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스티팔라이아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스티팔라이아섬은 에게해에 위치한 그리스의 섬으로, 지리적으로 바위가 많고 작은 해변이 특징이다. 고대에는 그리스 신화와 로마 제국의 영향을 받았으며, 중세 시대에는 비잔틴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912년 이탈리아에 점령되었다가 1947년 파리 조약을 통해 그리스에 귀속되었다. 주요 마을로는 아스티팔라이아, 말테자나 등이 있으며, 2023년에는 폭스바겐 그룹과 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이동성을 위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기독교 주교구로 지정되었으며, 명목 주교구로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가라인의 식민지 - 칼케돈
    칼케돈은 기원전 685년 메가라 식민지로 건설되어 무역으로 번성하고 여러 신전이 건설되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자유 도시의 지위를 얻었지만 여러 침입을 겪었고, 451년에는 칼케돈 공의회가 개최되었으며, 여러 순교자들과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한 고대 도시이다.
  • 메가라인의 식민지 - 살라미나섬
    살라미나섬은 그리스 아티카 지방의 도서 지방 자치 단체로, 아이아스와 에우리피데스의 고향이자 살라미스 해전의 격전지이며, 현재는 해군 기지와 아테네 시민들의 휴양지로 활용되고, 살라미나 시와 암펠라키아로 나뉘어 아르바니테스인의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섬이다.
  • 남에게주의 섬 - 키클라데스 제도
    키클라데스 제도는 에게 해 남부에 위치한 약 220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그리스의 제도로, 델로스 섬을 중심으로 원을 이루며 아모르고스, 안드로스, 미코노스, 산토리니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키클라데스 문명의 발상지이자 독특한 문화와 아름다운 자연환경으로 유명한 관광지이다.
  • 남에게주의 섬 - 도데카니사 제도
    도데카니사 제도는 에게 해 남동쪽에 위치한 그리스의 섬 그룹으로, 15개의 주요 섬과 93개의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아 로도스 중세 도시와 파트모스 섬의 역사 지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도데카니사 제도 - 로도스섬
    로도스섬은 도데카니사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이자 그리스의 주요 관광지 중 하나로, 에게해 남동쪽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았고 중세에는 성 요한 기사단의 요새였으며 로도스 시와 로도스의 중세 도시를 포함하고 관광 산업과 와인 생산지로 유명하다.
  • 도데카니사 제도 - 카스텔로리조섬
    카스텔로리조섬은 터키 해안 근처 지중해 동부에 위치한 그리스 섬으로, 석회암 지질과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도리아 그리스 시대부터 다양한 지배를 거쳐 1947년 그리스에 귀속되었고 영화 촬영 이후 관광지로 발전했다.
아스티팔라이아섬
개요
아스티팔라이아 (항구)
아스티팔라이아 (항구)
위치남에게 해
면적114.1 km²
최고 고도506 m
행정
국가그리스
행정 구역남에게 해
칼림노스 현
자치체아스티팔라이아
인구 통계
인구 (2021년)1,376명
일반 정보
우편 번호859 00
지역 번호22430
차량 번호판ΚΧ, ΡΟ, ΡΚ
웹사이트아스티팔라이아 공식 웹사이트
언어별 명칭
그리스어Αστυπάλαια
로마자 표기Astypálaia

2. 지리

아스티팔라이아의 해안은 바위가 많으며 조약돌이 깔린 작은 해변이 많다. 폭이 약 126미터에 불과한 좁은 땅이 스테노에서 섬을 거의 두 부분으로 나눈다.

자코모 프랑코(1597)의 아스티팔라이아 지도.


2. 1. 위치 및 교통

아스티팔라이아섬의 해안은 대부분 암석 지형이며, 곳곳에 자갈로 된 작은 해변이 있다. 섬의 중심지인 아스티팔레아(현지에서는 호라라고 불림)는 주요 항구 도시이기도 했지만, 피레우스와 도데카니소스 제도 모두에 접근성이 좋은, 중부의 아기오스 안드레아스에 신항이 건설되었다. 아테네에서 말테자나의 공항으로 정기 항공편이 운항된다.

2. 2. 구성

아스티팔라이아섬의 주요 마을은 아스티팔라이아 또는 호라(1,084명), 아날리프시 또는 말테자나 (111명), 리바디아 (159명), 바티 (17명)이다. 주변 섬으로는 아기아 키리아키, 아브고, 글리노, 자포라스, 쿠누포이, 쿠초미티, 메소니시, 오피두사, 플라키다, 폰티쿠사, 스테파니아, 시르나, 포키오니시아, 콘드로, 콘드로니시 등이 있으며, 아스티팔라이아 섬 자체를 제외하고는 모두 무인도이다.

