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는 1957년 이란 테헤란에서 남자 대회가 처음 개최된 이후 아시아 각국에서 열리고 있다. 대한민국은 1980년 서울에서 대회를 개최한 것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대회를 유치했으며, 2023년에는 진주에서 대회가 열렸다. 2003년부터 2022년까지의 메달 집계에서 대한민국은 총 획득 메달 기준 7위를 기록했다. 2011년부터 2022년까지의 팀 순위에서 대한민국은 남자부에서 2012년 2위, 2019년 3위를 기록했고, 여자부에서는 2012년과 2020년에 2위, 2019년에 3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도 대회 - 올림픽 역도
    올림픽 역도는 고대부터 시작되어 1896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1920년 체급별 구분이 도입되었고, 2000년 시드니 올림픽부터 여자 역도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196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NLCS)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내셔널 리그의 페넌트 우승팀을 가리는 7전 4선승제 시리즈로, 우승팀은 월드 시리즈에 진출하며 워렌 C. 자일스 트로피를 받고, 최우수 선수상(MVP)도 수여된다.
  • 196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LCS)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월드 시리즈 진출 팀을 결정하는 플레이오프 시리즈로, 각 리그 디비전 시리즈 승리 팀들이 7전 4선승제로 맞붙는다.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최로 아시아 국가들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아시아 축구 발전과 함께 성장하며 대회 양상 변화와 규모 확대를 거듭해왔다.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AFC 풋살 아시안컵
    AFC 풋살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풋살 국가대표팀 간의 대륙 선수권 대회로, 1999년부터 시작되어 2006년부터 FIFA 풋살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2022년 명칭 변경을 통해 AFC 주관 주요 대회의 명칭을 통일했고, 이란이 최다 우승국이다.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정보
명칭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현지 대회명Asian Weightlifting Championships
주관아시아 역도 연맹(AWF)
대회 주기1년
횟수남자 44회 / 여자 25회(2013년)
대회 성적
기타 정보
공식 웹사이트www.a-w-f.net
진행 중진행 중
진행 중 기호[[파일:Current event clock.svg|40px|Current competition]] 2013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2. 역대 대회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역도 연맹이 주관하는 국제 역도 대회이다. 1957년 첫 대회가 개최된 이래, 현재까지 총 52번의 남자 대회와 33번의 여자 대회가 열렸다.



하계 아시안 게임 중 열리는 역도 경기는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로 간주된다.


  •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10년 아시안 게임 역도 경기는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로 간주되었다.

2. 1. 역대 개최지

연도남자여자개최지
19571تهران|테헤란fa, 이란
19642東京|도쿄일본어, 일본
19653تهران|테헤란fa, 이란
19714마닐라, 필리핀
19768방콕, 태국
19779بغداد|바그다드ar, 이라크
197911東京|도쿄일본어, 일본
198012서울, 대한민국
198113名古屋|나고야일본어, 일본
198214뉴델리, 인도
198315دمشق|다마스쿠스ar, 시리아
198416تبریز|타브리즈fa, 이란
198517장시성, 중국
198618서울, 대한민국
198719上尾|아게오일본어, 일본
198820둥관시, 중국
1자카르타, 인도네시아
198921تهران|테헤란fa, 이란
2상하이, 중국
1990223베이징, 중국
199123神栖|가미스일본어, 일본
4마나도, 인도네시아
199224푸저우, 중국
5치앙마이, 태국
199325تبریز|타브리즈fa, 이란
6둥관시, 중국
1994267히로시마, 일본
1995278부산, 대한민국
1996289八千代|야치요일본어, 일본
19972910양저우, 중국
19983011방콕, 태국
19993112우한, 중국
20003213오사카, 일본
20013314전주, 대한민국
20023415부산, 대한민국
20033516친황다오, 중국
20043617알마티, 카자흐스탄
20053718두바이, 아랍에미리트
20073819타이안, 중국
20083920金沢|가나자와일본어, 일본
20094021탈디코르간, 카자흐스탄
20104122광저우, 중국
20114223퉁링, 중국
20124324평택, 대한민국
20134425아스타나, 카자흐스탄
20154526푸껫, 태국
20164627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20174728아시가바트, 투르크메니스탄
20194829닝보, 중국
20204930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20225031마나마, 바레인
20235132진주, 대한민국
20245233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20255334장산, 중국
20265435간디나가르, 인도



아시아 역도 연맹은 하계 아시안 게임 중 열리는 역도 경기를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로 간주한다.

