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비스 마스캇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비스 마스캇츠는 2008년 결성된 일본의 그라비아 아이돌 및 AV 여배우 그룹으로, TV 도쿄의 프로그램 《오네가이! 마스캇토》를 통해 처음 등장했다. 2010년 첫 싱글 앨범을 발매하며 걸 그룹 활동을 시작했고, 2011년에는 전국 투어와 아시아 투어를 진행했다. 2012년 해산을 발표하고 2013년 마지막 콘서트를 끝으로 해체되었다. 이후 2015년 2세대 에비스 마스캇츠가 결성되었으며, 2022년에는 초대 멤버들이 10주년 라이브에 참여했다. 에비스 마스캇츠는 AV 배우와 아이돌의 경계를 허물고, 성적인 코드를 활용한 독특한 컨셉으로 평가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비스 마스캇츠 - 오네다리!! 마스캇토
오네다리!! 마스캇토는 오기야하기가 MC를 맡아 진행된 "마스캇토" 시리즈의 두 번째 프로그램으로, 에비스 마스캇츠 멤버 구성에 변화를 주고 다양한 코너를 통해 멤버들의 매력을 선보였으나, 방송 중 멤버 변화를 겪고 1년 만에 종료 후 제목과 내용을 변경하여 방송되었다. - 에비스 마스캇츠 - 오네가이! 마스캇토
2008년 TV 오사카에서 방영된 《오네가이! 마스캇토》는 오기야하기 진행, 에비스 마스캇츠 출연으로 다양한 코너를 선보이며 화제를 모은 심야 스트레스 해소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마스캇토"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이다. - 포니 캐년 음악가 - 칸다 사야카
칸다 사야카는 배우 칸다 마사키와 가수 마츠다 세이코의 딸로, 배우, 가수, 성우로서 활동하며 영화, 무대, 음악, 더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했으나 2021년 사망했다. - 포니 캐년 음악가 - 호리 치에미
호리 치에미는 1981년 데뷔하여 1982년 가수로 데뷔한 일본의 가수 겸 배우로, 1980년대 드라마 주연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은퇴 후 복귀, 2019년 혀암 진단을 받고 투병 생활 끝에 완치 판정을 받아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 2013년 해체된 음악 그룹 - 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
1988년 결성된 미국의 힙합 그룹 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는 Q-Tip, Phife Dawg, Ali Shaheed Muhammad, Jarobi White로 구성되어 재즈 기반의 독창적인 음악과 사회적 메시지로 1990년대 힙합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롤링 스톤 500대 명반에 선정되고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는 등 음악적 업적을 남겼다. - 2013년 해체된 음악 그룹 - 마이 케미컬 로맨스
2001년 9·11 테러 이후 결성된 미국의 록 밴드 마이 케미컬 로맨스는 얼터너티브 록, 이모, 팝 펑크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과 극적인 무대 연출, 그리고 LGBT 커뮤니티에서의 인기와 더불어 2006년 컨셉 앨범 《The Black Parade》의 성공으로 전성기를 맞이했으며, 해체 후 재결합하여 현재까지도 활동 중이다.
에비스 마스캇츠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그룹명 | 에비스 마스캇츠 |
다른 이름 | EBISU MUSCATS |
활동 기간 | 2008년 4월 7일 – 2013년 4월 7일 |
장르 | J-pop |
레이블 | 유니버설 뮤직 재팬 (2010년-2011년) 포니캐년 (2012년-2013년) |
관련 활동 | 마코이 사이토/야마네 마나미 (2012~2013) SDN48 CLEAR'S |
구성원 | |
현재 구성원 | 아사미 유마(메인 보컬) Rio(리드 보컬) 아오이 소라(서브 보컬) 요시자와 아키호(대사, 코러스) 기타는 해산 시 구성원 참고 |
이전 구성원 | 해산 전 구성원 참고 |
음반 목록 | |
싱글 |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에비스 마스캇츠 공식 웹사이트 |
2. 연혁
- 2008년 4월 7일, TV 도쿄의 심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오네가이! 마스캇토》를 통해 '''에비스 마스캇츠'''가 결성되었다.[44]
- 2009년, 프로그램이 《오네다리!! 마스캇토》, 《쵸이토 마스캇토!》, 《오네다리 마스캇토DX!》로 개편되면서 2기, 3기, 4기, 5기생이 차례로 합류했다.
