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성은 중세 시대 성의 주요 방어 시설로, 성주의 거주 공간이자 최후의 방어 거점으로 사용되었다. 10세기 노르만족의 모트 앤 베일리식 성곽에서 처음 등장하여, 목조 탑에서 석조 탑으로 발전했다. 12세기부터 쉘 킵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했으며, 16세기 이후 화약 무기의 발달로 중요성이 감소했다. 17세기부터는 파괴되거나 개조되었으며, 19세기에는 고딕 리바이벌 양식으로 재건되기도 했다. 키프는 16세기부터 영어로 'keep'로 불렸으며, 프랑스어로는 'donjon', 스페인어로는 'torre del homenaje'로 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성 |
---|
2. 역사
키프의 역사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10세기경 노르만족의 모트 앤 베일리식 성곽의 모트(인공 언덕, 토루) 꼭대기에 목조 사각형 탑으로 축조된 것이 시초였다. 11세기에는 성채의 석조화가 진행되었고, 그 과정에서 가장 먼저 석조가 된 것이 키프였다. 12세기 말경까지 정방형이었지만, 잉글랜드 왕 리처드 1세가 가야르 성(Château Gaillard)에 다각형 평면의 키프를 축조한 이후, 다각형 평면이나 원형이 나타나게 되었다.
12세기 말, 리처드 1세가 가야르 성에 다각형 키프를 건설하면서 다각형 및 원형 키프가 등장했다. 12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프랑스는 일 드 프랑스를 통치하는 카페 왕조와 노르망디와 프랑스 서부 상당 부분을 통제하는 잉글랜드 왕 사이에 분열되어 있었다. 카페 왕조 영토 내에서 새로운 망루 디자인에 대한 초기 실험은 1120년 우당의 돈존(Donjon de Houdan)에서 시작되었으며, 4개의 둥근 포탑이 있는 원형 망루가 건설되었지만 내부는 전통적인 사각형으로 남아 있었다. 몇 년 후, 에탕프 성(Château d'Étampes)은 꽃잎 모양 디자인을 채택했다. 1190년대에 프랑스 권력 투쟁은 필리프 2세에게 유리하게 기울기 시작했고, 1204년 카페 왕조가 노르망디를 점령하면서 절정에 달했다. 필리프 2세는 루앙 성(Rouen Castle)의 잔 다르크 탑과 같은 완전히 원형 망루를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대부분은 새로 획득한 영토에 건설되었다.
13세기 초, 웨일스 변경백령과 스코틀랜드에서 원형 키프가 인기를 얻었다. 중세 시대 대부분 동안 이베리아 반도는 기독교 왕국과 이슬람 왕국으로 분열되었으며, 어느 쪽도 전통적으로 망루를 건설하지 않고 감시탑이나 벽탑을 건설했다. 그러나 12세기에 이르러 프랑스와 다양한 군사 기사단의 영향으로 인해 이 지역의 기독교 성에서 사각형 망루가 개발되었으며, 세기 후반까지 이러한 관행은 이슬람 왕국으로 확산되었다.
14세기 말, 프랑스 왕 샤를 5세는 뱅센 성(Château de Vincennes)을 건설하여 궁전 요새의 개념을 도입했다. 15세기, 잉글랜드에서는 워더 성, 태터셜 성, 래글런 성 등에서 프랑스의 영향을 받은 복잡한 타워 돈사가 건설되었다. 15세기와 16세기에는 스코틀랜드에서 홀리루드 그레이트 타워가 건설되었다. 이 시기,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북부에서는 타워 하우스 또는 필 타워라고 불리는 작고 돈사와 유사한 구조물이 건설되었다. 16세기 이후, 화약 무기의 발달과 주거 건축 양식의 변화로 인해 키프는 점차 그 중요성을 잃게 되었다.
17세기부터 일부 돈전은 의도적으로 파괴되기 시작했다. 잉글랜드에서는 1649년 제2차 잉글랜드 내전 이후 의회가 왕당파의 재봉기를 막기 위해 성을 훼손하면서 많은 돈전이 파괴되었다. 프랑스에서도 17세기와 18세기에 일부 돈전이 파괴되었다.
18세기 중반, 폐허가 된 중세 성이 다시 유행하면서 일부 돈전이 개조되었다.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는 잉글랜드에서 복제 성을 짓는 것이 유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돈전도 복원되거나 재건되었다.
