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대 표준 티베트어 문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표준 티베트어 문법은 명사, 대명사, 동사, 어순, 명사화, 관계절 등 다양한 문법 요소를 포함한다. 명사는 성과 수를 나타내지 않으며, 6개의 격(절대격, 능격, 속격, 탈격, 공동격, 사격)을 가진다. 대명사는 인칭, 수, 경어법, 성별에 따라 구분되며, 지시 대명사도 존재한다. 동사는 의지/무의지, 타동사/자동사로 나뉘며, 동사 굴절을 통해 시제, 상, 증거성을 표현한다. 어순은 SOV를 따르며, 명사구는 핵-형용사-지시사-수사-한정사-격-화제 순이다. 명사화 접미사를 통해 관계절을 구성할 수 있으며, 관계절과 명사의 어순은 세 가지 패턴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어 - 와일리 표기법
    와일리 표기법은 티베트어의 철자법적 특징을 반영하여 모호성을 최소화하면서 티베트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로마자로 옮기는 표기 체계로, 음절 내 자음 연속을 연속된 로마자로 표기하는 특징을 가진다.
  • 티베트어 - 암도 티베트어
    암도 티베트어는 티베트어의 주요 방언 중 하나로, 중국 칭하이성과 간쑤성 등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지역 방언으로 나뉘고 음운 체계에 변이가 존재하며, 중국 칭하이 티베트 라디오와 자유아시아방송에서 방송이 제공된다.
현대 표준 티베트어 문법
개요
언어 종류교착어
어순주어-목적어-동사 (SOV)
명사
8개 (절대격, 능격, 속격, 여격, 대격, 탈격, 도구격, 처격)
단수, 복수
동사
시제과거, 현재, 미래
완료상, 미완료상
직설법, 명령법, 가정법
활용주어, 목적어, 시제, 상, 법에 따라 활용
문장 구조
기본 구조주어-목적어-동사 (SOV)
수식어명사 앞
기타 특징
문어체와 구어체의 차이문어체는 구어체보다 더 보수적임.
차용어중국어, 영어, 산스크리트어에서 차용어가 많음.
음운론
음운 체계자음 30개, 모음 5개
성조없음
음절 구조(C)V(C) (C = 자음, V = 모음)
발음방언에 따라 발음 차이가 있음.
문법 요소
조사다양한 조사가 존재하며, 격, 의미 관계 등을 나타냄.
접사다양한 접사가 존재하며, 동사, 명사 등을 파생시킴.
어휘
어휘 특징고유어, 차용어, 신조어 등으로 구성됨.
어휘 목록(별도 목록 존재 가능)
문장 예시
예시 1ཁྱེད་རང་གིས་དེབ་ཅིག་ཀློག་གི་འདུག (khyed rang gis deb chig klog gi 'dug) - 당신은 책을 읽고 있습니다.
예시 2ང་ཚོ་ལྷ་སར་འགྲོ་གི་ཡིན། (nga tsho lhasar 'gro gi yin) - 우리는 라싸에 갈 것입니다.

2. 명사와 격

티베트어 명사에는 문법적 성이 없다. 자연적인 성별은 어휘 자체로 구분하거나(예: གཡག་|g.yagbo '수컷 야크', འབྲི་|'bribo '암컷 야크'), 사람이나 생물 명사의 경우 성별을 나타내는 접미사를 붙여 구분한다. 보통 남성은 པ་|pabo 또는 པོ་|pobo, 여성은 མ་|mabo 또는 མོ་|mobo를 사용한다.


  • ཁམས་'''པ'''་|khams-'''pa'''bo ( 출신 남자) → ཁམས་'''མོ'''་|khams-'''mo'''bo (캄 출신 여자)
  • མཛོ་|mdzobo (, 야크와 소의 교배종) → མཛོ་'''མོ'''་|mdzo-'''mo'''bo (암컷 조)


문법적 수 역시 일반적으로 표시하지 않는다. 무생물 명사나 동물 명사에는 복수 표시를 사용하지 않는다.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의 경우에도, 특정하거나 한정된 대상을 가리킬 때만 복수 표지 ཚོ་|tshobo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ཨ་མ་|a-mabo (어머니)는 ཨ་མ་ཚོ་|a-ma-tshobo (그 어머니들)와 같이 복수로 표현될 수 있다. 이 접미사 ཚོ་|tshobo는 대명사나 지시사에도 붙어 복수를 나타낸다.

티베트어는 한정성(정관사 'the'와 같은 기능)을 문법적으로 표시하지 않으며, 의미는 문맥을 통해 파악해야 한다.

