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미음 탈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미음 탈락은 단어의 끝 음절이나 소리가 탈락하는 현상으로, 그리스어 'ἀποκοπή'에서 유래했다. 역사 언어학에서 무강세 모음의 소실을 의미하며, 속 라틴어에서 스페인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등으로의 변화에서 나타난다. 영어, 마오리어 남부 방언, 갈로-이탈리아어군에서도 유사한 현상을 보인다. 일부 언어에서는 문법 규칙으로 내면화되어, 스페인어와 이탈리아어에서 형용사가 명사 앞에 올 때 특정 형태의 어미음 탈락이 일어난다. 에스토니아어와 사미어에서는 격 표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시적 허용이나 구어체에서도 나타난다.

2. 어원

''어미음 탈락''은 그리스어 아포코페/ἀποκοπήgrc(아포코페/apokopḗgrc, 잘라내다)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아포코프테인/ἀποκόπτεινgrc (아포코프테인/apokópteingrc, 잘라내다)에서 비롯되었다.

3. 역사적 음운 변화

역사 언어학에서, '''어미음 탈락'''은 종종 무강세 모음의 소실을 의미한다.

; 무강세 모음 (또는 모음과 비음)의 탈락

속 라틴어 *panem* > 스페인어 *pan* (빵), 속 라틴어 *lupum* > 프랑스어 *loup* (늑대), 라틴어 *mare* > 포르투갈어 *mar* (바다)와 같이 어미의 모음이 탈락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원시 게르만어 \**landą* > 고대 영어, 중세 영어, 현대 영어 *land* (땅), 고대 영어 *lufu* > 현대 영어 *love* (명사), 고대 영어 *lufian* > 현대 영어 *love* (동사) 에서도 이와 같은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최종 비강세 모음의 탈락은 표준 마오리어와 비교했을 때 마오리어 남부 방언의 특징인데, *kainga* (마을) > 남부 마오리어 *kaik*가 그 예시이다. 갈로-이탈리아어군에서도 유사한 특징이 나타난다.

; 기타 소리의 탈락

비-R 발음을 사용하는 영어 억양(예: 영국의 표준 발음)에서는 음절의 마지막 'r' 소리를 억제한다(단, 모음이 뒤따르는 경우는 제외). 대부분의 억양에서 억제된 'r' 소리는 앞선 모음을 길게 늘리거나 수정한다. 프랑스어 발음은 대부분 단어의 마지막 자음을 억제하지만, 다음 단어가 모음이나 무기음 'h'로 시작하는 경우 문장에서 연음으로 발음된다. 라틴어 *illud*가 스페인어 *ello*(그것)로 변한 예도 존재한다.

3. 1. 무강세 모음 (또는 모음과 비음)의 탈락

속 라틴어 *panem* > 스페인어 *pan* (빵), 속 라틴어 *lupum* > 프랑스어 *loup* (늑대), 라틴어 *mare* > 포르투갈어 *mar* (바다)와 같이 어미의 모음이 탈락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원시 게르만어 \**landą* > 고대 영어, 중세 영어, 현대 영어 *land* (땅), 고대 영어 *lufu* > 현대 영어 *love* (명사), 고대 영어 *lufian* > 현대 영어 *love* (동사) 에서도 이와 같은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최종 비강세 모음의 탈락은 표준 마오리어와 비교했을 때 마오리어 남부 방언의 특징인데, *kainga* (마을) > 남부 마오리어 *kaik*가 그 예시이다. 갈로-이탈리아어군에서도 유사한 특징이 나타난다.

3. 2. 기타 소리의 탈락

비-R 발음을 사용하는 영어 억양(예: 영국의 표준 발음)에서는 음절의 마지막 'r' 소리를 억제한다(단, 모음이 뒤따르는 경우는 제외). 대부분의 억양에서 억제된 'r' 소리는 앞선 모음을 길게 늘리거나 수정한다. 프랑스어 발음은 대부분 단어의 마지막 자음을 억제하지만, 다음 단어가 모음이나 무기음 'h'로 시작하는 경우 문장에서 연음으로 발음된다. 라틴어 *illud*가 스페인어 *ello*(그것)로 변한 উদাহরণ도 존재한다.

4. 문법 규칙

일부 언어는 필수적인 형태로 내면화된 어미음 탈락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인어이탈리아어에서는 일부 형용사명사 앞에 오면 (주로) 남성 단수 형태로 명사 앞에 올 경우 마지막 모음이나 음절이 탈락한다. 스페인어에서는 일부 부사와 기수 및 서수도 어미음 탈락을 겪는다.