- 2010년 2월 17일, 첫 싱글 「바나나・망고・하이스쿨/하나 둘 셋 넷에 울어줘 with 눈물 네 자매」를 발매, 오리콘 주간 싱글 차트 8위를 기록했다.[51]
- 2010년 7월 7일, 두 번째 싱글 「OECURA MAMBO/내 맘보」를 발매하고, 7월 10일 SHIBUYA-AX에서 첫 콘서트를 개최했다.[58][59]
- 2010년 12월 8일, 세 번째 싱글 「치요코레이토/귀여운 고시엔」을 발매했다.[62]
- 아오이 소라가 졸업하고 아사미 유마가 리더가 되었다가, 2012년 3월 7일 키시 아이노가 새 리더로 지목되었다.[74]
- 2011년 5월 21일부터 7월 2일까지 첫 전국 투어를, 9월 4일부터 10월 23일까지 두 번째 전국 투어를 진행했다.
- 2011년 11월 15일, 홍콩에서 첫 아시아 투어를 개최했다.[72]
- 2011년 10월 12일, 싱글 〈롯폰폰☆판타지〉를 발매했다.
- 2012년에는 싱글 〈허니 트랩♪〉(3월 28일),[75] 〈불효 베이베〉(6월 27일),[76] 〈역주♡아이돌〉(10월 31일)을 발매했다.
- 2013년 4월 7일, 마이하마 엠퍼시어터에서 마지막 콘서트를 갖고 그룹은 해체되었다.[85]
2. 1. 결성 초기 (2008년 ~ 2010년)
TV 도쿄의 심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오네가이! 마스캇토》를 통해 2008년 4월 7일에 결성되었다.[44] 초기 멤버는 아오이 소라를 리더로, 전원 그라비아 아이돌 및 성인 비디오 여배우로 구성된 20명이었다.[43]초기 에비스 마스캇츠는 프로그램 연출자와의 관계, 멤버들 간의 관계 모두 원만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연출자 맥코이 사이토는 멤버들 사이에 신뢰 관계가 없었다고 회상했다. Rio는 이 시기 멤버들이 모두 라이벌 관계였다고 회상했으며,[46] 당시 리더였던 아오이 소라는 멤버들 간의 동료 의식 없이 개개인이 모인 집단이었다고 말했다.[43]
《오네가이! 마스캇토》는 반 년만 방송될 예정이었으나, 2%가 넘는 시청률을 기록하며 프로그램과 그룹 모두 존속하게 되었다.[48]
2009년 3월 30일에 프로그램이 《오네다리!! 마스캇토》로 개편되면서, 사쿠라기 린, 키자키 제시카 등 10명의 2기 멤버가 영입되었다.[49] 2009년 10월에는 카스미 카호 등 4명의 3기 멤버가 추가되었다.[50]
프로그램의 오프닝과 클로징 곡으로 사용된 첫 오리지널 곡 〈바나나 망고 하이 스쿨〉은 2010년 2월 17일에 싱글 앨범 〈바나나 망고 하이 스쿨/하나 둘 셋 넷에 울어줘 with 눈물 네 자매〉로 발매되어 오리콘 차트 8위를 기록했다.[51]
2010년 3월 29일, 《오네다리!! 마스캇토》가 종료되고 1기부터 3기까지의 멤버들은 졸업식을 가졌다.[52] 그러나 방송은 《쵸이토 마스캇토!》로 재개편되었고, 아사미 유마를 포함한 졸업생 일부가 복귀하고 14명의 4기생이 합류했다.[53] 아오이 소라가 졸업하고 아사미 유마가 새 리더가 되었다.[56]
