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약한 아이소스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약한 아이소스핀은 약한 초전하와 관련된 개념으로, 입자의 맛깔 양자수와 초전하의 관계를 모방하여 이름 붙여졌다. 주로 T로 표기하며, 그 세 번째 성분은 T3로 나타낸다. 전하 Q, T3, 약 초전하 YW 사이에는 Q = T3 + YW 관계가 성립하며, 셸던 글래쇼는 이 관계를 겔만-니시지마 공식에 비유했다. 약한 아이소스핀은 약한 상호작용을 통해 보존되며, 힉스장과의 상호작용에서는 보존되지 않는다. 음의 카이랄성을 가진 페르미온은 T = 1/2를 가지며, 약한 상호작용 하에서 이중항을 형성한다. 약한 아이소스핀 대칭성은 SU(2)이며, W 보손을 필요로 한다. 약한 아이소스핀은 베타 붕괴와 같은 약한 상호작용 현상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렙톤과 쿼크의 성질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맛깔 - 전하
    전하는 물질의 기본 성질로서 다른 전하를 띤 물질과 전기적 힘을 주고받으며, 그 힘의 크기는 쿨롱의 법칙에 따라 전하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며, 전하량은 기본 전하량의 정수배로 양자화되고, 전하 보존 법칙에 따라 고립계에서 총 전하량은 보존된다.
  • 맛깔 - 아이소스핀
    아이소스핀은 핵자와 중간자를 분류하고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도입된 양자수로, 강력에 대한 양성자와 중성자의 유사한 상호작용에서 비롯되었으며, 쿼크 모형에서는 위 쿼크와 아래 쿼크를 섞는 대칭으로 설명되는 강한 상호작용의 SU(2) 대칭성을 나타낸다.
  • 표준 모형 - 글루온
    글루온은 쿼크 사이의 색력을 전달하는 기본 입자로, 색전하를 지닌 벡터 보손이며, 양자색역학에 따라 8가지 종류가 존재하고, 쿼크와 상호작용하여 하드론을 형성하지만 색 가둠 현상으로 인해 자유롭게 관측되지는 않는다.
  • 표준 모형 - 자발 대칭 깨짐
    자발 대칭 깨짐은 물리 법칙은 특정 대칭성을 갖지만 계의 상태는 그렇지 않은 현상으로, 명시적 대칭성 깨짐과 대조되며 강자성체의 자발 자화, 힉스 메커니즘, 초전도 현상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 입자물리학 - 전자볼트
    전자볼트는 전자가 1볼트의 전위차를 통과할 때 얻거나 잃는 에너지 단위로, 1.602 × 10⁻¹⁹ 줄과 같으며, 다양한 물리학 분야와 공학에서 에너지, 질량, 운동량, 온도, 거리 등을 표현하는 데 널리 활용된다.
  • 입자물리학 - 알파 붕괴
    알파 붕괴는 원자핵이 헬륨-4 원자핵인 알파 입자를 방출하여 원자 번호와 질량수가 감소하는 방사성 붕괴의 한 형태로, 무거운 원자핵에서 주로 발생하며 양자 터널링 효과로 설명되고 연기 감지기 등에 활용되지만 인체에 유해할 수도 있다.
약한 아이소스핀
일반 정보
이름약한 아이소스핀
영어 이름weak isospin
기호I 또는 T
다른 표기I₃ 또는 T₃
설명소립자물리학에서 약한 상호작용과 관련된 양자수
아이소스핀과 유사하지만, 쿼크렙톤에 작용
관련 입자W 보손

2. 어원

약한 아이소스핀은 약한 초전하와 관계가 있다. 그 관계가 입자의 맛깔 양자수인 (강한) 아이소스핀과 (강한) 초전하와 흡사하기 때문에 "약한 아이소스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러나 아이소스핀은 쿼크의 근사적인 맛깔 대칭을 나타내는 온곳 대칭인 반면, 약한 아이소스핀은 자연계의 근본적인 전약력 대칭군을 나타내는 게이지 대칭이므로, 표면적인 유사성을 제외하고는 전혀 다른 종류의 양자수다.[5]

