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베네딕토 1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베네딕토 13세는 1724년부터 1730년까지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이다. 이탈리아 귀족 출신으로 도미니코회 수사였던 그는 추기경을 거쳐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베네딕토 13세는 신앙적으로는 뛰어났으나 행정 능력은 부족했으며, 얀센파에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재위 기간 동안 스페인 계단을 완공하고 카메리노 대학교를 설립했으며, 여러 성인들을 시성했다. 그의 치세 동안 교황청 재정은 악화되었고, 외교적으로는 포르투갈 및 얀센주의와 갈등을 겪었다. 베네딕토 13세는 1730년 사망했으며, 현재 시복 절차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미니코회 출신 교황 - 교황 비오 5세
교황 비오 5세는 1566년부터 1572년까지 재위하며 교회 개혁을 추진하고, 트리엔트 공의회 결정을 시행하며, 반종교 개혁 운동을 펼치고, 레판토 해전을 지원한 인물이다. - 도미니코회 출신 교황 - 교황 베네딕토 11세
도미니코회 총장 출신으로 제194대 교황에 오른 베네딕토 11세는 짧은 재임 기간 동안 보니파시오 8세의 파문 철회, 프랑스와 잉글랜드 휴전 중재, 새 추기경 임명, 성경 주석 집필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사후 복자로 시복되었다. - 오르시니가 - 클라리체 오르시니
클라리체 오르시니는 1469년 로렌초 데 메디치와 정략 결혼하여 메디치 가문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종교적 신념으로 인문주의자들과 갈등을 겪었지만 남편과의 관계는 좋았고, 10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TV 드라마에도 등장한다. - 오르시니가 - 교황 니콜라오 3세
교황 니콜라오 3세는 1277년부터 1280년까지 재위했으며, 교황령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족벌주의를 통해 친척들을 고위 성직에 임명했으며, 프란치스코회를 지원하고 바티칸 궁전을 보수하다가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 18세기 교황 - 교황 클레멘스 13세
클레멘스 13세는 1693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1758년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예수회 옹호와 유럽 군주들의 교황 권위 약화, 예수회 추방 운동 등으로 어려움을 겪다 급사했다. - 18세기 교황 - 교황 인노첸시오 13세
교황 인노첸시오 13세는 1721년부터 1724년까지 재임한 244대 교황으로, 클레멘스 11세 시대에 추기경으로 임명되었으며, 포르투갈 교황 사절 시절 예수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을 받아 얀센파 반대, 중국 의례 논쟁 강경 입장 유지, 스페인 광장 스페인 계단 건설 지시 등의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교황 베네딕토 1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교황, 하느님의 종 |
존칭 접미사 | O.P. |
이름 | 베네딕토 13세 |
본명 | 피에트로 프란체스코 오르시니 |
출생일 | 1649년 2월 2일 |
출생지 | 이탈리아 왕국, 그라비나인푸글리아 |
사망일 | 1730년 2월 21일 |
사망지 | 로마, 교황령 |
문장 | C o a Benedictus XIII.svg |
교황 직위 | |
직함 | 로마 주교 |
재임 시작 | 1724년 5월 29일 |
재임 종료 | 1730년 2월 21일 |
선임자 | 인노첸시오 13세 |
후임자 | 클레멘스 12세 |
사제 서품 및 주교 서임 | |
사제 서품 | 1671년 2월 24일 |
서품자 | 클레멘스 10세 |
주교 서임 | 1675년 2월 3일 |
서임자 | 팔루초 팔루치 알티에리 데글리 알베르토니 추기경 |
추기경 | |
임명일 | 1672년 2월 22일 |
임명자 | 클레멘스 10세 |
이전 직책 | |
기타 | |
서임된 주교 | |
주교 1 | 티베리오 무스체톨라 |
서임일 1 | 1680년 5월 19일 |
주교 2 | 도메니코 디에스 데 아욱스 |
서임일 2 | 1689년 11월 13일 |
주교 3 | 파브리치오 치안치 |
서임일 3 | 1689년 11월 30일 |
주교 4 | 마르첼로 카발리에리 |
서임일 4 | 1690년 1월 15일 |
주교 5 | 주세페 로사 |
서임일 5 | 1690년 1월 22일 |
주교 6 | 주세페 폰치 |
서임일 6 | 1690년 1월 22일 |
주교 7 | 피에트로 베키아 |
서임일 7 | 1690년 3월 12일 |
주교 8 | 베네딕토 14세 |
서임일 8 | 1724년 7월 16일 |
2. 생애
베네딕토 13세는 신앙적으로는 뛰어났으나 행정과 외교 면에서는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얀센파에 대해서는 강경한 태도를 취했으며, 수도회 발전을 촉진시키고 1725년 로마 지방 공의회를 개최하였다. 사르데냐 왕국의 사보이아 왕가와는 친선 관계를 회복하였으나, 포르투갈 왕국과는 관계가 좋지 않았다.
