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사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압사라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된 존재로, 힌두교와 불교 신화에 등장하는 천상의 여성을 의미한다. 압사라는 라우키카(세속적)와 다이비카(신성한) 두 종류로 나뉘며, 문학 작품과 예술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앙코르 사원의 부조, 중국의 석굴 벽화, 인도네시아의 사원 유적 등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 불교 미술에서 중요한 모티프로 활용되었으며, 캄보디아의 압사라 춤, 인도네시아 발리의 레공 춤 등 다양한 형태의 춤으로도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신화 - 데바닷타
데바닷타는 '신이 부여한'이라는 뜻을 가진 석가모니의 제자이자 사촌 형제로, 다섯 가지 계율 제안 거절 후 교단을 분열시키고 삼역죄를 저질렀으나, 대승 불교에서는 미래에 천왕여래가 될 것이라고 설해지는 등 다양한 해석과 평가가 공존하는 인물이다. - 불교 신화 - 암리타
암리타는 힌두교 신화에서 유해교반을 통해 만들어진 불멸의 음료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이며, 여러 종교와 문화권에서 신성한 음료 또는 개념으로 여겨지고 한국에서는 긍정적인 이미지로 활용된다. - 불교의 여신 - 길상천
- 불교의 여신 - 변재천
변재천은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하여 재물, 지혜, 음악 등을 관장하는 불교의 수호신으로, 힌두교의 사라스바티가 불교에 수용되어 일본에서 벤자이텐으로 숭배받으며 칠복신 중 하나로 금전운을 가져다주는 신이다. - 힌두 신화의 종족 - 마카라
마카라는 힌두교와 불교 예술에서 물과 풍요의 상징으로 사용되는 신화 속 혼종 동물로, 다양한 동물 신체 부위의 결합으로 묘사되며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 힌두 신화의 종족 - 간다르바
간다르바는 힌두교 신화의 신성한 음악가인 하위 신들의 계급이자 불교의 천룡팔부 중 하나인 건달바이며, 힌두교에서 압사라의 남편인 남자 자연정령으로서 음악에 능하고 신과 인간의 중재자 역할을 하며, 자이나교에서는 비얀타라 데바 중 하나로 분류된다.
압사라 |
---|
2. 어원
'압사라'의 어원은 산스크리트어 अप्सरस्, ''apsaras''(어간 형태, 사전 형태)이다.[15] 어간 형태는 's'로 끝나며, 예를 들어 단수 주격 ''Rāmas / Rāmaḥ''(힌두교의 람 신)의 어간 형태인 ''Rāma''와는 다르다. 단수 주격 형태는 अप्सरास् ''apsarās'',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때는 अप्सरा: ''apsarāḥ''이며, 힌디어에서는 अप्सरा ''apsarā''가 되는데, 영어 "apsara"는 여기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Monier-Williams 외 (1899)는 어원을 अप् + √सृ, "물 속으로 들어가거나 구름의 물 사이로 들어가는 것"으로 제시했다.[15]
압사라에는 라우키카(세속적)와 다이비카(신성한) 두 종류가 있다. 라우키카 압사라는 34종류가 존재하며, 다이비카 압사라는 10종류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압사라는 크메르어로 ''Apsara''(Âbsâréa/អប្សរាkm)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팔리어로 ''Accharā'', 말레이어, 마라나오어로 ''Bidadari'', 타우수그어, 시나마어로 ''Biraddali'', 자바어, 순다어, 발리어로 ''Hapsari / Apsari'' 또는 ''Widadari / Widyadari'', 메이테이어로 ''Helloi'', 그리고 ''Apsorn'' ()으로도 불린다.
3. 종류
3. 1. 라우키카 (Laukika)
라우키카(세속적) 압사라는 34종류가 있고, 다이비카(신성한) 압사라는 10종류가 있다.
3. 2. 다이비카 (Daivika)
압사라는 라우키카(세속적) 34종류와 다이비카(신성한) 10종류로 구분된다.
