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히 클라우제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리히 클라우제너는 독일의 정치인으로, 나치 정권에 저항하다 암살당했다. 뒤셀도르프 출신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프로이센 주 정부에서 공무원으로 일했으며, 가톨릭 행동 단체 지도자로서 나치당의 불법 활동을 단속하는 데 힘썼다. 나치 정권이 들어선 후, 마르부르크 연설 초안 작성에 참여하고 가톨릭 회의에서 나치를 비판한 것이 문제가 되어 1934년 '장검의 밤'에 친위대에 의해 암살당했다. 그의 사후 베를린에 기념비가 세워졌으며, 독일 가톨릭교회는 그를 순교자로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가톨릭 순교자 - 에디트 슈타인
에디트 슈타인은 폴란드 출신의 유대인 철학자이자 가톨릭 성녀로, 현상학 및 토마스 아퀴나스 사상 연구에 기여했으며, 나치의 박해로 아우슈비츠에서 순교, 가톨릭 개종 후 가르멜 수녀회 수녀로 활동하며 기독교적 존재론을 연구했고, 유럽의 수호성인 중 한 명이다. - 20세기 가톨릭 순교자 -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는 폴란드의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 사제이자 성인으로, 성모 신심을 고취하고 복음 전파에 헌신했으며,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다른 수감자를 대신하여 희생적으로 죽음을 선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장검의 밤 희생자 - 그레고어 슈트라서
그레고어 슈트라서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나치당에 입당하여 돌격대에서 활동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당 조직 강화에 기여했으나, 히틀러와의 이념적 갈등으로 당내 입지가 약화되어 모든 당직에서 사임 후 장검의 밤 사건 당시 암살당한 나치당 내 좌파 세력 정치인이다. - 장검의 밤 희생자 - 쿠르트 폰 슐라이허
쿠르트 폰 슐라이허는 독일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국방군 내 영향력을 행사하며 총리까지 역임했으나, 권력 강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나치당과 연계하려다 장검의 밤 사건 때 암살당했다. - 비더슈탄트 관련자 - 빌리 브란트
빌리 브란트는 서독의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총리 재임 시절 동방정책을 통해 독일의 분단 극복에 기여하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기욤 사건으로 사퇴한 후에도 독일 재통일의 기반을 마련하고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서독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비더슈탄트 관련자 - 발터 오이켄
발터 오이켄은 독일 경제학자이자 오르도자유주의 창시자로서 사회적 시장경제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했으며, 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 시대를 거쳐 전후 서독 경제 재건에 기여하며 국가의 경제 질서 형성을 강조하는 사상을 정립했다.
에리히 클라우제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에리히 클라우제너 |
출생일 | 1885년 1월 25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프로이센 왕국 뒤셀도르프 |
사망일 | 1934년 6월 30일 (49세) |
사망지 | 독일 제국 베를린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직업 | 정치인, 교수 |
배우자 | 정보 없음 |
부모 | 아버지: 페터 클라우제너, 어머니: 엘리자베트 비젠바흐 |
자녀 | 정보 없음 |
경력 | |
소속 | 프로이센 왕국, 독일 제국 |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
알려진 업적 | 가톨릭 액션 베를린 지부장 |
2. 생애
에리히 클라우제너는 뒤셀도르프의 독실한 가톨릭 집안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 페터 클라우제너(1844-1904)는 1740년에 라인란트로 이주한 오스트리아 플리르슈 클라우제너 가문의 일원이었으며, 클루이제나르 가문과 친척 관계였다.[2] 아버지는 공무원이었고, 클라우제너 역시 프로이센 왕국의 통상성에서 근무했다.[3]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프랑스, 벨기에, 동부 전선에서 병참 장교로 복무했으며, 1914년에 철십자 훈장 2급, 1917년에 철십자 훈장 1급을 수여받았다.[11] 전후 1923년 프랑스의 루르 점령에 대한 배척 운동에 참가하여 1924년에 2개월간 투옥되었다. 같은 해 프로이센 주 복지부에 들어갔으며, 이후 프로이센 주 내무부의 경찰국 책임자가 되었다. 1928년에는 가톨릭 액션(Katholische Aktionde) 집단의 지도자가 되어 경찰이 불법적인 국가사회주의 활동을 단속하도록 지원하였다.
