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은 1911년 9월 29일 이탈리아가 오스만 제국에 전쟁을 선포하면서 시작된 전쟁이다. 이탈리아는 1878년 베를린 회의 이후 튀니지를 획득한 프랑스에 대응하여 트리폴리를 차지하려는 의도를 품었고, 영국, 러시아 등 열강의 묵인 속에 전쟁을 준비했다. 이탈리아는 해안 지역을 점령했지만, 오스만 제국과 현지 리비아인들의 저항에 직면하여 내륙 진격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탈리아는 잔혹 행위로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으며, 해상 전투에서는 우위를 점했다. 1912년 10월 18일 스위스 우치에서 조약을 체결하여 전쟁을 종결, 오스만 제국은 트리폴리타니아와 키레나이카를 이탈리아에 할양했다. 이 전쟁은 발칸 반도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에 영향을 미쳤으며, 도데카니소스 제도의 지배권을 변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전쟁 개요
분쟁 명칭이탈리아-튀르크 전쟁
다른 명칭터키어: Trablusgarp Savaşı (트라블루스갈프 사바시)
이탈리아어: Guerra di Libia (구에라 디 리비아)
전쟁의 부분아프리카 분할
시기1911년 9월 29일 – 1912년 10월 18일
장소오스만 제국령 트리폴리타니아 (오스만령 리비아)
에게 해
동지중해
명분불명
결과이탈리아의 승리
영토 변화이탈리아가 이탈리아령 트리폴리타니아, 이탈리아령 키레나이카, 도데카네스 제도 획득
교전 세력
교전국 1이탈리아 왕국
교전국 2오스만 제국
[[File:Flag of Cyrenaica.svg|border|25px]] 사누시 교단
지휘관
이탈리아 왕국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조반니 졸리티
카를로 카네바
아우구스토 아우브리
조반니 아멜리오
루이지 파라벨리
오스만 제국 및 사누시 교단메흐메트 5세
메흐메트 사이드 파샤
엔베르 파샤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오마르 알-무크타르
병력 규모
이탈리아 왕국 (1911년 동원)병력: 89,000명
사족 동물: 14,600마리
수레: 2,550량
야포: 132문
산포: 66문
공성포: 28문
이탈리아 왕국 (1912년 추가)알피니 부대 4개 대대
아스카리 부대 7개 대대
메하리스티 기병대 1개 중대
오스만 제국 및 사누시 교단 (초기)정규 터키군: ~8,000명
현지 비정규군: ~20,000명
오스만 제국 및 사누시 교단 (최종)~40,000명 (터키군 및 리비아군)
사상자 및 피해
이탈리아 왕국전사: 1,432명
질병으로 사망: 1,948명
부상: 4,250명
오스만 제국 및 사누시 교단전사: 8,189명
보복 및 처형으로 사망: ~10,000명
군함: 장갑함 1척 침몰, 어뢰정 2척 침몰
관련 전투
트리폴리 근처의 이탈리아 포병대
트리폴리 항구의 포대와 주둔하는 이탈리아 육군
캠페인 상자캠페인 상자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아프리카 분할아프리카 분할
제1차 세계 대전으로 가는 길제1차 세계 대전으로 가는 길

2. 배경

1878년 베를린 회의에서 프랑스 제3 공화국과 대영 제국은 각각 튀니지 프랑스 보호령과 영국령 키프로스를 획득하기로 합의했는데, 이 두 지역은 쇠퇴하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다. 이탈리아 외교관들이 반대 의사를 표명하자, 프랑스는 트리폴리를 이탈리아에게 양보할 수 있다고 답했다. 1887년 2월, 이탈리아는 영국과 비밀 협약을 맺어 이집트에서 영국의 통치를 지지하고, 영국은 리비아에서 이탈리아의 영향력을 지지하기로 합의했다.[17][18]

이탈리아는 삼국 동맹의 동맹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독일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반발을 우려하여 이들과의 사전 협의 없이 전쟁을 개시하기로 결정했다. 1911년 9월 26~27일 밤, 이탈리아는 통일과 진보 위원회가 이끄는 오스만 정부에 최후통첩을 전달했다. 오스만 제국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중재를 통해 전쟁 없이 리비아 통제권을 이전하고 형식적인 종주권만 유지하는 방안을 제안했지만, 이탈리아는 이를 거부하고 1911년 9월 29일 전쟁을 선포했다.[75]

