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타는 빵밀의 통밀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밀가루의 일종이다. 글루텐 함량이 높아 반죽 시 탄력성이 좋으며, 전통적으로 집에서 돌 맷돌로 분쇄되었다. 아타는 차파티, 로티, 파라타, 푸리와 같은 다양한 인도 요리의 주요 재료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가루 - 마이다
    마이다는 남아시아에서 빵, 과자, 면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는 밀가루의 한 종류로, 글루텐 함량이 높아 쫄깃한 식감을 내지만, 제분 과정과 표백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 남아시아 요리 - 차트니
    차트니는 인도에서 유래한 소스 또는 페이스트로, 신선한 재료로 만든 것과 숙성시킨 것이 있으며, 다양한 채소, 과일, 향신료를 사용하여 맛과 향이 다르고, 인도 요리의 필수 부재료이자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요리와 조화를 이루는 음식이다.
  • 남아시아 요리 - 기 (음식)
    기는 버터를 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얻은 정제버터로, 인도 아대륙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요리에 사용되며 힌두교 의식에도 쓰이지만 높은 포화지방 함량으로 섭취량 제한이 권장된다.
아타 - [음식]에 관한 문서
개요
종류밀가루
용도납작빵 제조
원산지인도 아대륙
지역남아시아

2. 성분 및 특징

아타는 주로 빵밀 (Triticum aestivum)의 통밀을 사용하여 만든다.[1][3][4][7][9][10] 아타는 (밀기울), 배아, 배유를 모두 포함하는 전립분으로, "통"이라는 단어는 곡물의 모든 부분을 사용한다는 의미를 나타낸다.[7][9][10]

아타는 글루텐 함량이 높아 탄력성이 좋다.[1][3][4][7][9][10] 이 때문에 아타 가루로 만든 반죽은 질기고 튼튼하여 얇은 시트 형태로 밀어 펼 수 있다.[1][3][4][7][9][10] 이러한 특징은 납작빵을 안쪽에 붙여 굽는 탄두르를 사용할 때 편리하며, 반죽이 더 많은 수분을 흡수하여 차파티를 더 부드럽게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1][2][7][8]

전통적으로는 각 가정에서 차키 (chaki)라는 맷돌이나 돌 제분기를 사용하여 아타를 분쇄했지만[5][11], 현재는 산업용 제분소나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6][5][12][11]

3. 제조 방법

아타는 주로 통밀(''Triticum aestivum'')을 사용하여 만든다. 이때 밀 곡립의 (밀기울), 배아, 배유를 모두 포함하는 전립분 형태로 만든다. 아타는 글루텐 함량이 높아 탄력성이 좋기 때문에, 아타 가루로 만든 반죽은 질기고 얇게 펼 수 있다.[1][3][4][7][9][10]

전통적으로는 각 가정에서 차키(Chakki)라고 불리는 돌 맷돌을 사용하여 직접 분쇄했다.[5][11] 차키로 만든 아타는 반죽이 더 많은 물을 흡수하여 차파티를 더 부드럽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1][2][7][8] 또한, 이렇게 만든 반죽은 평평한 빵을 오븐 안쪽에 붙여 굽는 탄두르를 사용할 때 편리하다.[1][2]

현대에는 산업용 제분기나 제분 공장에서 대량 생산된 아타가 시중에 널리 판매되고 있다.[6][5][12][11]

4. 활용

아타는 남아시아에서 주식으로 널리 사용되는 통밀가루로, 차파티, 로티, 파라타, 푸리 등 다양한 종류의 납작빵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재료이다. 이러한 빵들은 남아시아 식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전통적으로 가정에서는 차키라고 불리는 돌 제분기를 사용하여 통밀을 직접 갈아 신선한 아타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4. 1. 주요 요리

아타 가루는 글루텐 함량이 높고 탄력성이 있어 반죽이 질기고 얇게 펴지는 특징을 가지며[7][9][10], 이는 다양한 납작빵을 만드는 데 유리하다. 아타로 만드는 대표적인 요리는 다음과 같다.

  • 차파티: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얇고 둥글게 만든 빵이다. 아타 반죽은 수분을 잘 흡수하여 더 부드러운 차파티를 만들 수 있다[7][8].

차파티를 만들기 위해 아타 반죽을 미는 모습

  • 로티: 차파티와 비슷하지만, 탄두르라는 화덕에 구워 만드는 경우가 많다. 아타 반죽의 질긴 특성은 탄두르 벽에 붙여 굽기 편리하게 한다[7].
  • 파라타: 반죽을 여러 겹으로 접고 기름을 발라 구운 빵이다. 속을 채워 만들기도 한다.

파라타

  • 푸리: 반죽을 기름에 튀겨 부풀린 빵이다.

푸리

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Atta http://bakerpedia.co[...] 2015-06-10
[2] 웹사이트 From flatbread to sandwich loaf https://www.world-gr[...] 2017-11-04
[3] 웹사이트 Atta (Indian Whole Wheat Flour) http://www.food-indi[...]
[4] 간행물 Characterisation of Indian wheat varieties for chapatti (flat bread) quality
[5] 간행물 Indian Atta (whole wheat flour) industry: History and recent trends https://www.research[...] 2014-01
[6] 웹사이트 "The future of flour industry is bright in Pakistan" https://millermagazi[...] 2014-05-08
[7] 웹사이트 Atta http://bakerpedia.co[...] 2015-06-10
[8] 웹사이트 From flatbread to sandwich loaf https://www.world-gr[...] 2017-11-04
[9] 문서 Atta - Indian Wholewheat Flour (Food-india.com) http://www.food-indi[...]
[10] 간행물 Characterisation of Indian wheat varieties for chapatti (flat bread) quality
[11] 간행물 Indian Atta (whole wheat flour) industry: History and recent trends https://www.research[...] 2014-01
[12] 웹사이트 "The future of flour industry is bright in Pakistan" https://millermagazi[...] 2014-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