얀 네포무츠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얀 네포무츠키는 1340년대 보헤미아 왕국의 포무크(네포무크)에서 태어난 사제로, 프라하 카렐 대학교와 파도바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1393년 프라하 대주교의 대리가 되었으나, 클라드루비 수도원장 임명을 둘러싼 바츨라프 4세와 대주교 간의 갈등에 휘말려 고문을 받고 블타바 강에 던져져 순교했다. 그는 고해성사의 비밀을 지키려다 죽임을 당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1721년 시복, 1729년 시성되었다. 얀 네포무츠키는 고해성사의 수호성인, 다리의 수호성인 등으로 숭배받으며, 중부 및 동유럽을 중심으로 조각상과 예술 작품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의 로마 가톨릭 성인 - 바츨라프 1세 (보헤미아 공작)
바츨라프 1세는 10세기 보헤미아 공작으로, 기독교를 장려하고 프라하 성 비투스 대성당을 건립했으며, 동생 볼레슬라프 1세에게 암살당한 후 성인으로 추앙받아 체코 민족의 영웅으로 숭배받는다. - 체코의 로마 가톨릭 성인 - 아달베르트 폰 프라크
아달베르트 폰 프라크는 956년경 보이테흐로 태어난 보헤미아의 성인이자 프라하 주교로, 노예 무역 반대와 일부다처제 비판 등 개혁을 시도하고 폴란드에서 선교 활동 중 순교하여 가톨릭교회와 정교회에서 기념받고 있다.
얀 네포무츠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 네포무크 | 성 요한 네포무첸 |
원어명 (체코어) | Jan Nepomucký 얀 네포무츠키 |
원어명 (독일어) | Johannes Nepomuk 요하네스 네포무크 |
원어명 (라틴어) | Ioannes Nepomucenus 이오안네스 네포무케누스 |
칭호 | 순교자 |
출생 | 1345년경, 네포무크 |
사망 | 1393년 3월 20일, 프라하 |
시복일 | 1721년 5월 31일 |
시복 장소 | 로마 |
시복 집전자 | 교황 인노첸시오 13세 |
시성일 | 1729년 3월 19일 |
시성 장소 | 로마 |
시성 집전자 | 교황 베네딕토 13세 |
기념일 | 5월 16일 |
숭배 | 로마 가톨릭교회 |
상징 | |
상징물 | 후광과 5개의 별, 십자가, 다리, 입술에 손가락을 대어 침묵을 나타내는 천사, 사제의 비레타 |
수호 | |
수호 대상 | 고해성사 신부 선원 뗏목꾼 방앗간 주인 체질꾼 다리 물로 인한 위험 신중함 보헤미아 산후안 (바탕가스 주) 말리바이, 파사이 알폰소 (카비테 주) 모알보알 (세부 주) 산레미히오 (세부 주) 카비아오 스페인 해군 해병대 프라하 슬라본스키 브로드 오미시 |
이미지 | |
![]() | |
기타 정보 | |
전기 | 1340년경 보헤미아의 네포무크에서 태어남. |
관련 장소 | 프라하, 카렐교 |
2. 일대기
얀 네포무츠키는 보헤미아 왕국의 작은 시장도시 포무크(후에 네포무크로 개명)에서 태어났다. 1340년에서 1349년 사이 출생으로 추정되며, 프라하 카렐 대학교와 파도바 대학교에서 교회법을 공부했다. 사제 서품 후 얀 젠슈타인 프라하 대교구장의 총대리로 임명되었다.
1459년 토마스 에벤도르퍼의 《로마 순교록》에 따르면, 벤체슬라우스 4세는 왕비의 고해신부인 얀 네포무츠키에게 고해 내용을 추궁했다. 얀 네포무츠키는 고해성사의 비밀을 지키기 위해 거절했고, 분노한 왕은 그를 고문 후 카를교에서 블타바 강에 던져 살해했다.[18] 1471년 파울 치덱의 기록에는 벤체슬라우스 왕이 왕비의 정부를 의심하여 얀 네포무츠키에게 자백을 강요했으나 실패했다고 전한다.[18]
얀 네포무츠키와 벤체슬라우스 왕은 클라드루비 베네딕도회 대수도원장 임명을 두고도 대립했다. 벤체슬라우스는 대립교황인 아비뇽 교황을, 프라하 대교구장은 로마 교황을 지지했는데, 얀 네포무츠키는 대교구장 측 후보를 지지하여 왕의 미움을 샀다. 결국 1393년 3월 20일 왕명으로 처형당했다.