2. 1. 유럽 열강들의 묵인과 이탈리아의 제국주의적 야망

1902년 이탈리아는 프랑스와 비밀 조약을 맺어 트리폴리타니아모로코에 대한 자유로운 간섭을 허용받았다.[19] 이 협정은 줄리오 프린티 이탈리아 외무장관과 카미유 바레르 프랑스 대사가 협상하여 북아프리카를 둘러싼 양국 간의 오랜 경쟁을 종식시켰다. 같은 해, 영국 역시 이탈리아에 리비아의 지위 변경이 이탈리아의 이익에 부합할 것이라고 약속했다.[18] 이러한 조치는 이탈리아가 삼국 동맹에 대한 헌신을 약화시키고, 독일 제국을 견제하려는 의도였다.

1909년, 이탈리아는 러시아 제국과 라코니지 협정을 체결하여 트리폴리키레나이카에 대한 이익을 인정받았다.[20] 이는 삼국 협상 국가들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이었다. 그러나 이탈리아 정부는 이러한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았다.

1911년 모로코에서 프랑스의 군사 행동(아가디르 위기)이 발생하자, 이탈리아는 이를 기회로 삼아 리비아 침공을 결정했다. 영국 외무장관 에드워드 그레이는 오스만 제국이 아닌 이탈리아를 지지하겠다고 밝혔다.

이탈리아 내에서는 엔리코 코라디니와 같은 민족주의자들의 식민지 확장 요구가 거세지고 있었다.[21] 언론은 리비아의 풍부한 자원과 오스만 제국의 약한 방어력을 과장하며 침략을 정당화했다.[12]

이탈리아 총리 조반니 졸리티, 1905년


조반니 졸리티 이탈리아 총리는 초기에는 오스만 제국과의 관계 유지를 중시했으나, 국내외 정세 변화와 여론의 압박에 굴복하여 전쟁을 결정하게 되었다. 이탈리아 사회당은 전쟁에 반대했지만, 이 문제에 대해 분열되어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당시 좌익 사회주의자였던 베니토 무솔리니는 반전 입장을 분명히 했다.

3. 군사 작전

1911년 9월 29일, 이탈리아는 오스만 제국에 전쟁을 선포했다.[26] 이탈리아는 리비아에 대한 관심을 표명했고, 오스만 제국이 적절히 대응하지 않자 10월 4일 리비아 해안에 상륙했다.[26] 오스만 제국은 이탈리아와의 우호 관계를 고려하여 리비아에 헌병대만 남겨두고 정규군을 예멘으로 보낸 상태였다.[26]

이탈리아군은 전쟁 준비가 부족했고 병력도 부족했지만, 10월 3일 트리폴리 폭격을 시작으로 군사 작전을 개시했다.[25] 1,500명의 해군이 트리폴리를 점령했고, 외교적 해결 제안은 거부되었다.[25] 10월 10일, 이탈리아군은 리비아 해안에 상륙했지만, 이전의 군사적 경험과 상륙 작전에 대한 계획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30]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20,000명의 병력으로 10월 3일부터 21일 사이에 트리폴리, 토브루크, 데르나, 벵가지, 호므스를 점령했다.[30]

1911년, 트리폴리에서 터키군을 향해 사격하는 이탈리아군.


오스만 제국은 정규군이 부족했고 해군력도 약했기 때문에 현지 리비아인들을 조직하여 이탈리아 침략에 맞섰다.[27] 이탈리아군은 현대적인 장갑차[32]와 항공기를 사용했지만, 초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33] 1911년 10월 23일, ''대위'' 카를로 피아자가 최초의 정찰 비행을 했고,[34] 일주일 후, ''소위'' 줄리오 가보티가 타주라와 아인 자라에 4개의 수류탄을 투하하여 역사상 최초의 공중 폭격을 실시했다.[34]

1911년 12월 4일, 이탈리아군은 토브루크에 상륙하여 해안을 점령하고 내륙으로 진격했다.[37]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대위는 소수의 오스만 제국 군인과 리비아 자원병들을 조직하여 저항했고, 12월 22일 토브루크 전투에서 승리했다.[38]