4. 문학 속 압사라
리그베다에서는 간다르바의 부인으로 압사라를 묘사하고 있으며, 알려진 유일한 압사라는 푸루라바스의 운명적 연인인 우르바시이다.[14][17] 가장 오래된 묘사에서는 압사라를 "물의 요정"과 같은 존재로 묘사한다.[16] 리그베다는 한 명 이상의 압사라의 존재를 허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14] 구체적으로 이름이 언급된 유일한 압사라는 우르바시이며, 전체 찬가는 우르바시와 그녀의 인간 연인 푸루라바스 사이의 대화를 다룬다.[17] 후기 힌두 경전은 수많은 압사라의 존재를 허용하며, 이들은 인드라의 시녀 또는 그의 천상의 궁정에서 댄서로 활동하며 간다르바와 함께 음악가로 활동한다.[14][16]
카우시타키 우파니샤드는 압사라를 연고, 화환, 의복, 가루 향료와 관련된 신성한 존재로 언급한다.[18] 압사라의 기원은 라마야나와 푸라나스에 묘사되어 있으며, 바다 휘젓기, 물놀이, 그리고 ''나가''와 같은 집단과 관련하여 물과 연관된다.[19]
마하바라타에 나오는 많은 이야기에서 압사라는 중요한 조연으로 등장한다. 이 서사시는 주요 압사라 목록을 여러 개 포함하고 있으며, 이 목록은 항상 동일하지 않다. 다음은 그러한 목록 중 하나이며, 천상의 댄서들이 신들의 궁정에서 거주자와 손님에게 어떻게 나타났는지에 대한 설명과 함께 제시된다.
그리타치, 메나카, 람바, 틸로타마, 푸르바치티, 스와얌프라바, 우르바시, 미스라케시, 단다가우리, 바루티니, 고팔리, 사하자냐, 쿰바요니, 프라자가라, 치트라세나, 치트랄레카, 사하, 마두라스와나—이들과 수천 명의 더 많은 존재들이 연꽃 잎과 같은 눈을 가지고, 엄격한 고행을 실천하는 개인들의 마음을 유혹하는 데 고용되었으며, 그들은 그곳에서 춤을 추었다. 그리고 날씬한 허리와 공정한 큰 엉덩이를 소유한 그들은 다양한 진화를 시작하여 깊은 가슴을 흔들고, 주변을 둘러보며 시선을 던지고, 관람객들의 마음과 결심, 정신을 훔칠 수 있는 다른 매력적인 태도를 보였다.[20]
마하바라타는 틸로타마와 우르바시와 같은 개별 압사라의 무용담을 기록하고 있다.[20] 틸로타마는 맹렬한 아수라 형제 순다와 우파순다로부터 세상을 구했고, 우르바시는 영웅 아르주나를 유혹하려 했다.
마하바라타에서 반복되는 주제는 압사라가 수행을 방해하기 위해 현자에게 보내지는 것이다. 이 주제를 구현하는 이야기 중 하나는 서사시의 여주인공 샤쿤탈라가 자신의 출생을 설명하기 위해 말한 이야기이다.[21] 옛날 옛적에, 현자 비슈바미트라는 그의 고행으로 인해 너무나 강렬한 에너지를 만들어 내서 인드라 자신도 두려워하게 되었다. 현자가 참회에서 벗어나도록 해야 한다고 결정한 그는 압사라 메나카를 보내 그녀의 매력을 발휘하게 했다. 메나카는 그렇게 강력한 고행자를 화나게 할 생각을 하며 떨었지만, 신의 명령에 복종했다. 그녀가 비슈바미트라에게 다가가자, 바람의 신 바유가 그녀의 옷을 찢어 버렸다. 그녀가 옷을 벗은 것을 본 현자는 정욕에 빠져 사랑을 나누었고, 그 과정에서 비슈바미트라의 고행은 중단되었다. 결과적으로 메나카는 강가에 버려진 딸을 낳았다. 그 딸이 바로 이야기의 화자인 샤쿤탈라였다.