《쵸이토 마스캇토!》 이후 에비스 마스캇츠는 본격적인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2010년 7월 7일, 두 번째 싱글 앨범 〈OECURA MAMBO/내 맘보〉가 발매되었고, 3일 뒤 시부야구의 SHIBUYA-AX에서 첫 콘서트를 개최했다.[58][59]
2010년 10월 6일, 방송이 《오네다리 마스캇토DX!》로 개편되면서 5기생 3명과 아오이 소라 등 졸업 멤버 5명이 복귀했다.[60] 12월에는 오사카부와 도쿄도를 순회하는 콘서트를 진행하고,[61] 12월 8일 세 번째 싱글 앨범 〈치요코레이토/귀여운 고시엔〉을 발매했다.[62]

2. 2. 전국 투어 및 아시아 진출 (2011년)
2011년 5월 21일부터 7월 2일까지 에비스 마스캇츠는 첫 전국 투어를 실시했다. 도쿄도, 오사카시, 고베시, 나고야시, 하마마쓰시 등 다섯 곳을 방문했으며, 특히 히비야 야외음악당에서 열린 마지막 공연은 DVD로 제작되어 발매되었다.[66] 이 DVD 커버는 〈헤라클레스 ~애수의 팬서 어게인~〉 무대에서 고소공포증이 있던 야마나카 아야코가 와이어에 매달려 올라가는 모습을 담았다.[67] 투어 중이던 5월 25일에는 그룹의 첫 정규 앨범 《더 마스캇츠 ~할리우드에서 안녕~》이 발매되었다.[66]2011년 6월 8일 《오네다리 마스캇토DX!》 36회 방송분에서 아야노코지 쇼가 스튜디오를 방문해 작곡한 노래를 선물했고, 멤버들은 작사에 참여했다.[68] 이 곡은 나중에 〈롯폰폰☆판타지〉로 제작되어 9월 7일 방송에서 공개되었다. 한편, 기시단은 데뷔 10주년을 맞아 5월 9일부터 12월 21일까지 《극동 로큰롤 하이 스쿨》 콘서트를 진행했는데,[69] 에비스 마스캇츠는 9월 15일 14회 콘서트에 게스트로 초청받아 공연했다.[70] 〈롯폰폰☆판타지〉는 이날 처음 야외 공연되었으며, 10월 12일 싱글로 발매되어 전 세계 25개국에 출시되었다.[71]
9월 4일부터 10월 23일까지 에비스 마스캇츠는 두 번째 전국 투어를 진행했다. 사이타마 신도심을 시작으로 총 열 곳을 방문했다. 11월 15일에는 홍콩 국제무역전시센터에서 그룹의 첫 아시아 투어가 열렸고,[72] 12월 10일 나카노 선플라자에서 개선 공연을 가졌다.[73]
2. 3. 해산 및 그 이후 (2012년 ~ 현재)
2012년 3월 7일, 아사미 유마는 2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리더 자리에서 물러났으며, 스태프와 상의를 거쳐 키시 아이노가 다음 리더로 지목되었다.[74]같은 해, 에비스 마스캇츠는 세 장의 싱글 앨범을 발표했다. 3월 28일에는 여섯 번째 싱글 앨범 〈허니 트랩♪〉이,[75] 6월 27일에는 〈불효 베이베〉가 발매되었다.[76] 〈불효 베이베〉는 에비스 마스캇츠의 싱글 중에서 처음으로 센터 포지션이 도입되었으며, 이 자리는 루카와 리나가 담당했다.[77] 10월 31일에는 〈역주♡아이돌〉이 발매되었는데, 이 곡은 전부터 아이돌이 꿈이었지만 노래를 잘 부르지 못해 평소 나레이션과 MC를 주로 맡아오던 요시자와 아키호를 위해 마련된 곡이었다. 요시자와 아키호는 이 곡에서 센터를 맡고 모든 가사를 소화했다.[78][79] 이 곡은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7위를 기록하며, 그룹에서 발표한 모든 노래 중 가장 높은 순위와 판매량을 기록했다.
