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도 티베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도 티베트어는 티베트어의 방언으로, 중국 간쑤성, 칭하이성 등지에서 사용된다. 주요 방언군으로는 북부, 서부, 동남부 코코노르, 라브랑, 고록, 응파, 간쩌 등이 있으며, 둥나그어는 상호 이해가 불가능한 분기된 방언이다.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며, 칭하이 티베트 라디오 방송국과 자유아시아방송에서 암도 티베트어 방송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어 - 와일리 표기법
와일리 표기법은 티베트어의 철자법적 특징을 반영하여 모호성을 최소화하면서 티베트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로마자로 옮기는 표기 체계로, 음절 내 자음 연속을 연속된 로마자로 표기하는 특징을 가진다. - 티베트어 - 현대 표준 티베트어 문법
현대 표준 티베트어 문법은 명사(격, 성, 수), 대명사, 자동사/타동사로 나뉘는 동사(시제, 상, 법), 다양한 서술어, 증거성, SOV 어순, 명사화, 관계절 등을 포함하는 티베트어의 문법 체계이다. - 칭하이성 - 차이다무 분지
차이다무 분지는 칭하이-티베트 고원 북동부의 내륙 분지로, 염호와 플라야가 발달한 건조한 고원 지대이며, 막대한 자원과 화성 유사 환경으로 인해 중요한 자원 중심지이자 화성 탐사 연구 지역으로 활용된다. - 칭하이성 - 살라르어
살라르어는 튀르크어족 오구즈어군에 속하며 중국 칭하이성 등지에서 살라르족이 사용하며, 가이즈 방언과 멍다 방언으로 나뉘고 중국어, 티베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다양한 문자로 표기되고 약 70,000명의 사용자가 있다. - 티베트의 언어 - 셰르파어
셰르파어는 티베트버마어족 티베트어파에 속하며 성조 언어이고, SOV 어순을 따르며 5개의 방언이 존재한다. - 티베트의 언어 - 중앙 티베트어
중앙 티베트어는 티베트어군의 방언으로, 라싸 방언을 포함한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암도 티베트어와 70%, 캄 티베트어와 80%의 어휘 유사성을 보이고, 자음 및 모음 체계는 다양한 표기법으로 표기된다.
암도 티베트어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암도 티베트어 |
고유어 이름 | ཨ་མདོའི་སྐད།, A-mdo’i skad |
로마자 표기 | ámtokɛ́ʔ |
사용 지역 | |
국가 | 중국 |
지역 | 암도 (칭하이성, 간쑤성, 티베트 자치구, 쓰촨성) |
언어 분류 | |
어족 | 중국티베트어족 |
어파 | 티베트-버마어파 |
어군 | 티베트-카나우리어군(?) |
분파 | 보드어군 |
하위 분류 | 티베트어군 |
언어 사용 | |
사용자 수 | 180만 명 (2005년) |
문자 체계 | |
문자 | 티베트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3 | adx |
글롯로그 | amdo1237 |
2. 방언
암도 티베트어에는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7] 주요 방언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북부 코코노르 (강차, 템첸, 아릭 등)
- 서부 코코노르 (두란, 나고르모 등)
- 동남부 코코노르 (자인차, 트리카, 화롱 등)
- 라브랑 (라브랑, 루추)
- 고록 (마첸, 마토, 가브데)
- 응파 (응파, 조르게, 잠탕)
- 간쩌
이 외에도, 브래들리(1997)는 테워어와 초니어를 암도 방언은 아니지만 암도어와 매우 가까운 방언으로 보았다.[8] 맙지(Mabzhi)는 코코노르 그룹에 속하며,[9][10] 둥나그어는 간쑤성에서 사용되는, 다른 암도 방언과 상호 이해할 수 없는 분기된 티베트어이다.[11] 화(2001)는 간쑤성과 칭하이성의 하허 현, 통런 현, 순화 현, 화롱 현, 홍위안 현, 톈쥔 현의 암도 티베트어 방언에 대한 어휘 목록을 제공한다.[12]
2. 1. 주요 방언군
암도 티베트어의 주요 방언은 다음과 같다.[7]방언군 | 세부 방언 |
---|---|
북부 코코노르 | 강차, 템첸, 아릭 등 |
서부 코코노르 | 두란, 나고르모 등 |
동남부 코코노르 | 자인차, 트리카, 화롱 등 |
라브랑 | 라브랑, 루추 |
고록 | 마첸, 마토, 가브데 |
응파 | 응파, 조르게, 잠탕 |
기타 | 간쩌 |
브래들리(1997)는 테워어와 초니어를 암도 방언은 아니지만 암도어와 매우 가까운 방언으로 포함한다.[8]
맙지(Mabzhi)는 암도 티베트어의 코코노르 그룹에 속하는 방언이다(Tsering Samdrup과 Suzuki 2017).[9][10]
둥나그어는 간쑤성에서 사용되는, 다른 암도 방언과 상호 이해할 수 없는, 분기된 티베트어이다.[11]
화(2001)에는 간쑤성과 칭하이성의 하허 현, 통런 현, 순화 현, 화롱 현, 홍위안 현, 톈쥔 현의 암도 티베트어 방언에 대한 어휘 목록이 포함되어 있다.[12]
2. 2. 기타 방언
암도 티베트어의 방언은 다음과 같다.[7]방언명 | 세부 지역 |
---|---|
북부 코코노르 | 강차, 템첸, 아릭 등 |
서부 코코노르 | 두란, 나고르모 등 |
동남부 코코노르 | 자인차, 트리카, 화롱 등 |
라브랑 | 라브랑, 루추 |
고록 | 마첸, 마토, 가브데 |
응파 | 응파, 조르게, 잠탕 |
간쩌 |
브래들리(1997)는[8] 테워어와 초니어를 암도 방언이 아니더라도 암도어와 매우 가까운 방언으로 포함한다.
맙지(Mabzhi)는 암도 티베트어의 코코노르 그룹에 속하는 방언이다(Tsering Samdrup과 Suzuki 2017).[9][10]
둥나그어는 간쑤성에서 사용되는, 다른 암도 방언과 상호 이해할 수 없는, 분기된 티베트어이다.[11]
화(2001)에는[12] 간쑤성과 칭하이성의 샤허 현, 퉁런 현, 순화 현, 화롱 현, 훙위안 현, 톈준 현의 암도 티베트어 방언에 대한 어휘 목록이 포함되어 있다.
3. 음운
평음 송기음 탁음 찰음 평음 탁음 송기음 반원음 변음 청음 탁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