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슬리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슬리어파는 말레이 반도에 분포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군으로, 북부, 중부, 남부로 분류된다. 이 언어군은 몬어파, 니코바르어파와 관련이 있으며, 보르네오어군, 참어군, 말레이어 등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아슬리어파는 음운, 형태, 문법에서 특징을 보이며, 특히 표현어의 발달이 두드러진다. 현재 모든 아슬리어파 언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말레이시아 정부는 언어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남아시아의 원주민 - 네그리토
    네그리토는 동남아시아와 안다만 제도에 거주하며 검은 피부와 작은 키를 공유하는 여러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유전적으로는 동아시아계와 파푸아계의 경계에 위치한 여러 분리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렵채집 생활을 해왔으나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동남아시아의 원주민 - 발리인
    발리인은 자바와 보르네오에서 온 원말레이계 이주민을 기원으로 하며, 자바로부터의 추가 이주와 마자파힛 제국 붕괴 후 이주민들에 의해 형성되어, 발리 힌두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와 예술, 명명 시스템, 사회 구조, 푸푸탄과 같은 역사, 수박 관개 시스템, 다양한 종교 축제 등을 특징으로 한다.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크무어
    크무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무어어파의 언어로, 표준어 없이 서부와 동부 크무어로 나뉘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메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있지만 별개의 언어이다.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니코바르어파
    니코바르어파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 니코바르 제도에서 사용되는 여러 언어를 포함한다.
  • 말레이시아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말레이시아의 언어 - 미낭카바우어
    미낭카바우어는 서수마트라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에서 약 550만 명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이며, 여러 방언이 존재하고 아감-타나 다타르 방언이 표준어 역할을 한다.
아슬리어파
개요
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
사용 지역말레이 반도, 태국 남부
어원프로토-아슬리어
하위 분류자하이어군
세노이어군
남부 아슬리어군
야흐 훗어
숌펜어 (추정)
언어 코드
GlottoCodeasli1243

2. 역사

아슬리어파는 초기에 말레이 반도 산지의 서측에서 나타나 동쪽(켈란탄, 트렝가누, 파항 주)으로 확장되었다.[8][26]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내에서 몬어파, 니코바르어파와 비교적 가까운 관계이다.[2][27] 로저 블렌치(2006)는 과거 말레이 반도에 살던 화자들로부터 보르네오어군, 참어군 유래의 차용어를 많이 받았다고 언급한다.[3][28][31]

과거부터 여러 학자들은 아슬리어파(특히 북부 아슬리어군)의 언어들이 현존하는 어떤 언어와도 연관이 없는 독자적 계통의 어휘들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4][5][28][29][30][31][32][33] 이는 여러 필리핀 네그리토 언어들이 가지는 특징이기도 하다.

시드웰(2023)은 원시 아슬리어(원시 아슬리어)가 몬 왕국 지배 이전에 태국만 지역에서 말레이 반도에 도착했으며, 니코바르어족을 포함한 초기 남부 확산의 일부였다고 제안했다.[6]

1880년대 기록을 마지막으로 사멸한 미분류 언어 케나보이어(Kenaboi language)는 흔히 아슬리 언어로 추정되나, 독자적인 어휘를 많이 가지고 있어 고립된 언어였다고 보기도 한다.

2. 1. 아슬리어파에 영향을 준 언어

아슬리어파는 여러 언어와 관련이 있는데, 특히 보르네오의 초기 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많다.[2] 3000~4000년 전 보르네오에서 이주민들이 말레이 반도에 정착하여 아슬리어 사용자들에 대한 문화적 지배를 확립했을 가능성이 있다.[2] 참족어, 아체어, 말레이어에서 유래한 단어들도 있으며,[2] 일부 아슬리어파 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 분류사를 사용하기도 한다.[23]

아슬리어파는 큰 음운 변화를 겪지 않았지만, 말레이어에서 차용한 단어가 상당하다.[8] 이는 오랑 아슬리와 말레이인들 사이의 지속적인 상호 작용의 결과인데, 정착 생활을 하는 오랑 아슬리보다 유목 생활을 하는 오랑 아슬리에게 말레이어의 영향이 더 크다.[8] 농경 생활을 하는 오랑 아슬리는 외딴 지역에 거주하며 자급자족 생활을 하기 때문에 말레이어와의 상호 작용의 영향을 덜 받는다.[8]