티베트어 명사는 여섯 가지 (case)을 가진다. 이는 절대격(absolutive), 능격(ergative, 동작주격), 속격(genitive), 탈격(ablative), 공동격(comitative, associative), 그리고 사격(oblique, 여격-처격)이다. 표준 티베트어는 능격 언어로 분류된다. 격 표지(조사)는 개별 명사가 아닌 명사구 전체의 끝에 붙으며, 명사 자체의 형태는 변하지 않는다. 격 표지의 구체적인 형태는 앞에 오는 단어의 마지막 소리에 따라 달라진다. 각 격의 자세한 기능과 형태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절대격

절대격은 명사 형태에 표시되지 않는 무표지 형태이다. 이는 자동사의 주어, 타동사의 목적어, 또는 감정의 경험자로 사용될 수 있다.

표준 티베트어는 능격 언어이며, 절대격을 포함하여 총 여섯 가지 격(절대격, 능격, 속격, 사격 (여격-처격), 탈격, 공격격)을 가진다. 다른 격들과 달리 절대격은 별도의 격 표지로 표시되지 않는다.

2. 2. 속격

속격(屬格, genitive case)은 주로 소유 관계를 나타내며, 한국어의 조사 '~의'와 유사하게 해석될 수 있다. 속격 접미사는 명사구 전체의 마지막 소리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명사의 마지막 소리에 따른 속격 접미사 형태
마지막 소리속격 접미사
모음, འ་|bo (a)འི་|'ibo
ག་|gbo, ང་|ngboགི་|gibo
ད་|dbo, བ་|bbo, ས་|sbo, 또는 복후접자(secondary sound suffix)ཀྱི་|kyibo
ན་|nbo, མ་|mbo, ར་|rbo, ལ་|lboགྱི་|gyibo



다음은 속격이 사용된 예시이다.


  • ཆོས་'''ཀྱི་''' འཁོར་ལོ|chos-'''kyi''' 'khor-lobo : 법'''의''' 바퀴, 즉 법륜(法輪)
  • ལུག་'''གི་''' པགས་པ|lug-'''gi''' pags-pabo : 양'''의''' 가죽


또한 속격은 관계절(relative clause)을 형성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이 경우 속격 접미사는 동사나 명사화된 절에 붙어 뒤따르는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하며, '~하는' 또는 '~한'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 དེབ་ ནང་ལ་ ཡོད་'''པའི'''་ པར་|deb nang-la yod-'''pai''' parbo : 책 안에 있'''는''' 사진

2. 3. 능격 (동작주격)

동작주격(agentive case) 혹은 능격(ergative case)은 형태상 속격에 ས་|-sbo를 붙여 형성된다. 즉, 속격 형태에 특정 접미사를 추가하여 능격을 만든다.

능격 접미사는 단어의 마지막 소리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이형태를 가진다.

  • 마지막 소리가 모음 또는 འ་|'abo인 경우: 접미사 ས་|-sbo
  • 마지막 소리가 ག་|-gbo 또는 ང་|-ngbo인 경우: 접미사 གིས་|gisbo
  • 마지막 소리가 ད་|-dbo, བ་|-bbo, ས་|-sbo 또는 복후접자(secondary sound suffix)인 경우: 접미사 ཀྱིས་|kyisbo
  • 마지막 소리가 ན་|-nbo, མ་|-mbo, ར་|-rbo 또는 ལ་|-lbo인 경우: 접미사 གྱིས་|gyisbo


능격은 능격 기능과 도구격(instrumental case) 기능을 모두 담당한다. 능격 기능은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

  • 타동사의 주어
  • 동작주(agent) 또는 행위의 원인 제공자(causer)
  • 정신적 행위나 언어적 행위의 동작주
  • 감각의 인지자


표준 티베트어는 능격 언어로 분류된다. 티베트어 명사는 일반적으로 여섯 가지 격, 즉 절대격, 능격, 속격, 사격(여격-처격), 탈격, 공격격을 가지며, 능격은 이러한 격 체계의 중요한 일부이다.

2. 4. 탈격

탈격은 항상 접미사 ནས་|nasbo를 붙여서 만든다. 이 격은 명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능격처럼 행동의 주체, 즉 동작주를 표시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2. 5. 공동격

공동격은 접미사 དང་|dangbo으로 표시한다. 이 접미사는 주로 '~와', '~과', '~와 함께'라는 의미를 나타내며, 때로는 '~에 대(항)하여'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문맥에 따라서는 특별히 번역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는 경우도 있다. 구어에서는 공동격 접미사 뒤에 잠시 멈춤(pause)을 두는 경우가 많다.

