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슬라우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슬라우그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용을 죽인 영웅 시구르드와 발키리 브륀힐드의 딸이다. 13세기에 쓰인 《털반바지 라그나르의 사가》에 따르면, 아슬라우그는 부모가 죽은 후 브륀힐드의 양아버지 헤이메르의 보호를 받으며 자랐다. 그녀는 덴마크-스웨덴의 왕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와 결혼하여 이바르 힌 베이늘라우시, 흐비트세르크 라그나르손, 우바 라그나르손, 시구르드 오름 이 아우가 등 네 아들을 낳았다. 아슬라우그 이야기는 다양한 문학 작품과 드라마에 등장하며, 현대에도 재해석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여왕 - 구드룬
구드룬은 게르만 신화와 영웅 전설에 등장하는 비극적인 여주인공으로, 남편 시구르드의 죽음 이후 복수를 감행하는 인물이며, 스칸디나비아 문헌과 대륙 게르만족의 기록에 등장하고, 문헌에 따라 기원, 복수 동기, 결말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 신화의 여왕 - 바빌론의 대탕녀
바빌론의 대탕녀는 요한 묵시록에 등장하는 상징적인 존재로, 세상 권력의 부패와 사치를 나타내며 다양한 종교적,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서 여러 대상(로마 제국, 예루살렘, 로마 가톨릭교회, 거짓 종교의 세계 제국 등)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 바이킹 (1958년 영화)
《바이킹》은 1958년에 개봉한 미국 영화로, 바이킹의 습격, 왕위 계승 분쟁, 삼각관계, 복수 등을 다루며 커크 더글러스 등이 출연했고 흥행에 성공했다. -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 바이킹스 (드라마)
《바이킹스》는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를 주인공으로 그의 삶과 잉글랜드 침략, 그리고 왕이 되어 잉글랜드와 프랑크 왕국을 넘나드는 이야기를 그린 아일랜드-캐나다 합작 드라마이다. - 덴마크의 왕비 - 알렉산드리네 추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녀
알렉산드리네 추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녀는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대공녀로 태어나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10세와 결혼하여 덴마크 왕비가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덴마크 국민을 지지하다 1952년에 사망했다. - 덴마크의 왕비 - 안나 카타리나 폰 브란덴부르크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의 딸 안나 카타리나 폰 브란덴부르크는 크리스티안 4세와 결혼하여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왕비가 되었으며, 정치적 영향력은 미미했으나 깊은 종교심과 여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
| 아슬라우그 | |
|---|---|
| 인물 정보 | |
| 이름 | 아슬라우그 |
| 다른 이름 | 크라카, 란달린 |
| 배우자 | 시구르드 (첫 번째),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두 번째) |
| 자녀 | 이바르 뼈 없음, 뵤른 아이언사이드, 흐비트세르크, 라그나르의 아들 시구르드 |
| 아버지 | 시구르드 |
| 어머니 | 브륀힐드 |
| 등장 작품 | 《고 에다》, 《볼숭 사가》, 《라그나르의 사가》, 《라그나르의 아들들의 이야기》 |
2. 전승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사가』에 따르면, 아슬라우그는 시구르드와 방패 여전사 브륀힐드의 딸이었지만,[2] 브륀힐드의 양아버지 하이메르에 의해 길러졌다. 시구르드와 브륀힐드가 죽자 하이메르는 아슬라우그의 안전을 걱정하여 소녀를 숨길 수 있을 만큼 큰 하프를 만들었다. 그 후 그는 소녀를 담은 하프를 들고 다니는 가난한 하프 연주자로 여행했다.[3]
그들은 노르웨이 린데스네스의 스팡게레이드에 도착하여 농부 아케와 그리마의 집에서 하룻밤을 묵었다. 아케는 하프에 귀중한 물건이 들어있다고 믿고 아내 그리마에게 말했다. 그러자 그리마는 그가 잠든 사이에 하이메르를 살해하도록 설득했다. 그러나 하프를 열었을 때 그들은 어린 소녀를 발견했고, 그들은 그녀를 키우며 크라우카("까마귀")라고 불렀다. 그녀의 아름다움, 즉 그녀의 고귀한 기원의 증표를 숨기기 위해[2] 그들은 그녀에게 타르를 바르고 긴 두건을 입혔다.[2]
어느 날 그녀가 목욕을 하던 중 전설적인 왕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부하들에게 발견되었다. 크라우카의 아름다움에 매료된 그들은 굽고 있던 빵을 태우게 했다. 라그나르는 이 사고에 대해 묻자 그들은 소녀에 대해 말했다. 라그나르는 그녀를 불렀지만 그녀의 기지를 시험하기 위해 옷을 입지도 벗지도 않고, 금식하지도 먹지도 않으며, 혼자서도 함께 가지 말라고 명령했다. 크라우카는 그물 옷을 입고 양파를 베어 물고, 개 한 마리만 동반하여 도착했다. 그녀의 기발함에 감탄하고 그녀가 현명하다는 것을 알게 된 라그나르는 그녀에게 결혼을 제안했지만,[2] 그녀는 그가 노르웨이에서 그의 임무를 완수할 때까지 거절했다.
