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아미수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아미수앙은 굴과 가는 밀국수를 넣어 만든 음식으로, 민난어에서 굴을 뜻하는 "어아"와 밀국수를 뜻하는 "미수앙"의 합성어이다. 굴은 녹말을 묻혀 데친 후 사용하며, 밑국물은 마른 오징어, 가쓰오부시 등으로 내거나 닭육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간장, 굴소스, 설탕 등으로 간을 맞춘 후, 삶은 미수앙과 녹말물을 넣어 걸쭉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데친 굴을 넣고 고추기름장, 마늘기름장, 흑식초, 고수 등을 곁들여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굴 요리 - 굴국밥
굴국밥은 멸치 육수에 굴, 두부 등을 넣고 끓여 시원하고 깊은 맛을 내는 국밥이다. - 굴 요리 - 굴소스
굴소스는 중국 광둥 지역에서 유래되어 굴을 주재료로 만든 농축 소스로, 리진상에 의해 개발된 이후 다양한 요리에 감칠맛을 더하는 데 사용되며 여러 종류가 있다. - 대만 요리 - 팥죽
팥죽은 팥을 주재료로 하여 붉은색이 악귀를 물리친다는 믿음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동지에 먹는 한국의 전통 음식이다. - 대만 요리 - 땅콩 수프
땅콩 수프는 땅콩을 주재료로 하여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조리되며, "은카텐콴"이라고 불리는 아칸식 수프를 포함해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변형으로 즐겨 먹는 음식이다. - 국물국수 - 칼국수
칼국수는 밀가루 반죽을 칼로 썰어 만든 면을 사용하여 만든 한국의 국수 요리로, 조선시대에는 고급 음식이었으나 한국전쟁 이후 대중화되었으며, 멸치, 바지락, 닭 등으로 우려낸 육수에 채소를 넣어 끓여 먹고, 지역과 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우동과의 기원 논쟁이 있기도 하다. - 국물국수 - 밀면
밀면은 밀가루와 녹말로 만든 면에 새콤달콤한 양념을 사용하는 부산 향토 음식으로, 한국 전쟁 피난민, 함흥 출신 모녀, 진주 밀국수 냉면 등 다양한 기원설이 있지만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며, 평양냉면과 달리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고 제주도에서도 맛볼 수 있으나 부산 밀면과는 차이가 있다.
| 어아미수앙 - [음식]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굴 국수 |
| 다른 이름 | 蚵仔麵線 (어쯔몐셴) |
| 종류 | 국물국수 |
| 코스 | 주식, 간식 |
| 국가 | 대만 |
| 제공 온도 | 뜨겁게 |
| 주 재료 | 굴, 미수앙, 밀가루 |
| 비슷한 음식 | 대장면선 |
| 한국어 표기 | |
| 로마자 표기 | eo-a mi-su-ang |
| 한자 표기 | 蚵仔麵線 |
| 병음 | ézǐ miànxiàn |
| 민난어 | ô-á mī-sòaⁿ tōa-tn̂g mī-sòaⁿ (대장면선) |
2. 명칭
민난어 "어아(ô-á|오아nan, 蚵仔|해자중국어)"는 "굴"을 뜻하며, 민난어 "미수앙(mī-sòaⁿ|미선nan, 麵線|면선중국어)"은 가는 밀국수를 가리키는 말이다.
굴은 녹말을 묻혀 끓는 물에 데친 후 찬물에 담가 둔다. 감자 녹말, 고구마 녹말, 카사바 녹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밑국물은 마른 오징어, 가쓰오부시 등으로 내거나 닭육수를 쓰기도 하며, 닭가루도 흔히 사용된다. 노추간장, 굴소스, 설탕, 소금 등으로 간을 맞추고 색을 낸다. 삶은 미수앙을 넣고 녹말물을 풀어 걸쭉하게 만든 후, 데친 굴과 유라자오(고추기름장), 마늘기름장, 흑식초, 고수 등을 얹어 먹는다.[1]
"미수앙"은 표준 중국어 발음인 "몐셴"으로도 부를 수 있으나, "어아"는 중국어 낱말이 아니라 표준 중국어 발음인 "커쯔"가 아닌 민난어 발음을 빌려온 "어쯔"로 읽는다. 중국어로 굴은 "무리"라 부른다.
3. 조리법
3. 1. 재료 준비
굴은 녹말을 묻힌 다음 끓는 물에 데쳐서 찬물에 담가 둔다. 감자 녹말, 고구마 녹말, 카사바 녹말 등을 쓸 수 있다.
밑국물은 마른 오징어, 가쓰오부시 등으로 내며 닭육수를 쓰기도 한다. 닭가루도 흔히 쓰인다. 노추간장, 굴소스, 설탕, 소금 등을 넣어 간을 맞추고 색깔을 낸다. 삶은 미수앙을 넣고 녹말물을 풀어 걸쭉하게 한다.
3. 2. 육수 만들기
밑국물은 마른 오징어, 가쓰오부시 등으로 내며 닭육수를 쓰기도 한다. 닭가루도 흔히 쓰인다. 노추간장, 굴소스, 설탕, 소금 등을 넣어 간을 맞추고 색깔을 내며, 삶은 미수앙을 넣고 녹말물을 풀어 걸쭉하게 한다.
3. 3. 면 삶기 및 완성
굴은 녹말을 묻힌 다음 끓는 물에 데쳐서 찬물에 담가 놨다 쓴다. 감자 녹말, 고구마 녹말, 카사바 녹말 등을 쓸 수 있다.
밑국물은 마른 오징어, 가쓰오부시 등으로 내며 닭육수를 쓰기도 한다. 닭가루도 흔히 쓰인다. 노추간장, 굴소스, 설탕, 소금 등을 넣어 간을 맞추고 색깔을 내며, 삶은 미수앙을 넣고 녹말물을 풀어 걸쭉하게 한다.
국수에 데쳐둔 굴을 넣고, 유라자오(고추기름장), 마늘기름장, 흑식초, 고수 등을 얹어 먹는다.[1]
4.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Ukuko Oyster Vermicelli - Eat Drink Taiwan
https://medium.com/e[...]
2019-06-25
[2]
웹사이트
40 of the best Taiwanese foods and drinks
https://edition.cnn.[...]
CNN
2020-04-08
[3]
웹사이트
Ukuko Oyster Vermicelli - Eat Drink Taiwan
https://medium.com/e[...]
2019-06-25
[4]
웹사이트
40 of the best Taiwanese foods and drinks
https://edition.cnn.[...]
CNN
2020-04-08
[5]
뉴스
곱창, 씹는 맛 대 녹는 맛
http://www.hani.co.k[...]
한겨레
2020-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