1933년 아돌프 히틀러와 민족사회주의자들이 정권을 장악한 후, 헤르만 괴링이 프로이센 주의 내무 장관이 되면서 경찰의 나치화가 진행되었고, 이에 따라 클라우제너는 프로이센 주 운송부로 이동당했다. 클라우제너는 1934년 6월 17일 프란츠 폰 파펜이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행한 나치 비판 연설(마르부르크 연설)에 기여했으며, 6월 24일 베를린의 호페가르텐에서 열린 가톨릭 회의에서도 나치의 탄압을 격렬하게 비판하였다.
1934년 6월 30일 장검의 밤 당시, 헤르만 괴링과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는 친위대 대위에게 클라우제너를 살해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이 대위는 운송부의 사무실에 들어가 그 자리에서 클라우제너를 사살하였다.[11]
제2차 세계 대전 뒤에는 베를린에 그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으며, 1963년 이후, 그의 유해는 베를린의 가톨릭 교회 마리아 여왕 순교자 기념 교회로 옮겨졌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에리히 클라우제너는 뒤셀도르프의 엄격한 가톨릭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공무원이었으며, 클라우제너 역시 프로이센 왕국의 통상부에서 일했다.2. 2.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벨기에, 동부 전선에서 병참 장교로 복무했다. 1914년에 철십자 훈장 2급, 1917년에는 철십자 훈장 1급을 수여받았다. 전쟁이 끝난 뒤인 1923년 프랑스의 루르 점령에 대한 배척 운동에 참가하여, 1924년에 2개월간 투옥되었다.[11]2. 3. 전후 활동
클라우제너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의 루르 점령에 반대하는 운동에 참여하여 1924년에 2개월간 투옥되었다.[3] 같은 해 프로이센 주 복지부에 들어갔으며, 이후 프로이센 주 내무부의 경찰국 책임자가 되었다.[3] 1928년에는 가톨릭 액션(Katholische Aktionde) 집단의 지도자가 되어 경찰이 불법적인 나치 활동을 단속하도록 지원하였다.[3]3. 가톨릭 행동 단체 활동
1928년 초, 클라우제너는 '가톨릭 행동 단체'( Katholische Aktion)의 지도자가 되었다.[1][5] 그는 경찰이 불법적인 국가사회주의 운동을 단속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했다.[6]
4. 나치 정권과의 갈등
1933년 나치당이 정권을 장악한 후, 헤르만 괴링이 프로이센 주 내무 장관이 되면서 클라우제너는 프로이센 주 교통부로 이동되었다.[3] 이는 사실상 좌천이었다.
4. 1. 마르부르크 연설
프란츠 폰 파펜 부총리의 측근이었던 클라우제너는 1934년 6월 17일에 발표된 마르부르크 연설 초안 작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 연설은 대부분 에드가 융이 작성했지만, 클라우제너와 비서 헤르베르트 폰 보세도 내용 작성에 기여했다.[3][7] 연설은 온건한 어조였지만, 아돌프 히틀러가 재상이 된 이후 발생한 폭력과 탄압을 비판했다.[3] 이 연설은 혁명의 종식, 나치 테러의 종식과 정상화, 자유와 언론의 자유 회복을 촉구했다.[7]1934년 6월 24일, 클라우제너는 베를린 호페가르텐에서 열린 가톨릭 회의에서 연설했다. 그의 격정적인 탄압 비판은 나치에게 공개적인 도전으로 여겨졌다.[3]
4. 2. 호페가르텐 연설
1934년 6월 17일, 프란츠 폰 파펜 부총리의 측근이었던 클라우제너는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행해진 나치 비판 연설(마르부르크 연설) 초안 작성에 기여했다.[3][7] 이 연설은 혁명, 나치 테러의 종식과 정상화, 자유, 언론의 자유 회복을 촉구했다.[7]1934년 6월 24일, 클라우제너는 베를린 호페가르텐(Hoppegarten)에서 열린 가톨릭 회의에서 나치의 탄압을 격렬하게 비판했다.[3] 그의 격정적인 연설은 나치에게 공개적인 도전으로 여겨졌다.