3. 분류

크게 북부, 중부, 남부의 분파로 나뉜다.[34]


  • 자하이어군 (북부)
  • * Cheq Wongms
  • * Ten'ednms (Mosms)
  • * 동부
  • ** 바텍어
  • ** 자하이어
  • ** 민리크어
  • ** 민틸어
  • * 서부
  • ** 켄시우어
  • ** 킨타크어 (Kentaqbongms)
  • ** 마니크어
  • 세노이어군 (중부)
  • * 세마이어
  • * 테미아르어
  • * 라노어
  • * 사븜어 (사멸)
  • * 셈남어
  • 남부 아슬리어군 (세멜라)
  • * Mah Merims (Besisims)
  • * 세멜라이어
  • * 테목어
  • * 세막 베리어
  • 자 후트어


아슬리어 분류


아슬리조어(Proto-Aslian영어)는 2012년 Timothy Phillips에 의해 처음 재구되었다.[34] 아슬리조어와 비교할 때 북부 언어들은 *sə– > ha–의 변화를, *-ʔ의 소실을 겪었다. 또한 모든 분파에서 *–N > *–DN 변화가 일어났으나 자 후트어(Jah Hut)는 예외로서 다른 분파들과 독립적인 언어로 여겨진다.[34]

1880년대 기록을 마지막으로 사멸한 미분류 언어 케나보이어(Kenaboi)는 흔히 아슬리 언어로 추정되나 유독 독자적인 어휘를 많이 가지고 있어 고립된 언어였다고 보기도 한다.

Phillips (2012:194)[7]는 각 아슬리어 어파가 원시 아슬리어에서 혁신한 다음과 같은 자음 변화를 열거한다.

  • 북부 아슬리어: 원시 아슬리어 *sə- > ha-
  • 남부 아슬리어: 원시 아슬리어 *-ʔ (최종 성문 폐쇄음) 소실
  • 자 후트어를 제외한 모든 어파에서 원시 아슬리어 *-N > *-DN

3. 1. 북부 아슬리어군 (자하이어군)

자하이어군은 크게 북부, 중부, 남부로 나뉘는 아슬리어파의 한 분파이다.[34] 북부 아슬리어군은 체크 웡어(Cheq Wong), 텐에든어(Ten'edn (Mos))와 동부, 서부 아슬리어군으로 나뉜다.[34] 동부 아슬리어군에는 바테크어(Batek), 자하이어(Jahai), 민리크어(Minriq), 민틸어(Mintil)가 포함된다.[34] 서부 아슬리어군에는 켄시우어(Kensiu), 킨타크어(Kintaq (Kentaqbong)), 마니크어(Maniq)가 포함된다.[34] 아슬리조어와 비교할 때 북부 언어들은 *sə– > ha–의 변화를, *-ʔ의 소실을 겪었다.[34]

3. 2. 세노이어군 (중부 아슬리어군)

크게 북부, 중부, 남부의 분파로 나뉜다.[34] 세노이어군은 중부 아슬리어군으로 분류되며, 세마이어, 테미아르어, 라노어, 사븜어(사멸), 셈남어가 속한다.[34]

3. 3. 남부 아슬리어군 (세멜라어군)

마 머리어(베시시어), 세멜라이어, 테목어, 세막 베리어가 남부 아슬리어군(세멜라어군)에 속한다.[34]

3. 4. 자후트어군

크게 북부, 중부, 남부의 분파로 나뉜다.[34]

  • 자하이어군 (북부)
  • 세노이어군 (중부)
  • 남부 아슬리어군 (세멜라)


아슬리조어(Proto-Aslian)는 2012년 Timothy Phillips에 의해 처음 재구되었다.[34] 아슬리조어와 비교할 때 북부 언어들은 *sə– > ha–의 변화를, *-ʔ의 소실을 겪었다. 또한 모든 분파에서 *–N > *–DN 변화가 일어났으나 자헛어(Jah Hut)는 예외로서 다른 분파들과 독립적인 언어로 여겨진다.[34]

1880년대 기록을 마지막으로 사멸한 미분류 언어 케나보이어(Kenaboi)는 흔히 아슬리 언어로 추정되나 유독 독자적인 어휘를 많이 가지고 있어 고립된 언어였다고 보기도 한다.