2012년에는 두 번의 콘서트 투어가 있었다. 5월 12일부터 6월 17일까지 《전국 CAMP》가 진행되었으며, 니가타현 등 열 곳을 방문했다.[80] 10월 14일부터 28일까지는 《콘서트 투어 2012》라는 이름으로 시부야구 등 세 곳에서 콘서트가 진행되었다.[81]
2012년 12월 16일, 나카노 선플라자에서 열린 콘서트에서 에비스 마스캇츠의 해산이 선언되었다. 맥코이 사이토는 "그룹이 최고조에 이르렀을 때 해산하고 싶었다."며 해산 이유를 밝혔다.[46] 이 여파로 2013년 1월 경, 방콕에서 진행될 예정이었던 아시아 투어가 취소되었으며, 싱가포르 콘서트만 진행됐다.[82][83] 이후 2013년 2월 9일부터 3월 31일까지 마지막 콘서트 투어인 《해산전국전국투어 2013》을 진행했으며, 3월 6일에 〈ABAYO〉를 발표하며 음악 활동을 마감했다.[84]

2013년 4월 3일, 그룹의 두 번째 정규 앨범 《졸업 앨범》이 발매되었으며,[84] 4월 7일 마이하마 엠퍼시어터에서 마지막 콘서트를 갖고 그룹은 해체되었다.[85]
3. 그룹 특징
에비스 마스캇츠는 2008년 4월 TV 도쿄의 심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부탁해! 머스캣》의 레귤러 멤버로 결성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멤버 교체를 거치며 2013년 4월까지 활동했다.[10] 그룹 이름은 프로그램 연출자 마코이 사이토가 대표로 있는 회사의 가장 가까운 역인 에비스역에서 유래했다.[10] '머스캣츠'는 "심야를 시원하게 해준다"는 프로그램 컨셉을 표현한 것이다.[11]
에비스 마스캇츠는 프로그램 하차와 동시에 그룹에서도 탈퇴하는 시스템이었다. 하차 방식은 두 가지로 나뉘는데, 졸업식이나 졸업 보고를 통해 하차한 멤버는 나중에 OG(졸업생)로 프로그램에 출연하거나 복귀하기도 했다. 반면, 졸업 보고 없이 하차한 멤버는 공식 사이트에서 갑자기 이름이 사라져 정확한 탈퇴 시기를 알기 어려웠다.
- 초대 리더는 아오이 소라(2008년 4월 7일 ~ 2010년 3월 29일), 2대 리더는 아사미 유마(2010년 4월 7일 ~ 2012년 3월 7일), 3대 리더는 키시 아이노(2012년 3월 7일 ~ 2013년 4월 7일)였다.
- 팬과 멤버를 포함하여 "머스패밀리(머스캣츠 패밀리)"라고 불렀다.
- 그룹의 모토는 '''"(활기차게), 깨끗하게, 에로틱하게, 아름답게.'''"였다.[12]
- 에비스 마스캇츠는 스태프와 연락처를 교환해서는 안 된다는 불문율이 있었다.[13]
에비스 마스캇츠는 AV 여배우들이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서 집단 연기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인지도를 높인 최초의 그룹으로 평가받는다.[14] 당시 AV 업계와 연예계, TV계의 룰 차이로 인해, 연출자 마코이 사이토가 멤버들에게 "인사"를 가장 먼저 가르쳤다는 일화도 있다.[14]
에비스 마스캇츠의 주요 활동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월 | 내용 |
---|---|---|
2008 | 4월 7일 | 《부탁해! 마스캇》 방송 시작, 에비스 마스캇츠 결성 |
2009 | 3월 30일 | 《부탁해! 마스캇츠》 방송 종료 |
4월 6일 | 《조르기!! 마스캇츠》 방송 시작, 2기생 가입 | |
10월 5일 | 3기생 가입 | |
2010 | 2월 17일 | 첫 번째 싱글 「바나나・망고・하이스쿨/12의 34로 울어 with 눈물 사자매」 발매 (오리콘 주간 8위) |
