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393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93년은 각국의 연호, 기년, 사건, 탄생, 사망 등을 기록한 해이다. 명나라 홍무 26년, 일본 메이토쿠 4년, 조선 태조 2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조선의 국호 사용 시작, 프랑스 샤를 6세 궁정 가면무도회 화재, 네포무크의 요한 살해 등이 있었으며, 란쌍 왕국 파 응움, 아르메니아 왕 레오 5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93년
1393년
주요 사건1월 25일: 의안대군의 딸이 세자빈으로 책봉되다. (훗날의 소헌왕후)
조선에서 정도전이 《조선경국전》을 완성하다.
태조가 심덕부를 문하 좌시중에 임명하다.
김사형, 이무, 이방우 등이 《고려사》를 완성하다.
바르셀로나에서 마틴 1세가 요안 1세를 계승하다.
명나라에서 주원장이 황자들을 제후왕으로 임명하다.
티무르가 이란을 침공하다.
이탈리아에서 안젤로 크리벨리가 밀라노 공국의 군주가 되다.
탄생
날짜 미상이선 옹주, 조선의 왕족 (사망일 미상)
5월 24일조선의 문신 맹사성 (사망일 1438년)
사망
5월 16일요안 1세, 아라곤의 왕 (출생일 1350년)
날짜 미상니콜라스 에이메리치, 카탈루냐의 종교재판관 (출생일 1320년)

2. 연호


  • 明|홍무중국어(洪武) 26년
  • 일본 日本|메이토쿠일본어(明徳) 4년
  • (陳朝|쩐 왕조vi) 꽝타이(光泰) 6년

3. 기년

간지계유
조선태조 2년
단기3726년
중국 홍무 26년
일본메이토쿠(明徳일본어) 4년
황기2053년
베트남진조 꽝타이 6년
불멸기원1935년 - 1936년
이슬람력795년 - 796년
유대력5153년 - 5154년


4. 사건


  • 3월 27일 (음력 2월 15일) - 조선왕조가 조선을 국호로 사용하기 시작했다.[4]
  • 영안대군 (훗날 조선 정종)이 황해도 문화현영녕현에 침입한 왜구를 토벌하였다.
  • 음력 11월 28일 - 도평의사사에서 병선의 위력 덕분에 왜적 피해가 줄어들었다고 보고하였다.[5]
  • 조지 7세가 아버지 바그라트 5세의 뒤를 이어 조지아의 왕이 되었다.
  • 라이몬도 델 발조 오르시니가 오토 브룬스비크-그루벤하겐 공작의 뒤를 이어 타란토 공국(현재 이탈리아 남동부)의 군주가 되었다.
  • 삼세나타이가 아버지 파 응움의 뒤를 이어 란쌍 (현재 라오스)의 왕이 되었다.
  • 키프로스의 제임스 1세가 사촌인 레오 6세가 사망한 후 아르메니아 왕국의 왕위를 계승했다. 그러나 실질적인 통치자는 이집트맘루크 술탄국 정복자들이었다.
  • 명나라 기록에 따르면, 베이징 황궁의 여러 구성원을 위해 72만 장(2피트 x 3피트 크기)의 화장지가 생산되었으며, 황실 가족을 위해 1만 5천 장의 고급 화장지가 지정되었다.
  • 폴란드 왕과의 조약에도 불구하고, 몰다비아의 로만 1세는 피오도르 코리야토비치를 지지했다. 그는 전투에서 패배하여 이듬해 몰다비아의 왕위를 잃게 된다.
  • 시칸데르 샤 1세가 무하마드 샤 3세의 뒤를 이어 델리 술탄국의 술탄이 되었으나, 두 달 후 마흐무드 2세에게 왕위를 계승한다.
  • 콘라트 폰 융잉겐이 콘라트 폰 발렌로데의 뒤를 이어 독일 기사단장이 되었다.
  • 마엘루아나이흐 맥더모트가 에드 맥더모트의 뒤를 이어 아일랜드 중북부 마흐 루어그의 왕이 되었다.
  • 보스니아의 스테판 다비샤 왕이 헝가리의 지기스문트 왕과 평화를 맺는 댜코비체 조약에 서명했다.
  • 조조사(増上寺)가 창건되었다.
  • 제2 불가리아 제국이 오스만 제국에 멸망하였다.

