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정강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앞정강근은 다리 앞칸에 위치한 근육으로, 발의 발등굽힘과 안쪽번짐을 담당한다. 정강뼈의 특정 부위에서 시작하여 안쪽쐐기뼈와 첫째 발허리뼈에 닿으며, 깊은종아리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이 근육은 걷기, 달리기 등 다양한 활동에서 발목을 안정시키고 발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앞정강근의 변이와 관련된 해부학적 특성과, 탈장과 같은 임상적 중요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지 근육 - 긴발가락폄근
긴발가락폄근은 정강뼈 등에서 시작하여 발가락 4개에 닿으며, 발가락뼈사이근 및 벌레근에서 섬유를 받아 널힘줄을 형성하여 먼쪽발가락뼈에 부착되는 다리 근육이다. - 하지 근육 - 짧은종아리근
짧은종아리근은 종아리뼈에서 시작하여 다섯째 발허리뼈에 닿아 발의 외전과 족저 굴곡을 담당하며 한 다리로 설 때 발을 안정시키는 근육이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앞정강근 | |
|---|---|
| 근육 정보 | |
![]() | |
![]() | |
| 라틴어 이름 | musculus tibialis anterior |
| 이는 곳 | 정강뼈 가쪽 면의 위쪽 1/2이나 2/3, 인접한 뼈사이막 |
| 닿는 곳 | 안쪽쐐기뼈, 첫째 발허리뼈의 바닥 |
| 혈액 공급 | 앞정강동맥 |
| 신경 지배 | 깊은종아리신경 (L5) |
| 작용 | 발의 발등굽힘, 안쪽번짐 |
| 대항근 | 긴종아리근 장딴지근 가자미근 장딴지빗근 뒤정강근 |
| 발음 | IPA(영어): IPA(영어): |
2. 구조
앞정강근은 정강뼈의 가쪽관절융기와 정강뼈 가쪽 측면의 위쪽 2/3, 인접한 뼈사이막, 근막의 깊은면, 가쪽근육사이막, 긴발가락폄근에서 일어난다.[8] 위폄근지지띠와 아래폄근지지띠의 가장 안쪽칸을 통과하여 안쪽쐐기뼈 아랫면과 첫째 발허리뼈의 바닥에 닿는다.[8] 앞정강근은 다리 앞칸의 가장 안쪽 근육이다.[1]
발목 근처 발의 앞안쪽 등쪽에서 나타나는 힘줄로 끝나며, 힘줄은 윤활막으로 싸여 있다. 힘줄은 발의 안쪽 칸 위쪽과 아래쪽 굽힘근 지지띠를 통과한다.[3]
2. 1. 신경 분포
온종아리신경의 가지인 깊은종아리신경(L4, L5)이 앞정강근에 분포한다.[7][9] 깊은 종아리 신경과 되돌이무릎신경(L4)의 지배를 받는다.[3]2. 2. 변이
앞정강근의 깊은 부분은 드물게 목말뼈에 닿거나, 힘줄로 이루어진 얇은 근육 슬립이 첫째 발허리뼈의 머리나 엄지발가락의 첫째발가락뼈 바닥을 지나갈 수 있다.정강뼈 아래쪽에서 일어나 위폄근지지띠나 아래폄근지지띠, 또는 깊은근막에 닿는 'tibiofascialis anterior'라는 작은 근육이 존재하는 변이가 있을 수 있다.[2]
앞정강근막근은 정강이 아래 부분에서 발의 가로 또는 아래 폄근 지지띠 또는 깊은 근막으로 이어지는 작은 근육이다.[3]
3. 기능
앞정강근은 종아리앞칸의 근육들 중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발의 발등굽힘과 안쪽번짐을 일으키는 가장 큰 근육이다.[7] 정강뼈 가쪽관절융기와 정강뼈 가쪽면 위쪽에서 시작되어 안쪽쐐기뼈와 첫째 발허리뼈 바닥에 닿는데, 이런 구조로 인해 발가락을 당겨 잠긴 위치에 고정시킨다. 또한 발목이 수평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안쪽번짐을 일으키고, 발목이 돌아갈 것 같을 때 완충 역할을 한다. 뒤정강근의 협동근이자 대항근인데, 가장 정확한 앞정강근의 대항근은 긴종아리근이다. 다른 대항근에는 장딴지근이나 가자미근 같은 종아리뒤칸의 발바닥굽힘근들이 있다.