  • 예: པཱ་ལགས་'''དང་'''། ཨ་ཁུ་'''དང་'''། ཨ་ནེ།|paa-lags-'''dang''', a-khu-'''dang''', a-nebo
  • 구조: 아버지-'''공동격''', 삼촌-'''공동격''', 이모
  • 의미는 "아버지와 삼촌과 이모"이다.


공동격 접미사는 같은 명사나 명사구 내에서 다른 표지나 복수 표지(ཚོ་|tshobo)와 함께 사용될 수 없다. 즉, 하나의 명사구에는 공동격 접미사나 다른 격/복수 표지 중 하나만 붙을 수 있다.

  • 예: ཨ་མ་'''དང་''' སྤུ་གུ་ཚོ།|a-ma-'''dang''' spu-gu-tshobo
  • 구조: 어머니-'''공동격''' 아이들 (ཚོ|tshobo는 복수 표지)
  • 의미는 "어머니와 아이들"이다. (여기서 공동격 དང་|dangbo은 '어머니'에만 붙고, '아이들'에는 복수 표지만 붙음)

  • 예: བུ་'''དང་''' བུ་མོ་ཚོར་ ལག་རྟགས་ སྦྲུས་པ་ཡོད།|bu-'''dang''' bu-mo-'''tsho-r''' lag-rtags sbrus-pa-yodbo
  • 구조: 소년-'''공동격''' 소녀-'''복수'''-'''여격''' 선물 주다-과거
  • 의미는 "(그들이) 소년과 소녀들에게 선물을 주었다."이다. (여기서 공동격 དང་|dangbo은 '소년'에만 붙고, '소녀들'에는 복수 표지 ཚོ|tshobo와 간접격(여격) 표지 ར་|rbo이 함께 붙음)

2. 6. 사격

사격 (oblique case) 접미사는 여격 (dative case)과 위치격 (locative case)의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여격은 행동의 간접목적어를 나타내며, 주로 '~에게' 또는 '~로'로 해석된다. 위치격은 장소(이동 유무와 관계없이), 동작의 유무, 또는 시간을 나타내며, '~에(서)', '~위에', '~안에', '~로' 등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사격 접미사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하나는 명사의 마지막 소리에 따라 사용 여부가 결정되고, 다른 하나는 그렇지 않다.

  • –ར་bo: 모음이나 འ་bo 소리 뒤에 붙는다. 단, 단음절 단어에서는 여격을 나타낼 때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예외적으로 인칭대명사, 지시형용사, 의문형용사에는 사용될 수 있다.
  • –ལ་bo: 모음과 འ་bo를 포함하여 모든 소리 뒤에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3. 대명사

현대 표준 티베트어의 대명사는 가리키는 대상이나 문법적 기능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대표적으로 사람을 가리키는 인칭대명사와 사물이나 장소를 가리키는 지시대명사가 있다. 각 대명사는 , 격, 공손함의 정도 등 다양한 문법 범주에 따라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3. 1. 인칭대명사

대명사인칭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진다. 수는 단수, 쌍수, 복수의 세 가지가 있다. 2인칭 대명사는 상대방에 대한 공손함의 정도에 따라 평칭, 존칭, 비칭으로 나뉘며, 3인칭 대명사는 평칭과 친칭으로 나뉘고, 친칭은 다시 성별에 따라 구분된다.

구분단수쌍수복수
1인칭ང་|ngabodང་གཉིས་|nga-gnyisbodང་ཚོ་|nga-tshobod
2인칭평칭རང་|rangbodརང་གཉིས་|rang-gnyisbodརང་ཚོ་|rang-tshobod
존칭ཁྱེད་རང་|khyed-rangbodཁྱེད་རང་གཉིས་|khyed-rang-gnyisbodཁྱེད་རང་ཚོ་|khyed-rang-tshobod
비칭ཁྱོད་|khyodbodཁྱོད་གཉིས་|khyod-gnyisbodཁྱོད་ཚོ་|khyod-tshobod
3인칭평칭ཁོང་|khongbodཁོང་གཉིས་|khong-gnyisbodཁོང་ཚོ་|khong-tshobod
친칭남성ཁོ་(རང་)|kho-(rang)bodཁོ་(རང་)གཉིས་|kho-(rang)-gnyisbodཁོ་(རང་)ཚོ་|kho-(rang)-tshobod
여성མོ་(རང་)|mo-(rang)bodམོ་(རང་)གཉིས་|mo-(rang)-gnyisbodམོ་(རང་)ཚོ་|mo-(rang)-tshobod


3. 2. 지시대명사

현대 표준 티베트어는 지시 대상과 화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그리고 화자를 기준으로 한 지시 대상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다른 지시대명사를 사용한다. 크게 근칭(近稱), 중칭(中稱), 원칭(遠稱)으로 나뉘며, 화자의 위쪽이나 아래쪽을 가리키는 지시사도 있다.