19세기 유럽에서는 고딕 리바이벌 양식에 맞춰 돈전을 복원하거나 재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20세기 스페인 내전과 제1차 및 제2차 세계 대전은 유럽의 많은 성 돈전에 피해를 입혔다. 20세기 후반, 성 돈전 보존은 정부 정책의 일부가 되었다. 21세기 잉글랜드에서 대부분의 돈전은 관광 및 유산 산업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2. 1. 기원과 초기 형태 (9세기 ~ 12세기)
10세기경 노르만족의 모트 앤 베일리식 성곽에서 처음 등장했다. 초기에는 모트(인공 언덕, 토루) 위에 목조 사각형 탑으로 건설되었다.[10] 11세기부터 성채의 석조화가 진행되면서 키프도 석조로 건설되기 시작했다. 12세기 말까지는 정방형 키프가 주를 이루었지만, 잉글랜드 왕 리처드 1세가 가야르 성에 다각형 평면의 키프를 건설한 이후 다각형이나 원형 키프도 나타나기 시작했다.가장 초기의 키프(keep, 주거탑)는 토성의 일부로 건설되었다. 기록과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최초의 키프는 979년 레 뤼 드 비뉴에 건설되었다.[10] 10세기 말과 11세기에 앙주 백국의 앙주의 풀크 3세와 앙주의 제프리 2세는 많은 성을 지었다.[11] 정복왕 윌리엄은 1066년 잉글랜드를 침공하면서 키프 양식을 도입했고, 이후 노르만족이 계곡을 따라 확장하면서 남부 웨일스 전역으로 퍼져나갔다.[12]

토성 설계에서 성은 토루(흙더미와 낮은 벽으로 둘러싸인 구역)와 보루를 포함했다. 키프와 방어벽은 보통 토루 위에 건설되었다. 키프 주변의 일부 방어벽은 벽을 따라 걸을 수 있을 정도로 컸으며, 토루 바깥 벽과 벽길은 나무 벽 사이 틈을 흙과 돌로 채워 강화했다. 이를 ''가릴럼''이라고 불렀다.[13] 작은 토루는 소수 병사만 수용 가능한 단순한 탑만 지탱할 수 있었지만, 큰 토루는 훨씬 더 웅장한 키프를 갖출 수 있었다.[14] 많은 목조 키프는 건물 상층부에서 돌출된 사각형 구조인 ''브레타슈''로 설계되어 방어를 강화하고 구조를 튼튼하게 만들었다.[15] 목조 키프는 공성전에서 쉽게 불이 붙는 것을 막기 위해 가죽으로 보호하기도 했다.[14]
1130년경 장 드 콜미유는 칼레 지역 귀족들이 "가능한 한 높이 흙더미를 쌓고, 그 주위에 넓고 깊은 도랑을 팠다. 흙더미 위 공간은 튼튼한 통나무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으며, 탑으로 강화되었다. 울타리 안에는 요새 또는 키프가 있어 방어 구역 전체를 지휘했다. 요새 입구는 해자 바깥쪽에서 올라와 기둥으로 지지된 다리를 통해 토루 꼭대기에 닿았다"고 묘사했다.[16] 더럼 성의 키프는 "솟아오르는 흙 무덤"에서 솟아올라 "공중으로 솟아오르는, 안팎으로 튼튼한" 키프, "모든 면에서 아름다움으로 빛나는...강력한 집"이라고 묘사되었다.[17] 키프와 토루는 방어적 가치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들에게 강력한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했다.[18]
목조 키프는 꽤 클 수 있었고, 로버트 하이엄과 필립 바커는 "...매우 높고 거대한 구조물"을 건설하는 것이 가능했다고 언급했다.[19] 12세기 초 랑베르 드 아르드르는 아르드르 성 토루 꼭대기에 있는 목조 키프를 묘사했는데, 1층에는 지하실, 곡물 창고, 큰 상자, 통, 술통 등이 있었고, 위층에는 거주자와 일반 거실, 식료품 저장실, 제빵사와 집사의 방, 영주와 아내가 잠을 자는 큰 방이 있었다. 집 위층에는 다락방이 있었고, 이 층에는 집을 지키는 감시병과 하인들이 잠을 잤다.[21]
신성 로마 제국에서는 11세기까지 ''베르크프리트''라고 불리는 독립적인 목조(후에는 석조) 전투탑이 건설되었다. 이는 토성 설계의 일부이거나 ''호헨부르겐'' 성의 일부로 건설되어 특징적인 내부 및 외부 안뜰을 가졌다.[22] ''베르크프리트''는 독일어로 종탑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키프와 유사하지만 일반적으로 면적이 작거나 주거용이 아니고, 성 외부 방어에 통합되어 마지막 수단으로 안전한 피난처가 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23]