기술적, 수적으로 우세한 이탈리아군은 쉽게 해안을 장악했지만, 내륙 깊숙이 진격하지는 못했다.[35] 1912년 말까지 이탈리아는 리비아 정복에 거의 진전을 이루지 못했고, 해안 지역에 갇혀 있었다.[8]

3. 1. 초기 공세와 연안 지역 점령

1911년 9월 29일, 이탈리아는 오스만 제국에 전쟁을 선포했다.[26] 이탈리아는 리비아에 대한 직접적인 관심을 표명했고, 오스만 제국이 적절히 대응하지 않자 1911년 10월 4일 리비아 해안에 상륙했다.[26] 오스만 제국은 이탈리아와의 우호 관계를 고려하여 리비아에 헌병대만 남겨두고, 정규군을 예멘으로 보낸 상태였다.[26]

이탈리아군은 전쟁 준비가 부족했고 병력도 부족했지만, 10월 3일 트리폴리 폭격을 시작으로 군사 작전을 개시했다.[25] 1,500명의 해군이 트리폴리를 점령했고, 외교적 해결 제안은 거부되었다.[25]

10월 10일, 이탈리아군은 리비아 해안에 상륙했지만, 이전의 군사적 경험과 상륙 작전에 대한 계획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30]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20,000명의 병력으로 10월 3일부터 21일 사이에 트리폴리, 토브루크, 데르나, 벵가지, 호므스를 점령했다.[30]

오스만 제국은 정규군이 부족했고, 해군력도 약했기 때문에 현지 리비아인들을 조직하여 이탈리아 침략에 맞섰다.[27]

이탈리아군은 현대적인 장갑차[32]와 항공기를 사용했지만, 초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33] 1911년 10월 23일, ''대위'' 카를로 피아자가 최초의 정찰 비행을 했고,[34] 일주일 후, ''소위'' 줄리오 가보티가 타주라와 아인 자라에 4개의 수류탄을 투하하여 역사상 최초의 공중 폭격을 실시했다.[34]

1911년 12월 4일, 이탈리아군은 토브루크에 상륙하여 해안을 점령하고 내륙으로 진격했다.[37]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대위는 소수의 오스만 제국 군인과 리비아 자원병들을 조직하여 저항했고, 12월 22일 토브루크 전투에서 승리했다.[38]

기술적, 수적으로 우세한 이탈리아군은 쉽게 해안을 장악했지만, 내륙 깊숙이 진격하지는 못했다.[35] 1912년 말까지 이탈리아는 리비아 정복에 거의 진전을 이루지 못했고, 해안 지역에 갇혀 있었다.[8]

3. 2. 오스만 제국의 저항과 참호전

오스만 제국은 리비아에 정규군을 파견할 해군력이 부족하여 현지 리비아인들을 규합, 저항을 조직했다.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엔베르 베이 등 젊은 장교들이 의사, 저널리스트 등으로 위장하여 리비아로 파견되어 게릴라전을 지휘했다.[35] 셰흐자데 오스만 푸아드도 이들과 합류하여 저항에 대한 왕실의 지원을 보여주었다.[35]

이탈리아군은 기술적, 수적으로 우세하여 해안 지역을 쉽게 장악했지만, 내륙으로 진격하면서 오스만 제국군과 리비아 저항군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다.[35] 벵가지 남부에서는 약 15,000명의 오스만 제국군과 리비아군이 이탈리아군을 공격했고, 이탈리아군은 순양함의 지원을 받으며 방어에 집중했다.[36] 11월 30일, 20,000명의 오스만 제국군과 현지 병력의 공격이 큰 피해를 입고 격퇴되었다. 이후 이탈리아군은 증원군을 받았지만, 오스만군의 공격은 계속되었다. 이탈리아군은 야포 몇 문을 잃기도 했다.[36]

데르나에서는 오스만군과 리비아군이 3,500명으로 추산되었지만 계속 증원되었고, 이탈리아군 진지에 대한 공격이 예상되었다. 오스만군의 내륙 철수로 병력 증원이 가능해지면서, 트리폴리와 키레나이카의 이탈리아군과 오스만 제국군은 끊임없이 증원되었다.[36]

1911년 12월, 토브루크에 상륙한 이탈리아군은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조직한 오스만 제국군과 리비아 자원병의 저항에 부딪혔다. 12월 22일 토브루크 전투에서 무스타파 케말이 승리했다.[38] 리비아 전역은 1911년 12월까지 교착 상태에 빠졌다.[5]

1912년 3월 3일, 데르나 근처에서 리비아 자원병들이 이탈리아군을 공격했으나, 이탈리아군이 방어선을 유지했다. 이후 이탈리아군의 증원으로 전투는 이탈리아의 승리로 끝났다. 9월 14일, 이탈리아군은 오스만 제국의 보급선을 차단했고, 사흘 뒤 엔베르 베이가 이탈리아군을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키레나이카에서의 작전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중단되었다.

