국, 에티오피아인 약 107명[7]과 이탈리아인 및 소말리아인 50명이 사망했다.[8]
양측 모두 대결을 피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 에티오피아군은 이탈리아 수비대를 무력 공격 위협으로 반복적으로 위협했고, 이탈리아군은 에티오피아 진영 상공에 항공기 두 대를 보냈다. 그중 한 대는 지상에서 아무도 눈치채지 못했지만 치마루타 대위가 에티오피아군 한가운데 있는 것을 본 조종사가 그가 포로로 잡혔다고 생각하여 짧은 기관총 사격을 가했다.[9]
4. 국제 사회의 반응과 중재 노력
1935년 1월 3일, 에티오피아는 국제 연맹에 중재를 요청했으나, 국제 연맹은 명확한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중재 위원회의 분석 결과, 양측 모두 분쟁에 책임이 없다는 결론이 내려졌다.[28]
한편, 에티오피아의 중재 요청 직후 프랑스 외무장관 피에르 라발과 영국 외무장관 새뮤얼 호어는 로마에서 이탈리아 독재자 베니토 무솔리니를 만났다. 1935년 1월 7일, 라발과 무솔리니의 회담 결과 프랑스-이탈리아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협정으로 이탈리아는 프랑스령 소말릴란드(현재 지부티) 일부를 얻고, 프랑스령 튀니지 내 이탈리아인의 지위가 재정의되었으며, 에티오피아 문제에 대한 이탈리아의 자유로운 행동이 사실상 묵인되었다. 프랑스는 이를 통해 독일과의 대립에서 이탈리아의 지지를 얻고자 했다.[29]
이후에도 이탈리아의 군사적 행동은 계속되었다. 1월 25일에는 월월 인근에서 이탈리아군 5명이 에티오피아군에 의해 사망했고, 2월 10일 무솔리니는 2개 사단을 동원했다. 2월 23일에는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와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에 대규모 병력이 파견되기 시작했다.[30]
3월, 에티오피아는 다시 중재를 요청하고 이탈리아의 군사력 증강에 주목했다. 국제 연맹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병력 동원을 계속했다.
6월 23일부터 24일까지, 영국은 앤서니 이든 외무차관을 파견하여 평화 협정을 중재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7월 25일, 영국은 이탈리아와 에티오피아 모두에 대한 무기 판매 금수 조치를 시행했다. 이는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무기 판매 비우호적 행위 간주 포고령에 대한 대응이라는 해석과, 영국의 동아프리카 경제적 이익 보호 목적이라는 해석이 있다.[12]
5.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발발
10월 7일, 국제 연맹은 이탈리아를 침략자로 선언하고 경제 제재를 가하는 절차를 시작했다. 하지만 제재는 석유와 같은 필수 물질을 포함하지 않았고, 모든 회원국이 시행하지 않아 효과는 제한적이었다.[14]
미국은 국제 연맹의 제재에 무관심했고, 영국과 프랑스도 이탈리아에 대한 심각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이탈리아의 화학 무기 사용과 같은 국제 규범 위반 행위도 국제 연맹의 소극적인 태도를 바꾸지 못했다.
1935년 12월, 영국의 새뮤얼 호어와 프랑스의 피에르 라발은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비밀 협약인 호어-라발 협약을 제안했다. 이 협약은 이탈리아에게 에티오피아 영토의 상당 부분을 할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무솔리니는 이 협약을 고려했지만, 결국 받아들이지 않았다. 협약 내용이 언론에 유출되면서 영국과 프랑스에서 비난 여론이 거세게 일었고, 호어와 라발은 사임했다.
1936년 3월, 아돌프 히틀러가 베르사유 조약을 위반하고 라인란트에 군대를 진주시키자, 프랑스는 독일을 견제하기 위해 이탈리아의 지원을 원했고, 이탈리아에 대한 제재를 완화했다.
1936년 5월 2일, 하일레 셀라시에는 망명길에 올랐고, 5월 5일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아바바를 점령했다. 이후 국제 연맹의 제재는 모두 해제되었다.