10세기 동안 프랑스에서는 랑제 성과 같은 돌로 된 키프가 지어지기 시작했다. 11세기에는 이 양식이 노르망디를 거쳐 프랑스 전역, 잉글랜드, 남부 이탈리아, 시칠리아로 퍼져나가며 그 수가 증가했다.[25] 기존의 목제 토루와 배일리 성은 돌로 개조되었고, 키프는 일반적으로 업그레이드되는 첫 번째 부분 중 하나였다. 다른 경우에는 새로운 키프가 처음부터 돌로 지어졌다.[26] 이러한 돌 키프는 1170년대 잉글랜드가 동부 지역을 점령한 후 아일랜드에 도입되었으며, 특히 새로운 앵글로-노르만 영주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27] 이 시기 프랑스와 잉글랜드에서는 노르만 킵(그레이트 킵, ''donjon carré'', ''donjon roman'')과 원형 쉘 킵 두 가지 유형의 설계가 나타났다.[28]
목재에서 석조 키프로의 전환 이유는 불분명하며, 이 과정은 느리고 불규칙했다.[30] 돌 키프가 목조 건물의 조잡함, 수명 제한, 화재 취약성 때문에 채택되었다고 믿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많은 목조 성이 석조 성만큼 견고하고 정교했다.[31] 헨 도멘처럼 일부 목조 키프는 수년 동안 돌로 개조되지 않고 나무로 확장되었다.[32]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축 재료로서 돌은 군사적, 상징적 이유로 점점 더 인기를 얻었다.[33]
석조 키프 건설에는 숙련된 장인이 필요했다. 자유롭지 못한 노동력이나 농노를 사용하여 건설할 수 있었던 목재 및 토공사와 달리, 장인에게는 임금을 지불해야 했으므로 석조 키프는 비용이 많이 들었다.[34] 또한 석회 모르타르의 한계 때문에 건설 속도가 느렸다. 키프 벽은 일반적으로 연간 최대 12피트(3.6미터)만 올릴 수 있었다. 스카버러 성 키프는 건설에 10년이 걸렸다.[34] 잉글랜드에서는 정복 이후 초기 석조 키프가 몇 개 지어졌지만, 1100년까지 10~15개, 1216년까지 약 100개가 건설되었다.[35]
노르만 킵은 네 면을 가지고 있으며, 모서리는 필라스터 부벽으로 보강되었다. 노르망디와 프랑스에서는 일부 키프가 너비의 두 배인 직사각형 설계를 가졌고, 잉글랜드에서는 사각형 키프가 많았다.[36] 키프는 최대 4층 높이일 수 있으며, 문을 쉽게 부수지 못하도록 입구가 1층에 배치되었다. 초기 프랑스 키프는 나무 외부 계단을 가졌지만, 이후 프랑스와 잉글랜드 성들은 돌 계단을 건설했다.[37] 어떤 경우에는 입구 계단이 추가 벽과 문으로 보호되어 전실을 만들었다.[38] 노르만 디자인의 강점은 벽 두께에서 비롯되었다. 거친 돌로 만들어진 벽은 최대 24피트(7.3미터) 두께일 수 있어 강도가 높고 건물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했다.[39] 큰 키프는 내부 벽으로 세분되었고, 작은 키프는 각 층에 단일 공간을 가졌다.[40] 일반적으로 1층만 돌로 아치형으로 덮였고, 높은 층은 목재로 지지되었다.[38]
잉글랜드에서 노르만 킵이 군사적 또는 정치적 기능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는지에 대한 학술적 논의가 있었다. 초기 분석은 군사적 설계에 초점을 맞추었고, R. 브라운 캐스카트 킹은 사각형 키프가 목조 키프보다 군사적으로 우월하기 때문에 채택되었다고 주장했다. 노르만 킵은 물리적으로 견고했지만, 필라스터 부벽은 실제 건축적 강도를 거의 추가하지 못했다.[41] 설계에 내재된 약점은 초기에는 무의미했다. 사각형 키프 모서리는 공성 무기와 갤러리 채광에 취약했지만, 12세기 말 투석기가 도입되기 전에는 초기 포병이 키프를 손상시킬 기회가 거의 없었고, 갤러리 채광도 거의 시행되지 않았다.[42] 사각형 키프 모서리는 방어자가 발사할 수 없는 사각지대를 만들었지만, 성 포위 공격에서 미사일 발사는 12세기 중반 쇠뇌가 도입될 때까지 중요하지 않았고, 이때 화살 틈새가 도입되기 시작했다.[43]