이탈리아군은 현지 주민 일부의 협력을 얻었지만, 오스만 제국군의 반격으로 해안 지역에 갇히게 되었다.[8] 1912년 말까지 이탈리아는 리비아 정복에 거의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트리폴리타니아와 키레나이카 해안의 7개 지역에 포위되었다.[39] 오스만군은 지연 전술을 통해 전황을 교착시키려 했고, 전투는 사막 지대에서의 참호전으로 이어졌다. 이탈리아군은 연안부를 요새화하고 지구전에 임하는 방침을 세웠다. 1912년 3월 3일, 엔베르 베이는 데르나를 공격했지만 격퇴당했다. 9월 14일, 이탈리아군의 공세로 오스만 제국의 거점이 제압되었고, 9월 17일 엔베르 베이의 총반격은 실패했다.

4. 해상 전투

이탈리아 해군은 오스만 해군에 비해 톤수가 7배에 달하는 등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었으며, 훈련도 더 잘 되어 있었다.[40]

1912년 1월, 이탈리아 순양함 ''피에몬테''는 아르틸리에레급 구축함과 함께 쿤푸다 만 해전에서 오스만 군함 7척과 요트 1척을 격침시켰다. 이탈리아는 오스만 제국의 홍해 항구를 봉쇄하고, 당시 오스만 제국과 전쟁 중이던 아시르 토후국을 지원했다.[41]

이탈리아 순양함이 베이루트 항구에서 오스만 함선을 폭격하고 있다.


베이루트 해전 작전 지도


2월 24일, 베이루트 해전에서 이탈리아 장갑 순양함 2척이 오스만 코르벳 1척과 선저 6척을 공격하여 격침시키고, 어뢰정 1척을 추가로 격침시켰다. 아브닐라는 58명이 사망하고 108명이 부상당했지만, 이탈리아 함선은 사상자가 없었다.[42] 이탈리아는 베이루트의 오스만 해군이 수에즈 운하로 접근하는 것을 우려하여 공격을 감행했고, 베이루트의 오스만 해군 전력은 완전히 괴멸되었다. 이탈리아 해군은 전쟁 기간 동안 남부 지중해에서 완전한 해상 지배권을 확보했다.

1912년 여름, 이탈리아는 에게 해에서 오스만 제국의 영토에 대한 작전을 시작하여 로도스를 포함한 12개 섬을 점령했다. 그러나 이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불만을 샀다. 7월 18일에는 다르다넬스 해협에서 이탈리아 어뢰정 5척의 공격이 있었다.

이탈리아군은 해군 우위를 바탕으로 1912년 1월 7일 쿤푸다를 공격하여 낡은 오스만 군함 7척을 격침시켰다. 2월 24일에는 주세페 가리발디급 장갑순양함 "프란체스코 페루치오"와 "주세페 가리발디"가 베이루트 항에 돌입하여 아브닐라와 어뢰정 "앙카라"를 격침시키고(베이루트 해전), 베이루트 시가지를 포격했다.

이러한 패배는 오스만 해군의 약세를 보여주었고, 이탈리아는 에리트레아 주둔군을 증강하여 오스만의 북아프리카 영토를 압박했다. 4월 이후 이탈리아 해군은 에게 해까지 진출하여 도데카니소스 제도와 로도스 섬을 점령했다.

한편, 1912년 1월 16일과 18일, 지중해상에서 오스만군에게 군수품을 운송하던 프랑스 국적 우편기선 2척이 이탈리아 해군에 의해 사르데냐로 연행되는 카르타고 마누바 사건이 발생했다. 프랑스 정부의 항의로 선박은 석방되었지만, 이탈리아는 프랑스를 규탄하는 감정이 강해졌다.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갈등은 1912년 10월 28일, 모로코와 리비아의 상호 지배를 인정한 협정이 체결됨으로써 수습되었다.[80]

5. 잔혹 행위와 국제적 비난

무스타파 케말 (왼쪽)과 오스만 제국 장교, 그리고 리비아 무자히딘.