3. 역사

그리스 신화에서 아스티팔라이아는 날개 달린 물고기 꼬리 표범의 모습으로 포세이돈에게 납치된 여성이다.[5] 이 섬은 메가라 또는 에피다우로스에 의해 식민지화되었으며, 그 통치 체제와 건물은 수많은 비문으로 알려져 있다.[6] 플리니우스 (대 플리니우스)는 로마가 아스티팔라이아에 자유 국가의 지위를 부여했다고 기록했다.[7] 이 섬은 에게해 로마 속주의 인술라이에 할당되었다.

아스티팔라이아와 그 성의 모습


호라의 모습


중세 시대 동안 이 섬은 비잔틴 제국에 속해 있었다. 13세기 초 제4차 십자군 이후 라틴 제국에 정복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에 대한 문서는 없다. 라틴인들에게 '''스탐팔리아'''로 알려진 이 섬은 1334년, 튀르크 통치자 아이딘의 우무르의 파괴적인 습격 중에 처음 언급되었다.[8] 이 습격 직전에 베네치아 공화국 귀족 조반니 퀘리니가 섬을 매입하여 스스로 영주를 자처하고 그곳에 성과 궁전을 지었다.[8] 퀘리니 가문은 1522년까지 섬을 소유했으며, 섬의 이름을 가문에 추가하여 ''퀘리니 스탐팔리아''가 되었다. 아스티팔라이아는 1522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으며, 1648년부터 1668년까지 크레타 전쟁 동안 베네치아가 점령했고, 1821년부터 1828년까지 그리스 독립 전쟁 동안 임시 그리스 공화국의 일부였던 두 번의 중단을 제외하고 1912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912년 4월 12일,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중 ''레지아 마리나''의 분견대가 아스티팔라이아에 상륙하여 도데카니소스 제도에서 이탈리아에 점령된 첫 번째 섬이 되었다. 이탈리아군은 거기에서 5월 3일과 4일 밤 사이에 로도스에 상륙했다.[9] 이 섬은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이탈리아의 지배를 받았다. 1943년 9월 아스티팔라이아 인근 해전에서 그리스 구축함 ''바실리사 올가''는 영국 구축함과 함께 수송선 ''플루토'' (2,000톤)와 ''파올로'' (4,000톤)로 구성된 독일 호송선을 격침시켰다.

1947년, 파리 조약을 통해 도데카니소스 제도와 함께 그리스에 속하게 되었다.

3. 1.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아스티팔라이아는 날개 달린 물고기 꼬리 표범의 모습으로 포세이돈에게 납치된 여성이다.[5] 이 섬은 메가라 또는 에피다우로스에 의해 식민지화되었으며,[6] 수많은 비문을 통해 당시의 통치 체제와 건물을 알 수 있다.[6] 플리니우스 (대 플리니우스)는 로마가 아스티팔라이아에 자유 국가의 지위를 부여했다고 기록했다.[7] 이 섬은 에게해 로마 속주의 인술라이에 할당되었다.

기원전 105년, 아스티팔라이아와 로마 사이에 체결된 조약은 섬에서 발견된 비문에 남아 있다.[14] 이 조약은 로마와 아스티팔라이아 간의 주권 평등을 공식적으로 가정한다. 아스티팔라이아인은 로마의 적을 돕거나 자국 영토를 통과하도록 허용하지 않을 것이며, 마찬가지로 로마는 아스티팔라이아의 적을 돕거나 자국 영토를 통과하도록 허용하지 않는다. 아스티팔라이아에 대한 공격 시 로마는 지원을 할 것이며, 로마에 대한 공격 시 아스티팔라이아는 지원을 할 것이다. 기원전 2세기 말, 로마는 그리스 도시 국가들과의 관계에서 형식적인 상호주의를 유지했다. 로마가 아스티팔라이아를 위해 이러한 공식적인 예우를 할 이유가 없었으므로, 이 조약은 텍스트가 남아 있지 않은 다른 그리스 도시 국가와의 조약에 사용된 표준 공식을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21]