많은 석조 노르만 킵은 군사적 유용성에 상당한 타협을 했다.[44] 노리치 성은 건물 외부에 정교한 맹아치를 포함하고, 방어가 아닌 공공 의식을 위해 설계된 입구 경로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45] 헤딩엄 성 킵 내부는 의식과 행사를 주최할 수 있었지만, 군사적 결함을 포함했다.[46] 화이트 타워, 콜체스터 성, 쳅스토 성과 같은 초기 잉글랜드 및 웨일스 킵은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로마 재료와 부지를 재사용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고 정치적 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것이었다.[47] 이러한 킵 설계의 정치적 가치와 사회적 위신은 12세기 말까지 잉글랜드에서 계속 건설된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48]
12세기부터 등장한 쉘 킵(프랑스어: ''donjon annulaire'')은 토루의 나무 키프나 환상 요새의 울타리를 원형 석조 벽으로 대체했다.[49] 쉘 킵은 때때로 세미즈라는 낮은 보호 벽으로 보호되었다. 건물은 쉘 내부 주변에 건설될 수 있었고, 중앙에 작은 내부 안뜰이 생성되었다.[50] 이 스타일은 잉글랜드 남동부와 노르망디에서 인기가 있었지만, 다른 곳에서는 덜했다.[51] 레스터멜 성과 론세스턴 성은 이 발전의 전형적인 예이다. 지소르 성과 레이덴 성은 이 시대의 가장 강력한 요새 중 하나였다.[52] 원형 디자인은 사각형 모서리가 있는 디자인보다 군사적 이점을 가졌지만, 이는 12세기 말부터 중요해졌다. 12세기 쉘 킵 디자인 채택의 주요 이유는 키프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 원래 토공사의 원형 디자인이었다. 윈저 성처럼 불규칙한 토루를 수용하기 위해 원형보다 덜한 디자인도 있었다.[53]
2. 2. 발전과 변화 (12세기 ~ 16세기)
12세기 말, 잉글랜드 왕 리처드 1세가 가야르 성(Château Gaillard)에 다각형 키프를 건설하면서 다각형 및 원형 키프가 등장했다.[54] 12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프랑스는 일 드 프랑스를 통치하는 카페 왕조와 노르망디와 프랑스 서부 상당 부분을 통제하는 잉글랜드 왕 사이에 분열되어 있었다.[55] 카페 왕조 영토 내에서 새로운 망루 디자인에 대한 초기 실험은 1120년 우당의 돈존(Donjon de Houdan)에서 시작되었으며, 4개의 둥근 포탑이 있는 원형 망루가 건설되었지만 내부는 전통적인 사각형으로 남아 있었다.[56] 몇 년 후, 에탕프 성(Château d'Étampes)은 꽃잎 모양 디자인을 채택했다.[57] 1190년대에 프랑스 권력 투쟁은 필리프 2세에게 유리하게 기울기 시작했고, 1204년 카페 왕조가 노르망디를 점령하면서 절정에 달했다. 필리프 2세는 루앙 성(Rouen Castle)의 잔 다르크 탑과 같은 완전히 원형 망루를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대부분은 새로 획득한 영토에 건설되었다.[59]13세기 초, 웨일스 변경백령과 스코틀랜드에서 원형 키프가 인기를 얻었다.[67] 중세 시대 대부분 동안 이베리아 반도는 기독교 왕국과 이슬람 왕국으로 분열되었으며, 어느 쪽도 전통적으로 망루를 건설하지 않고 감시탑이나 벽탑을 건설했다.[71] 그러나 12세기에 이르러 프랑스와 다양한 군사 기사단의 영향으로 인해 이 지역의 기독교 성에서 사각형 망루가 개발되었으며, 세기 후반까지 이러한 관행은 이슬람 왕국으로 확산되었다.[72]