오스만 제국 군 장교단 (무스타파 케말 포함).


1911년 11월 5일, 이탈리아는 리비아에 대한 주권을 선포했다. 이탈리아군이 해안을 장악했지만, 많은 병력이 전투에서 사망했고, 약 6,000명의 오스만 제국 군인들이 14만 명에 달하는 이탈리아군에 맞서 싸웠다. 그 결과, 오스만 제국군은 게릴라 전술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실제로, 일부 "청년 튀르크" 장교들이 리비아에 도착하여 현지 무자히딘과 함께 게릴라전을 조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43] 많은 리비아인들은 "기독교 침략자"에 맞서 공통의 신앙을 공유하며 오스만 제국군과 연합하여 피비린내 나는 게릴라전을 시작했다. 이탈리아 당국은 매복에 대한 보복으로 공개 처형과 같은 반군에 대한 많은 탄압 조치를 채택했다.

1911년 10월 23일, 500명 이상의 이탈리아 병사들이 트리폴리 외곽의 샤라 샷에서 터키군에게 학살당했다.[44] 이 학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이탈리아 병사들이 리비아와 터키 여성들을 강간하고 성폭행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발생했다.[45]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 다음 날 1911년 트리폴리 학살에서 이탈리아군은 지역 가옥과 정원을 하나씩 돌아다니며 수천 명의 민간인을 조직적으로 살해했으며, 100명의 난민이 있던 모스크에 불을 지르기도 했다.[46] 이탈리아 당국은 학살 소식이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려 했지만, 이 사건은 곧 국제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46] 이탈리아는 샤라 샷에서 학살된 이탈리아 병사들의 사진을 공개하여 복수를 정당화하기 시작했다.

6. 우치 조약(제1차 로잔 조약)과 전쟁의 종결

이탈리아 외교관들은 유리한 평화 협정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 1912년 10월 18일, 이탈리아와 오스만 제국은 우치에서 조약을 체결했는데, 이는 '''제1차 로잔 조약'''이라고 불리며, 1923년 로잔 조약(제2차 로잔 조약)과 구별하기 위해 종종 '''우치 조약'''이라고도 불린다.[47][48]

로잔(1912)에서 터키 및 이탈리아 대표단.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앉아 있는 사람): 피에트로 베르톨리니, 메흐메트 나비 베이, 귀도 푸시나토, 룸베이올루 파흐레딘 베이, 주세페 볼피.


조약의 주요 조항은 다음과 같다:[49]

  • 오스만 제국은 트리폴리벵가지 빌라예트(리비아)에서 모든 군 병력을 철수하지만, 그 대가로 이탈리아는 점령하고 있던 로도스 및 기타 에게해 섬을 오스만 제국에 반환한다.
  • 트리폴리와 벵가지 빌라예트는 특별 지위와 ''나이프''(섭정)를 갖게 되며, ''카디''(판사)는 칼리프를 대표한다.
  • ''카디''와 ''나이프'' 임명 전에 오스만 제국은 이탈리아 정부와 협의한다.
  • 오스만 정부는 이 ''카디''와 ''나이프''의 비용을 책임진다.


그러나 제1차 발칸 전쟁이 조약 체결 직전에 발발하면서, 도데카니소스 제도의 터키 반환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오스만 제국 주력 군대가 발칸 반도에서 남은 영토를 보존하기 위한 격렬한 투쟁에 참여하는 동안 섬을 재점령할 입장이 아니었다. 그리스의 섬 침공을 막기 위해 도데카니소스 제도는 그리스와 오스만 제국 간의 적대 행위가 끝날 때까지 중립적인 이탈리아 행정 하에 유지되고, 그 후 섬은 오스만 통치로 반환된다는 암묵적인 합의가 이루어졌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오스만 제국과 이탈리아는 다시 적대적인 입장에 놓이게 되었고, 섬은 오스만 제국으로 반환되지 않았다. 터키는 로잔 조약에서 섬에 대한 주장을 포기했고, 도데카니소스 제도는 1947년까지 이탈리아가 계속 관리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리아가 패배한 후 섬은 그리스에 할양되었다.