이후의 전승은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사가』와 『라그나르의 아들들의 이야기』에서 주로 언급된다. 아슬라우그는 파프니르를 살해한 영웅 시구르드와 브륀힐드 사이의 딸로, 시구르드 사후 브륀힐드의 양아버지인 하이메르에 의해 길러졌다. 하이메르는 아슬라우그를 하프에 숨겨 각지를 여행했다.
하이메르가 노르웨이에 도착하여 농부 부부의 집에 묵었을 때, 하프 속에 귀중품이 있다고 오해한 부부에 의해 살해당하고, 아슬라우그는 크라카라는 이름으로 그들의 딸로 자랐다. 부부는 아슬라우그의 고귀한 혈통을 숨기기 위해 더러운 옷을 입혔다.
어느 날 크라카는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함대를 발견하고, 그녀의 아름다움이 라그나르에게 알려진다. 라그나르는 그녀의 지혜를 시험하기 위해 어려운 조건을 제시했지만, 크라카는 기지를 발휘하여 이를 통과했다. 라그나르는 그녀와 결혼하여 여러 아들을 낳았다.
라그나르는 스웨덴 왕녀와의 결혼 제안을 받고 크라카와 이혼하려 했지만, 크라카는 자신의 고귀한 출신을 밝히고 뱀의 눈을 가진 아이를 낳아 증명하겠다고 선언했다. 예언대로 뱀의 눈을 가진 시구르드를 낳자 라그나르는 이혼을 취소했다.
이후 라그나르와 스웨덴 왕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라그나르의 아들들이 스웨덴을 공격했다. 아슬라우그는 복수를 위해 아들들과 함께 스웨덴을 공격했고, 이때부터 란다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라그나르가 잉글랜드 원정에 실패하고 뱀구덩이에서 죽음을 맞이한 후, 아슬라우그와 라그나르의 아들 시구르드의 혈통은 하랄 아름다운 머리 왕과 하랄 블루투스 왕으로 이어진다고 전해진다.
2. 1. 출생과 성장
13세기에 쓰인 털반바지 라그나르의 사가에 따르면 아슬라우그는 시구르드와 브륀힐드의 딸이었는데,[12] 부모의 손에 자라지 못하고 브륀힐드의 양아버지인 헤이메르(Heimer) 슬하에서 자랐다. 시구르드와 브륀힐드가 부르군트 궁정에서 모두 죽자 헤이메르는 아슬라우그의 신변을 걱정하여 커다란 수금을 만들어 그 안에 아슬라우그를 넣었다. 그러고는 아슬라우그를 넣은 수금을 들고 가난한 수금 연주자를 가장하여 여행을 다녔다.헤이메르와 아슬라우그가 노르웨이의 린데스네스 스팡게레이드에 도착해서 아케(Áke)와 그리마(Grima)라는 농민 부부의 집에서 하룻밤 묵게 되었다. 아케는 수금 속에 무언가 값진 것이 있으리라 생각했고 남편의 이야기를 들은 그리마는 남편을 충동해 잠든 헤이메르를 죽이게 했다. 그러나 수금을 부숴보니 안에는 여자아이만 있을 뿐이었다. 아케 부부는 아이에게 크라카(Kráka; 까마귀라는 뜻)라는 이름을 붙이고 자기들이 길렀다. 크라카의 미모(그녀의 고귀한 신분을 증거하는)를 숨기기 위해 아케 부부는 그녀에게 타르를 칠하고 두건을 씌었다.[12]
