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우토반 9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토반 9호선(Bundesautobahn 9, BAB 9 또는 A9)은 독일의 아우토반으로, 베를린 근교의 포츠담 분기점에서 시작하여 브란덴부르크주, 작센안할트주, 튀링겐주, 바이에른주를 거쳐 뮌헨의 슈바빙 지구까지 이어진다. 이 도로는 1930년대 나치 독일의 Reichsautobahn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서베를린으로 향하는 주요 통행로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6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자율 주행 자동차 시험 트랙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고속도로 - 아우토반
    아우토반은 1920년대에 구상되어 나치 시대에 본격적으로 건설된 독일의 고속도로로,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며 현재는 속도 제한 구간과 비제한 구간으로 운영된다.
  • 독일의 고속도로 - 아우토반 995호선
    아우토반 995호선은 독일 바이에른주를 지나는 아우토반이자 유럽 고속도로 E54의 일부로, 뮌헨 외곽 교통 흐름 개선과 주변 지역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며, 호헨브룬 고속도로 유지 관리 부서가 유지 관리를 담당한다.
아우토반 9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종류A
노선 번호9
총 길이529 km
북쪽 기점베를린
남쪽 종점뮌헨
경유 주브란덴부르크주, 작센안할트주, 작센주, 튀링겐주, 바이에른주
이전 노선 종류A
이전 노선 번호8
다음 노선 종류A
다음 노선 번호10
지도 정보
가르힝 분데스아우토반 9
가르힝 분데스아우토반 9
주요 경유 도시
도시포츠담, 데사우, 할레 (잘레), 라이프치히, 호프, 바이로이트, 뉘른베르크, 잉골슈타트

2. 노선

아우토반 9호선은 베를린 도시 경계에서 약 30 km 떨어진 아우토반 10호선(베를리너 링)의 포츠담 분기점에서 시작된다. 베를린으로 가는 가장 짧은 경로는 A 10(동쪽)과 A 115 (AVUS)이다.

포츠담 분기점


아우토반 9호선은 브란덴부르크주, 작센안할트주, 튀링겐주, 바이에른주를 통과한다. 라이프치히 서쪽에서는 작센안할트주작센주의 경계를 따라 지난다. 뉘른베르크뮌헨 구간은 뉘른베르크-뮌헨 고속철도와 나란히 달린다.

잉골슈타트 부근에서 도나우강을 횡단하며, 남쪽 끝은 뮌헨 슈바빙 구역에 있다.

2. 1. 주요 교차 도로

다음은 아우토반 9호선과 교차하는 주요 도로이다.

  • A 4 (게라 부근)
  • A 3 (뉘른베르크 부근)
  • A 6 (뉘른베르크 부근)

2. 2. 주요 경유 도시

아우토반 9호선은 독일 북부 브란덴부르크주 포츠담 부근에서 남부 바이에른주 뮌헨까지 이어지는 주요 도로이다. 포츠담 분기점에서 A10 (베를린 순환 고속도로)에서 분기되어 뮌헨까지 브란덴부르크주, 바이에른주, 작센안할트주, 작센주, 튀링겐주를 지난다. 주요 경유 도시는 다음과 같다.

게라 부근에서 A4와, 뉘른베르크 부근에서 A3 및 A6와 교차한다. 뉘른베르크에서 뮌헨까지 구간은 뉘른베르크-뮌헨 고속철도와 나란히 달리며, 잉골슈타트 부근에서 도나우강을 건넌다. 뮌헨에서는 A99 (뮌헨 순환 아우토반)과 교차하고 슈바빙 지구에서 끝난다.

3. 역사

아우토반 9호선의 건설은 1930년대 나치 독일의 Reichsautobahn(제국 고속도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그 이전인 1927년부터 민간 회사 ''MüLeiBerl''(뮌헨-라이프치히-베를린)이 베를린에서 로마로 이어지는 유럽 고속도로 연결 계획을 개발했다.[1]

1930년대 루돌프슈타인 잘레 다리. 메르세데스-벤츠 관광 버스가 다리를 지나가고 있다. 이 다리는 나중에 전쟁 말기에 파괴되었지만, 1966년 서독과 동독의 협력으로 재건되었다. 이 강은 독일 내부 경계를 표시했다.


1936년, 오늘날의 슈코이디츠 분기점(현재 A 9 및 A 14) 근처의 라이프치히와 바트베르네크 임 피히텔게비르게 사이의 구간(164km)이 ''Strecke 16''으로 시작하여 구간별로 개통되었다.[1] 1941년 슈나이트타흐 근처에서 두 번째 차선이 개통되면서 아우토반 9호선은 독일 최초로 완공된 아우토반이 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내부 독일 국경에서 베를린까지의 구간은 냉전 시대에 동독을 거쳐 서베를린으로 가는 4개의 통행 접근 도로 중 하나였다. 이 도로는 베를린 봉쇄 기간 동안 독일 주둔 소련 군사 행정부에 의해 폐쇄되었다가, 베를린 공수 작전 성공 이후 재개통되었다.[1] 루시어스 D. 클레이 휘하의 미국 육군 유럽 및 아프리카는 강제로 노선을 다시 열기 위해 전차 공격을 고려했지만, 제3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질 수 있었기 때문에 실행하지 않았다.[2]

독일 재통일 이후, 포츠담 분기점에서 뉘른베르크 분기점까지 A 9의 6차선 확장 공사가 독일 유닛 12의 주요 교통 프로젝트로 추진되었다. 1990년 바이로이트 근처에서 하루 최대 50,000대의 차량 통행량으로 4차선 도로는 용량 한계에 근접했다.