1393년 4월 23일, 프라하 대교구장은 교황 보니파시오 9세에게 벤체슬라우스 왕을 고발하며[19] 얀 네포무츠키를 '순교자 성인'으로 칭송했다. 그의 전기에는 '그리스도의 영광과 기적으로 빛나는 순교자'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이후 얀 네포무츠키는 가톨릭 교회의 권위를 수호한 성인으로 추앙받았다. 1721년 시복, 1729년 교황 베네딕토 13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성 비투스 대성당에는 피셔 폰 에어라흐가 바로크 양식으로 제작한 그의 무덤이 있다.
2. 1. 초기 생애
얀 네포무츠키는 보헤미아 왕국(현재 체코)의 작은 시장 도시 포무크(Pomuk, 후에 네포무크로 개명됨)에서 태어났다. 출생 연도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1340년에서 1349년 사이로 추정된다.[3] 아버지 벨플린(Velflín)은 포무크의 촌장을 지냈으며, 이름으로 보아 독일계 혈통으로 추정된다.[14] 어머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얀은 프라하 카렐 대학교에서 공부한 후, 1383년부터 1387년까지 이탈리아 파도바 대학교에서 교회법을 공부했다.[3] 1393년, 프라하 대주교 얀 젠슈타인에 의해 성 질 교회의 교구장 대리로 임명되었다.
2. 2. 순교
1393년, 얀 네포무츠키는 보헤미아 왕 벤체슬라우스 4세와 프라하 대주교 사이의 갈등에 휘말려 순교했다. 당시 클라드루비 베네딕도회 수도원장 임명을 둘러싸고 왕과 대주교는 대립했다. 벤체슬라우스는 아비뇽 교황청을 지지한 반면, 대주교는 로마 교황을 지지했다.[19] 얀 네포무츠키는 대주교가 지명한 후보를 지지했고,[18] 왕의 명령에 따라 체포되어 고문을 당한 후, 1393년 3월 20일 프라하 카를교에서 블타바 강에 던져져 익사했다.
당시 기록에 따르면, 벤체슬라우스 왕은 왕비의 고해성사 내용을 밝히라고 얀 네포무츠키를 압박했으나, 그는 고해성사의 비밀을 지키기 위해 이를 거부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8] (이 부분은 후대의 기록에서 나타나며,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의 시신은 같은 해 4월 17일 블타바 강가에서 발견되었으며, 프라하 성 비투스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3. 논란
얀 네포무츠키의 순교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과 전설이 섞여 있어 논란이 많다. 특히 그가 고해성사의 비밀을 지키기 위해 순교했다는 이야기는 15세기 중반 이후의 기록에서 처음 등장하며, 초기 기록에는 나타나지 않는다.[18] 1459년에 작성된 《로마 순교록》(Chronica regum Romanorum)에 따르면, 벤체슬라우스 왕은 왕비의 고해신부인 얀 네포무츠키에게 왕비의 고해 내용을 말하라고 명령했지만, 얀은 고해성사의 비밀을 지켜야 한다며 거절했다. 이에 분노한 왕이 얀을 고문하고 블타바 강에 던져 죽였다고 한다.[18]
하지만 1471년 파울 치덱의 기록에는 벤체슬라우스 왕이 왕비가 정부를 두고 있다고 의심하여 얀에게 정부의 이름을 대라고 했지만, 얀이 자백하지 않아 죽임을 당했다고 나와 있다.[18]
일부 역사가들은 얀 네포무츠키가 왕과 교회의 권력 투쟁의 희생양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얀과 벤체슬라우스 왕은 클라드루비의 베네딕도회 수도원장 임명을 두고 갈등을 빚었는데, 당시 수도원장은 지역 유지로서 왕에게 중요한 인물이었다. 벤체슬라우스 왕은 대립 교황을 지지한 반면, 프라하 대교구장은 로마 교황을 지지했다. 얀은 왕의 뜻과 달리 프라하 대교구장이 내세운 후보를 지지했고, 결국 왕의 명령으로 죽임을 당했다.[19]
개신교 측에서는 얀 네포무츠키의 이야기가 예수회에 의해 만들어진 전설이며, 실제로는 종교 개혁가 얀 후스와 관련된 이야기를 각색한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4. 시성 및 공경