5. 장검의 밤 사건과 암살
1934년 6월 24일, 클라우제너는 베를린 호페가르텐에서 열린 가톨릭 회의에서 나치의 탄압을 격렬하게 비판하는 연설을 했다. 이는 나치에 대한 공개적인 도전으로 여겨졌다.[3]
6일 후인 1934년 6월 30일, 장검의 밤 사건이 일어났다.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는 친위대 대위 쿠르트 길디쉬에게 클라우제너를 암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7][8] 길디쉬는 클라우제너의 사무실로 찾아가 그를 총으로 쏴 죽였다.[7][8] 살해 후, 길디쉬는 돌격대대지도자로 진급했다.[8] 나치는 클라우제너의 죽음을 자살로 위장하려 했다.[11]
6. 사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를린에는 클라우제너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9] 1963년, 그의 유해는 베를린의 가톨릭 교회 '마리아 여왕 순교자 기념 교회'(Katholische Gedenkkirche Maria Regina Martyrum)로 옮겨졌다.[9] 1999년, 독일 가톨릭교회는 신앙의 증인으로서 클라우제너를 독일 순교록에 등재했다.[9]
7. 유산
에리히 클라우제너는 사후 여러 방식으로 기념되고 추모되었다.
아데나우에 있는 에리히 클라우제너 김나지움(국립 고등학교)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 독일 여러 도시에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거리 이름 | 위치 |
---|---|
에리히 클라우제너 슈트라세 | 뒤셀도르프 |
에리히 클라우제너 슈트라세 | 노이스 |
에리히 클라우제너 슈트라세 | 크레펠트 |
에리히 클라우제너 슈트라세 | 몬하임암라인 |
에리히 클라우제너 슈트라세 | 루드빅스펠데 |
에리히 클라우제너 슈트라세 | 브리젤랑 |
에리히 클라우제너 슈트라세 | 블랑켄펠데-마할로 |
뒤셀도르프 운터빌크의 레오-슈타츠-플라츠에는 클라우제너와 레오 슈타츠를 기리는 기념비가 있다. 뒤셀도르프 크론프린첸슈트라세에는 클라우제너를 기리는 슈톨퍼슈타인이 있다. 1984년 서베를린 도이치 연방 우체국 베를린은 클라우제너 서거 50주년 기념 우표를 발행했다.
7. 1. 기념 및 추모
아데나우에 있는 에리히 클라우제너 김나지움(국립 고등학교)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독일 여러 도시에 에리히 클라우제너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거리 이름 | 위치 |
---|---|
에리히 클라우제너 슈트라세 | 뒤셀도르프 |
에리히 클라우제너 슈트라세 | 노이스 |
에리히 클라우제너 슈트라세 | 크레펠트 |
에리히 클라우제너 슈트라세 | 몬하임암라인 |
에리히 클라우제너 슈트라세 | 루드빅스펠데 |
에리히 클라우제너 슈트라세 | 브리젤랑 |
에리히 클라우제너 슈트라세 | 블랑켄펠데-마할로 |
운터빌크(뒤셀도르프)의 레오-슈타츠-플라츠에는 클라우제너와 레오 슈타츠를 기리는 기념비가 있다. 뒤셀도르프 크론프린첸슈트라세에는 클라우제너를 기리는 슈톨퍼슈타인이 있다.
7. 2. 대중문화
1984년 서베를린 도이치 연방 우체국 베를린은 클라우제너 서거 50주년 기념 우표를 발행했다.참조
[1]
서적
Biographisch-Bibliographisches Kirchenlexikon(BBKL)
Verlag Traugott Bautz
[2]
서적
Erich Klausener
Morus-Verl
[3]
웹사이트
Erich Klausener
https://www.gdw-berl[...]
[4]
간행물
Erich Klausener
Waxmann
2000
[5]
서적
Neue Deutsche Biographie
Duncker & Humblot Gmbh
[6]
웹사이트
Lexixon
Berlin Geschichte
[7]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A History of Nazi Germany
Simon & Schuster
[8]
문서
Hitler's Personal Security: Protecting the Führer 1921-1945
[9]
뉴스
Klausener remembered as first Catholic victim of Nazi regime in 1934
https://cruxnow.com/[...]
2020-10-06
[10]
뉴스
Das Staatl. Neusprachl. Erich-Klausener-Gymnasium in Adenau hat eine wahrhaft bewegte Geschichte
https://docs.wixstat[...]
[11]
서적
髑髏の結社 SSの歴史(上)
講談社学術文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