슈팅은 그녀의 시 "오 조국, 친애하는 조국"에서 압사라를 언급했다.[22]
5. 예술 속 압사라
많은 인도 압사라들은 이름으로 식별되었고 신화의 중심 인물이었다. 그러나 그들에게 특정한 신체적 특징이나 속성이 부여되지 않았기 때문에, 예술적 묘사에서는 개별화되지 않는다.[19]
''나트야 샤스트라''는 산스크리트 드라마의 주요 극적 이론서로, 다음과 같은 압사라를 나열하고 있다: 만주케시, 수케시, 미스라케시, 술로차나, 사우다미니, 데바다타, 데바세나, 마노라마, 수다티, 순다리, 비가그다, 비비다, 부다, 수말라, 산타티, 수난다, 수무키, 마가디, 아르주니, 사랄라, 케랄라, 드르티, 난다, 수푸슈칼라, 수푸슈말라, 칼라바.
5. 1. 인도
인도 문화권에서는 12세기 앙코르의 바욘 사원에서 압사라 춤이 묘사된 것을 볼 수 있다. 10세기 참족 예술 작품인 Tra Kieu 받침대 기단에도 압사라가 묘사되어 있다. 보로부두르의 압사라 수라순다리도 인도 문화권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스리랑카 시기리야에서도 압사라 그림을 찾아볼 수 있다.5. 2. 캄보디아
캄보디아에서는 압사라 춤으로 불리는 토속적인 크메르 전통댄스가 있다. 압사라는 캄보디아의 앙코르 사원(서기 8~13세기)의 석조 부조에서 중요한 모티프를 나타내지만, 모든 여성 이미지가 압사라로 간주되는 것은 아니다.[23] 춤과 압사라의 인도적인 연관성에 따라, 춤을 추거나 춤을 추려는 크메르 여성상은 '압사라'로 간주되며, 사원 수호자 또는 관리자의 모습으로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으로 서서 정면을 바라보는 여성상은 '데바타'라고 불린다.[23]
|thumb|1931년 인도차이나 우표에 있는 압사라|left|213x213px]]
가장 큰 앙코르 사원인 앙코르 와트(서기 1113~1150년 건축)에는 '압사라'와 '데바타'가 모두 있지만, 현재 연구 조사에 따르면 데바타가 1,796개 이상으로 가장 많다.[24] 앙코르 와트 건축가들은 기둥과 벽에 작은 압사라 이미지(30~40 cm)를 장식 모티프로 사용했다. 그들은 사원 입구 파빌리온부터 높은 탑 꼭대기까지 사원의 모든 층에 더 큰 데바타 이미지(전신 초상화로 약 95~110 cm)를 더 두드러지게 통합했다. 1927년, 사포 마샬은 머리카락, 머리 장식, 의복, 자세, 보석 및 장식 꽃의 놀라운 다양성을 목록화하는 연구를 발표했는데, 마샬은 이를 앙코르 시대의 실제 관행에 기반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일부 데바타는 서로 팔을 두르고 보는 사람에게 인사를 하는 것처럼 보인다. 마샬은 "데바타는 세련된 우아함의 모든 요소를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다"고 썼다.[25]
앙코르 사원의 부조는 크메르 고전 무용의 영감이 되었다. 캄보디아의 토착 발레와 같은 공연 예술은 종종 "압사라 춤"이라고 불린다. 이 춤은 20세기 중반 캄보디아의 시소와스 코사막 왕비의 후원 아래 캄보디아 왕립 발레단에 의해 창작되었다. 압사라의 역할은 앙코르 부조를 본뜬 금빛 장신구와 머리 장식을 갖춘 몸에 꼭 맞는 전통 의상을 입은 여성에 의해 연기되며,[26] 그녀의 우아하고 유연한 몸짓은 고전 신화나 종교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해 코드화되었다.[27]
5. 3. 인도네시아 (자바, 발리)
인도네시아의 고대 자바와 발리의 사원 유적에서는 압사라의 흔적이 많이 발견되며, 레공 등 압사라의 천상 선녀의 모습을 묘사하는 춤도 있다.[28]
중세 시대 인도네시아어에서 압사라는 현대 인도네시아어에서 '비다다리'로 알려진 '비디아다리'와 융합되어 '비다다리'라고도 불렸다.[28] '비디아다라'는 '지식을 가진 자'를 뜻하며, '비다다리'는 스바르가로카 또는 인드라의 천상의 궁전에 사는 천상의 여인이다.[28] 발리의 데다리 춤에 묘사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압사라는 인드라의 천국에 사는 천상의 여인으로, 고행자들을 유혹하기 위해 인드라가 지구로 보낸다. 이 주제는 에어랑가왕 치세 동안 쓰여진 ''카카윈 아르주나위와하''에 나타난다. 아르주나가 거인 니와타카와차를 물리치기 위해 명상과 고행을 하던 중 인드라가 압사라를 보냈지만, 아르주나는 욕망을 극복하고 신들로부터 무기를 얻었다.