지시대명사 종류
구분티베트어발음의미비고
근칭འདི་bod디 ('di)이것현재 시점과 관련될 수 있음
중칭དེ་bod데 (de)저것, 그것과거 또는 미래 시점과 관련될 수 있음
원칭ཕ་གི་bod파기 (pha-gi)저 멀리 있는 저것공간적 거리만 표현
상방ཡ་གི་bod야기 (ya gi)저 위쪽의 것화자 기준 위쪽 위치
하방མ་གི་bod마기 (ma gi)저 아래쪽의 것화자 기준 아래쪽 위치



특히 འདི་|디('di)bod와 དེ་|데(de)bod는 시간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འདི་|디('di)bod는 현재와 관련되며, དེ་|데(de)bod는 과거나 미래와 관련된다.


  • ལོ་འདི་|로 디(lo 'di)bod: "올해" (현재 시점을 나타냄)
  • ལོ་དེ་|로 데(lo de)bod: "그 해" (과거 또는 미래 시점을 나타냄)


반면, ཕ་གི་|파기(pha-gi)bod는 공간적 거리만을 표현한다.

이러한 지시대명사에서 다음과 같은 지시 부사가 파생된다.

지시 부사
구분티베트어발음의미
근칭འདིར་bod디르 ('dir)여기
중칭དེར་bod데르 (der)거기
원칭ཕ་གིར་bod파기르 (pha-gir)저기



지시사는 대명사형용사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대명사로 쓰일 때는 3인칭 대명사와 유사하게 기능하며, 때로는 앞선 절이나 사건 전체를 가리키기도 한다. 형용사로 쓰일 때는 명사 뒤에 위치하여 다른 형용사처럼 기능한다. 형용사적 지시사와 대명사적 지시사 모두 격(格) 접미사나 수(數) 접미사를 붙여 사용할 수 있다.

4. 동사

현대 표준 티베트어에서 동사는 문장의 핵심 요소로, 동작, 상태, 존재 등을 나타낸다. 티베트어 동사는 행위자의 의지 여부(의지 동사 vs 비의지 동사)와 목적어 필요 여부(타동사 vs 자동사)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이는 동사 활용과 문장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티베트어 동사는 어간 변화를 통해 시제, 상, 서법 등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현대 구어에서는 조동사어미를 통해 이러한 문법적 기능을 표현하는 경우가 더 많다. 특히, "~이다"나 "~가지다"에 해당하는 다양한 서술어(copulae)와 증거성을 나타내는 체계는 티베트어 동사의 중요한 특징이다.

4. 1. 동사 종류

표준 티베트어 동사는 크게 두 가지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행위자가 제어 가능한 동작을 나타내는 '''의지 동사'''(volitional verb)와 그렇지 않은 '''비의지 동사'''(non-volitional verb)로 구분된다. 의지 동사는 행위자가 의도적으로 하는 행동을 나타내며, 영어의 'look'이나 'listen'과 유사하다. 반면, 비의지 동사는 행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일어나는 상태나 동작을 나타내며, 영어의 'see'나 'hear'에 해당한다. 이 구분은 티베트어 동사 활용에서 중요한데, 각 동사 유형은 특정 접미사와만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མཐོང་|mthongbo("보이다")는 비의지 동사이므로 의지 동사 접미사인 པ་ཡིན་|pa-yinbo과 결합한 མཐོང་པ་ཡིན་|mthong-pa-yinbo은 잘못된 표현이며, 올바른 형태는 비의지 동사 접미사와 결합한 མཐོང་པ་རེད་|mthong-pa-redbo("나는 보았다", 즉 의지와 관계없이 보였다는 의미)이다.[1] 의지 동사는 화자의 의도를 나타내는 조동사(pa yin)나 명령 표지와 함께 쓰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둘째, 동사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타동사'''(transitive verb)와 목적어가 필요 없는 '''자동사'''(intransitive verb)로 나눌 수 있다. 같은 어근을 가진 동사라면 타동사 형태와 자동사 형태는 동일하다. 어떤 동사가 타동사인지 자동사인지는 문장에서 목적어를 취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문장 내 명사가 어떤 격을 취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다음 표는 티베트어 동사를 위의 두 기준에 따라 분류한 예시이다.

