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는 1957년 이란 테헤란에서 남자 대회가 처음 개최된 이후 아시아 각국에서 열리고 있다. 대한민국은 1980년 서울에서 대회를 개최한 것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대회를 유치했으며, 2023년에는 진주에서 대회가 열렸다. 2003년부터 2022년까지의 메달 집계에서 대한민국은 총 획득 메달 기준 7위를 기록했다. 2011년부터 2022년까지의 팀 순위에서 대한민국은 남자부에서 2012년 2위, 2019년 3위를 기록했고, 여자부에서는 2012년과 2020년에 2위, 2019년에 3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도 대회 - 올림픽 역도
올림픽 역도는 고대부터 시작되어 1896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1920년 체급별 구분이 도입되었고, 2000년 시드니 올림픽부터 여자 역도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196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NLCS)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내셔널 리그의 페넌트 우승팀을 가리는 7전 4선승제 시리즈로, 우승팀은 월드 시리즈에 진출하며 워렌 C. 자일스 트로피를 받고, 최우수 선수상(MVP)도 수여된다. - 196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LCS)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월드 시리즈 진출 팀을 결정하는 플레이오프 시리즈로, 각 리그 디비전 시리즈 승리 팀들이 7전 4선승제로 맞붙는다.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최로 아시아 국가들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아시아 축구 발전과 함께 성장하며 대회 양상 변화와 규모 확대를 거듭해왔다.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AFC 풋살 아시안컵
AFC 풋살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풋살 국가대표팀 간의 대륙 선수권 대회로, 1999년부터 시작되어 2006년부터 FIFA 풋살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2022년 명칭 변경을 통해 AFC 주관 주요 대회의 명칭을 통일했고, 이란이 최다 우승국이다.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 |
---|---|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정보 | |
명칭 |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
현지 대회명 | Asian Weightlifting Championships |
주관 | 아시아 역도 연맹(AWF) |
대회 주기 | 1년 |
횟수 | 남자 44회 / 여자 25회(2013년) |
대회 성적 | |
기타 정보 | |
공식 웹사이트 | www.a-w-f.net |
진행 중 | 진행 중 |
진행 중 기호 | [[파일:Current event clock.svg|40px|Current competition]] 2013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
2. 역대 대회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역도 연맹이 주관하는 국제 역도 대회이다. 1957년 첫 대회가 개최된 이래, 현재까지 총 52번의 남자 대회와 33번의 여자 대회가 열렸다.
연도 | 횟수 | 장소 | |
---|---|---|---|
남 | 여 | ||
1957 | 1 | 이란 테헤란 | |
1964 | 2 | 일본 도쿄 | |
1965 | 3 | 이란 테헤란 | |
1971 | 4 | 필리핀 마닐라 | |
1976 | 8 | 태국 방콕 | |
1977 | 9 | 이라크 바그다드 | |
1979 | 11 | 일본 도쿄 | |
1980 | 12 | 대한민국 서울 | |
1981 | 13 | 일본 나고야 | |
1983 | 15 | 시리아 다마스쿠스 | |
1984 | 16 | 이란 타브리즈 | |
1985 | 17 | 중국 장시성 | |
1987 | 19 | 일본 아게오시 | |
1988 | 20 | 중국 둥관시 | |
1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
1989 | 21 | 이란 테헤란 | |
2 | 중국 상하이 | ||
1991 | 23 | 일본 가미스시 | |
4 | 인도네시아 마나도 | ||
1992 | 24 | 중국 푸저우 | |
5 | 태국 치앙마이 | ||
1993 | 25 | 이란 타브리즈 | |
6 | 중국 둥관시 | ||
1995 | 27 | 8 | 대한민국 부산 |
1996 | 28 | 9 | 일본 야치요시 |
1997 | 29 | 10 | 중국 양저우 |
1999 | 31 | 12 | 중국 우한 |
2000 | 32 | 13 | 일본 오사카 |
2001 | 33 | 14 | 대한민국 전주 |