그러나 어느 날 크라카가 목욕을 하고 있는 것을 덴마크-스웨덴의 왕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부하들이 목격했다. 두건을 벗고 타르도 씻어낸 크라카의 미모에 정신이 나간 라그나르의 부하들은 굽던 빵을 태워버렸다. 나중에 돌아온 라그나르가 왜 빵을 태웠느냐 질책하자 부하들은 자신들이 본 여자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러자 라그나르는 그 여자를 데려오라 하되, 그녀의 지혜를 시험하겠다고 “옷을 입지도 벗지도 않은 상태로, 굶지도 먹지도 않은 상태로, 혼자도 여럿도 아닌 상태로” 찾아오라고 했다. 이에 크라카는 그물을 옷 대신 입고, 양파를 씹으며 개 한 마리를 데리고 찾아왔다. 이 기발함에 라그나르는 지혜로운 동반자를 얻을 수 있겠다고 확신했고 청혼했으나 크라카는 그가 노르웨이에서의 과업을 마무리짓기 전까지 거부했고, 그 이후에야 결혼했다.[12]
2. 2. 라그나르와의 만남과 결혼
13세기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사가''에 따르면, 아슬라우그는 시구르드와 방패 여전사 브륀힐드의 딸이었지만,[2] 브륀힐드의 양아버지 하이메르에 의해 길러졌다. 시구르드와 브륀힐드가 죽자 하이메르는 아슬라우그의 안전을 걱정하여 소녀를 숨길 수 있을 만큼 큰 하프를 만들었다. 그 후 그는 소녀를 담은 하프를 들고 다니는 가난한 하프 연주자로 여행했다.[3]
그들은 노르웨이 린데스네스의 스팡게레이드에 도착하여 농부 아케와 그리마의 집에서 하룻밤을 묵었다. 아케는 하프에 귀중한 물건이 들어있다고 믿고 아내 그리마에게 말했다. 그러자 그리마는 그가 잠든 사이에 하이메르를 살해하도록 설득했다. 그러나 하프를 열었을 때 그들은 어린 소녀를 발견했고, 그들은 그녀를 키우며 크라우카("까마귀")라고 불렀다. 그녀의 아름다움, 즉 그녀의 고귀한 기원의 증표를 숨기기 위해[2] 그들은 그녀에게 타르를 바르고 긴 두건을 입혔다.[2]
어느 날 그녀가 목욕을 하던 중 전설적인 왕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부하들에게 발견되었다. 크라우카의 아름다움에 매료된 그들은 굽고 있던 빵을 태우게 했다. 라그나르는 이 사고에 대해 묻자 그들은 소녀에 대해 말했다. 라그나르는 그녀를 불렀지만 그녀의 기지를 시험하기 위해 옷을 입지도 벗지도 않고, 금식하지도 먹지도 않으며, 혼자서도 함께 가지 말라고 명령했다. 크라우카는 그물 옷을 입고 양파를 베어 물고, 개 한 마리만 동반하여 도착했다. 그녀의 기발함에 감탄하고 그녀가 현명하다는 것을 알게 된 라그나르는 그녀에게 결혼을 제안했지만,[2] 그녀는 그가 노르웨이에서 그의 임무를 완수할 때까지 거절했다.
2. 3. 신분 노출과 복수

13세기에 쓰인 털반바지 라그나르의 사가에 따르면 아슬라우그는 시구르드와 브륀힐드의 딸이었는데,[12] 부모의 손에 자라지 못하고 브륀힐드의 양아버지인 헤이메르(Heimer) 슬하에서 자랐다. 시구르드와 브륀힐드가 부르군트 궁정에서 모두 죽자 헤이메르는 아슬라우그의 신변을 걱정하여 커다란 수금을 만들어 그 안에 아슬라우그를 넣었다. 그러고는 아슬라우그를 넣은 수금을 들고 가난한 수금 연주자를 가장하여 여행을 다녔다.