3월 29일 | 《조르기!! 머스캣》 방송 종료, 전 멤버 졸업 | |
4월 7일 | 《쪼끔 머스캣!》 방송 시작, 4기생 가입, 아사미 유마 2대 리더 취임 | |
7월 7일 | 두 번째 싱글 「OECURA MAMBO/나, 맘보」 발매 (오리콘 주간 14위) | |
7월 10일 | 첫 번째 콘서트 개최 | |
10월 6일 | 《조르기 머스캣 DX!》 방송 시작, 5기생 가입 | |
2011 | 3월 16일 | 4th 싱글 「스프링 홀리데이/입씨름 하지 말아줘♪」 발매 (오리콘 주간 28위) |
4월 6일 | 6기생 가입 | |
5월 25일 | 1st 앨범 「더 마스캇츠 ~할리우드에서 안녕~」 발매 (오리콘 주간 17위) | |
10월 5일 | 《조르기 머스캣 SP!》 방송 시작, 7기생 가입 | |
10월 12일 | 5th 싱글 「롯폰퐁☆판타지」 발매 (오리콘 주간 8위) | |
2012 | 3월 7일 | 키시 아이노 3대 리더 취임 |
3월 28일 | 6th 싱글 「허니와 랩♪」 발매 (오리콘 주간 13위) | |
4월 4일 | 8기생 가입 | |
6월 27일 | 7th 싱글 「불효 베이베」 발매 (오리콘 주간 8위) | |
10월 31일 | 8th 싱글 「역주♡아이돌」 발매 (오리콘 주간 7위) | |
2013 | 3월 6일 | 9번째 싱글 "ABAYO" 발매 (오리콘 주간 22위) |
3월 30일 | 《조르기 머스캣 SP!》 방송 종료 | |
4월 3일 | 2번째 앨범 "졸업 앨범" 발매 (오리콘 주간 8위) | |
4월 7일 | 해산 콘서트 개최, 제1기 에비스 마스캇츠 활동 종료 |
에비스 마스캇츠는 태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송크란 축제에 초청될 뻔했다는 보도가 태국 각 신문에 실리기도 했다.[19]
3. 1. 컨셉 및 이미지
에비스 마스캇츠는 활동 초기부터 기존 아이돌 그룹과는 확연히 다른 섹시하고 파격적인 컨셉을 내세웠다. 멤버들의 외모가 망가지는 것을 권장하고, 솔직하고 개방적인 이미지를 구축했다.[86] 방송에서는 성적인 농담이나 거친 언어를 사용하는 등, 기존 아이돌에게는 금기시되던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91][92]
일반적으로 아이돌은 외모를 중시하지만, 에비스 마스캇츠는 오히려 망가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에 거리낌이 없었다.[86] 이는 2세대 멤버 선발 오디션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오기 히로아키는 '여성이 몸매가 좋지만 얼굴이 못생긴 경우, 그 불균형에서 에로함을 느낄 수 있다'고 언급했고, 맥코이 사이토는 '선발 시, 전체 멤버의 3할은 추녀를 포함시킨다'고 말했다.[86] 카와무라 리카는 안토니오 이노키와, Rio는 마이클 잭슨과 닮은 점을 개그 소재로 활용하기도 했다.[87][88]
주간 플레이보이와 같은 잡지에서는 에비스 마스캇츠 멤버들의 프로필, 인터뷰, 화보를 다루며, 프로그램의 특징을 함께 소개했다. 특히, 2009년 1월 13일 방송된 《오네가이! 마스캇토》 40회에서는 "(오네가이! 마스캇토는)어떠한 장면에서든 팬티를 보여주려고하는 제작진의 노력이 대단하다"는 기사 내용을 인용하며, 에비스 마스캇츠를 팬티 노출을 시도하는 제작진과 걸 그룹처럼 묘사했다.[90]
에비스 마스캇츠는 연애 문제에 있어서도 기존 아이돌 그룹보다 훨씬 관대한 태도를 보였다. AKB48의 미네기시 미나미가 연애 문제로 삭발까지 한 사례[95]와는 대조적으로, 에비스 마스캇츠는 멤버 안도 아이카가 남자친구가 있다고 밝혔을 때에도 이를 용인하는 모습을 보였다.