2. 1. 초기 생애
1649년 2월 2일 이탈리아 그라비나인푸그리아에서 그라비나 공작의 아들이자 상속자로 태어났다. 가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상속권을 포기하고 도미니코회에 입회하여 수사가 되었다. 나폴리, 볼로냐, 베네치아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하고 브레시아에서 교수가 되었다. 1672년 2월 22일, 가족의 영향으로 교황 클레멘스 10세에 의해 산 시스토의 추기경-사제로 임명되었다.[3] 만프레도니아 주교, 체세나 주교, 베네벤토 대주교를 역임했다. 1688년 산니오 지진과 1702년 지진 이후 피해자들을 위한 구호 활동을 조직했다.[3] 그는 지역 신비주의자 신의 세라피나의 가까운 친구였다.2. 2. 교황 선출
1724년 교황 인노첸시오 13세가 사망하자 후임 교황을 선출하기 위한 콘클라베가 소집되었다. 추기경단에는 4개의 파벌이 있었고, 명확한 후보는 없었다. 콘클라베에서 오르시니는 교황 유력자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 오르시니는 검소하고 청빈한 삶을 살았으며 목자로서 존경받았기 때문에 선출이 제안되었다. 그의 정치적 전문성 부족은 그가 중립적이고 유연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4]오르시니는 최종 투표 전에 자신이 그 자격이 없다며 선출을 거부했다. 결국 그는 설교자 수도회의 수도원장인 아구스틴 피피아의 설득에 동의하여 1724년 5월 29일 교황으로 선출되었다.[3] 그는 또한 도미니코회 출신이었기에 교황 베네딕토 11세를 기리기 위해 "베네딕토 13세"라는 이름을 선택했다.
1724년 6월 4일, 그는 추기경 수석 부제인 베네데토 팜필리에 의해 대관식을 거행했다.
3. 교황 재위 기간
1724년 2개월간 지속된 콘클라베에서 교황으로 선출되어 베네딕토 13세로 명명되었다.[5] 신앙적으로는 뛰어났으나 행정과 외교 면에서는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5] 얀센주의에 대해서는 강경한 태도를 취하였다.[10] 수도회의 발전을 촉진시키고 1725년에는 로마 지방 공의회를 개최하였다.[5] 사르데냐 왕국의 사보이아 왕가와는 친선 관계를 회복하였으나 포르투갈 왕국과는 관계가 좋지 않았다.[10]
3. 1. 주요 활동
베네딕토 13세는 수도원 생활을 유지하며 이탈리아 사제단과 추기경의 타락한 생활 방식을 근절하려 했다. 또한 로마와 교황령의 복권을 폐지했다.[5] 1727년에는 스페인 계단[4]을 완공하고, 카메리노 대학교를 설립했다. 1728년에는 파비아에서 발생한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유물에 관한 논쟁을 해결하고, 1695년 산 피에트로 인 시엘 도로 대성당에서 발견된 유골의 진위성을 확인했다.[6]3. 2. 외교 관계
베네딕토 13세는 사르데냐 왕국의 사보이아 왕가와는 친선 관계를 회복하였으나 포르투갈 왕국과는 관계가 좋지 않았다. 얀센주의자들과 프랑스에서 갈등을 겪었다.[10]3. 3. 행정 및 평가
베네딕토 13세는 신앙적으로는 뛰어났으나 행정과 외교 면에서는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5] 세속적인 일에 별 관심이 없었던 그는 수도원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탈리아 사제단과 추기경의 타락한 생활 방식을 근절하려 했으며, 로마와 교황령의 복권을 폐지했다.[5] 금욕과 종교적 축제를 무엇보다 좋아했던 그는 여러 병원을 지었지만, 교황 베네딕토 14세가 된 프로스페로 람베르티니 추기경은 "통치에 대한 개념이 전혀 없었다"고 평가했다.[5]교황령의 행정은 사실상 니콜로 코시아 추기경이 담당했는데, 그는 교황청 재정을 파탄시키는 등 여러 문제를 야기했다.[4] 코시아와 그의 측근들은 베네딕토 13세를 다른 고문들로부터 고립시켰다.[4] 몽테스키외는 "로마의 모든 돈은 베네벤토로 흘러 들어갔고... 베네벤토 사람들이 [베네딕토 13세]의 무능함을 이용했다."라고 언급했다.[7]
외교 관계에서 그는 포르투갈의 주앙 5세와 얀센주의자들, 그리고 프랑스와 갈등을 겪었다.