자바 전통에서 압사라는 ''합사리'', ''위도다리''(산스크리트어 단어 vidyādhari에서 유래)라고도 불렸다. 발리 춤에서 천상의 여인이라는 주제가 자주 나타난다. ''상냥 데다리''와 ''레공''과 같은 춤은 신성한 여인들을 묘사했다. 마타람 술탄국 궁정에서 베드하야의 자바 궁정 춤은 압사라를 묘사한다.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후, 비다다리는 코란에서 언급된 천상의 여인인 후리와 동일시되었다. 이슬람교는 아랍 상인들이 말레이 군도에 퍼트렸고, 힌두교와 혼합주의는 ''비다다리''라는 아이디어를 낳았다. 비다다리는 신을 섬기는 생활 방식을 산 사람에게 제공되는 상으로, 죽은 후, 비다다리는 그 남자의 아내가 되었다.

압사라의 이미지는 실렌드라 왕조 시대부터 마자파히트 제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 자바의 여러 사원에서 발견된다. 압사라는 장식 모티프 또는 부조의 이야기의 필수 부분으로, 보로부두르, 멘두트, 프람바난, 플라오산, 페나타란에서 발견할 수 있다.
보로부두르에서 압사라는 연꽃을 들고 있거나, 꽃잎을 뿌리거나, 하늘의 옷을 흔드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멘두트 사원은 압사라를 포함하여 ''데바타'' 그룹을 묘사했다. 프람바난 사원 단지, 특히 비슈누 사원에서는 두 명의 압사라가 옆에 있는 남성 데바타의 이미지가 발견된다.

5. 4. 중국
압사라는 종종 동아시아 불교 미술에 묘사되며,[29] 중국에서는 페이톈(飛天)이라고 부른다.[29]압사라는 중국의 모가오 굴,[30][31] 위린 굴,[30] 톈룽산 석굴,[30] 윈강 석굴,[32] 및 룽먼 석굴과 같은 불교 석굴 유적의 벽화와 조각상에서 하늘을 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33] 또한 시우딩 사(Xiuding-si) 탑과 같은 탑의 타일에도 묘사된다.[30]
압사라는 피리, 비파, 또는 생과 같은 악기를 들고 춤을 추거나 연주하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30] 압사라는 부처를 위해 음악을 연주하는 여러 영혼으로 묘사될 수 있다.[22] 일반적으로 바람에 날리는 긴 치마를 입고 묘사된다.[30]
압사라는 때때로 "자유롭게 날리는 소매"가 달린 의상을 입고 ''천''에 사는 강력하고 영향력 있는 단일 영혼[22] 또는 신으로 묘사된다. 이 버전의 압사라는 중국 민간 신앙에서 숭배의 대상이 되며 중국 민속에서도 사용된다.
5. 5. 인도 (마니푸르)
고대 인도 북동부 마니푸르의 메이테이족 문화에서 압사라스는 천상의 요정이자 인간 여성의 모습을 한 비행 생물체로 여겨진다. 이들은 숲에서 길을 잃은 남성 방랑자나 기사들을 유혹하는 존재로 묘사된다. 압사라는 아름다움, 매력, 마법의 힘, 그리고 매혹적인 초자연적 남성 매력으로 알려져 있으며, 하늘의 신인 ''소라렌'' 신의 딸들로 일곱 명이 존재한다고 여겨진다.5. 6. 참파 (베트남)
압사라는 중세 시대 앙코르의 동쪽 이웃인 현재 베트남 중부 해안에 위치한 참파의 참파 미술에서도 중요한 모티브였다. 특히 10세기와 11세기에 번성했던 참파 미술의 짜 끼에우 양식에서 압사라의 묘사가 눈에 띈다.