의지 동사비의지 동사
타동사ལྟ་|ltabo "보다"མཐོང་|mthongbo "보이다"
ཉན་|nyanbo "듣다"གོ་|gobo "들리다"
བཟོ་|bzobo "만들다"ཧ་གོ་|ha gobo "알다"
자동사ཉལ་|nyalbo "눕다"ན་|nabo "앓다"
ལང་|langbo "일어나다"ཤི་|shibo "죽다"
འགྲོ་|‘grobo "가다"དྲག་|dragbo "회복하다"



또한, 티베트어에서는 일정한 음운적 교체를 통해 의지 동사와 비의지 동사를 구분하기도 한다. 주요 교체 양상은 다음과 같다.


  • 무기음 vs 유기음
  • 고성조 vs 저성조
  • 전비음 없음 vs 있음


의지 동사비의지 동사
སྐོལ་|skolbo / ̄köö/ "끓이다"འཁོལ་|‘kholbo / ̄khöö/ "끓다"
སྙིལ་|snyilbo / ̄nyir/ "무너뜨리다"ཉིལ་|nyilbo / ́nyir/ "무너지다"
སྒུལ་|sgulbo / ́küü/ "움직이다" (타동사)འགུལ་|‘gulbo / ́güü/ "움직이다" (자동사)



또한, 어두 자음의 유기성(유기음/무기음)이나 유성성(유성음/무성음)에 따라 동사의 타동성이 교체되는 현상은 한어를 포함한 다른 시나티베트어족 언어에서도 관찰된다.

4. 2. 동사 굴절

현대 티베트어 구어의 동사는 하나에서 세 개의 어간(word stem)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현재-미래 어간, 과거 어간, 명령형 어간이다. 그러나 실제로 구어에서 사용되는 많은 동사는 어간이 하나뿐이며, 문어에서만 이러한 어간 구분이 나타난다. 따라서 동사의 굴절은 주로 동사 조동사(verbal auxiliary)의 사용에 의존한다. 동사는 명사나 대명사와 비슷하게 동사 어간 뒤에 접미사를 붙이는 방식으로 굴절된다.

동사는 의도 동사와 비의도 동사 모두 타동사자동사를 포함할 수 있다. 두 종류의 동사가 같은 어근을 공유하는 경우, 타동사와 자동사의 형태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2] 타동사와 자동사의 구분은 동사가 사용되는 방식, 즉 목적어를 취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구분은 문장에서 명사가 어떤 격을 취할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단가 동사(자동사)는 단 하나의 논항을 가지며, 이 논항은 절대격을 취한다. 반면, 이중가 동사(타동사)는 행위자와 피동자를 가지는데, 행위자는 능격을, 피동자는 절대격을 취한다. 이 때문에 티베트어는 능격-절대격 정렬을 가진 언어로 분류되며, 능격은 수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2]

현대 표준 티베트어 동사에서는 비완료형, 완료형, 명령형이 구분된다. 하지만 실제로 활용이 일어나는 동사는 소수에 불과하다. 한 연구(Beyer, 2003)에 따르면, 조사된 약 1,000개의 동사 중 약 10% 정도만이 실제로 활용 형태를 가진다.

4. 3. 서술어 (Copulae)

티베트어에는 "~이다"(to be) 또는 "~가지다"(to have)로 번역될 수 있는 여러 동사가 있으며, 이들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첫 번째 종류의 서술사는 '''본질적 서술사'''로, 명사의 본질적인 속성을 나타낸다. 두 번째 종류의 서술사는 '''실존적 서술사'''로, 현상이나 특성의 존재를 표현하고 때로는 화자의 평가를 암시한다. 본질적 서술사와 실존적 서술사의 차이는 스페인어의 동사 ''ser''와 ''estar''의 차이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서술어의 분류는 티베트 및 히말라야 도서관(Tibetan and Himalayan Library) 웹사이트의 내용을 따르며, 이는 주로 니콜라 투르나드르(Nicolas Tournadre)의 연구에 기반한다.[3]

4. 3. 1. 본질적 서술어 (Essential copulae)

티베트어에는 "to be"(~이다) 또는 "to have"(~가지다)로 번역될 수 있는 여러 동사가 있으며, 이들은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첫 번째는 '''본질적 서술사'''로, 명사의 본질적인 속성을 나타낸다. 두 번째는 '''실존적 서술사'''로, 현상이나 특성의 존재를 표현하며 화자의 평가를 암시하기도 한다. 본질적 서술사와 실존적 서술사의 구분은 스페인어의 동사 *ser*와 *estar*의 차이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아래 분류는 주로 니콜라 투르나드르(Nicolas Tournadre)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 티베트 및 히말라야 도서관(Tibetan and Himalayan Library) 웹사이트의 내용을 따른다.[3] 티베트어에는 세 가지 주요 본질적 서술사가 있다.