헤이메르와 아슬라우그가 노르웨이의 린데스네스 스팡게레이드에 도착해서 아케(Áke)와 그리마(Grima)라는 농민 부부의 집에서 하룻밤 묵게 되었다. 아케는 수금 속에 무언가 값진 것이 있으리라 생각했고 남편의 이야기를 들은 그리마는 남편을 충동해 잠든 헤이메르를 죽이게 했다. 그러나 수금을 부숴보니 안에는 여자아이만 있을 뿐이었다. 아케 부부는 아이에게 크라카(Kráka; 까마귀라는 뜻)라는 이름을 붙이고 자기들이 길렀다. 크라카의 미모(그녀의 고귀한 신분을 증거하는)를 숨기기 위해 아케 부부는 그녀에게 타르를 칠하고 두건을 씌었다.[12]
그러나 어느 날 크라카가 목욕을 하고 있는 것을 덴마크-스웨덴의 왕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부하들이 목격했다. 두건을 벗고 타르도 씻어낸 크라카의 미모에 정신이 나간 라그나르의 부하들은 굽던 빵을 태워버렸다. 나중에 돌아온 라그나르가 왜 빵을 태웠느냐 질책하자 부하들은 자신들이 본 여자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러자 라그나르는 그 여자를 데려오라 하되, 그녀의 지혜를 시험하겠다고 “옷을 입지도 벗지도 않은 상태로, 굶지도 먹지도 않은 상태로, 혼자도 여럿도 아닌 상태로” 찾아오라고 했다. 이에 크라카는 그물을 옷 대신 입고, 양파를 씹으며 개 한 마리를 데리고 찾아왔다. 이 기발함에 라그나르는 지혜로운 동반자를 얻을 수 있겠다고 확신했고 청혼했으나 크라카는 그가 노르웨이에서의 과업을 마무리짓기 전까지 거부했고, 그 이후에야 결혼했다.[12] 크라카는 라그나르와의 사이에 이바르 힌 베이늘라우시, 흐비트세르크 라그나르손, 우바 라그나르손, 시구르드 오름 이 아우가 이렇게 네 아들을 낳았다.[13]
라그나르가 스웨덴의 대행왕 에위스테인 벨리를 찾아갔을 때, 에위스테인은 비천한 크라카를 버리고 자기 딸 잉게보르그와 결혼하라고 권했다. 그런데 크라카는 새 세 마리에게 이 이야기를 미리 들어 알고 있었고, 돌아온 라그나르에게 자신의 고귀한 신분을 밝혔다. 자신이 드래곤 파프니르를 죽인 용살자 시구르드의 딸 아슬라우그라는 증거로, 다음에 자신이 낳을 아들은 눈 속에 뱀의 형상이 있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리고 막내아들 시구르드를 낳았는데, 그 눈에 뱀 모양 얼룩이 있었다. 그래서 막내아들에게는 "눈 속에 뱀"이라는 "오름 이 아우가"라는 이명이 주어졌다. 나중에 라그나르가 전처 토라 보르가르효르트와의 사이에 낳은 아들 아그나르와 에이리크가 에위스테인에게 반역했다가 진압당해 죽었는데, 이 소식을 들은 아슬라우그와 아슬라우그 소생의 아들들이 스웨덴으로 쳐들어가 에위스테인을 죽여 버렸다.
라그나르는 자식들이 멋대로 내전을 벌이자 화가 나서 잉글랜드를 불과 배 두 척 병력으로 혼자 원정하여 자신의 위엄을 세우려 했다. 아슬라우그는 무모한 짓이라고 말렸으나 라그나르는 듣지 않았고, 결국 노섬브리아 왕 앨라에게 붙잡혀 뱀굴에 던져져 죽음을 맞이했다. 라그나르는 아슬라우그가 만든 마법이 걸린 옷으로 보호받았는데, 이 옷이 벗겨진 뒤에야 뱀들이 그를 물어 죽일 수 있었다.