6. 한국 불교 미술과 비천
참조
[1]
서적
अप्सरा [Apsara (In English)]
Vani Prakashan
2024
[2]
서적
अप्सरा का शाप [Apsara ka shrap (Curse of Nymph) (in English)]
Rajkamal Prakashan
2009
[3]
간행물
"Memoir on The History of Buddhism, read before the Society May 24, 1844, by [[Edward E. Salisbury]], Professor in Yale College"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849
[4]
서적
"apsara", in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5]
웹사이트
Everything You Must Know About the Apsara Traditional Dance – Green Cultural Travel
https://www.greencul[...]
2024-04-15
[6]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Asian Civilizations
Facts On File, Inc.
2014
[7]
서적
"GLOSSARAY: Apsara", in ''ABHIJNANSAKUNTALAM (The Recognition of Sakuntala--A Well-known Sanskrit Play by KALIDASA, The Greatest Poet and Dramatist in the Sanskrit Language.) (Improvised Edition): Originally Translated by Arthur W. Ryder''
Lulu Press, Inc.
2012
[8]
서적
"The Mythology of the Apsara Urvasie and its modern interpretation by Arundhuti Bhadra", in ''URVASIE From Mythological To Postmodern Reflections''
Cognition Publications
2021
[9]
서적
Apsara Sadhana (Evocation Magic of Ancient Hindu Celestial Beauties): Ramba, Urvasi, Tilotama, Sasi Devi, Kanchanamala, Kulaharini, Ratnamala, Bhusani and Many More Information Regarding Attraction
Amazon Digital Services LLC - KDP
2020
[10]
서적
THE PERMANENT HISTORY OF BHARATA VARSHA (India) Vol. I
Bhaskara Press
1915
[11]
서적
The Global Connections of Gandharan Art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Workshop of the Gandhara Connections Project, University of Oxford, 18-19th March, 2019
Archaeopress Publishing Limited
2020
[12]
웹사이트
Apsara {{!}} Indian religion and mythology
https://www.britanni[...]
2020-04-15
[13]
서적
India through the ages
https://archive.org/[...]
Publication Division, Ministry of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Government of India
1990
[14]
간행물
Apsaras
[15]
서적
apsar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ing House
1899
[16]
웹사이트
apsara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6-07
[17]
문서
Rig Veda, Book X, Hymn 95
[18]
논문
The Indian Hair-Wringing Apsaras and her Discriminating Goose: Meanings and Migrations
https://journal.equi[...]
2021
[19]
논문
The Indian Hair-Wringing Apsaras and her Discriminating Goose: Meanings and Migrations
https://journal.equi[...]
2021
[20]
문서
Mahabharata, Book III: Vana Parva, Section 43
[21]
문서
Mahabharata, Book I: Adi Parva, Section 71-72
[22]
서적
The Bedford Introduction to Literature: Reading, Thinking, Writing
St. Martin/Bedford
2008
[23]
문서
Monuments of the Angkor Group
[24]
웹사이트
Angkor Wat devata inventory - February 2010
http://www.devata.or[...]
[25]
문서
Khmer Costumes and Ornaments of the Devatas of Angkor Wat
[26]
웹사이트
Home
https://www.roughgui[...]
2020-04-15
[27]
문서
The Heritage-Scape
2008
[28]
웹사이트
Bidadari
http://kbbi.web.id/b[...]
[29]
웹사이트
Flying Celestial Apsara (Feitian 飛天) 7th century
https://www.metmuseu[...]
2021-12-13
[30]
서적
The global connections of Gandharan art :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Workshop of the Gandhāra Connections Project, University of Oxford, 18th-19th March, 2019
Archaeopress
2020
[31]
서적
Collection of ancient Chinese cultural relics. Volume 5, Sui, Tang and Five Dynasties : 581-960
2019
[32]
웹사이트
Other Divinities
https://depts.washin[...]
2021-12-13
[33]
웹사이트
Feitian – flying Apsaras in Longmen Grottoes[1]
https://www.chinadai[...]
2021-12-13
[34]
문서
『インド曼陀羅大陸』217頁
[35]
문서
『幻想動物事典』16頁
[36]
서적
女神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