2003 | 35 | 16 | 중국 친황다오시 |
2004 | 36 | 17 | 카자흐스탄 알마티 |
2005 | 37 | 18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
2007 | 38 | 19 | 중국 타이안시 |
2008 | 39 | 20 | 일본 가나자와시 |
2009 | 40 | 21 | 카자흐스탄 탈디코르간 |
2011 | 42 | 23 | 중국 퉁링시 |
2012 | 43 | 24 | 대한민국 평택 |
2013 | 44 | 25 |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
2015 | 45 | 26 | 태국 푸껫 |
2016 | 46 | 27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2017 | 47 | 28 | 투르크메니스탄 아시가바트 |
2019 | 48 | 29 | 중국 닝보 |
2020 | 49 | 30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2022 | 50 | 31 | 바레인 마나마 |
2023 | 51 | 32 | 대한민국 진주 |
2024 | 52 | 33 |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2025 | 53 | 34 | 중국 장산 |
2026 | 54 | 35 | 인도 간디나가르 |
하계 아시안 게임 중 열리는 역도 경기는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로 간주된다.
-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10년 아시안 게임 역도 경기는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로 간주되었다.
2. 1. 역대 개최지
연도 | 남자 | 여자 | 개최지 |
---|---|---|---|
1957 | 1 | تهران|테헤란fa, 이란 | |
1964 | 2 | 東京|도쿄일본어, 일본 | |
1965 | 3 | تهران|테헤란fa, 이란 | |
1971 | 4 | 마닐라, 필리핀 | |
1976 | 8 | 방콕, 태국 | |
1977 | 9 | بغداد|바그다드ar, 이라크 | |
1979 | 11 | 東京|도쿄일본어, 일본 | |
1980 | 12 | 서울, 대한민국 | |
1981 | 13 | 名古屋|나고야일본어, 일본 | |
1982 | 14 | 뉴델리, 인도 | |
1983 | 15 | دمشق|다마스쿠스ar, 시리아 | |
1984 | 16 | تبریز|타브리즈fa, 이란 | |
1985 | 17 | 장시성, 중국 | |
1986 | 18 | 서울, 대한민국 | |
1987 | 19 | 上尾|아게오일본어, 일본 | |
1988 | 20 | 둥관시, 중국 | |
1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
1989 | 21 | تهران|테헤란fa, 이란 | |
2 | 상하이, 중국 | ||
1990 | 22 | 3 | 베이징, 중국 |
1991 | 23 | 神栖|가미스일본어, 일본 | |
4 | 마나도, 인도네시아 | ||
1992 | 24 | 푸저우, 중국 | |
5 | 치앙마이, 태국 | ||
1993 | 25 | تبریز|타브리즈fa, 이란 | |
6 | 둥관시, 중국 | ||
1994 | 26 | 7 | 히로시마, 일본 |
1995 | 27 | 8 | 부산, 대한민국 |
1996 | 28 | 9 | 八千代|야치요일본어, 일본 |
1997 | 29 | 10 | 양저우, 중국 |
1998 | 30 | 11 | 방콕, 태국 |
1999 | 31 | 12 | 우한, 중국 |
2000 | 32 | 13 | 오사카, 일본 |
2001 | 33 | 14 | 전주, 대한민국 |
2002 | 34 | 15 | 부산, 대한민국 |
2003 | 35 | 16 | 친황다오, 중국 |
2004 | 36 | 17 | 알마티, 카자흐스탄 |
2005 | 37 | 18 |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
2007 | 38 | 19 | 타이안, 중국 |
2008 | 39 | 20 | 金沢|가나자와일본어, 일본 |
2009 | 40 | 21 | 탈디코르간, 카자흐스탄 |
2010 | 41 | 22 | 광저우, 중국 |
2011 | 42 | 23 | 퉁링, 중국 |
2012 | 43 | 24 | 평택, 대한민국 |
2013 | 44 | 25 | 아스타나, 카자흐스탄 |
2015 | 45 | 26 | 푸껫, 태국 |
2016 | 46 | 27 |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2017 | 47 | 28 | 아시가바트, 투르크메니스탄 |
2019 | 48 | 29 | 닝보, 중국 |
2020 | 49 | 30 |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2022 | 50 | 31 | 마나마, 바레인 |
2023 | 51 | 32 | 진주, 대한민국 |
2024 | 52 | 33 |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2025 | 53 | 34 | 장산, 중국 |
2026 | 54 | 35 | 간디나가르, 인도 |
아시아 역도 연맹은 하계 아시안 게임 중 열리는 역도 경기를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로 간주한다.