4. 음운

4. 1. 음절 구조

아슬리어 단어는 단음절어, 겹음절어 또는 이음절어일 수 있다.[8]

  • '''단음절어''': 간단한 CV(C) 또는 복잡한 CCV(C) 형태이다.

  • '''겹음절어''':[9] 완전히 강세가 있는 모음으로 구성된 주요 음절 앞에 부차적인 음절이 오는 형태이다.
  • '''테미아르어''' ''ləpud'' '꼬리지느러미'
  • '''세마이어''' ''kʔɛːp'' [kɛʔɛːp] '지네'[10]

  • '''이음절어''': 여러 중복과 삽입으로 인해 형태론적으로 더 복잡하다. 강세는 없지만 축약되지 않은 모음이 있는 복합어도 있다.
  • '''테미아르어''' ''diŋ-rəb'' '피난처'

말레이어에서 차용된 단어는 이음절어의 또 다른 출처이다.

  • '''자후어''' ''suraʔ'' '노래하다', 말레이어 ''suara'' '목소리'에서 유래
  • '''세마이어''' ''tiba:ʔ'' '도착하다', 말레이어 ''tiba'' '도착하다'에서 유래[11]

  • 테미아르어는 중간 사동(`tərakɔ̄w`)[12]와 계속적 사동(`tərɛwkɔ̄w`)과 같은 형태론적 범주 또는 첨가어가 있는 단어(`barhalab ~ behalab` '하류로 가다')에서 음운론적으로 '''삼음절어'''를 가지고 있다.

4. 1. 1. 단음절어

단음절어는 간단한 CV(C) 또는 복잡한 CCV(C) 형태이다.

4. 1. 2. 겹음절어

완전히 강세가 있는 모음으로 구성된 주요 음절 앞에 부차적인 음절이 오는 형태이다.

4. 1. 3. 이음절어

여러 중복과 삽입으로 인해 형태론적으로 더 복잡하다. 강세는 없지만 축약되지 않은 모음이 있는 복합어도 있다.

4. 1. 4. 삼음절어

테미아르어는 중간 사동(''tərakɔ̄w'')과 계속적 사동(''tərɛwkɔ̄w'')과 같은 형태론적 범주 또는 첨가어가 있는 단어(''barhalab ~ behalab'' '하류로 가다')에서 음운론적으로 삼음절어를 가진다.

4. 2. 초성 자음

아슬리어 단어는 일반적으로 자음으로 시작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성문 폐쇄음이 뒤따른다.[13] 대부분의 아슬리어에서, 유기음 자음은 두 개의 음소의 연쇄로 분석되는데, 그 중 하나가 'h'이다.

아슬리어의 음절 첫머리 자음 군집은 풍부하고 다양하다. 예를 들어, 파열음조음 위치 또는 성대의 작용에 제한 없이 군집을 이룰 수 있다.

:'''자후어''' ''tkak'' '입천장', ''dkaŋ'' '대나무쥐', ''bkul'' '회색', ''bgɔk'' '갑상선종'[14]

후두음 /h, ʔ/의 조음은 모음 발음 중간에 중첩될 수 있으며, 후두음으로 중단된 두 개의 동일한 모음이 있는 것처럼 들린다.[10]

4. 3. 모음

북부 테미아르어는 30개의 모음핵을 가지는 전형적인 아슬리어 모음 체계를 보여준다.[12]

구개 모음비음
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
고모음i ʉ uiː ʉː uːĩ ʉ̃ ũĩː ʉ̃ː ũː
중모음e ə oeː əː oː해당 없음해당 없음
저모음ɛ a ɔɛː aː ɔːɛ̃ ã ɔ̃ɛ̃ː ãː ɔ̃ː



아슬리어에서 비음/구개 대조의 기능적 부담은 매우 크지 않다.[15] 세마이어, 테미아르어, 사붐어와 같은 세노이어에서는 음운론적 모음 길이가 유지되었다. 북부 및 남부 아슬리어 어파에서는 대조적인 길이가 소실되었다. 모음 길이의 소실은 다른 곳에서 새로운 대조를 발전시킴으로써 영향을 받은 언어의 모음 체계에서 복잡한 재구성으로 이어졌을 것이다.