3. 2. 중세

중세 시대 동안 이 섬은 비잔틴 제국에 속해 있었다.[8] 13세기 초 제4차 십자군 이후 라틴 제국에 정복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에 대한 문서는 없다. 라틴인들에게 '''스탐팔리아'''로 알려진 이 섬은 1334년, 튀르크 통치자 아이딘의 우무르의 파괴적인 습격 중에 처음 언급되었다.[8] 이 습격 직전에 베네치아 공화국 귀족 조반니 퀘리니가 섬을 매입하여 스스로 영주를 자처하고 그곳에 성과 궁전을 지었다.[8] 퀘리니 가문은 1522년까지 섬을 소유했으며, 섬의 이름을 가문에 추가하여 ''퀘리니 스탐팔리아''가 되었다. 아스티팔라이아는 1522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으며,[8] 1648년부터 1668년까지 크레타 전쟁 동안 베네치아가 점령했고, 1821년부터 1828년까지 그리스 독립 전쟁 동안 임시 그리스 공화국의 일부였던 두 번의 중단을 제외하고 1912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3. 3. 오스만 제국과 근대

오스만 제국은 1522년에 아스티팔라이아섬을 정복했으나, 크레타 전쟁(1645-1669) 기간 동안 베네치아 공화국이 점령하기도 했다. 그리스 독립 전쟁(1821-1828) 기간에는 임시 그리스 공화국의 일부였다.

1912년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중, 이탈리아 왕국 해군(레지아 마리나)이 아스티팔라이아에 상륙하여 도데카니소스 제도에서 처음으로 이탈리아에 점령된 섬이 되었다. 이탈리아군은 거기에서 5월 3일과 4일 밤 사이에 로도스에 상륙했다. 1943년 9월, 아스티팔라이아 인근 해전에서 그리스 구축함 ''바실리사 올가''는 영국 구축함 및 와 함께 수송선 ''플루토''(2,000톤)와 ''파올로''(4,000톤)로 구성된 독일 호송선을 격침시켰다.

1947년, 파리 조약을 통해 도데카니소스 제도와 함께 그리스에 귀속되었다.

3. 4. 현대

그리스 신화에는 물고기 꼬리를 가진 표범으로 변한 포세이돈에게 납치된 아스티팔라이아라는 여성이 등장한다.[5] 이 섬은 메가라의 식민지가 되었지만, 그 정치 체제와 당시의 건물은 많은 비문을 통해 알 수 있다.[6] 플리니우스는 로마가 아스티팔라이아에 자유 국가의 지위를 부여했다고 기록했다.[7]

중세 시대 동안 이 섬은 비잔틴 제국에 속해 있었다가 13세기 초 제4차 십자군 이후 라틴 제국에 정복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에 대한 문서는 없다. '''스탐팔리아'''로 알려진 이 섬은 1334년, 튀르크 통치자 아이딘의 우무르의 파괴적인 습격 직전에 베네치아 공화국 귀족 조반니 퀘리니가 섬을 매입하여 스스로 영주를 자처하고 그곳에 성과 궁전을 지었다.[8] 퀘리니 가문은 1522년까지 섬을 소유했으며, 섬의 이름을 가문에 추가하여 ''퀘리니 스탐팔리아''가 되었다. 아스티팔라이아는 1522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으며, 1648년부터 1668년까지 크레타 전쟁 동안 베네치아가 점령했고, 1821년부터 1828년까지 그리스 독립 전쟁 동안 임시 그리스 공화국의 일부였던 두 번의 중단을 제외하고 1912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중인 1912년 4월 12일, 레지아 마리나의 분견대가 아스티팔라이아에 상륙하여 도데카니소스 제도에서 이탈리아에 점령된 첫 번째 섬이 되었다. 이탈리아군은 거기에서 5월 3일과 4일 밤 사이에 로도스에 상륙했다.[9] 이 섬은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이탈리아의 지배를 받았다. 1943년 9월 아스티팔라이아 인근 해전에서 그리스 구축함 ''바실리사 올가''는 영국 구축함 및 와 함께 수송선 ''플루토'' (2,000톤)와 ''파올로'' (4,000톤)로 구성된 독일 호송선을 격침시켰다. 1947년, 파리 조약을 통해 도데카니소스 제도와 함께 그리스에 속하게 되었다.

아스티팔라이아섬에서 1990년대에, 아마도 고유종을 나타내는 속(genus) ''팔레올록소돈''(Palaeoloxodon)에 속하는 왜소 코끼리의 큰 엄니 하나가 발굴되었다.[10] 고대 아스티팔라이아 도시 국가의 종교적, 정치적 중심지는 퀘리니 성이 있는 언덕이었으며, 현대의 도시인 호라(Chora)는 동일한 부지를 차지하고 있다.