3. 표기법

약한 아이소스핀은 주로 ''T''로 표기하며, 그 세 번째 성분(투영)은 ''T''3으로 표기한다. 일반적인 (강한 상호작용) 아이소스핀은 ''I''로 표기하며, 혼동을 피해야 한다.[5]

4. 겔만-니시지마 공식

약한 초전하 Y_W와 약한 아이소스핀의 세 번째 성분 T_3이 주어지면, 전하 Q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T_3 + \frac12Y_W

이 공식은 (강한) 아이소스핀과 (강한) 초전하를 관계짓는 공식과 유사하여 겔만-니시지마 공식(Gell-Mann–Nishijima formula영어)이라고 불린다. 1961년 셸던 글래쇼는 이 공식을 아이소스핀에 대한 전하에 비유하여 제안했다.[1][2]
약한 아이소스핀 보존 법칙에 따라, 약한 상호작용은 T_3보존한다. T_3전자기력 및 강한 상호작용에 의해서도 보존되지만, 힉스장과의 상호작용에서는 보존되지 않는다. 힉스장 진공 기댓값이 0이 아니므로, 입자는 진공에서도 항상 이 장과 상호작용하여 약한 아이소스핀(그리고 약한 초전하)을 변화시킨다.

5. 보존 법칙

약한 아이소스핀 보존 법칙은 약한 상호작용에서 보존된다. 이는 전자기력 및 강한 상호작용에서도 보존된다. 그러나 힉스장과의 상호작용은 T_3를 보존하지 않는다. 이는 힉스 결합을 통해 질량을 얻는 페르미온에서 직접적으로 관찰된다. 힉스장 진공 기댓값이 0이 아니므로, 입자는 진공에서도 항상 이 장과 상호작용한다. 힉스장과의 상호작용은 입자의 약한 아이소스핀(그리고 약한 하이퍼차지)을 변화시킨다. 오직 전기적 전하의 특정 조합만이 보존된다.

전기적 전하 Q는 약한 아이소스핀 T_3와 약한 하이퍼차지 Y_\mathrm{W}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Q = T_3 +\tfrac{1}{2}Y_\mathrm{W}

1961년 셸던 글래쇼는 겔만-니시지마 공식을 아이소스핀에 대한 전하에 비유하여 이 관계를 제안했다.[1][2] 약한 아이소스핀은 강한 상호작용에서의 아이소스핀과 짝을 이루는 개념이다. 약한 아이소스핀을 나타내는 기호는 일반적으로 ''T'' 또는 ''I''이며, 그 세 번째 성분은 T_z, T_3, I_z 또는 I_3로 표기된다.[5] 약한 아이소스핀은 전자기 상호작용약한 상호작용을 통합하는 약 초전하의 성분이다.

약한 아이소스핀 보존 법칙에 따라 모든 약한 상호작용은 T_3을 보존해야 한다. 이 값은 또한 다른 기본 상호작용에 의해서도 보존되는 일반적인 보존량이다. 이 때문에, T_3는 ''T''보다 중요하며, "약한 아이소스핀"은 종종 "약한 아이소스핀의 세 번째 성분"만을 의미한다.

전하 ''Q'', 약한 아이소스핀의 세 번째 성분 T_3, 및 약 초전하 Y_W 사이에는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 Q = T_3 + Y_\text{w}

6. 손지기 (카이랄성)와의 관계

음의 손지기(왼손잡이) 페르미온T = \tfrac{1}{2}를 가지며, 약한 상호작용 하에서 동일하게 작용하는 T_3 = \pm \tfrac{1}{2}인 이중항으로 묶인다. 관례적으로, 전하를 띤 페르미온은 전하와 같은 부호로 T_3가 할당된다.

예를 들어, 위쪽 유형의 쿼크(u, c, t)는 T_3 = +\tfrac{1}{2}를 가지며 항상 아래쪽 유형의 쿼크(d, s, b) (T_3 = -\tfrac{1}{2})로 변환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반면에 쿼크는 동일한 T_3의 쿼크로 약하게 붕괴되지 않는다.