2. 4. 라그나르의 죽음과 이후
라그나르는 자식들이 멋대로 내전을 벌이자 화가 나서 잉글랜드를 불과 배 두 척 병력으로 혼자 원정하여 자신의 위엄을 세우려 했다. 아슬라우그는 무모한 짓이라고 말렸으나 라그나르는 듣지 않았고, 결국 노섬브리아 왕 앨라에게 붙잡혀 뱀구덩이에 던져져 죽음을 맞이했다.[12] 라그나르는 아슬라우그가 만든 마법이 걸린 옷으로 보호받았는데, 이 옷이 벗겨진 뒤에야 뱀들이 그를 물어 죽일 수 있었다.라그나르가 잉글랜드 원정을 갔을 때, 그는 아슬라우그의 경고를 지키지 않아 실패한다. 라그나르는 겨우 두 척의 배로 공격할 계획을 세운다. 아슬라우그는 배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라그나르는 적은 병력으로 승리하는 것이 명예로우며, 또한 패배하더라도 나라에서 잃는 배의 수가 적은 편이 좋다고 듣지 않는다. 아슬라우그는 적어도 자신이 짠 마법의 셔츠를 건네주고 라그나르를 보낸다. 그 후 병력 열세인 라그나르는 패배하여 포로로 잡힌다. 뱀구덩이 (뱀으로 가득 찬 구멍)에 던져지고, 아슬라우그가 만든 마법의 셔츠를 입고 있는 동안에는 뱀에게 물리지 않았지만, 결국 적 왕의 명령에 의해 셔츠를 벗겨져 뱀에게 물려 죽는다.
3. 해석
마릴린 유릭(Marilyn Jurich)에 따르면, 《털반바지 라그나르의 사가》에 기록된 아슬라우그 이야기는 “영리한 농민 소녀”의 전형(아르네-톰프슨 분류 체계 제875번)에 해당한다. 이 사가는 아슬라우그와 라그나르의 결혼을 중심으로, 아슬라우그의 단호한 성격(결혼식 이후에도 라그나르와 성교를 거부)과 거의 초자연적인 지혜를 보여준다. 라그나르가 첫날밤을 거부하는 아슬라우그를 강제로 취하여, 지혜로운 그녀의 권고를 거스른 결과, 그들 사이의 첫 아들 이바르는 뼈가 기형으로 태어나 "뼈 없는"이라는 뜻의 "베이늘라우시"라는 이명을 얻게 되었다.[12] [2]
3. 1. 그림 형제와의 비교
그림 형제는 1815년 자신들이 채록한 동화(그림 동화)의 8번째 이야기 〈영리한 농부의 딸〉과 아슬라우그 이야기의 유사성을 논하면서, 〈영리한 농부의 딸〉 부록에 노르드의 크라카 이야기를 덧붙였다. 또한 요하네스 파울리의 《욕설과 진지함》(1519년/1522년)에 실린 이야기와의 유사성도 논하고 있다.[12]4. 가계도
4. 1. 볼숭 일족
시구르드와 브륀힐드의 딸로, 볼숭 일족에 속한다.
4. 2. 니플룽 일족
'''아슬라우그'''는 니플룽 일족에 속한다. 그녀의 아버지 시구르드는 용살자로 유명하며, 어머니 브륀힐드는 발키리아였다.[1] 시그문드는 효르디스와 결혼하여 시구르드를 낳았다.[1]5. 현대의 재해석
프리드리히 드 라 모트 푸케는 1810년에 다른 두 개의 아이슬란드 로맨스와 함께 ''Der Held des Nordens''(북쪽의 영웅)로 "아슬라우가의 기사"를 출판했다.[8] 윌리엄 모리스는 벤자민 소프의 ''북유럽 신화''(1851)에 실린 이야기를 바탕으로 아슬라우그와 라그나르의 관계를 재구성한 "아슬라우그의 양육"이라는 낭만시를 썼다.[4][5] 모리스는 낭만주의적 성향에 따라 톤과 강조점을 바꾸었으며,[6] 사가의 더 어둡고 복잡한 모티프를 삭제하고 라그나르를 전형적인 영웅으로서 여인을 유혹하는 모습으로 묘사했다.[7]
그림 형제는 1815년에 출간한 그들의 이야기 1815번 8 "Die kluge Bauerntochter"와 크라카의 북유럽 이야기의 유사점을 텍스트의 부록 항목에서 논의했으며, 요하네스 파울리의 1519년부터 1522년까지의 "Schimpf und Ernst"에 나오는 이야기와의 유사점도 언급했다.