14세기 말, 프랑스 왕 샤를 5세는 뱅센 성(Château de Vincennes)을 건설하여 궁전 요새의 개념을 도입했다.[82] 15세기, 잉글랜드에서는 워더 성, 태터셜 성, 래글런 성 등에서 프랑스의 영향을 받은 복잡한 타워 돈사가 건설되었다.[94] 15세기와 16세기에는 스코틀랜드에서 홀리루드 그레이트 타워가 건설되었다.[96] 이 시기,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북부에서는 타워 하우스 또는 필 타워라고 불리는 작고 돈사와 유사한 구조물이 건설되었다.[98] 16세기 이후, 화약 무기의 발달과 주거 건축 양식의 변화로 인해 키프는 점차 그 중요성을 잃게 되었다.[103]
2. 3. 쇠퇴와 현대 (17세기 ~ 21세기)
17세기부터 일부 돈전은 의도적으로 파괴되기 시작했다. 잉글랜드에서는 1649년 제2차 잉글랜드 내전 이후 의회가 왕당파의 재봉기를 막기 위해 성을 훼손하면서 많은 돈전이 파괴되었다. 케닐워스에서는 돈전만 훼손되었고, 래글런에서는 돈전이 주요 파괴 대상이었다.[108] 프랑스에서도 17세기와 18세기에 리슐리외 추기경에 의해 몽테귀용 성이 파괴되는 등 일부 돈전이 파괴되었다.[109]18세기 중반, 폐허가 된 중세 성이 다시 유행하면서 일부 돈전이 개조되었다. 호워든은 더 높고 낡아 보이도록 개조되었다.[111]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는 잉글랜드에서 복제 성을 짓는 것이 유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돈전도 복원되거나 재건되었다. 1820년에서 1840년 사이에 펜린에 마지막 복제 돈전이 세워졌다.[112]
19세기 유럽에서는 고딕 리바이벌 양식에 맞춰 돈전을 복원하거나 재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잉글랜드에서는 앤서니 샐빈이 윈저 성의 돈전을 개조했고,[114] 프랑스에서는 외젠 비올레르 뒤크가 피에르퐁 성의 돈전을 개조했다.[114]
20세기 스페인 내전과 제1차 및 제2차 세계 대전은 유럽의 많은 성 돈전에 피해를 입혔다. 쿠시 성의 돈전은 1917년 독일 육군에 의해 파괴되었다.[115] 20세기 후반, 성 돈전 보존은 정부 정책의 일부가 되었다.[116] 21세기 잉글랜드에서 대부분의 돈전은 관광 및 유산 산업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윈저 성의 돈전은 예외적인 경우이다.[117] 독일에서는 많은 "베르크프리트" 타워가 정부 사무실이나 유스호스텔로 복원되거나 현대화되었다.[117]
3. 구조
키프는 평상시 성주의 거주 공간으로도 사용되었으며, 그 구조는 형태에 따라 다양했다. 일반적인 키프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층수 | 용도 |
---|---|
지하층 | 감옥(던전) |
1층 | 출입구 (다리나 계단으로 출입), 관리 공간 |
2층 | 광간 |
3층 | 거주 공간 |
최상층/옥상 | 흉벽, 발티잔(감시용 소탑), 좁은 틈새 등 방어 시설 |
4. 어원 및 용어
16세기부터 영어 단어 "keep"(킵)은 성의 큰 탑을 지칭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4] 이 단어는 약 1375년에서 1376년 사이에 유래되었으며, 바구니 또는 통을 의미하는 중세 영어 용어 "kype"(카이프)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통을 닮았다고 하는 셸 키프인 기엔에 적용된 용어였다.[5] 17세기까지 "keep"이라는 단어는 원래 의미를 잃었고, '보관하다' 또는 '보호하다'라는 의미의 중세 영어 단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널리 여겨졌다.[4]
현대 중세 작가들은 오늘날 킵이라고 부르는 건물에 대해 다양한 용어를 사용했다. 라틴어로는 "turris"(투리스), "turris castri"(투리스 카스트리) 또는 "magna turris"(마그나 투리스)로 다양하게 묘사되었는데, 이는 "탑", "성 탑" 또는 "큰 탑"을 의미한다.[7] 12세기 프랑스인들은 이를 라틴어 "dominarium"(도미나리움) "영주권"에서 유래된 '''돈존(donjon)'''이라고 불렀다.[68] 중세 스페인 작가들은 이 건물을 "torre del homenaje"(토레 델 오메나헤) 또는 "경의의 탑"이라고 불렀다. 잉글랜드에서 "donjon"은 "dungeon"(던전)으로 바뀌었는데, 처음에는 감옥이 아니라 킵을 지칭했다.[8]