# '''단언''' རེད་|redbod

# '''계시''' རེད་བཞག་|red-bzhagbod

# '''자증'''(自證) ཡིན་|yinbod

=== 단언 (རེད་|redbod) ===

རེད་|redbod는 "단정적" 본질 서술어로, "~이다"로 번역되며 문장의 주어에 대한 객관적인 단언이나 긍정을 나타낸다. རེད་|redbod의 부정형은 མ་རེད་|ma-redbod이다. 이 서술어는 형용사와 함께 쓰여 속성을 나타내거나, 명사와 함께 쓰여 동일함을 나타낼 수 있다. 속성은 동사 바로 앞에 온다.

  • འདི་ ཐུབ་བསྟན་ '''རེད'''།|'di thub-bstan '''red'''bod - "이것은 툽텐이다."
  • ཁོང་ འབྲོག་པ་ '''མ་རེད'''།|khong 'brog-pa '''ma-red'''bod - "그는 유목민이 아니다."
  • མོ་རང་ སྙིང་རྗེ་པོ་ '''རེད'''།|mo-rang snying-rje-po '''red'''bod - "그녀는 예쁘다."


드물게 어떤 자질의 소유를 나타낼 때도 사용된다.

  • མོ་རང་ མིག་ ཆུང་ཆུང་ '''རེད'''།|mo-rang mig chung-chung '''red'''bod - "그녀는 작은 눈을 가지고 있다." (직역: 그녀는 눈이 작다)


=== 계시 (རེད་བཞག་|red-bzhagbod) ===

རེད་བཞག་|red-bzhagbod는 "계시적" 서술사로, 화자가 진술하는 내용을 최근에야 알게 되었음을 나타낸다. 한국어의 "아!" 또는 "어머나!"와 같은 감탄사와 함께 "~이네", "~이구나" 등으로 번역될 수 있다. 부정형은 རེད་མི་འདུག་|red-mi-'dugbod이다.

  • ཐུབ་བསྟན་ '''རེད་བཞག'''་|thub-bstan '''red-bzhag'''bod - "아! 툽텐이네."
  • འབྲོག་པ་ '''རེད་མི་འདུག'''་|'brog-pa '''red-mi-'dug'''bod - "아니, 그는 유목민이 아니구나."
  • སྨྱོན་པ་ '''རེད་བཞག'''་|smyon-pa '''red-bzhag'''bod - "어머나, 그는 미쳤구나! (방금 깨달았어)"


=== 자증 (ཡིན་|yinbod) ===

ཡིན་|yinbod은 "자기(自己) 지시적" 본질 서술사이다. 주로 1인칭 주어와 함께 사용되어 "(나는) ~이다"로 번역된다. རེད་|redbod와 마찬가지로 형용사 또는 명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부정형은 མིན་|minbod이다.

  • ང་ འབྲོག་པ་ '''ཡིན'''།|nga 'brog-pa '''yin'''bod - "나는 유목민이다."
  • ང་ བདེ་པོ་ '''ཡིན'''།|nga bde-po '''yin'''bod - "나는 괜찮다."


드물게 화자의 의도나 주장을 나타낼 때도 사용된다.

  • ཁྱེད་རང་གི་ ཇ་ '''ཡིན'''།|khyed-rang-gi ja '''yin'''bod - "이것은 당신의 차입니다 (당신에게 주려는 것입니다)."

4. 3. 2. 실존적 서술어 (Existential copulae)

티베트어에는 "~이다"(to be) 또는 "~를 가지다"(to have)로 번역될 수 있는 여러 동사가 있으며, 이들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첫 번째는 명사의 본질적인 속성을 나타내는 본질적 서술사이고, 두 번째는 현상이나 특성의 존재를 표현하며 화자의 평가를 암시하는 실존적 서술사이다. 이 둘의 구분은 스페인어의 동사 ''ser''와 ''estar''의 차이와 유사하다.

티베트 및 히말라야 도서관(THL) 웹사이트에 따르면, 주로 니콜라 투르나드르의 연구를 기반으로[3] 실존적 서술어는 다음 세 가지로 분류된다.