4. 1. 유럽


  • 1월 28일 – 화려한 무도회: 프랑스 샤를 6세 궁정의 귀족 4명이 가면무도회에서 화재로 사망했다.[1]
  • 3월 23일보헤미아의 사제 네포무크의 요한이 프라하 찰스 다리에서 블타바 강으로 던져져 살해당했다. 이는 보헤미아의 왕 벤체슬라스 4세의 지시에 따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네포무크는 나중에 성인으로 시성된다.[2]

4. 2. 서아시아 및 아프리카


  • 페르시아 중앙부에서 샤 맘수르가 이끄는 무자파르 왕조티무르 왕조 점령자들에 맞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무자파르 귀족들은 처형되었고, 이로써 페르시아에서 무자파르 왕조는 멸망했다.
  • 압둘 아지즈 2세가 술탄 아부 알-아바스의 죽음 이후 현재 모로코에 있는 마리니드 왕조의 술탄이 되었다.[2]
  • 아부 타비드 2세가 아부 타슈핀 2세의 뒤를 이어 현재 알제리 동부의 압달와디드 왕조의 통치자가 되었다. 아부 타비드는 같은 해 그의 형제 아불 하즈자즈 1세에게 왕위를 계승한다.
  • 보스니아가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저항했다.
  • 오스만 제국의 투르크인들이 불가리아 제2차 제국의 수도인 투르노브그라드(현재 벨리코 트르노보)를 함락시켰다. 이반 시시만 황제는 동불가리아의 꼭두각시 통치자로 남을 수 있었다.
  • 비잔티움이 성장하는 오스만 제국테살리아를 잃었다.

5. 탄생


  • 2월 3일 - 헨리 퍼시, 노섬벌랜드 제2대 백작 (사망 1455년)[1]
  • 8월 24일 - 아르튀르 3세, 브르타뉴 공작 (사망 1458년)
  • 12월 - 마르가레트 부르고뉴 공녀, 프랑스 왕세자빈 (사망 1442년)
  • 월일 미상
  • * 권규
  • * 존 캡그레이브, 잉글랜드 신학자 (사망 1464년)
  • * 조반니 안토니오 델 발조 오르시니, 타란토 공작 (사망 1463년)
  • * 안나 모스크바 공녀, 비잔티움 황후 (사망 1417년)[2]
  • * 오스번 보케넘, 잉글랜드 아우구스티누스회 수사이자 시인
  • * 토마스 드 몰리, 몰리 제5대 남작
  • * 안드레아 벤드라민, 베네치아 총독 (사망 1478년)
  • * 알비세 로레단, 베네치아 제독이자 정치가 (사망 1466년)
  • * 의천현조, 무로마치 시대의 임제종 승려 (사망 1462년)
  • * 쿠가 키요미치,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사망 1453년)
  • * 다테 모치무네, 무로마치 시대의 수호 대명 (사망 1469년)

6. 사망


  • 윤호 - 조선의 판삼사사[3]
  • 윤소종 - 조선의 병조전서[3]
  • 이방우 - 조선의 진안군[3]
  • 보기슬라프 6세(Bogislaw VI) - 포메라니아 공작 (약 1350년 출생)[3]
  • 네포무크의 요한 - 보헤미아사제, 가톨릭 성인 (* 1340년?)
  • 고엔유 천황 - 일본 북조 제5대 천황 (1359년 출생)[3]
  • 콘라트 폰 발렌로데(Konrad von Wallenrode) - 튜턴 기사단 대장[3]
  • 알베르토 데스테(Alberto d'Este) - 페라라 및 모데나 영주 (1347년 출생)[3]
  • 존 드 로스 5세 남작(John de Ros, 5th Baron de Ros) (1365년 출생)[3]
  • 레오 5세(Leo V of Armenia) - 아르메니아 왕 (약 1342년 출생)[3]
  • 파 응움(Fa Ngum) - 란쌍 왕국 건국자 (1316년 출생)[3]
  • 키프로스의 발렌티나 비스콘티(Valentina Visconti) - 키프로스 여왕[3]
  • 바그라트 5세(Bagrat V of Georgia) - 조지아 왕[3]
  • 아부 엘 아바스 아흐마드 알 무스탄시르(Abu'l-Abbas Ahmad al-Mustansir) - 모로코 마리니드 왕조의 술탄[3]
  • 엘리자베트 폰 포메른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4세의 황후 (* 1347년)
  • 촉여 - 남북조 시대의 정토진종 승려 (* 1350년)
  • 프리드리히 - 바이에른 공 (* 1339년)
  • 샤 마수르 - 무자파르 왕조의 마지막 군주 (* 생년 미상)
  • 타하라 우지요시 - 남북조 시대의 무장 (* 생년 미상)
  • 남옥 - 명나라의 장군 (* 생년 미상)

참조

[1] 서적 A Power in the Land: The Percys https://books.google[...] Tuckwell Press
[2] 서적 Women in World History: A Biographical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Yorkin Publications
[3] 서적 Plantagenet Ancestry: A Study In Colonial And Medieval Families, 2nd Edition, 2011 https://books.google[...] Douglas Richardson
[4] 간행물 태조실록 (1413) http://sillok.histor[...] null
[5] 간행물 태조실록 (1413) http://sillok.histor[...]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