얀 네포무츠키는 1721년 5월 31일 교황 인노첸시오 13세에 의해 복자로 시복되었으며, 1729년 3월 19일 교황 베네딕토 13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15] 18세기에 그의 시성 조사가 이루어졌을 때, 그의 혀가 부패하지 않고 남아있었다는 것이 기적으로 인정받았다.[15]
가톨릭 교회에서는 얀 네포무츠키를 고해성사의 수호성인, 다리의 수호성인, 그리고 물과 관련된 재난(홍수, 익사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성인으로 공경한다. 체코, 독일, 오스트리아, 폴란드 등에서는 보헤미아의 수호성인으로, 교회나 성인상이 있고, 고해 사제를 비롯한 성직자나 수난으로부터의 보호자로서 선원과 다리의 수호성인으로도 숭배받고 있다.[16]
그의 상징은 다섯 개의 별인데, 이는 그가 블타바 강에 던져진 후 강 위에 다섯 개의 별이 나타났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16] 다른 해석으로는 그리스도가 십자가형에서 입은 다섯 개의 상처(성흔)를 상징한다거나, "tacui"(나는 침묵했다)라는 라틴어 단어의 다섯 글자를 상징한다고도 한다.[16] 실제로 성인이 입술에 손가락을 댄 동작을 한 조각상도 만들어졌다.
얀 네포무츠키의 조각상은 체코, 오스트리아, 독일, 폴란드 등 중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다리 위에 많이 세워져 있다. 카를교에는 성 요한의 조각상이 있으며, 받침대 부분의 릴리프에 새겨진 성인을 만지면 행운이 찾아온다고 믿어진다.[16]
5. 예술 작품
Heilige Johannes Nepomuk|성 요한 네포무크de는 회화, 조각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주제로 등장한다.
- Gerald Spitzner|제럴드 스피츠너de의 http://www.geocities.ws/venitevenitevenite/JNM-TEXT.html 요하네스 네포무크 미사 G장조(독일어)
참조
[1]
서적
Sanctus Johannes Nepomucenus Christi Heiliger Blut-Zeug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Saint John of Nepomuk
http://www.sjn.cz/en[...]
SJN.cz
[3]
서적
A Gift of Angels: The Art of Mission San Xavier Del Bac
Tucson
2010
[4]
간행물
Geschichte König Wenzels
[5]
간행물
Scrittura. il rerum Silesiacarum
1835
[6]
간행물
Archiv für österreichische Geschichte
1880
[7]
간행물
Scriptores rerum Prussicarum
Leipzig
1860
[8]
간행물
Zeitschrift für katholische Theologie
1883
[9]
문서
Johanna of Bavaria, Sofia of Bavaria
[10]
문서
Kronika česká
1541
[11]
간행물
Vita beati Joannis Nepomuceni martyris
Praga
1670
[12]
서적
Jan Jiří Urbanský český sochař ve Slezsku
https://books.google[...]
[13]
서적
プラハ迷宮の散歩道 百塔の都をさまよう愉しみ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14]
웹사이트
St. John of Nepomuk: John's Birthplace
http://www.sjn.cz/en[...]
[15]
웹사이트
St. John of Nepomuk: Attributes of St. John
http://www.sjn.cz/en[...]
[16]
서적
プラハ・チェコ 中世の面影を残す中欧の町々
日経BP企画
2006
[17]
웹사이트
Saint John of Nepomuk
http://www.sjn.cz/en[...]
Czech Saint John of Nepomuk website
2006
[18]
간행물
Zeitschrift für kathol. Theologie
[19]
간행물
Geschichte König Wenzel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