1. ཡོད་རེད་|yod-redbo (단언적, Assertive)

  • 화자의 명확한 단정을 나타내는 서술어로, 주로 2인칭 및 3인칭 주어와 함께 쓰인다.
  • 문맥에 따라 "있다", "존재하다"(존재), "~에 있다"(위치), "가지다"(소유) 등으로 번역될 수 있다.
  • 부정형은 ཡོད་མ་རེད་|yod-ma-redbo이다.
  • 예시:
  • བོད་ལ་ གནམ་གྲུ་ '''ཡོད་རེད'''།|bod-la gnam-gru '''yod-red'''bo
  • 의미: 티베트-OBL 비행기 '''be:EX-ASSERT'''
  • 번역: "티베트에 비행기가 있다."
  • ཐུབ་བསྟན་ ལགས་ འདིར་ '''ཡོད་རེད'''།|thub-bstan lags 'dir '''yod-red'''bo
  • 의미: 툽텐 씨 여기 '''be:EX-ASSERT'''
  • 번역: "툽텐 씨는 여기에 있다."
  • ཚེ་རིང་ལ་ མོ་ཊ་ '''ཡོད་རེད'''།|tse-ring-la mo-ṭa '''yod-red'''bo
  • 의미: 체링-OBL 차 '''be:EX-ASSERT'''
  • 번역: "체링은 차를 가지고 있다."
  • 형용사 뒤에 와서 속성을 나타내며 "~이다"로 번역될 수도 있다.
  • འདི་ སྙིང་རྗེ་པོ་ '''ཡོད་རེད'''།|'di snying-rje-po '''yod-red'''bo
  • 의미: 이것 예쁘다 '''be:EX-ASSERT'''
  • 번역: "이것은 예쁘다."


2. འདུག་|'dugbo (증언적, Testimonial)

  • ཡོད་རེད་|yod-redbo와 동일하게 번역되지만, 화자가 진술된 내용을 직접 경험하거나 목격했음을 암시하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 부정형은 མི་འདུག་|mi-'dugbo이다.
  • 예시:
  • བོད་ལ་ གནམ་གྲུ་ '''འདུག'''|bod-la gnam-gru '''’dug'''bo
  • 의미: 티베트-OBL 비행기 '''be:EX-TEST'''
  • 번역: "티베트에는 비행기가 있다. (내가 직접 봤기 때문에 안다.)"
  • 형용사 뒤에 와서 속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 འདི་ སྙིང་རྗེ་པོ་ '''འདུག'''|'di snying-rje-po '''’dug'''bo
  • 의미: 이것 예쁘다 '''be:EX-TEST'''
  • 번역: "이것은 예쁘다. (내가 직접 봤기 때문에 안다.)"


3. ཡོད་|yodbo (자아 지향적, Ego-oriented)

  • 주로 1인칭 주어와 관련되어 소유("나는 ~을 가지고 있다")나 위치("나는 ~에 있다")를 나타낸다.
  • 화자의 개인적인 의견이나 어떤 것에 대한 앎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 부정형은 མེད་|medbo이다.
  • 예시:
  • དེབ་ མང་པོ་ '''ཡོད'''།|deb mang-po '''yod'''bo
  • 의미: 책 많은 '''be:EX-EGO'''
  • 번역: "나는 책이 많다."
  • རྒྱ་ནག་ལ་ '''ཡོད'''།|rgya-nag-la '''yod'''bo
  • 의미: 중국-OBL '''be:EX-EGO'''
  • 번역: "나는 중국에 있다."
  • ཇ་ འདི་ ཞིམ་པོ་ '''ཡོད'''།|ja 'di zhim-po '''yod'''bo
  • 의미: 차 이것 맛있는 '''be:EX-EGO'''
  • 번역: "이 차는 맛있다 (내 생각에는)."

4. 4. 증거성 (Evidentiality)

티베트어의 연결 동사는 증거성과 상의 지표 역할을 한다.[2] 이러한 연결 동사에 대한 연구는 언어 간 증거성 이해에 기여해왔다.[4][5] 또한 조동사는 동사 뒤에 붙어 시제, 상, 증거성/에고포리시티를 표시한다.[9]

아래 표는 시제/상과 증거성/에고포리시티(자신 진술)를 나타내는 라싸 티베트어 동사 어미의 패러다임을 보여준다.

시제/상에고포리시티
(자신 진술)
비에고포리시티[10]
(사실/단언)
직접 증거성간접 증거성
(추론)
완료 (Perfective)པ་ཡིན་boཔ་རེད་boསོང་boཞག་bo
완료 (Perfect)ཡོད་boཡོག་རེད་boའདུག་bo
불완료གི་ཡོད་boགི་ཡོག་རེད་boགི་འདུག་ ~ གིས་bo
미래གི་ཡིན་boགི་རེད་bo



에고포리시티(자신 진술)는 일반적으로 1인칭 서술문과 2인칭 의문문에 나타나며, 비에고포리시티(사실/단언)는 다른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증거성은 화자가 정보를 얻은 경로를 나타낸다. 직접 증거성[11]은 화자가 오감으로 직접 인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반면, 간접 증거성[12](추론)은 화자가 어떤 흔적이나 다른 정보로부터 추론하여 얻은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 གངས་ བཏང་ '''སོང།'''bo
  • : "눈이 왔다." (화자가 실제로 눈이 내리는 것을 보았음)
  • གངས་ བཏང་ '''བཞག།'''bo
  • : "눈이 왔다." (화자는 눈이 쌓여있는 흔적만 보고 추론함)

5. 어순

표준 티베트어는 SOV형 언어이다.

