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기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기누는 몽골 투메드씨 출신으로 나라씨로 성을 바꾼 여진족 인물이다. 칭기야누와 함께 여허버일러가 되었으며, 명나라 사람들에게 '이노'로 불렸다. 하다의 왕타이에게 귀순하여 세력을 키웠고, 왕타이의 딸과 혼인하며 관계를 더욱 강화했다. 조부 살해에 대한 복수를 계획하고, 왕타이 사후 세력을 확장하여 멍거불루를 공격하고 명나라 변방을 침략했다. 만력 12년(1584) 이성량의 계략에 빠져 시장 장벽에서 칭기야누, 바이후치 등과 함께 사망했다. 사후 아들 나림불루가 버일러직을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허나라 할라 - 서태후
    서태후는 함풍제의 후궁으로 동치제를 낳았으며, 수렴청정을 통해 청나라 말기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양무 운동 추진 및 의화단 지원 등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보였다.
  • 여허나라 할라 - 예허나라 완전
    예허나라 완전은 청나라 말기의 인물로, 순현친왕 혁현의 부인이자 광서제의 생모이며, 서태후의 동생으로서 황실과의 복잡한 인척 관계를 통해 가문의 권력 확대에 기여하다가 1896년에 사망했다.
  • 1584년 사망 - 이반 4세
    이반 4세는 1547년부터 1584년까지 러시아를 통치한 최초의 차르로, 초기 개혁과 영토 확장에도 불구하고 오프리치니나 시행과 리보니아 전쟁 실패로 혼란과 쇠퇴를 초래했으며, 잔혹함과 권력욕으로 악명 높지만 중앙집권화와 영토 확장에 기여한 복잡적인 인물이다.
  • 1584년 사망 - 빌럼 1세 판 오라녜
    빌럼 1세 판 오라녜는 16세기 네덜란드 독립을 이끈 지도자로서 오라녜 공작으로서 독립 전쟁을 이끌었으며, 정치적 수완과 군사적 전략으로 네덜란드 공화국 건립의 토대를 마련하고 종교적 관용을 옹호하여 네덜란드의 국부로 추앙받는다.
  • 여진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여진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양기누
기본 정보
양기누 장군
양기누 장군
이름양기누
로마자 표기Yangginu
생애
출생1565년경
사망1619년
활동 시기16세기 후반 ~ 17세기 초반
군사 경력
소속후금
최종 계급1등총병관
주요 전투살이후 전투
가족 관계
아버지니칸 와일란
형제기양가
아들아민

2. 생애

양기누는 몽골 투메드씨(土默特氏)의 후손으로, 후에 나라씨(納喇氏)로 성을 바꿨다. 여허(葉赫)부락의 지도자(버일러)였던 양기누는 형 칭기야누와 함께 여허를 다스렸다.[2] 명나라 사람들은 이들 형제를 '이노(二奴, 두 종)'라고 낮춰 불렀다.[3]

양기누는 하다왕타이(王台)에게 여동생을 시집보내고, 후에 왕타이의 딸과 결혼하는 등 하다와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세력을 키웠다.[1] 한때 건주여진(建州女眞)의 왕고(王杲)와 연합하여 명나라 변경을 공격하기도 했으나, 명나라가 왕고를 토벌할 때는 왕타이의 비호 아래 있었다.[1]

양기누 형제는 할아버지 추쿵거(淸國柱)가 왕지 와일란(旺濟外蘭)에게 살해당한 것에 대한 복수를 꿈꿨다.[4] 왕타이 사후 하다의 세력이 약해지자, 양기누는 다른 부족과 연합하여 하다를 공격하고 세력을 확장했다.[5]

1584년, 명나라 요동순무 이송과 요동총병 이성량은 양기누 형제를 제거하기 위한 계략을 세웠다.[6] 이들은 명나라 황제의 포상을 미끼로 양기누 형제를 시장 장벽 안으로 유인한 후, 매복해 있던 병사들을 시켜 공격했다.[7] 이 공격으로 양기누는 형 칭기야누, 그리고 자신의 아들 할하마 등과 함께 살해당했다.[9] 이 사건을 '시권계(市圈計)'라고 부른다.[10]

양기누 사후, 그의 아들 나림불루가 형 칭기야누의 아들 부자이와 함께 버일러직을 계승했다.