2. 2. 메달 집계
2003년부터 2022년까지(2010년 제외)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의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총합(Big Total) 메달 기준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중화인민공화국 | 120 | 48 | 19 | 187 |
2 | 이란 | 26 | 24 | 18 | 68 |
3 | 카자흐스탄 | 16 | 16 | 32 | 64 |
4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0 | 27 | 18 | 55 |
5 | 중화 타이베이 | 10 | 17 | 14 | 41 |
6 | 태국 | 8 | 19 | 23 | 50 |
7 | 대한민국 | 9 | 12 | 14 | 35 |
8 | 베트남 | 6 | 15 | 8 | 29 |
9 | 우즈베키스탄 | 5 | 6 | 9 | 20 |
10 | 키르기스스탄 | 3 | 3 | 2 | 8 |
11 | 마카오 | 3 | 0 | 0 | 3 |
12 | 카타르 | 2 | 4 | 0 | 6 |
13 | 필리핀 | 2 | 1 | 2 | 5 |
14 | 일본 | 2 | 1 | 13 | 16 |
15 | 인도네시아 | 1 | 8 | 12 | 21 |
16 | 시리아 | 1 | 2 | 1 | 4 |
17 | 몽골 | 1 | 2 | 0 | 3 |
18 | 사우디아라비아 | 1 | 0 | 2 | 3 |
19 | 인도 | 0 | 6 | 10 | 16 |
20 | 투르크메니스탄 | 0 | 2 | 7 | 9 |
21 | 홍콩 | 0 | 1 | 2 | 3 |
22 | 미얀마 | 0 | 1 | 2 | 3 |
23 | 말레이시아 | 0 | 1 | 0 | 1 |
24 | 이라크 | 0 | 0 | 1 | 1 |
인상, 용상, 총합(Small, Big Total) 메달 기준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중화인민공화국 | 348 | 154 | 60 | 562 |
2 | 이란 | 79 | 66 | 54 | 199 |
3 | 카자흐스탄 | 57 | 55 | 98 | 210 |
4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6 | 70 | 56 | 162 |
5 | 태국 | 31 | 63 | 64 | 158 |
6 | 중화 타이베이 | 36 | 53 | 43 | 132 |
7 | 대한민국 | 25 | 41 | 46 | 112 |
8 | 베트남 | 24 | 45 | 35 | 104 |
9 | 우즈베키스탄 | 22 | 32 | 47 | 101 |
10 | 카타르 | 10 | 16 | 1 | 27 |
11 | 키르기스스탄 | 8 | 15 | 9 | 32 |
12 | 마카오 | 7 | 0 | 4 | 11 |
13 | 일본 | 5 | 8 | 40 | 53 |
14 | 필리핀 | 7 | 11 | 9 | 27 |
15 | 인도네시아 | 6 | 35 | 46 | 87 |
16 | 시리아 | 3 | 9 | 6 | 18 |
17 | 몽골 | 6 | 5 | 8 | 19 |
18 | 사우디아라비아 | 3 | 3 | 9 | 15 |
19 | 투르크메니스탄 | 2 | 12 | 25 | 39 |
20 | 인도 | 4 | 15 | 38 | 57 |
21 | 홍콩 | 0 | 3 | 5 | 8 |
22 | 미얀마 | 0 | 3 | 5 | 8 |
23 | 말레이시아 | 0 | 4 | 1 | 5 |
24 | 이라크 | 0 | 2 | 3 | 5 |
25 | 스리랑카 | 0 | 1 | 2 | 3 |
26 | 파키스탄 | 0 | 0 | 1 | 1 |
중화인민공화국은 총 획득 메달과 모든 메달 기준 모두 1위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대한민국은 총합 메달 기준 7위(금메달 9개, 은메달 12개, 동메달 14개), 인상, 용상, 총합 메달 기준 7위(금메달 25개, 은메달 41개, 동메달 46개)를 기록했다.