이중모음화는 다른 몬크메르어파와 비교하여 아슬리어에서 그다지 명확하지 않다.

4. 4. 종성 자음

아슬리어 계열 언어는 종성이 매우 풍부하며,[8] 대부분의 언어에서 종성에 많은 강세를 둔다.[8]

'-r, -l, -s, -h' 및 '-ʔ'은 아슬리어에서 잘 나타나고 보존되어 있다.[16] 이러한 종성 앞에서는 장모음이 단모음으로 단축되는 경향도 있다.[17] 테미아르어의 '-h'는 '-u-' 뒤에 오면 양순 마찰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보고되었다.[12]

아슬리어 계열 전체에서 종성 비음은 파열음화된다. 북부 아슬리어에서는 이 현상이 더욱 발전하여 종성 비음이 파열음 계열과 합쳐졌다.

5. 형태

철저히 연구된 모든 아슬리어파는 접두사, 삽입사 및 중복과 같은 다양한 형태음운론적 장치를 구성적으로 사용한다. 또한 대부분의 아슬리어는 더 이상 생산적이지 않은 다른 형태론적 패턴의 화석화된 흔적을 보존하고 있다.[8]

또한 아슬리어에서 접미사의 사용은 말레이시아어 차용어의 최근 사용의 결과라는 점도 주목되었다. 예를 들어, 삽입사 'n'의 사용은 다양한 아슬리어에서 두드러지며 무수히 많은 의미를 포함한다.[8]

아슬리어파에서 단순 접두사는 C(C)VC → (P)(P)–C(C)VC 형태로 나타난다.[8]

예시는 다음과 같다.[8]

접사단순형사동형
p-cyɛk '잠자다'pcyɛk '잠재우다'
pr-bhec '무서워하다'prbhec '겁주다'
pn-tlas '도망치다'pntlas '풀어주다'
tr-hus '(옷이) 느슨해지다'trhus '옷을 벗기다'
kr-lʉy '안에 있다'krlʉy '안에 넣다'



'자흐 헛'의 사동형이 그 예시이다.

5. 1. 단순 접두사

아슬리어파에서 단순 접두사는 C(C)VC → (P)(P)–C(C)VC 형태로 나타난다.[8]

예시는 다음과 같다.[8]

접사단순형사동형
p-cyɛk '잠자다'pcyɛk '잠재우다'
pr-bhec '무서워하다'prbhec '겁주다'
pn-tlas '도망치다'pntlas '풀어주다'
tr-hus '(옷이) 느슨해지다'trhus '옷을 벗기다'
kr-lʉy '안에 있다'krlʉy '안에 넣다'



'자흐 헛'의 사동형이 그 예시이다.

6. 문법

아슬리어의 구문론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전체에 비해 보수적인 것으로 추정되지만, 수사 분류사 사용 등 일부 문법적 세부 사항에는 말레이어의 영향이 나타난다.[8]
기본 및 순열 어순세노이어 문장은 전치사적이며, 크게 과정(능동)과 상태로 나뉜다. 상태 문장에서는 술어가 먼저 온다.

:그것은 크다.

과정 문장에서는 주어가 일반적으로 먼저 오고, 목적어와 다른 모든 보어는 동사 뒤에 온다.

:개가 으르렁거린다.

자후트에서는 모두 보어이지만, 직접 목적어는 전치사를 필요로 한다.

:나는 저 멧돼지를 창으로 찌를 것이다.

관계절, 유사한 동사 수식어, 소유격, 지시어 및 서술 명사는 그들의 중심 명사 뒤에 온다.