비슷한 현상이 왼손잡이 렙톤에서도 발생하는데, 전하를 띤 렙톤(e-영어, μ-영어, τ-영어)은 T_3 = -\tfrac{1}{2}를, 중성미자e영어, νμ영어, ντ영어)는 T_3 = +\tfrac{1}{2}를 가지는 이중항으로 존재한다. 모든 경우에 해당 반-페르미온은 반대 손지기(오른손잡이 반페르미온)와 반대 부호 T_3를 갖는다.

양의 손지기(오른손잡이) 페르미온과 음의 손지기(왼손잡이) 반-페르미온은 T = T_3 = 0을 가지며, 전하를 띤 약한 상호작용을 겪지 않는 단일항을 형성한다. T_3 = 0인 입자는 W±영어 보존과 상호작용하지 않지만, 모두 Z0영어 보존과는 상호작용한다.

'''왼손잡이 페르미온 (표준 모형)'''[3]
1세대2세대3세대
페르미온전하기호약한
아이소스핀
페르미온전하기호약한
아이소스핀
페르미온전하기호약한
아이소스핀
전자\ -\!1~ \quad \mathrm{e}^-\ \ -\!\tfrac{1}{2}~ 뮤온\ -\!1~ \quad \mathrm{\mu}^-\ \ -\!\tfrac{1}{2}~ 타우온\ -\!1~ \quad \mathrm{\tau}^-~ \ -\!\tfrac{1}{2}~
업 쿼크\ +\!\tfrac{2}{3}~ \ \mathrm{u}\ \ +\!\tfrac{1}{2}~ 매력 쿼크\ +\!\tfrac{2}{3}~ \ \mathrm{c}\ \ +\!\tfrac{1}{2}~ 탑 쿼크\ +\!\tfrac{2}{3}~ \ \mathrm{t}\ \ +\!\tfrac{1}{2}~
다운 쿼크\ -\!\tfrac{1}{3}~ \ \mathrm{d}\ \ -\!\tfrac{1}{2}~ 스트레인지 쿼크\ -\!\tfrac{1}{3}~ \ \mathrm{s}\ \ -\!\tfrac{1}{2}~ 바닥 쿼크\ -\!\tfrac{1}{3}~ \ \mathrm{b}\ \ -\!\tfrac{1}{2}~
전자 중성미자\ \quad 0~ \ ~\nu_\mathrm{e}\ \ +\!\tfrac{1}{2}~ 뮤온 중성미자\ \quad 0~ \ ~\nu_\mathrm{\mu}\ \ +\!\tfrac{1}{2}~ 타우 중성미자\ \quad 0~ \ ~\nu_\mathrm{\tau}\ \ +\!\tfrac{1}{2}~



약한 상호작용에서 상호 전환하는 두 개의 소립자는 같은 소립자의 전하와 질량이 다른 상태로 간주할 수 있다. 아이소스핀에서 양성자중성자가 같은 소립자의 전하만 다른 상태라고 생각한 것과 마찬가지로, 약한 상호작용에서는 이 상태 간의 전환이 일어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상태를 나타내는 매개변수로 약 아이소스핀이 도입된다.

하지만 이 약 아이소스핀 이중항을 만드는 두 상태는 일반적으로 질량이 다르며, 이 둘을 서로 바꾸는 변환(게이지 변환)에 대해 물리 현상은 불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힉스 입자와의 결합에 의해 대칭성이 자발적으로 깨져 있기 때문이다.

약 아이소스핀의 커런트에는 양의 전하 커런트와 음의 전하 커런트, 그리고 중성 커런트가 존재하며, 각각 W±, W0과 결합한다. W0는 초전하 게이지 보손 B와 혼합되어 Z 보손이 된다.

약 아이소스핀은 스핀, 아이소스핀과 마찬가지로 파울리 행렬을 통해 수학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 약한 상호작용에서 상호 전환하는 두 소립자는 약 아이소스핀 1/2을 가지며, 그 z성분은 1/2, -1/2의 두 값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이 z성분이 '''약 아이소스핀 양자수'''라고 불린다.