2. 2. 1. 2003년 - 2019년 (2010년 제외)
2003년부터 2019년까지(2010년 제외)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의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총 획득 메달 (Total result) 기준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중화인민공화국 | 104 | 41 | 18 | 163 |
2 | 이란 | 20 | 21 | 15 | 56 |
3 | 카자흐스탄 | 14 | 13 | 30 | 57 |
4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0 | 27 | 18 | 55 |
5 | 중화 타이베이 | 10 | 17 | 14 | 41 |
6 | 태국 | 8 | 19 | 21 | 48 |
7 | 대한민국 | 8 | 10 | 12 | 30 |
8 | 베트남 | 6 | 15 | 8 | 29 |
9 | 우즈베키스탄 | 5 | 6 | 9 | 20 |
10 | 키르기스스탄 | 3 | 3 | 2 | 8 |
11 | 마카오 | 3 | 0 | 0 | 3 |
12 | 카타르 | 2 | 4 | 0 | 6 |
13 | 필리핀 | 2 | 1 | 2 | 5 |
14 | 일본 | 2 | 1 | 13 | 16 |
15 | 인도네시아 | 1 | 8 | 12 | 21 |
16 | 시리아 | 1 | 2 | 1 | 4 |
17 | 몽골 | 1 | 2 | 0 | 3 |
18 | 사우디아라비아 | 1 | 0 | 2 | 3 |
19 | 인도 | 0 | 6 | 10 | 16 |
20 | 투르크메니스탄 | 0 | 2 | 7 | 9 |
21 | 홍콩 | 0 | 1 | 2 | 3 |
22 | 미얀마 | 0 | 1 | 2 | 3 |
23 | 말레이시아 | 0 | 1 | 0 | 1 |
24 | 이라크 | 0 | 0 | 1 | 1 |
모든 메달 (Snatch, Clean & Jerk, Total result) 기준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중화인민공화국 | 302 | 133 | 56 | 491 |
2 | 이란 | 65 | 57 | 43 | 165 |
3 | 카자흐스탄 | 43 | 44 | 78 | 165 |
4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6 | 70 | 56 | 162 |
5 | 태국 | 31 | 60 | 60 | 151 |
6 | 중화 타이베이 | 30 | 47 | 37 | 114 |
7 | 대한민국 | 22 | 32 | 42 | 96 |
8 | 베트남 | 15 | 39 | 32 | 86 |
9 | 우즈베키스탄 | 14 | 22 | 29 | 65 |
10 | 카타르 | 8 | 12 | 1 | 21 |
11 | 키르기스스탄 | 7 | 11 | 8 | 26 |
12 | 마카오 | 7 | 0 | 4 | 11 |
13 | 일본 | 5 | 6 | 30 | 41 |
14 | 필리핀 | 5 | 5 | 5 | 15 |
15 | 인도네시아 | 3 | 24 | 34 | 61 |
16 | 시리아 | 3 | 6 | 6 | 15 |
17 | 몽골 | 3 | 3 | 3 | 9 |
18 | 사우디아라비아 | 3 | 0 | 5 | 8 |
19 | 투르크메니스탄 | 1 | 6 | 19 | 26 |
20 | 인도 | 0 | 15 | 35 | 50 |
21 | 홍콩 | 0 | 3 | 5 | 8 |
22 | 미얀마 | 0 | 3 | 5 | 8 |
23 | 말레이시아 | 0 | 3 | 1 | 4 |
24 | 이라크 | 0 | 2 | 3 | 5 |
25 | 스리랑카 | 0 | 0 | 1 | 1 |
대한민국은 총 획득 메달 기준 금메달 8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2개로 7위를 기록했고, 모든 메달 기준 금메달 22개, 은메달 32개, 동메달 42개로 역시 7위를 기록했다.