이 용어는 여전히 일반적인 학술 용어로 사용되고 있지만, 일부 학자들은 "donjon"이라는 용어를 선호하며, 대부분의 현대 역사가들은 "keep"라는 용어를 단순하게 사용하는 것을 경고한다.[9]
5. 사회정치적 의의
킵은 단순한 군사 시설이 아니라, 영주의 권위와 권력을 상징하는 건축물이었다. 노르만 킵은 정치적 기능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며, 지역 주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고 정치적 효과를 내기 위해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다.[47] 예를 들어, 화이트 타워, 콜체스터 성, 쳅스토 성과 같은 초기 잉글랜드 및 웨일스 킵은 모두 로마 재료와 부지를 재사용하여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지어졌다.[47]
필리프 2세가 건설한 원형 킵은 새로운 권력과 권위를 과시하려는 시도였다.[61] 필리프 2세는 루앙 성의 잔 다르크 탑과 같은 원형 킵을 건설했는데, 이는 카페 왕조의 부흥을 상징했다.[62]
오포드 성의 킵은 정치적 상징성과 동앵글리아의 분쟁 지역을 지배하려는 헨리 2세의 필요성에 의해 건설되었을 가능성이 높다.[68] 이 건축물은 아더 왕 또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했다.[69]
14세기 말 잉글랜드 북부에서는 워크워스와 같은 대형 타워 돈사가 건설되었다. 이는 스코틀랜드 국경의 보안 개선과 퍼시 가문과 같은 주요 귀족 가문의 부상을 반영했다.[90]
15세기 카스티야 왕국의 귀족들은 페냐피엘 성과 같은 높은 돈사를 건설하여 카스티야 왕관의 약점을 이용했다.[86]
참조
[1]
문화재
[2]
문헌
[3]
서적
The Castle Explorer's Guide
https://archive.org/[...]
Crown Publishers
[4]
문헌
[5]
문헌
[6]
문헌
[7]
문헌
[8]
문헌
[9]
문헌
[10]
문헌
[11]
문헌
[12]
문헌
[13]
문헌
[14]
문헌
[15]
문헌
[16]
문헌
[17]
문헌
[18]
문헌
[19]
문헌
[20]
문헌
[21]
문헌
[22]
문헌
[23]
문헌
[24]
문헌
[25]
문헌
[26]
문헌
[27]
문헌
[28]
문헌
[29]
문헌
[30]
문헌
[31]
문헌
[32]
문헌
[33]
문헌
[34]
문헌
[35]
문헌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문헌
[72]
문헌
[73]
문헌
[74]
문헌
[75]
문헌
[76]
문헌
[77]
문헌
[78]
문헌
[79]
문헌
[80]
문헌
[81]
문헌
[82]
문헌
[83]
문헌
[84]
문헌
[85]
문헌
[86]
문헌
[87]
문헌
[88]
문헌
[89]
문헌
[90]
문헌
[91]
문헌
[92]
문헌
[93]
문헌
[94]
문헌
[95]
문헌
[96]
문헌
[97]
문헌
[98]
문헌
[99]
문헌
[100]
문헌
[101]
문헌
[102]
문헌
[103]
문헌
[104]
문헌
[105]
문헌
[106]
서적
Gomme and Maguire
[107]
서적
Bull
[108]
서적
Johnson
[109]
서적
Châtelain
[110]
서적
Gerrard
[111]
서적
Pettifer (2000a)
[112]
서적
Thompson (1994)
[113]
서적
Jones
[114]
서적
Hanser
[115]
서적
Thompson, rise
[116]
서적
Stubbs and Makaš
[117]
서적
Taylor
[118]
서적
J・E・カウフマン、H・W・カウフマン共著 中島智章訳『中世ヨーロッパの城塞』マール社 2012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