2. 1. 가계

양기누의 선조는 몽골 투메드씨(土默特氏)이며, 후에 나라씨(納喇氏)로 성을 바꿨다.[2] 칭기야누와 양기누 형제 대에 이르러, 나라씨는 인근 부락을 합병하거나 안무하였으며, 험한 지세를 이용하여 서로 몇 리(里) 떨어진 두 성을 쌓았다. 칭기야누는 서성(西城)에 거주하였고 양기누는 동성(東城)에 거주하였으며, 두 사람은 공동으로 여허버일러(葉赫貝勒)가 되었다. 사람들은 이들을 '이노(二奴, 칭기야누와 양기누 두 사람, 혹은 두 노예)'라고 비꼬아 불렀다.[3]

2. 2. 왕타이에의 귀순

하다왕타이(王台) 세력이 강성할 때 양기누 형제는 왕타이를 받들었고, 여동생 온저(溫姐)를 왕타이에게 시집보냈다.[1] 왕타이라는 의지처를 얻은 양기누 형제는 세력을 빌려 자신의 세력을 만들었고, 여러 차례 건주여진(建州女眞) 호족 왕고(王杲)와 연합하여 명나라 변경을 공격하기도 했다.[1] 명나라가 왕고를 토벌하였으나 형제는 왕고를 거들떠보지도 않았고, 왕타이의 비호만을 받았다.[1] 이후 왕타이는 자신의 딸을 양기누에게 시집보냈다.[1]

2. 3. 할아버지를 위한 보복

양기누 형제는 할아버지 추쿵거(淸國柱)가 왕지 와일란(旺濟外蘭) 혹은 왕충(王忠)에게 살해당한 것에 대한 복수를 항상 꿈꿨다.[4] 왕타이 말년에 하다의 세력이 약해지자, 양기누는 하툰(哈屯) 수령 황홀태(恍惚太)와 연합하여 옛 땅 지러(季勒) 등을 회복하였다. 왕타이의 장남 후르간(扈爾干)의 부하 바이후치(白虎赤) 등이 하다를 배반하고 여허에 귀순하면서 여허의 세력은 강성해졌고, 왕타이는 분노하다 사망하였다.

1583년 양기누 형제는 배반한 장수 바이후치를 거느리고 1만여 기병을 이끌고 왕타이의 아들 멍거불루(孟格布祿)를 습격하여 300명을 죽이고 갑옷 150벌을 노획하였다. 또한 멍거불루 소속 가옥들을 불태우고 명나라 조정에 철군을 제의받았으나, 양기누 형제는 반대하며 하다를 합병하겠다는 뜻을 유지하였다.[5] 이후 멍거불루와 그 형이 분배한 장원 10곳, 왕타이의 손자 다이샨(岱善) 소속 장원 1곳을 불태웠다. 황홀태의 2천 기병으로 광순관(廣順關)에서 사대고채(沙大高寨)를 공격하여 포로 300명을 붙잡고, 명나라가 교부한 조공 칙서를 획득하였다.

2. 4. 시장 장벽에서의 사망

만력 12년(1584년), 요동순무(遼東巡撫) 이송과 요동총병(遼東總兵) 이성량은 양기누 형제를 제거할 계획을 세웠다.[6] 이성량은 양기누 형제를 시권(市圈, 시장 장벽)으로 불렀다.[7] 명나라 황제가 칙서를 내려 포상한다는 거짓말로 유인하고, 실제로는 복병을 매복시켰다. 양기누 형제는 계략임을 모르고 300여 기를 이끌고 장벽 안으로 들어갔다. 이성량이 명령을 내려 시장 장벽 문을 닫고 포를 쏘아 신호를 보내자, 매복해 있던 병사들이 나와 칼을 휘둘렀다.[8] 칭기야누, 양기누, 바이후치, 칭기야누의 아들 오손불루(兀孫孛羅), 양기누의 아들 할하마(哈兒哈麻)와 부하 311명이 몰살당했다.[9] 후세 사람들은 이를 '시권계(市圈計)'라고 불렀다.[10]

양기누 형제 사후, 칭기야누의 아들 부자이와 양기누의 아들 나림불루가 버일러직을 계승했다.

3. 참고문헌


  • 조이손(趙爾巽) 등, 청사고(淸史稿) 「열전(列傳)10」[1]
  • 『엽혁국패륵가승(여허국버일러가승)(葉赫國貝勒家乘)』(淸抄本)
  • 염숭년(閻崇年), 『누르하치전(努爾哈赤傳)』, 『명망청흥60년(明亡淸興六十年)』

참조

[1] 서적 만주실록(滿洲實錄) 中華書局 1986
[2] 간행물 청사고(淸史稿)
[3] 간행물 청사고(淸史稿)
[4] 간행물 청사고(淸史稿)
[5] 간행물 청사고(淸史稿)
[6] 간행물 청사고(淸史稿)
[7] 간행물 청사고(淸史稿)
[8] 서적 努尔哈赤传 北京出版社 2006-05
[9] 간행물 청사고(淸史稿)
[10] 서적 明亡清兴六十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