2. 2. 2. 2003년 - 2022년 (2010년 제외)
2003년부터 2022년까지(2010년 제외)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의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총합(Big Total) 메달 기준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중화인민공화국 | 120 | 48 | 19 | 187 |
2 | 이란 | 26 | 24 | 18 | 68 |
3 | 카자흐스탄 | 16 | 16 | 32 | 64 |
4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0 | 27 | 18 | 55 |
5 | 중화 타이베이 | 10 | 17 | 14 | 41 |
6 | 태국 | 8 | 19 | 23 | 50 |
7 | 대한민국 | 9 | 12 | 14 | 35 |
8 | 베트남 | 6 | 15 | 8 | 29 |
9 | 우즈베키스탄 | 5 | 6 | 9 | 20 |
10 | 키르기스스탄 | 3 | 3 | 2 | 8 |
11 | 마카오 | 3 | 0 | 0 | 3 |
12 | 카타르 | 2 | 4 | 0 | 6 |
13 | 필리핀 | 2 | 1 | 2 | 5 |
14 | 일본 | 2 | 1 | 13 | 16 |
15 | 인도네시아 | 1 | 8 | 12 | 21 |
16 | 시리아 | 1 | 2 | 1 | 4 |
17 | 몽골 | 1 | 2 | 0 | 3 |
18 | 사우디아라비아 | 1 | 0 | 2 | 3 |
19 | 인도 | 0 | 6 | 10 | 16 |
20 | 투르크메니스탄 | 0 | 2 | 7 | 9 |
21 | 홍콩 | 0 | 1 | 2 | 3 |
22 | 미얀마 | 0 | 1 | 2 | 3 |
23 | 말레이시아 | 0 | 1 | 0 | 1 |
24 | 이라크 | 0 | 0 | 1 | 1 |
인상, 용상, 총합(Small, Big Total) 메달 기준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중화인민공화국 | 348 | 154 | 60 | 562 |
2 | 이란 | 79 | 66 | 54 | 199 |
3 | 카자흐스탄 | 57 | 55 | 98 | 210 |
4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6 | 70 | 56 | 162 |
5 | 태국 | 31 | 63 | 64 | 158 |
6 | 중화 타이베이 | 36 | 53 | 43 | 132 |
7 | 대한민국 | 25 | 41 | 46 | 112 |
8 | 베트남 | 24 | 45 | 35 | 104 |
9 | 우즈베키스탄 | 22 | 32 | 47 | 101 |
10 | 카타르 | 10 | 16 | 1 | 27 |
11 | 키르기스스탄 | 8 | 15 | 9 | 32 |
12 | 마카오 | 7 | 0 | 4 | 11 |
13 | 일본 | 5 | 8 | 40 | 53 |
14 | 필리핀 | 7 | 11 | 9 | 27 |
15 | 인도네시아 | 6 | 35 | 46 | 87 |
16 | 시리아 | 3 | 9 | 6 | 18 |
17 | 몽골 | 6 | 5 | 8 | 19 |
18 | 사우디아라비아 | 3 | 3 | 9 | 15 |
19 | 투르크메니스탄 | 2 | 12 | 25 | 39 |
20 | 인도 | 4 | 15 | 38 | 57 |
21 | 홍콩 | 0 | 3 | 5 | 8 |
22 | 미얀마 | 0 | 3 | 5 | 8 |
23 | 말레이시아 | 0 | 4 | 1 | 5 |
24 | 이라크 | 0 | 2 | 3 | 5 |
25 | 스리랑카 | 0 | 1 | 2 | 3 |
26 | 파키스탄 | 0 | 0 | 1 | 1 |
대한민국은 총합 메달 기준 금메달 9개, 은메달 12개, 동메달 14개로 7위를 기록했고, 인상, 용상, 총합 메달 기준으로는 금메달 25개, 은메달 41개, 동메달 46개로 7위를 기록했다.