3. 4. 시복 및 시성
베네딕토 13세는 다수의 성인들을 시성하고 시복하였다.[8]1724년 6월 4일, 베네딕토 13세는 이전에 기념된 성인들에 대한 시성 교서를 발표했다.
성인 | 소속 | 시성 교서 발표 |
---|---|---|
농부 성 이시도르 | 그레고리오 15세 - 1621년 3월 12일 | |
안드레아 코르시니 | 가르멜회원 | 우르바노 8세 - 1629년 4월 22일 |
필리포 베니치 | 세르비테회원 | 클레멘스 10세 - 1671년 4월 12일 |
프란치스코 보르자 | 예수회원 | 클레멘스 10세 - 1671년 4월 12일 |
로렌초 주스티니아니 | 알렉산데르 8세 - 1690년 10월 16일 | |
카피스트라노의 요한 | 알렉산데르 8세 - 1690년 10월 16일 | |
볼로냐의 카타리나 | 가난한 클라라 수녀 | 클레멘스 11세 - 1712년 5월 22일 |
칸탈리체의 펠릭스 | 카푸친회원 | 클레멘스 11세 - 1712년 5월 22일 |
베네딕토 13세가 시복한 사람들은 다음과 같다.
- 펠트레의 베르나르디노 (1728년)
- 피에르 푸리에 (1730년 1월 20일)
- 마리스코티의 히아친타 (1726년 9월 1일)
- 지그마링겐의 피델리스 (1729년 3월 24일)
- 빈첸시오 드 폴 (1729년 8월 13일)
- 후안 데 프라도 (1728년 5월 24일)
등가 시성 과정을 통해 베네딕토 13세는 다음 인물들을 시성했다.
- 교황 그레고리오 7세 (1728년 5월 24일)
- 몬테풀치아노의 아녜스 (1726년)
- 알로이시오 곤자가[9] (1726년 12월 31일)
- 스타니슬라우스 코스트카[9] (1726년 12월 31일)
- 보리스와 글레브 형제 (1724년)
- 프란치스코 솔라노 (1726년 3월 27일)
- 마르케의 야고보와 모그로베호의 투리비우스 (1726년 12월 10일)
- 네포무크의 요한 (1729년 3월 19일)
- 십자가의 요한과 라지오시의 페레그린 (1726년 12월 27일)
- 코르토나의 마르가레타 (1728년 5월 16일)
- 알제리의 세라피온 (1728년 4월 14일)
1729년 2월 19일, 교황은 크리소스토무스를 교회 학자로 선포했다.
3. 5. 주교 서품과 계보
베네딕토 13세는 스키피오 레비바의 계보를 따랐으며, 독일, 프랑스, 영국, 그리고 신대륙의 주교들을 포함한 다양한 유럽의 주요 교구들을 위해 최소 139명의 주교를 직접 서임했다.[10] 이 주교들은 다시 각자 자신의 국가를 위해 주교를 서임했고, 이로 인해 다른 주교 계보들은 사라졌다. 그 결과, 오늘날 주교의 90% 이상이 그를 통해 레비바 추기경에게로 이어지는 주교 계보를 가지고 있다.[10] 대한민국 가톨릭 교회의 주교들도 대부분 베네딕토 13세의 주교 계보를 따르고 있다.4. 사망과 유산
베네딕토 13세는 마르코 안토니오 안시데이 추기경의 장례식을 집전하던 중 카타르에 갑자기 걸려 1730년 2월 21일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 그의 죽음은 다음 날 백성들에게 공표되었다.