명사구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어순을 따른다.

요소티베트어로마자 표기의미
핵심어ཁང་པ་khang pa
형용사ཆེན་པོ་chen po큰-명사화
수사[7]གསུམ་gsum
지시사འདི་‘di이것
한정사[8]གྱད་gyad복수
표지ལ་la처격
화제 표지ནི་ni화제
전체 예시: ཁང་པ་ ཆེན་པོ་ གསུམ་ འདི་ གྱད་ ལ་ ནི་|khang pa chen po gsum ‘di gyad la nibod "이 세 개의 큰 집에서는..."



형용사는 핵심어 명사 뒤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소유격 표지를 사용하여 명사 앞에 올 수도 있다.


  • གྲོང་ཁྱེར་རྒྱ་ཆེན་པོ|grong khyer rgya chen pobod (도시-넓은)「넓은 도시」
  • རྒྱ་ཆེན་པོའི་གྲོང་ཁྱེར|rgya chen po'i grong khyerbod (넓은-의-도시)「넓은 도시」

6. 명사화와 관계절

현대 표준 티베트어의 동사나 절은 རྒྱུ་ (rgyu), ཡག་ (yag), ས་ (sa), མཁན་ (mkhan), པ་ (pa)와 같은 명사화 접미사를 붙여 명사화할 수 있다. 이러한 명사화된 절은 관계절 또는 관형절로 사용된다.

관계절과 그것이 수식하는 명사의 어순에는 다음의 3가지 패턴이 있다.

'''(1) 관계절 + 속격 표지 + 명사'''

ཁོས་བཅག་པའི་ཆུ་ཚོད་ངའི་ཡིན།
khosbcagpa'ichu tshodnga'iyin
그-능격부수다:완료명사화-속격시계나-속격코퓰러



'''(2) 명사 + 관계절'''

ཆུ་ཚོད་ཁོས་བཅག་པ་ངའི་ཡིན།
chu tshodkhosbcagpanga'iyin
시계그-능격부수다:완료명사화나-속격코퓰러



'''(3) 주요부 내재형 관계절'''

ཁོས་ཆུ་ཚོད་བཅག་པ་དེ་ངའི་ཡིན།
khoschu tshodbcagpadenga'iyin
그-능격시계부수다:완료명사화지시사나-속격코퓰러
「그가 부순 시계는 내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Features: Show: Verbs and Verb Phrases http://subjects.kmap[...] 2023-05-12
[2] 간행물 The rhetorical use of the Tibetan ergative http://sealang.net/s[...] 2023-05-12
[3] 웹사이트 Copulas - Mandala Collections - Kmaps https://mandala.libr[...] 2023-05-12
[4] 간행물 Lhasa Tibetan Evidentials and the Semantics of Causation http://journals.ling[...] 2023-05-12
[5] 간행물 1 The contribution of Tibetan languages to the study of evidentiality https://eprints.soas[...] 2023-05-12
[6] 문서 ただし、[[ラサ]]で用いられるチベット語の特徴が、周辺地域においても見られるとは限らない。
[7] 문서 "{{Harvp|Denwood|1999}} は指示詞と数詞を共に“deictic(s)”として記述している。{{Harvcoltxt|DeLancey|2003|p=273}} は[[無標]]な語順において指示詞は数詞に先行すると述べているが、本項目で用いた例においては両者の出現位置が逆転している。"
[8] 문서 "{{Harvp|Denwood|1999}} はこれを“numerator”として記述している。"
[9] 문서 "{{Harvp|Tournadre|Dorje|2003}} は\"auxiliary\"、星(2003)は「述語動詞」、{{harvp|DeLancey|2018}} は”verb ending”と呼称している。"
[10] 문서 "{{Harvp|DeLancey|2018}} は”factual”という用語を用いている。"
[11] 문서 "{{Harvp|Tournadre|Dorje|2003}} の用語では\"testimonial\"。"
[12] 문서 "{{Harvp|Tournadre|Dorje|2003}} の用語では\"inferenti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