7. 전쟁의 여파

이탈리아의 리비아 침공은 이탈리아에 막대한 재정적 부담을 안겼다. 초기 예상과 달리 전쟁 비용은 한 달에 에 달했고, 총 가 소요되어 10년간의 재정 건전성을 무너뜨렸다.[50]

7. 1. 리비아 식민 통치와 저항 운동

이탈리아 알피니와 리비아 시신들, "리도타 롬바르디아" 공격 이후


1913년 이탈리아는 오스만 제국 군대가 철수한 후 동 트리폴리타니아, 가다메스, 제벨, 페잔, 무르주크를 점령하며 쉽게 점령지를 확대했다.[51]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탈리아군의 본국 복귀, 오스만 제국의 지하드 선포, 트리폴리타니아 리비아인들의 봉기로 이탈리아는 점령지를 모두 포기하고 트리폴리, 데르나, 키레나이카 해안에서 참호전을 벌여야 했다.[51]

1920년대 후반까지 이탈리아는 리비아 내부 대부분을 효과적으로 통제하지 못했다. 이후 피에트로 바돌리오로돌포 그라치아니 장군 휘하의 군대가 잔혹한 진압 작전을 벌였다. 1931년 9월 15일, 반군 지도자 오마르 무크타르가 처형된 후에야 저항이 잦아들었다. 1930년대 중반까지 이탈리아의 식민 통치로 인해 리비아 인구는 이민, 기아, 전쟁으로 인한 사망으로 절반으로 줄었다. 1950년 리비아 인구는 1911년과 같은 수준인 약 150만 명이었다.[52]

7. 2. 제1차 세계 대전과 국제 정세의 변화

미로슬라브 스팔라코비치 세르비아 외교관은 1924년에 제1차 세계 대전과 그 여파를 초래한 사건들을 되돌아보며 이탈리아의 공격에 대해 "그 후의 모든 사건들은 그 첫 번째 침략의 진화에 불과하다"고 말했다.[53] 이탈리아의 대(對) 오스만 제국 전쟁 선포에 대한 발칸 반도의 반응은 즉각적이었다. 오스만 제국이 지배하는 동남 유럽에 대한 군사 행동에 초점을 맞춘 그리스, 불가리아, 세르비아몬테네그로 간의 일련의 양자 조약으로 발칸 동맹이 결성되었고, 제1차 발칸 전쟁 (1912–1913)은 1912년 10월 8일 몬테네그로의 공격으로 시작되었다.[56] 발칸 동맹의 신속한 승리는 당시의 관찰자들을 놀라게 했다.[57] 그러나 승리한 국가들 중 어느 누구도 점령된 영토 분할에 만족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제2차 발칸 전쟁 (1913)이 발생하여 세르비아, 그리스, 오스만 제국, 그리고 루마니아가 불가리아가 제1차 전쟁에서 점령했던 영토의 거의 전부를 차지했다.[58]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은 프랑스와 영국 정부에게 이탈리아가 삼국 동맹 내에 있는 것이 연합국과 공식적으로 동맹을 맺는 것보다 더 가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삼국 동맹 내의 긴장은 결국 이탈리아가 1915년 런던 조약에 서명하게 하여 삼국 동맹을 포기하고 연합국에 가입하게 만들었다.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은 무스타파 케말 베이, 엔베르 베이 등 오스만 육군의 젊은 장교들에게 중요한 경험이었다.[61] 이들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중요한 군사적 임무를 수행하고 업적을 달성했으며, 터키 독립 전쟁을 이끌고 터키 공화국을 건국했다.[61]

1907년에 영·러 협상이 체결된 후에도 영국은 보스포루스 해협을 경유하여 지중해로 진출하려는 러시아의 시도를 견제했다. 그러나 러시아와 함께 오스만 제국의 붕괴를 촉진하는 이탈리아의 트리폴리 침공을 지지한 것은 그 자체로 유럽의 세력 균형에 중대한 전환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의미했다. 제1차 발칸 전쟁으로 오스만 세력이 유럽 대륙에서 축출된 결과, 거대한 지정학적 공백이 생겼다. 탈취한 구 오스만 영토의 분배를 둘러싸고 일어난 발칸 동맹 내의 분규는 제2차 발칸 전쟁으로 번졌고, 여기서 패배하여 위신이 깎인 불가리아를 대신하여 세르비아가 발칸 제국의 맹주로 부상하여 러시아의 보호를 받기 시작했다.