마릴린 유릭에 따르면,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사가》에 나오는 아슬라우그의 이야기는 "영리한 시골 소녀" 민담, 아르네-톰슨 분류 번호 875의 원형이다.[2] 이 사가는 아슬라우그가 라그나르와 결혼하기 전까지는 이야기가 거의 일치하며, 그 이후에도 유사점이 나타난다. 이 사가는 아슬라우그의 결단력(그녀는 결혼 전까지 라그나르와의 성관계를 거부한다)과 초자연적인 지혜를 강조한다. 라그나르가 그녀의 조언에 반하여 결혼 직후에 즉시 동침을 요구했기 때문에, 그들의 첫 아들 이바르는 약하게, 즉 "뼈가 없는" 상태로 태어났다.[2]
=== 드라마 ===
알리사 서덜랜드가 연기한 텔레비전 시리즈 ''바이킹''(2013–2016)의 주요 등장인물은 전설을 느슨하게 기반으로 하며, 묘사된 방식대로 라그나르에게 소개된다.[8]
5. 1. 문학
마릴린 유릭에 따르면,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사가》에 나오는 아슬라우그의 이야기는 "영리한 시골 소녀" 민담, 아르네-톰슨 분류 번호 875의 원형이다.[2] 이 사가는 아슬라우그가 라그나르와 결혼하기 전까지는 이야기가 거의 일치하며, 그 이후에도 유사점이 나타난다. 이 사가는 아슬라우그의 결단력(그녀는 결혼 전까지 라그나르와의 성관계를 거부한다)과 초자연적인 지혜를 강조한다. 라그나르가 그녀의 조언에 반하여 결혼 직후에 즉시 동침을 요구했기 때문에, 그들의 첫 아들 이바르는 약하게, 즉 "뼈가 없는" 상태로 태어났다.[2]그림 형제는 1815년 그들의 이야기 1815번 8 "Die kluge Bauerntochter"와 크라카의 북유럽 이야기의 유사점을 텍스트의 부록 항목에서 논의한다. 그들은 또한 요하네스 파울리의 1519년부터 1522년까지의 "Schimpf und Ernst"에 나오는 이야기와의 유사점도 논의한다.
윌리엄 모리스의 낭만시 "아슬라우그의 양육"은 벤자민 소프의 ''북유럽 신화''(1851)에 실린 이야기를 바탕으로 아슬라우그와 라그나르의 관계를 재구성한 것이다.[4][5] 모리스의 낭만주의적 성향에 따라 톤과 강조점이 바뀌었으며,[6] 사가의 더 어둡고 복잡한 모티프를 삭제하고 라그나르를 전형적인 영웅으로서 여인을 유혹하는 모습으로 묘사했다.[7]
그녀는 1810년에 다른 두 개의 아이슬란드 로맨스와 함께 ''Der Held des Nordens'' (북쪽의 영웅)로 출판된 프리드리히 드 라 모트 푸케의 "아슬라우가의 기사"에 등장한다.
알리사 서덜랜드가 연기한 텔레비전 시리즈 ''바이킹''(2013–2016)의 주요 등장인물은 전설을 느슨하게 기반으로 하며, 묘사된 방식대로 라그나르에게 소개된다.[8] 19세기 영국의 시인 윌리엄 모리스는 『볼숭 사가』를 영어로 번역했으며, "아슬라우그의 양육"이라는 서사시를 썼다.
5. 2. 드라마
알리사 서덜랜드가 연기한 텔레비전 시리즈 ''바이킹''(2013–2016)의 주요 등장인물은 전설을 느슨하게 기반으로 하며, 묘사된 방식대로 라그나르에게 소개된다.[8]참조
[1]
서적
The Vikings : the story of a people
2015-09-02
[2]
서적
Scheherazade's sisters: trickster heroines and their stories in worl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3]
서적
Our Ancestors: A Journey through the Generations By Rowena Strittmatter
https://books.google[...]
Tredition
2016-12-13
[4]
서적
The Romances of William Morri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4-14
[5]
웹사이트
William Morris Archive - Translations
http://morrisedition[...]
2017-11-09
[6]
서적
The romances of William Morri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William Morris, The Earthly Paradise
http://morrisedition[...]
Routledge
[8]
뉴스
'Vikings' season finale: Mysterious beauty tempts Ragnar
http://insidetv.ew.c[...]
2013-04-25
[9]
간행물
谷口 1983
[10]
간행물
菅原 1979
[11]
서적
地上の楽園 秋から冬へ
音羽書房鶴見書店
[12]
서적
Scheherazade's sisters: trickster heroines and their stories in worl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13]
웹인용
The Tale of Ragnar's Sons - Translation by Peter Tunstall
http://www.northvegr[...]
2017-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