교황은 중간 키였고, 온화한 얼굴에 매부리코를 가졌으며 넓은 이마를 가졌다. 부검 결과 그의 심장이 매우 컸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의 장례식은 바티칸에서 거행되었으며, 이후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으로 옮겨져 피에트로 브라치와 다른 사람들이 완성한 무덤에 묻혔다.[12]
1730년 교황 선거에서 교황 클레멘스 12세가 교황으로 선출된 후 클레멘스는 즉시 베네딕토 13세의 부패한 대리인인 코시아 추기경을 파문했다. 코시아는 로마를 탈출하여 처벌을 피했지만, 나중에 복권되어 1730년 교황 선거와 1740년 교황 선거에 참여했다.
교황 베네딕토 14세는 나중에 베네딕토 13세에 대해 "우리는 마부와 길을 다투기보다 마차를 뒤로 뺀 교황을 존경하며 사랑합니다."라고 말했다.[12] 그 자리에서 베네딕토 13세는 마부에게 Non ci far impicci|싸움에 휘말리지 마시오.it라고 외쳤다. 반면에, 베네딕토 13세의 죽음에 대한 이 익명의 풍자적인 논평이 파스키노에 게시되었다.
:"이 무덤은
:작은 수도자의 유해를 안치하고 있다.
:성자 이상의 연인,
:강도의 보호자."
그의 시복 절차는 교황 베네딕토 14세 치세인 1755년 토르토나에서 시작되었지만, 전혀 진척되지 못하고 중단되었다. 1931년 2월 21일에도 토르토나에서 이 절차가 재개되었으나[12], 고인이 된 교황의 국무원장 추기경인 니콜로 코시아의 도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1940년에 종결되었다.
이 절차는 2004년 1월 17일에 다시 시작되었다. 공식적인 교구 절차는 2012년 초 로마에서 시작되었고, 그 절차의 공식 개시식은 라테라노 대성전에서 아고스티노 발리니의 주례로 거행되었다. 시복 절차에 대한 교구 단계는 2017년 2월 24일 발리니가 조사를 마무리하는 미사를 집전하면서 라테라노 대성전에서 종료되었다.[13] 현재 그는 사후에 하느님의 종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현재 이 절차의 후원자는 도미니코회 사제 프란체스코 마리아 리치이다.[14]
참조
[1]
위키소스
Wikisource:Catholic Encyclopedia (1913)/Pope Benedict XIII
[2]
문서
Pope Benedict X is now considered an antipope
[3]
웹사이트
"Inquiry for the Process of Canonisation of the Dominican Pope Benedict XIII", Order of Preachers, February 24, 2017
http://www.op.org/en[...]
2017-06-23
[4]
웹사이트
Kunst, Richard. "Pope Benedict XIII", Papal Artifacts
http://www.papalarti[...]
2017-06-23
[5]
서적
Rendina
[6]
서적
Augustine's Bones: A Microhistory
2002
[7]
서적
Rendina
[8]
웹사이트
Bullarium Romanum. Vol 22. Benedict XIII (1724-1730). Taurini Ed, 1871. Respective Bulls on pages 1-44
https://archive.org/[...]
[9]
서적
Leto svetnikov IV ''Stanislav Kostka, vzornik mladine''
[10]
웹사이트
Apostolic Succession in the Roman Catholic Church
http://mysite.verizo[...]
[11]
웹사이트
Les colleges ecclesiastiques de Rome
http://www.liberius.[...]
2014-05-26
[12]
서적
Index ac status causarum beatificationis servorum dei et canonizationis beatorum
Typis polyglottis vaticanis
1953-01
[13]
웹사이트
Papa Orsini verso gli altari. Chiusa la fase diocesana della causa di Benedetto XIII
http://www.farodirom[...]
Faro di Roma
2017-02-23
[14]
웹사이트
ORSINI, O.P., Vincenzo Maria
http://www2.fiu.edu/[...]
2014-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