세르비아와 러시아의 연대는 대세르비아주의를 부추긴 것과 맞물려, 동방 문제에 관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외교 정책에 돌이킬 수 없는 충격을 주었다. 이처럼 고조된 긴장은 1914년 사라예보 사건7월 위기 국면에서 발칸 분쟁을 넘어, 기존의 삼국 협상 및 삼국 동맹에 각각 연동된 강대국들의 연쇄 반응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국제 체제가 와해되어 마침내 세계 대전으로 치달았다. 스팔라코비치에 따르면,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이어진 모든 사건은 이탈리아의 트리폴리타니아 침공에서 진전된 것에 불과했다.

7. 3. 도데카니소스 제도 문제

제1차 세계 대전으로 도데카니소스 제도는 이탈리아의 군사 점령하에 있었다. 1920년 비준되지 않은 세브르 조약에 따르면 이탈리아는 로도스 섬을 제외한 모든 섬을 그리스에 양도하고 그 대가로 터키 남서부 아나톨리아에서 광대한 이탈리아의 영향력을 행사하기로 되어 있었다.[62] 그러나 그리스-터키 전쟁에서 그리스가 패배하고 현대 터키가 건국되면서 조약의 강제는 불가능해졌다.[62] 1923년 로잔 조약 제15조에서 터키는 도데카니소스 제도에 대한 이탈리아의 합병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62] 인구는 대부분 그리스인이었고 1947년 조약에 따라 섬들은 결국 그리스의 일부가 되었다.[62] 도데카니소스 제도는 이탈리아의 일부였기 때문에, 현지 인구는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소규모의 도데카니소스 터키인 공동체가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62]