앞정강근은 걷기, 달리기, 하이킹, 공 차기, 그 외의 다리를 움직여야 하거나 다리를 수직 방향으로 유지하는 모든 활동을 돕는다. 한편 발목을 안정화시키는 역할도 한다. 보행의 접촉 단계(contact phase) 동안 발이 지면에 닿을 때(원심성 수축. 근육의 길이가 길어지는 수축)는 발목을 안정하게 하며, 발이 지면에서 떨어지는 스윙 단계(swing phase)에서 작용하여 발을 당긴다. 추가적으로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ction) 동안에는 발목을 잠그는 역할을 한다.[10]
앞정강근의 작용은 발등굽힘과 안쪽번짐이지만 어떤 작용이 일어날지는 발에 무게 부하가 걸려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발이 지면에 닿아 있을 때는 앞정강근이 다리나 목말뼈가 다른 발목뼈와 균형을 잡는 것을 돕는다. 이를 통해 심지어 고르지 않은 지면을 걸을 때도 다리를 수직으로 뻗은 채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근육은 발을 배굴하고 안쪽으로 뒤집는 작용을 한다.[3] 발의 가장 큰 배굴근이다.[1] 또한 감속에도 기여한다.[4] 발의 내측 종아치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발가락을 위로 당겨 고정된 위치에 유지한다. 앞정강근은 다리를 움직이거나 다리를 수직으로 유지해야 하는 모든 활동을 돕는다. 걷기의 접촉 단계에서 발이 땅에 닿을 때 발목을 안정시키는 기능(원심성 수축)을 하며, 이후 스윙 단계에서 발을 땅에서 들어올리는 작용(구심성 수축)을 한다. 또한 발목을 '고정'하는 기능도 하는데, 이는 발가락으로 공을 찰 때 등척성 수축으로 유지될 때 나타난다.
4. 임상적 중요성
앞정강근의 문제를 침술로 치료하기도 한다.[7] 침술의 효능을 다른 치료법과 비교하는 연구에는 중대한 편향이 있으므로,[11] 침술 사용 여부를 결정할 때에는 주의해야 한다.
앞정강근 탈장(tibialis anterior hernia)은 탈장의 드문 유형으로, 앞정강근에 있는 결함 부위로 지방이나 다른 물질이 빠져나오는 것이다.[12] 축구 경기 시 상대 선수가 실수로 날린 발차기에 다리가 맞는 등, 외상이 원인이 될 수 있다.[6]
5. 추가 이미지

참조
[1]
간행물
CHAPTER 14 - General Principles of Treating Soft Tissue Dysfunction in Sports Injuries
https://www.scienced[...]
Churchill Livingstone
2011-01-01
[2]
간행물
Chapter 18 - Pain in the lower limb
https://www.scienced[...]
Churchill Livingstone
2005-01-01
[3]
서적
Last's Anatomy
Elsevier Australia
[4]
웹사이트
10 Incredible Tibialis Raise Benefits
https://a1athlete.co[...]
2023-09-28
[5]
논문
Dynamic measurements of musculus tibialis anterior ligaments with different angles
https://www.scienced[...]
2011-05-01
[6]
논문
Tibialis anterior muscle hernia: rare but not uncommon
[7]
간행물
CHAPTER 14 - General Principles of Treating Soft Tissue Dysfunction in Sports Injuries
https://www.scienced[...]
Churchill Livingstone
2011-01-01
[8]
간행물
Chapter 18 - Pain in the lower limb
https://www.scienced[...]
Churchill Livingstone
2005-01-01
[9]
간행물
33 - Sciatic Neuropathy
https://www.scienced[...]
W.B. Saunders
2013-01-01
[10]
논문
Dynamic measurements of musculus tibialis anterior ligaments with different angles
https://www.scienced[...]
2011-05-01
[11]
논문
Is acupuncture no more than a placebo? Extensive discussion required about possible bias
2015-10
[12]
논문
Tibialis anterior muscle hernia: rare but not uncomm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