쿼크의 경우, 다운 쿼크뿐만 아니라 스트레인지 쿼크가 업 쿼크로 전환되는 현상도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업 쿼크와 짝을 이루는 것은 다운 쿼크와 스트레인지 쿼크가 혼합된 입자이다. 이 입자의 혼합 현상을 카비보 혼합이라고 한다. 고바야시 마코토마스카와 도시히데는 이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혼합되는 입자가 3세대가 존재할 경우 약한 상호작용에서 CP 대칭성 깨짐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였다. (고바야시-마스카와 이론)

베타 붕괴로 생성되는 반전자 중성미자는 모두 헬리시티가 1/2 (오른손잡이)이다. 따라서 약한 상호작용은 헬리시티 1/2의 반입자, 혹은 헬리시티 -1/2(왼손잡이)의 입자에만 작용하며, 약 아이소스핀을 갖는 것도 마찬가지로 생각된다.

6. 1. 중성미자

전하가 없는 중성미자와 반중성미자는 해당 전하를 띤 렙톤과 반대되는 T_3를 갖는다. 왼손잡이 중성미자는 T_3 = +\tfrac{1}{2}를 가지며, 오른손잡이 반중성미자는 T_3 = -\tfrac{1}{2}를 갖는다.[3] 이는 왼손잡이 중성미자(T_3 = +\tfrac{1}{2})와 오른손잡이 반중성미자(T_3 = -\tfrac{1}{2}) 사이의 입자-반입자 전하 및 패리티 반전에 따른다.

예를 들어, 전자 중성미자, 뮤온 중성미자, 타우 중성미자는 모두 T_3 = +\tfrac{1}{2}를 갖는다.[3]

베타 붕괴약한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대표적인 현상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d \longrightarrow u + e + \overline{\nu_e}

(u:업 쿼크, d:다운 쿼크, e:전자, νe:전자 중성미자이며, 오버라인은 반입자를 나타낸다.)

어떤 입자는 그 반입자가 시간을 거슬러 가는 모습으로 해석할 수 있으므로, 위 식은 다음과 같이 바꿔 쓸 수 있다.

:d + \nu_e \longrightarrow u + e

즉, 다운 쿼크가 전자 중성미자와 충돌하여 약한 상호작용에 의해 다운 쿼크가 업 쿼크로, 전자 중성미자가 전자로 전환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렙톤에 대해서는, 전자-전자 중성미자, 뮤온-뮤온 중성미자, 타우 입자-타우 중성미자가 약 아이소스핀 쌍을 이루고 있으며, 쌍 안에서만 전환이 일어난다.[6]

7. 약한 아이소스핀과 W 보손

약한 아이소스핀 대칭성은 SU(2)이며, \, T = 1 \,을 가진 게이지 보손인 , , 을 필요로 한다. 이들은 반정수 약한 아이소스핀 전하를 가진 페르미온 사이의 변환을 매개한다.[4] \ T = 1\ 은 보손이 세 가지 다른 \ T_3 \ 값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 보손 (\,T_3 = +1\,)\left(\,T_3 = +\tfrac{1}{2}\,\right)\left(\,T_3 = -\tfrac{1}{2}\,\right)~. 변환에서 방출된다.
  • 보손 (\, T_3 =\, 0 \,)중성미자 산란과 같이 \, T_3 \,가 변하지 않는 약한 상호 작용에서 방출된다.
  • 보손 (\, T_3 = -1 \,)\left(\, T_3 = -\tfrac{1}{2} \,\right)\left(\, T_3 = +\tfrac{1}{2} \,\right) 변환에서 방출된다.


전자기-약력 통일에 따르면, 보손은 약한 하이퍼전하 게이지 보손 와 혼합되며, 둘 다 약한 아이소스핀이 0이다. 이로 인해 관찰된 보손과 양자 전기역학광자가 발생하며, 결과적으로 와 또한 약한 아이소스핀이 0이다.

8. 성질

약한 상호작용의 대표적인 현상인 베타 붕괴는 다운 쿼크가 업 쿼크, 전자, 반전자 중성미자로 변환되는 과정이다. 약한 상호작용에서 상호 전환하는 두 소립자는 같은 소립자의 전하와 질량이 다른 상태로 간주될 수 있다. 아이소스핀에서 양성자중성자가 같은 소립자의 전하만 다른 상태라고 생각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약 아이소스핀은 이 상태를 나타내는 매개변수이다.