:이것은 우리가 먹을 수 있는 과일이다.

부정 형태소는 동사 앞에 오지만, 인칭 접두사는 동사 어근 앞에 개입할 수 있다.

:왜 그 훌륭한 고기를 먹지 않았습니까?
지시, 방향성 및 태세노이어군 언어들은 지시 표현의 정확성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이는 포괄/배타 및 이중/복수의 구분을 하고, 동사에 접두사 일치 대명사를 붙여 주어의 인칭과 수를 반영하는 정교한 대명사 체계에 나타난다.[8] 장소 지시는 화자와 청자의 상대적 위치(수평 및 수직 모두)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8] 예를 들어 "내가 여기서 그것을 저기 너에게 줄 것이다."와 같이 표현한다.

6. 1. 기본 및 순열 어순

세노이어 문장은 전치사적이며, 크게 과정(능동)과 상태로 나뉜다. 상태 문장에서는 술어가 먼저 온다.

:그것은 크다.

과정 문장에서는 주어가 일반적으로 먼저 오고, 목적어와 다른 모든 보어는 동사 뒤에 온다.

:개가 으르렁거린다.

자후트에서는 모두 보어이지만, 직접 목적어는 전치사를 필요로 한다.

:나는 저 멧돼지를 창으로 찌를 것이다.

관계절, 유사한 동사 수식어, 소유격, 지시어 및 서술 명사는 그들의 중심 명사 뒤에 온다.

:이것은 우리가 먹을 수 있는 과일이다.

부정 형태소는 동사 앞에 오지만, 인칭 접두사는 동사 어근 앞에 개입할 수 있다.

:왜 그 훌륭한 고기를 먹지 않았습니까?

6. 2. 지시, 방향성 및 태

세노이어군 언어들은 지시 표현의 정확성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이는 포괄/배타 및 이중/복수의 구분을 하고, 동사에 접두사 일치 대명사를 붙여 주어의 인칭과 수를 반영하는 정교한 대명사 체계에 나타난다.[8] 장소 지시는 화자와 청자의 상대적 위치(수평 및 수직 모두)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8] 예를 들어 "내가 여기서 그것을 저기 너에게 줄 것이다."와 같이 표현한다.

7. 어휘 및 의미

아슬리어파 언어들은 서로에게서 차용하였다.[1]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들은 의미적으로 복잡한 개념을 분석할 수 없는 단일 형태소 어휘(예: 세마이어/thãʔmsw의 ''thãʔ'' '어른들을 성적으로 놀리는 것')로 암호화하는 경향이 있다.[21] 이러한 어휘의 특수성은 어휘의 증식으로 이어진다.

어휘의 확장은 특히 아슬리어파와 자연 환경(식물과 동물 명칭, 화전 농업 용어 등)의 상호 작용을 반영하는 영역에서 두드러진다. 아슬리어파 어휘를 가장 크게 늘리는 것은 "표현어"라고 불리는 단어의 종류이다.[22]

표현어는 소리, 시각 현상, 신체 감각, 감정, 냄새, 맛 등을 정밀하고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단어이다.[8] 이들은 특별한 음운 형태론적 패턴을 특징으로 하며, 음성 상징을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명사와 동사와 달리 표현어는 어휘적으로 불연속적이며, 발음의 작은 변화로 전달되는 사실상 무한한 수의 의미적 미묘한 차이를 받는다.

예를 들어 세마이어msw에서 날갯짓, 물고기의 격렬한 움직임 등의 다양한 소리와 움직임은 ''parparpar, krkpur, knapurpur, purpurpur'' 등과 같이 음운 형태론적으로 관련된 표현어의 열린 집합으로 묘사된다.[8]

8. 멸종 위기 및 소멸

모든 아슬리어는 소수의 사람들만이 사용하는 언어이기 때문에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화자의 사망과 말레이 사회와의 언어적 동화와 같은 요인이 이에 기여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아슬리어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말레이시아의 일부 라디오 방송국에서는 매일 9시간 동안 아슬리어 방송을 하고 있으며, 신문, 잡지 형식의 프로그램, 드라마와 같은 다른 매체에서도 아슬리어 방송이 이루어지고 있다.[8]