6. 전쟁의 결과와 영향
이 전쟁의 결과, 국제 연맹의 무능함이 드러났다. 국제 연맹은 이탈리아의 침략을 막지 못했고, 경제 제재는 실효성이 없었다.[14] 특히, 호어-라발 협정은 영국과 프랑스가 국제 연맹의 원칙을 저버렸다는 비판을 받았다.[15]
이러한 국제 연맹의 실패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의 한 원인이 되었다. 아돌프 히틀러는 국제 연맹의 무력함을 확인하고 베르사유 조약을 어기며 라인란트를 재무장했다.[16] 영국과 프랑스는 독일과 이탈리아에 약한 모습을 보이며 국제 정세는 더욱 불안해졌다.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군은 동아프리카 전역에서 이탈리아에 대한 공세를 시작했다. 1941년 5월 5일,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는 아디스아바바로 돌아와 에티오피아의 주권을 되찾았다.[16]
7. 왈왈 사건의 역사적 의의
1935년 1월, 에티오피아는 이 분쟁의 중재를 국제 연맹에 요청했지만, 국제 연맹은 양측 모두에게 책임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11] 이는 국제 연맹이 회원국 간의 분쟁을 해결하고 평화를 유지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당시 국제 정세는 제국주의 열강들의 식민지 확장을 위한 경쟁이 치열했던 시기였다. 특히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를 식민지로 삼아 아프리카 대륙에서 세력을 확장하려는 야욕을 품고 있었다. 왈왈 사건은 이러한 이탈리아의 침략 야욕을 드러낸 사건이었다.
이 사건은 또한 파시즘과 전체주의의 부상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이탈리아의 독재자 베니토 무솔리니는 왈왈 사건을 이용하여 에티오피아를 침략하고, 이탈리아 국민들의 지지를 얻어 자신의 권력을 강화했다.
왈왈 사건과 그로 인한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략은 국제 연맹의 집단 안보 체제가 실패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국제 연맹은 이탈리아의 침략을 막지 못했고,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의 한 원인이 되었다.
영국의 반(反) 유화 정책 운동가 F. L. 루카스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는 1935년 7월 25일 ''The Daily Telegraph''에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style="text-align: left;" |
참조
[2]
서적
Lo Squadrons Bianco
Mondadori
[3]
문서
Quirico
[4]
문서
Shinn
[5]
문서
Quirico
[6]
문서
Barker. The Rape of Ethiopia 1936
[7]
문서
Mockler
[8]
뉴스
Provocations
Time
[9]
문서
Quirico
[10]
웹사이트
Historical Timeline of the Abyssinian War
https://abyssiniancr[...]
2015-11-05
[11]
웹사이트
Yearbook of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http://legal.un.org/[...]
1978
[12]
간행물
Eoin O'Duffy's Blueshirts and the Abyssinian crisis
https://www.historyi[...]
2013-02-12
[13]
간행물
League of Nations Official Journal
1935
[14]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Canada
McClelland & Stewart
[15]
서적
Fascist Ideology
Routledge
[16]
서적
GCSE Modern World History
[17]
웹인용
Abyssicoccus/Abyssicoccus
http://am.gczyz.com/[...]
[18]
서적
The Italian Army in North Africa: A Poor Fighting Force or Doomed by Circumstance
Fonthill Media
[19]
서적
Lo Squadrons Bianco
[20]
문서
Quirico
[21]
문서
Shinn
[22]
문서
Quirico
[23]
문서
Barker. The Rape of Ethiopia 1936
[24]
문서
Mockler
[25]
뉴스
Provocations
Time
[26]
문서
Quirico
[27]
웹인용
Historical Timeline of the Abyssinian War
https://abyssiniancr[...]
2015-11-05
[28]
웹인용
Yearbook of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http://legal.un.org/[...]
1978
[29]
문서
Laval Mussolini. L'impossibile Asse
Mursia
[30]
문서
Ibi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