킬린드라(Kylindra)에서는 기원전 750년경부터 로마 시대까지 2세 미만의 신생아와 어린아이 최소 2700명이 도자기 항아리에 묻힌 독특한 묘지가 발굴되었다.[11] 카찰로스(Katsalos)에서는 성인 및 어린이 묘지가 발굴되었다.[11] 아기아 바르바라 예배당 아래에서 초기 기독교 시대 바실리카의 보존 상태가 좋은 모자이크 바닥이 발견되었다. 탈라라스(Tallaras)에는 헬리오스가 12궁도 기호로 둘러싸인 모자이크 바닥이 있는 후기 로마 시대 목욕탕 유적이 있다. 카레클리(Schoinountas)와 아기오스 바실리오스(Livadi 남쪽)에는 초기 기독교 바실리카 유적이 남아있다. 파텔로스 산에는 베네치아 이전 시대의 요새 유적이 있다.[13]

2023년, 그리스 정부는 폭스바겐 그룹(Volkswagen Group)과 아스티팔라이아섬을 지속 가능한 이동성을 개발하기 위한 실험실로서 "기후 중립 이동성을 위한 모델 섬"으로 바꾸는 데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자동차와 밴을 전기 자동차로 교체하기 위한 상당한 보조금이 지급될 예정이며, 차량 공유 및 수요 응답형 교통이 도입될 예정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3.5 메가와트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와 배터리 저장 장치가 건설될 예정이다.[15][16]

4. 종교

4. 1. 기독교

아스티팔라이아는 기독교 주교구가 되었으며 10세기 교구 목록에 언급되어 있다.[17] 이곳은 에게해 도서 속주의 수도인 로도스 로마 가톨릭 대교구의 교구장 주교였다.

4. 2. 가톨릭 명목 교구

1933년, '아스티팔라이아'라는 이름으로 명목 주교구가 복원되었다.[18] 수십 년 동안 공석이었으며, 제임스 부이스 주교가 밀힐 선교회 소속으로 1952년 2월 14일부터 1980년 4월 24일까지 재임했다.[18] 그는 코타키나발루 사도 대목구의 사도 대목을 1947년부터 1972년까지 역임했다.[18]

5. 인물

오네시크리토스(기원전 360년경 - 기원전 290년경)는 역사가이자 여행가였다. 프랭크 스카르타도스(1956–2018)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사업가였다. 에브도키아 아나그노스투는 캐나다 홀랜드 블루어뷰 어린이 재활 병원 자폐증 분야의 초대 스튜어트 D. 심스 교수 겸 의장이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 치료 연구 캐나다 연구 의장을 맡고 있다.

참조

[1] 서적 Early Cycladic Sculpture in Context from Beyond the Cyclades: Mainland Greece, the North and East Aegean 2019
[2] 간행물 Contribution to the knowledge of vascular flora on Astypalea Island (Dodecanese, Greece). 2016
[3] 문서 Astypalaia Encyclopædia Britannica
[4]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5] 웹사이트 Theoi.com http://www.theoi.com[...]
[6] 문서 Astropalia
[7] 문서 The Aegean Oxford
[8] 서적 The Island Princes of Greece: The Dukes of the Archipelago Adolf M. Hakkert
[9] 문서 Bertarelli
[10] 간행물 Pleistocene insular Proboscidea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A review and update https://linkinghub.e[...] 2019-08
[11] 간행물 The ancient cemeteries of Astypalaia, Greece
[12] 문서 The World's Largest Infant Cemetery and Its Potential for Studying Growth and Development
[13] 문서 Astypalaia: Lady of the Aegean Municipality of Astypalea
[14] 웹사이트 Greek text at IGXII,3 173. http://epigraphy.pac[...]
[15] 뉴스 My trip to a Greek island idyll where electric vehicles rule https://www.theguard[...] 2023-09-19
[16] 웹사이트 Electric island Astypalea: Transformation of mobility fully underway https://www.volkswag[...] 2023-06-13
[17] 서적 Hieroclis Synecdemus et notitiae graecae episcopatuum: Accedunt Nili Doxapatrii Notitia patriarchatuum et locorum nomina immutata https://books.google[...] Nicolai 1866
[18] 문서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 웹사이트 Theoi.com http://www.theoi.com[...]
[20] 문서 Bertarelli
[21] 문서 Rome and the Greek East to the death of Augustus https://books.google[...]
[22] 문서 Astypalaia Encyclopædia Britann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