약 아이소스핀 이중항을 만드는 두 상태는 일반적으로 질량이 다르며, 이는 힉스 입자와의 결합에 의한 대칭성 깨짐 때문이다. 약 아이소스핀의 커런트에는 양의 전하 커런트, 음의 전하 커런트, 중성 커런트가 있으며, 각각 W±, W0과 결합한다. W0는 초전하 게이지 보손 B와 혼합되어 Z 보손이 된다.

약 아이소스핀은 스핀, 아이소스핀과 마찬가지로 파울리 행렬로 기술될 수 있다. 약한 상호작용에서 상호 전환하는 두 소립자는 약 아이소스핀 1/2을 가지며, 그 z성분은 1/2, -1/2의 두 값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이 z성분이 '''약 아이소스핀 양자수'''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전자는 약 아이소스핀 양자수 1/2, 전자 중성미자는 약 아이소스핀 양자수 -1/2을 갖는다.

약한 아이소스핀 보존 법칙은 \ T_3\ ;의 보존과 관련이 있으며, 약한 상호작용은 \ T_3\ ;보존한다. 또한 전자기력 및 강한 상호작용에 의해서도 보존된다. 그러나 힉스장과의 상호작용은 \ T_3\ ;을 ''보존하지 않는다.'' 이는 힉스 결합을 통해 질량 항으로 자신의 손지기를 섞는 페르미온의 전파에서 직접적으로 관찰된다. 힉스장 진공 기댓값이 0이 아니므로, 입자는 진공에서도 항상 이 장과 상호작용한다. 힉스장과의 상호작용은 입자의 약한 아이소스핀(그리고 약한 하이퍼차지)을 변화시킨다. 오직 전기적 전하의 특정 조합만이 보존된다.

전기적 전하, \ Q\ ,는 약한 아이소스핀, \ T_3\ , 그리고 약한 하이퍼차지, \ Y_\mathrm{W}\ ,와 다음 관계를 갖는다.

:Q = T_3 +\tfrac{1}{2}Y_\mathrm{W} ~.

1961년 셸던 글래쇼는 겔만-니시지마 공식을 아이소스핀에 대한 전하에 비유하여 이 관계를 제안했다.[1][2]

8. 1. 렙톤과 쿼크

렙톤의 경우, 전자-전자 중성미자, 뮤 입자-뮤 중성미자, 타우 입자-타우 중성미자가 쌍을 이루며, 이 쌍 안에서만 전환이 일어난다.[6] 반면 쿼크의 경우, 다운 쿼크뿐만 아니라 스트레인지 쿼크도 업 쿼크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업 쿼크와 짝을 이루는 것은 다운 쿼크와 스트레인지 쿼크가 혼합된 입자이다. 이 입자들의 혼합 현상을 카비보 혼합이라고 한다.

고바야시 마코토마스카와 도시히데는 이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혼합되는 입자가 3세대일 경우 약한 상호작용에서 CP 대칭성 깨짐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였다. (고바야시-마스카와 이론)

8. 2. 헬리시티 (손지기)

약한 상호작용은 헬리시티 -1/2 (왼손잡이) 입자 또는 헬리시티 1/2 (오른손잡이) 반입자에만 작용하며, 약 아이소스핀을 갖는 것도 이들이다.[6] 베타 붕괴로 생성되는 반전자 중성미자는 모두 오른손잡이이다.[6]

참조

[1] 논문 Partial-symmetries of weak interactions https://dx.doi.org/1[...] 1961-02-01
[2] 서적 Gauge theory of weak interactions Springer 1996
[3] 논문 The algebra of Grand Unified Theories
[3] 웹사이트 §2.3.1 isospin and SU(2), redux http://math.ucr.edu/[...] U.C. Riverside 2013-10-15
[4] 서적 An introduction to quantum field theory HarperCollins 1995
[4] 서적 Gauge theory of elementary particle physics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4] 서적 The quantum theory of fiel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5] 문서 "曖昧性:''I''は'通常の'[[アイソスピン]]を表す場合にも用いられ、その第三成分も同じく''I''3または''I''zと表記される。''T''は[[トップネス]]を表す場合にも用いられる。"
[6] 문서 ただしこれはニュートリノを質量ゼロと考えた場合である。現在はニュートリノ質量が観測された事によってレプトンの場合も混合を考える。この混合により[[ニュートリノ振動]]が起こ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