  • '''형용사'''
  • grandees ("크다, 위대하다") → granes → gran mujeres (여성) ("위대한 여성". 그러나 형용사가 명사 뒤에 오는 경우 마지막 음절은 유지되지만 의미가 변경될 수도 있다: mujer grandees, "큰 여성"을 의미)
  • buenoes ("좋은") → buenes → buen hombrees (남성) ("좋은 남자"; 마지막 모음은 hombre buenoes에서 유지되며 의미의 변화는 없다)
  • '''부사'''
  • tantoes ("아주 많이") → tanes ("그렇게") → tan hermosoes ("아름답다")
  • '''기수'''
  • unoes ("하나, 한") → unes → un niñoes ("어린이")
  • cientoes ("백") → cienes → Cien años de soledades ("백년의 고독")
  • '''서수'''
  • primeroes ("첫 번째") → primeres → primer premioes ("첫 번째 상")
  • segundoes ("두 번째, ~에 따르면") → segundes ("~에 따르면") → segúnes → El evangelio segúnes ("~에 따른 복음")
  • terceroes ("세 번째") → terceres → tercer lugares ("세 번째 장소")
  • postreroes ("최후의") → postreres → postrer díaes ("최후의 날")

몇몇 언어는 어미음 탈락을 강제적인 형태로 내재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인어에서는 명사 앞에 오는 형용사의 대부분이 남성 단수 명사 앞에 놓일 때 마지막 모음이 탈락한다. 예를 들어 "grande(크다)"는 "gran"이 된다(grand'''e''' aventura(대모험) > gran aventura).

4. 1. 스페인어와 이탈리아어

스페인어이탈리아어에서는 일부 형용사가 (주로) 남성 단수 형태의 명사 앞에 올 경우 마지막 모음이나 음절이 탈락한다. 스페인어에서는 일부 부사와 기수 및 서수도 어미음 탈락을 겪는다.

  • '''형용사'''
  • grandees ("크다, 위대하다") → granes → gran mujeres (여성) ("위대한 여성". 그러나 형용사가 명사 뒤에 오는 경우 마지막 음절은 유지되지만 의미가 변경될 수도 있다: mujer grandees, "큰 여성"을 의미)
  • buenoes ("좋은") → buenes → buen hombrees (남성) ("좋은 남자"; 마지막 모음은 hombre buenoes에서 유지되며 의미의 변화는 없다)
  • '''부사'''
  • tantoes ("아주 많이") → tanes ("그렇게") → tan hermosoes ("아름답다")
  • '''기수'''
  • unoes ("하나, 한") → unes → un niñoes ("어린이")
  • cientoes ("백") → cienes → Cien años de soledades ("백년의 고독")
  • '''서수'''
  • primeroes ("첫 번째") → primeres → primer premioes ("첫 번째 상")
  • segundoes ("두 번째, ~에 따르면") → segundes ("~에 따르면") → segúnes → El evangelio segúnes ("~에 따른 복음")
  • terceroes ("세 번째") → terceres → tercer lugares ("세 번째 장소")
  • postreroes ("최후의") → postreres → postrer díaes ("최후의 날")

5. 격 표지

에스토니아어와 사미어에서 어미음 탈락은 문법 격의 형태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주격은 최종 모음의 어미음 탈락을 갖는다고 설명되지만, 속격은 그렇지 않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속격 표지 역시 어미음 탈락을 겪어 왔다. 에스토니아어 linn/linnet("도시")과 linna/linnaet("도시의")는 각각 linna/linnaet와 linnan/linnanet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해당하는 핀란드어 단어에서도 여전히 확인할 수 있다.

속격 형태에서 최종 은 삭제되는 동안 의 탈락을 막았다. 구어 핀란드어에서는 격 어미에서 최종 모음이 때때로 생략된다.

6. 시적 허용

시에서는 운율이나 음보를 맞추기 위해 어미음 탈락이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독일어에서는 'ich gebe(나는 준다)'가 'ich geb'와 같이 표현되기도 한다.

7. 구어체

구어체에서는 단어를 간략하게 줄이는 과정에서 어미음 탈락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언어학적으로 "절단(truncation)"이라고 불리는 과정에 포함된다.


  • 영어 photo'''graph''' > photo(사진)
  • 프랑스어 réac'''tionnaire''' > réac(반동적인)
  • 영어 animation > 일본어 애니'''메이션''' > 애니
  • 영어 sync'''hronization''' > sync(동조)
  • 영어 Alex'''ander''' > Alex


영어의 유사한 어미음 탈락에 대해서는 List of English apocopations을 참조하라.

8. 한국어의 어미음 탈락

9. 참고: 절단

언어학적으로 구어체 등에서 나타나는 어미음 탈락은 "절단 (truncation)"이라는 과정에 포함된다.

영어의 경우, 'photo'''graph''' > photo(사진)', 'sync'''hronization''' > sync(동조)', 'Alex'''ander''' > Alex'와 같이 어미음 탈락 현상이 나타난다. 프랑스어에서는 'réac'''tionnaire''' > réac(반동적인)'와 같은 예를 볼 수 있다. 일본어에서는 'animation > 일본어 애니'''메이션''' > 애니'와 같이 영어에서 유래한 단어의 어미음이 탈락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영어의 어미음 탈락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List of English apocopation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Glossary of Historical Linguistics Edinburgh University Press
[2] 서적 Glossary of Historical Linguistics https://archive.org/[...] Edinburgh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