아슬리어로 정규 교육을 받는 오랑 아슬리 인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젊은 오랑 아슬리는 학교에서 말레이어를 교육 언어로 사용한다. 자격을 갖춘 교사와 교수 자료가 부족하여 아직 개발 중이기 때문에 현재 파항 주에는 5개교, 페락 주에는 2개교만이 아슬리어를 가르치고 있다.[8]

윌라어(Bila' 또는 저지대 세망어라고도 함)와 같이 일부 아슬리어는 이미 멸종되었다. 윌라어는 19세기 초 프로빈스 웰즐리 해안, 페낭 맞은편에서 사용되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 다른 멸종 언어로는 북부 페락의 게릭 근처에서 사용되었던 플레-테머어가 있다.

참조

[1] 논문 Austroasiatic Subgroupings and Prehistory in the Malay Peninsula https://www.jstor.or[...] 1976
[2] 웹사이트 Why are Aslian speakers Austronesian in culture http://www.rogerblen[...] 2006
[3] 간행물 Why are Aslian speakers Austronesian in culture? Papers presented at ICAL-3, Siem Reap, Cambodia 2006
[4] 서적 Language MacMillan 1906
[5] 서적 The Negritos of Malaya Frank Cass 1937
[6] 학회발표 Proto-Aslian reconstruction: classification, vocalism, homeland 2023
[7] Ph.D. thesis Proto-Aslian: towards an understanding of its historical linguistic systems, principles and processes Institut Alam Dan Tamadun Melayu Universiti Kebangsaan Malaysia 2012
[8] 논문 Aslian: Mon–Khmer of Malay Peninsula http://sealang.net/a[...] 2003
[9] 서적 Tonogenesis in Southeast Asia 1973
[10] 논문 Minor-syllably vocalism in Senoic languages 1976
[11] 논문 Semoq Beri: some preliminary remarks 1979
[12] 논문 An outline of Temiar grammar 1976
[13] 서적 Aslian languages, Aslian: characteristics and usage Archipelago Press 2004
[14] 논문 Jah Hut, an Austroasiatic language of Malaysia Pacific Linguistics C-42 1976
[15] 논문 Towards a history of Mon–Khmer: proto-Semai vowels 1977
[16] 서적 Sino-Tibetan: a Conspect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2
[17] 논문 The vocalism of Proto Mon–Khmer 1976
[18] 논문 Ambiguïtè morphologique en semai Klincksieck 1972
[19] 논문 Minor-syllable vocalism in Senoic languages 1976
[20] 논문 Les langues mon-khmer de Malaisie: classification historique et innovations 1975
[21] 강의자료 Relations between the animals and the humans in Semai society Handout for lecture presented at Southeast Asian Center, Kyoto University 1976
[22] 논문 Expressives in Semai 1976
[23] 논문 The Influence of Non-Austroasiatic Languages on Numeral Classification in Austroasiatic 1991
[24] 논문 Austroasiatic Subgroupings and Prehistory in the Malay Peninsula https://www.jstor.or[...] 1976
[25] 논문 東南アジアにおける言語政策 https://nagasaki-u.r[...] 長崎大学
[26] 서적 Aslian languages, Aslian: characteristics and usage Archipelago Press 2004
[27] 웹사이트 Why are Aslian speakers Austronesian in culture http://www.rogerblen[...] 2006
[28] 간행물 Why are Aslian speakers Austronesian in culture? Papers presented at ICAL-3, Siem Reap, Cambodia 2006
[29] 서적 Language MacMillan 1906
[30] 서적 The Negritos of Malaya Frank Cass 1937
[31] 간행물 Why are Aslian speakers Austronesian in culture? Papers presented at ICAL-3, Siem Reap, Cambodia 2006
[32] 서적 Language MacMillan 1906
[33] 서적 The Negritos of Malaya Frank Cass 1937
[34] Ph.D. thesis Proto-Aslian: towards an understanding of its historical linguistic systems, principles and processes Institut Alam Dan Tamadun Melayu Universiti Kebangsaan Malaysia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