참조

[1] 서적 Wars and Peace Treaties: 1816 to 1991 https://books.google[...] Routledge
[2] 서적 The Italo-Turkish War (1911–12) Franklin Hudson Publishing Company
[3] 서적 The History of the Italian-Turkish War
[4] 서적 World War I: A Student Encyclopedia
[5] 서적 Emigrant nation: the making of Italy abroa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Italo-Turkish War (1911–12) Franklin Hudson Publishing Company
[7] 서적 "Divided Armies": Inequality and Battlefield Performance in Modern War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서적 World War I: A Student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9] 웹사이트 Treaty of Lausanne, October, 1912. https://web.archive.[...] 2018-03-25
[10] 웹사이트 Treaty of Lausanne - World War I Document Archive http://wwi.lib.byu.e[...] 2018-03-25
[11] 서적 1913: The Cradle of Modernism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12] 서적 Cultural Sociology of the Middle East, Asia, and Afric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Sage
[13] 웹사이트 The World's First Warplane http://www.airspacem[...] 2018-03-25
[14] 웹사이트 Aviation at the Start of the First World War http://www.centennia[...] U.S. Centennial of Flight Commission
[15] 서적 On air defens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6] 문서 Wireless telegraphy in the Italo-Turkish War
[17] 서적 The Struggle for Mastery in Europe, 1848–1918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Libyan War 1911–1912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19] 웹사이트 Alliance System / System of alliances http://www.thecorner[...] 2007-04-03
[20] 서적 The Sleepwalkers: How Europe Went to War in 1914 Allen Lane
[21] 서적 The Sleepwalkers: How Europe Went to War in 1914
[22] 서적 The Sleepwalkers: How Europe Went to War in 1914
[23] 서적 The Sleepwalkers: How Europe Went to War in 1914
[24] 서적 Rhetoric and Reality in Air Warfare
[25] 웹사이트 Karalahana.com: Turkey's Black Sea region (Pontos) history, culture and travel guide https://web.archive.[...]
[26] 서적 Yakın Tarihin Gerçekleri https://books.google[...]
[27] 서적 Bitmeyen Savas
[28] 서적 Journal of the Royal United Service Institution, Whitehall Yard, Volume 57, Issue 2 https://books.google[...]
[29] 서적 War Over Ethiopia https://books.google[...]
[30] 서적 Yakın Tarihin Gerçekleri https://books.google[...]
[31] 서적 Down East: Another Cargo of Tales Told Under The Old Town Clock https://archive.org/[...] Imperial Publishing 1945
[32] 서적 Encyclopedia of Armored Cars
[33] 서적 Rhetoric and Reality in Air Warfare
[34] 서적 Strike From the Sky: The History of Battlefield Air Attack, 1910–1945
[35] 서적 Yakın Tarihin Gerçekleri https://books.google[...]
[36] 서적 The History of the Italian-Turkish War, September 29, 1911, to October 18, 1912 https://archive.org/[...]
[37] 간행물 1911–1912 Turco-Italian War and Captain Mustafa Kemal Ministry of Culture of Turkey
[38] 간행물 1911–1912 Turco-Italian War and Captain Mustafa Kemal Ministry of Culture of Turkey
[39] 서적 Libya: a modern his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40] 서적
[41] 웹사이트 The Encyclopedia Britannica: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literature and general information https://books.google[...] The Encyclopedia Britannica Co. 2018-03-25
[42] 서적 The history of the Italian-Turkish War, September 29, 1911, to October 18, 1912 https://archive.org/[...] The Advertiser Republican
[43] 웹사이트 Arab Thoughts on the Italian Colonial Wars in Libya – Small Wars Journal http://smallwarsjour[...] 2018-03-25
[44] 서적 Empires at War: 1911–1923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4-07-03
[45] 서적 The Force of Destiny: A History of Italy Since 1796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08
[46] 서적 Libya and the West: From Independence to Lockerbie https://books.google[...] I.B. Tauris
[47] 학술지 Treaty of Peace Between Italy and Turkey https://www.jstor.or[...] 1913
[48] 웹사이트 Treaty of Lausanne, October, 1912 https://web.archive.[...] Mount Holyoke College, Program in International Relations 2007-07-23
[49] 웹사이트 Uşi (Ouchy) Antlaşması https://web.archive.[...] Bildirmem.com 2009-05-31
[50] 서적 Emigrant nation: the making of Italy abroa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51] 서적
[52] 서적 The Libyan Economy: Economic Diversification and International Repositioning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학술지 Liturgie funebri e sacrificio patriottico I riti di suffragio per i caduti nella guerra di Libia (1911–1912)
[61] 서적 Yakın Tarihin Gerçekleri https://books.google[...]
[62] 학술지 The Temporary Italian Occupation of the Dodecanese: A Prelude to Permanency
[63] 서적 The Italo-Turkish War (1911-12)
[64] 웹사이트 Arab Thoughts on the Italian Colonial Wars in Libya http://smallwarsjour[...] Small Wars Journal 2012-03-06
[65] 서적 The History of the Italian-Turkish War
[66] 서적 World War I: A Student Encyclopedia
[67] 서적 World War I: A Student Encyclopedia
[68] 서적 Emigrant nation: the making of Italy abroa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69] 서적 Bilanz der Kriege
[70] 서적 World War I: A Student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71] 웹사이트 Treaty of Ouchy (1912), also known as the First Treaty of Lausanne http://www.mtholyoke[...]
[72] 웹사이트 Full text of the Treaty of Lausanne (1923) http://wwi.lib.byu.e[...]
[73] 웹사이트 Aviation at the Start of the First World War http://www.centennia[...] 2012-10-09
[74] 웹사이트 Alliance System / System of alliances http://www.thecorner[...] 2007-04-03
[75] 서적 Gil italiani in Libia. Tripoli bel suol d'amore 1860-1922
[76] 회고록 Bitmeyen Savas 1972
[77] 서적 Encyclopedia of Armored Cars
[78] 서적 Rhetoric and Reality in Air Warfare
[79] 간행물 1911–1912 Turco-Italian War and Captain Mustafa Kemal Ministry of Culture of Turkey, edited by Turkish Armed Forces-Division of History and Strategical Studies 1985
[80] 서적 The Libyan War 1911-1912
[81] 서적 The Sleepwalkers: How Europe Went to War in 1914
[82] 웹사이트 (Title not found in provided text. Needs further information to extract) https://books.google[...]
[83] 웹인용 Treaty of Lausanne, October, 1912. http://www.mtholyoke[...] 2018-03-25
[84] 웹인용 Treaty of Lausanne - World War I Document Archive http://wwi.lib.byu.e[...] 2018-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