2. 3. 팀 순위 (2011-2022)
colspan="2" | | 남자 | 여자 | 합계 | ||||||||||
---|---|---|---|---|---|---|---|---|---|---|---|---|---|
순위 | 역도 국가대표팀 | 합계 | style="border-left: 3px solid black;" | | 합계 | style="border-left: 3px solid black;" | | 합계 | |||||||
1 | 중국 | 3 | 2 | 1 | 6 | 7 | 0 | 0 | 7 | 10 | 2 | 1 | 13 |
2 | 이란 | 3 | 2 | 2 | 7 | 0 | 0 | 0 | 0 | 3 | 2 | 2 | 7 |
3 | 카자흐스탄 | 2 | 0 | 2 | 4 | 0 | 1 | 2 | 3 | 2 | 1 | 4 | 7 |
4 | 타이베이 | 0 | 1 | 0 | 1 | 1 | 1 | 1 | 3 | 1 | 2 | 1 | 4 |
5 | 인도네시아 | 0 | 0 | 0 | 0 | 1 | 0 | 0 | 1 | 1 | 0 | 0 | 1 |
6 | 인도 | 1 | 0 | 0 | 1 | 0 | 0 | 0 | 0 | 1 | 0 | 0 | 1 |
7 | 태국 | 0 | 1 | 0 | 1 | 0 | 3 | 0 | 3 | 0 | 4 | 0 | 4 |
8 | 우즈베키스탄 | 0 | 2 | 2 | 4 | 0 | 0 | 2 | 2 | 0 | 2 | 4 | 6 |
9 | 대한민국 | 0 | 1 | 1 | 2 | 0 | 2 | 1 | 3 | 0 | 3 | 2 | 5 |
10 | 북한 | 0 | 0 | 0 | 0 | 0 | 1 | 2 | 3 | 0 | 1 | 2 | 3 |
11 | 일본 | 0 | 0 | 0 | 0 | 0 | 1 | 0 | 1 | 0 | 1 | 0 | 1 |
12 | 베트남 | 0 | 0 | 1 | 1 | 0 | 0 | 1 | 1 | 0 | 0 | 2 | 2 |
합계 | 9 | 9 | 9 | 27 | 9 | 9 | 9 | 27 | 18 | 18 | 18 | 54 |
대한민국은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여러 차례 대회를 개최하며 아시아 역도 발전에 기여해 왔다.
3. 한국 역도와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3. 1. 역대 한국 개최 대회
연도 | 장소 | 비고 |
---|---|---|
1980년 | 서울 | 대한민국 최초 개최 |
1986년 | 서울 | |
1995년 | 부산 | |
2001년 | 전주 | |
2002년 | 부산 | 2002년 아시안 게임 역도 경기를 겸함 |
2012년 | 평택 | |
2023년 | 진주 | 2024년 하계 올림픽 출전권 부여 대회 |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아시아 역도 연맹은 아시안 게임 중 열리는 역도 경기를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로 간주한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장연학, 아시아역도선수권 남자 109㎏급 합계 3위
손현호, 아시아역도선수권 남자 81kg급 합계 3위…용상은 1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