2. 2. 메달 집계

2003년부터 2022년까지(2010년 제외)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의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총합(Big Total) 메달 기준


인상, 용상, 총합(Small, Big Total) 메달 기준

순위국가합계
1중화인민공화국34815460562
2이란796654199
3카자흐스탄575598210
4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67056162
5태국316364158
6중화 타이베이365343132
7대한민국254146112
8베트남244535104
9우즈베키스탄223247101
10카타르1016127
11키르기스스탄815932
12마카오70411
13일본584053
14필리핀711927
15인도네시아6354687
16시리아39618
17몽골65819
18사우디아라비아33915
19투르크메니스탄2122539
20인도4153857
21홍콩0358
22미얀마0358
23말레이시아0415
24이라크0235
25스리랑카0123
26파키스탄0011



중화인민공화국은 총 획득 메달과 모든 메달 기준 모두 1위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대한민국은 총합 메달 기준 7위(금메달 9개, 은메달 12개, 동메달 14개), 인상, 용상, 총합 메달 기준 7위(금메달 25개, 은메달 41개, 동메달 46개)를 기록했다.

2. 2. 1. 2003년 - 2019년 (2010년 제외)

2003년부터 2019년까지(2010년 제외)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의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총 획득 메달 (Total result) 기준


모든 메달 (Snatch, Clean & Jerk, Total result) 기준

순위국가합계
1중화인민공화국30213356491
2이란655743165
3카자흐스탄434478165
4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67056162
5태국316060151
6중화 타이베이304737114
7대한민국22324296
8베트남15393286
9우즈베키스탄14222965
10카타르812121
11키르기스스탄711826
12마카오70411
13일본563041
14필리핀55515
15인도네시아3243461
16시리아36615
17몽골3339
18사우디아라비아3058
19투르크메니스탄161926
20인도0153550
21홍콩0358
22미얀마0358
23말레이시아0314
24이라크0235
25스리랑카0011



대한민국은 총 획득 메달 기준 금메달 8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2개로 7위를 기록했고, 모든 메달 기준 금메달 22개, 은메달 32개, 동메달 42개로 역시 7위를 기록했다.

2. 2. 2. 2003년 - 2022년 (2010년 제외)

2003년부터 2022년까지(2010년 제외)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의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총합(Big Total) 메달 기준

순위국가합계
1 중화인민공화국1204819187
2 이란26241868
3 카자흐스탄16163264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0271855
5 중화 타이베이10171441
6 태국8192350
7 대한민국9121435
8 베트남615829
9 우즈베키스탄56920
10 키르기스스탄3328
11 마카오3003
12 카타르2406
13 필리핀2125
14 일본211316
15 인도네시아181221
16 시리아1214
17 몽골1203
18 사우디아라비아1023
19 인도061016
20 투르크메니스탄0279
21 홍콩0123
22 미얀마0123
23 말레이시아0101
24 이라크0011


인상, 용상, 총합(Small, Big Total) 메달 기준

순위국가합계
1 중화인민공화국34815460562
2 이란796654199
3 카자흐스탄575598210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67056162
5 태국316364158
6 중화 타이베이365343132
7 대한민국254146112
8 베트남244535104
9 우즈베키스탄223247101
10 카타르1016127
11 키르기스스탄815932
12 마카오70411
13 일본584053
14 필리핀711927
15 인도네시아6354687
16 시리아39618
17 몽골65819
18 사우디아라비아33915
19 투르크메니스탄2122539
20 인도4153857
21 홍콩0358
22 미얀마0358
23 말레이시아0415
24 이라크0235
25 스리랑카0123
26 파키스탄0011



대한민국은 총합 메달 기준 금메달 9개, 은메달 12개, 동메달 14개로 7위를 기록했고, 인상, 용상, 총합 메달 기준으로는 금메달 25개, 은메달 41개, 동메달 46개로 7위를 기록했다.

2. 3. 팀 순위 (2011-2022)

colspan="2" |남자여자합계
순위역도 국가대표팀합계style="border-left: 3px solid black;" |합계style="border-left: 3px solid black;" |합계
1 중국32167007102113
2 이란322700003227
3 카자흐스탄202401232147
4 타이베이010111131214
5 인도네시아000010011001
6 인도100100001001
7 태국010103030404
8 우즈베키스탄022400220246
9 대한민국011202130325
10 북한000001230123
11 일본000001010101
12 베트남001100110022
합계999279992718181854


3. 한국 역도와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은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여러 차례 대회를 개최하며 아시아 역도 발전에 기여해 왔다.

3. 1. 역대 한국 개최 대회

연도장소비고
1980년서울대한민국 최초 개최
1986년서울
1995년부산
2001년전주
2002년부산2002년 아시안 게임 역도 경기를 겸함
2012년평택
2023년진주2024년 하계 올림픽 출전권 부여 대회



아시아 역도 연맹은 아시안 게임 중 열리는 역도 경기를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로 간주한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