2001년, 6차선 확장은 세 구간을 제외하고 완료되었다. 2011년, VINCI Concessions (47.5%), BAM PPP (47.5%) 및 Reinhold Meister GmbH (5%) 회사로 구성된 컨소시엄 A9SixLanes가 확장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 2014년 11월, 튀링겐주 일부 구간의 확장 공사가 완료되면서, 약 25년에 걸친 확장 공사가 마무리되었다.

6차선 확장에도 불구하고, 원래 노선의 일부 구조물은 보존되었다. 또한 확장 과정에서 일부 서비스 구역이 폐쇄되고 교체되었다.

3. 1. 역사적 사건

1990년 10월 19일, 호프 남쪽 뮌히베르크 지역에서 짙은 안개로 인해 대규모 연쇄 추돌 사고가 발생하여 10명이 사망하고 많은 부상자가 발생했다.[1]

4. 특징

아우토반 9호선은 뉘른베르크뮌헨 구간에서 뉘른베르크-뮌헨 고속철도와 나란히 달린다. 이러한 병렬 배치는 두 교통 수단 간의 효율적인 연계를 통해 승객과 화물 운송의 편의성을 높인다.

4. 1. 데사우 레이스 트랙 (Dessauer Rennstrecke)

현대식 저지 배리어 중앙 분리대가 있는 데사우 경주 트랙


데사우-남쪽 출구(11번 출구)에서 남쪽으로 약 10km 구간, 대략 투어랜드에서 남쪽으로 B 183 (구 B 186) 교차로 직전(현재 A9 도로 부지의 비터펠트/볼펜 출구 12번)까지는 포장된 중앙 분리대를 갖춘 "데사우 레이스 트랙"(Dessauer Rennstrecke)으로 개조되었다.[5] 이 트랙은 폭 25m의 고속 트랙으로, 루돌프 카라치올라가 1938/39년에, 골디 가드너가 1939년에, 한스 슈투크가 메르세데스-벤츠 T80 육상 속도 기록 차량으로 1940년 1월에 기록 도전을 시도했던 곳이다.[5] 1938년부터 도로 지도에 표시된 이 "레이스 트랙" 구간은 기둥 없는 다리와 1945년 이전까지 교차로 출구가 없다는 점, 직선 정렬과 뚜렷한 중앙 분리대가 없는 넓은 콘크리트 표면 때문에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비상 활주로로도 사용될 수 있었다. 전쟁 후 1949년부터 1956년까지 매년 경주가 재개되었으나, 동독 운전자 파울 그라이프추는 1952년 5월 10일 훈련 사고로 사망했다.

4. 2. 란첸도르프 아우토반 교회

란첸도르프 마을을 관통하는 다리 옆에 교회가 있었는데, 이는 주민들에게 매우 큰 스트레스를 유발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새로운 도로를 건설하면서, 오늘날 고속도로는 마을 동쪽으로 지나가게 되었다. 확장 공사가 시작되기 전인 1996년 10월 6일, 기존 도로 바로 위에 힘멜크론 고속도로 교회가 헌당되었다.[1] 따라서 교회 건물은 현재 새로운 도로에서는 약간 벗어나 있다.

5. 현재 상태 및 향후 계획

헤름스도르프 분기점을 제외하고, 아우토반 9호선은 각 방향마다 최소 3개 차선과 1개의 비상 차선을 갖추고 있다. 뮌헨 북쪽의 노이파른 바이 프라이징과 뮌헨-노르트 분기점 사이 구간은 2004년에서 2006년 사이에 왕복 4차선으로 확장되었다. 2008년에 이 구간에서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하루 평균 143,000대의 차량이 통행했으며 최대 184,000대까지 기록되었다.

2006년부터 홀레다우 3방향 분기점을 4방향으로 변경하고 A 93을 바덴-뷔르템베르크주 파펜호펜 지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추가 계획 및 구상으로는 헤름스도르퍼 크로이츠를 6차선으로 확장하고, 뉘른베르크 - 뉘른베르크-동쪽 구간과 홀레다우 - 노이파른 구간을 8차선으로 확장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2015년 1월 26일, 독일 교통부 장관 알렉산더 도브린트는 바이에른주 A9의 아직 지정되지 않은 구간을 자율 주행 자동차의 시험 트랙으로 만들 계획을 발표했다.[3][4]

참조

[1] 서적 The Berlin Wall : a world divided, 1961-1989 https://www.worldcat[...] HarperCollins 2006
[2] 서적 The blockade breakers : the Berlin Airlift https://www.worldcat[...] History 2010
[3] 뉴스 Self-driving cars to hit German Autobahn http://www.thelocal.[...] The Local 2015-01-26
[4] 뉴스 Dobrindt plant Teststrecke für selbstfahrende Autos https://www.faz.net/[...] 2015-01-25
[5] 문서 1930s German Road map for ''Reichsautobahn Berlin-Halle-Liepzig''/today's A 9 with ''Rennstrecke'' annotation from 1938 http://www.landkar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