3. 2. 의상
멤버별 고유 색상(분홍, 하늘, 연두, 노랑)을 기본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유니폼을 착용했다. 민소매 셔츠와 미니스커트 조합, 원피스 형태, 광택 있는 재킷 등 다양한 스타일로 변화했다. 방송 의상은 뮤직비디오, 앨범 재킷 촬영에도 활용되었다.결성 초기부터 해체 시까지 멤버별 고유 색상은 변하지 않았지만, 의상 디자인은 여러 번 바뀌었다. 최초의 유니폼은 민소매 셔츠와 미니스커트 조합이었으며, 《쵸이토 마스캇토!》에서 흰색 레이스가 추가된 형태로 다시 등장했다.
원피스 형태의 의상은 《오네다리!! 마스캇토》에서 처음 선보였으며, 〈바나나 망고 하이 스쿨〉 뮤직비디오에도 등장했다. 다만, 뮤직비디오 속 의상은 가슴 중앙에 매듭이 없고 구멍이 뚫린 형태였다. 《쵸이토 마스캇토!》 중반부터는 가슴 부분이 리본 모양인 원피스 의상을 착용했는데, 스커트 끝자락까지 닿는 긴 길이였다. 이 원피스는 끈 모양이 V형으로 변형되기도 했다. 이 의상은 《오네다리 마스캇토SP!》까지 가장 오랫동안 착용했으며, 〈OECURA MAMBO/내 맘보〉, 〈치요코레이토/귀여운 고시엔〉, 〈스프링 홀리데이/말다툼하지 말아줘♪〉, 〈롯폰폰☆판타지〉 앨범 및 뮤직비디오에 등장한다.
《오네다리 마스캇토SP!》 중반부터 해체 시까지는 광택 있는 재킷이 특징인 의상을 착용했으며, 〈ABAYO〉 앨범 및 뮤직비디오에서 볼 수 있다. 모든 앨범에서 방송용 의상을 그대로 사용한 것은 아니며, 〈허니 트랩♪〉, 〈불효 베이베〉, 〈역주♡아이돌〉은 각 앨범 고유의 의상을 착용했다.
3. 3. 음악 스타일
에비스 마스캇츠의 음악은 프로그램 종합연출자인 맥코이 사이토의 색깔이 매우 강하다. 그는 첫 번째 곡 〈바나나 망고 하이 스쿨〉부터 마지막 싱글 앨범 〈ABAYO〉에 수록된 모든 곡까지, 그룹이 발표한 거의 모든 곡의 작사에 참여했다.[97] 타이틀 곡들은 대체로 비슷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데, 거의 모든 곡이 도입부에서 주요 멤버들이 각 소절을 나누어 부르며, 포인트별로 나레이션이나 코러스가 등장한다. 이후 클라이맥스에서는 멤버 전원이 함께 노래를 부르게 된다. 또한 노래의 대부분이 댄스 장르인 것도 특징이다. 멤버들 중에서는 나가사쿠 아이리나 아사미 유마처럼 활동 중에 가창력을 인정받아 그룹 해체 이후로 본격적인 솔로 가수로서 활동하는 경우도 있지만, 요시자와 아키호같이 음치로 분류된 멤버도 있는 것처럼 멤버들의 가창력이 고르지 못하다. 가창력에 큰 문제가 없는 인기 멤버의 경우, 본인을 중심으로 만들어지는 커플링 곡이나 방송 내의 음악 코너가 마련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인기가 있더라도 음악적인 활동에서 소외되는 경향이 있다.[98]노랫말은 섹스를 연상시킨다거나, 남녀 간의 교제 따위의 주제를 다루는 등 젊은 세대를 겨냥한 것들이 많았다. 가령 〈바나나 망고 하이 스쿨〉은 그 제목과 가사가 남녀의 성기를 연상하게 하며, 실제로 그러한 의도로 쓰여진 가사를 담고 있다. 다만 모든 노래가 자극적인 가사로 쓰여지는 것은 결코 아니며, 〈엄마〉처럼 어머니에 대한 감사함과 사랑을 표현하거나, 〈구구 댄스〉처럼 구구단도 외지 못하는 자신을 재치있게 표현한 곡들도 있다.
4. 평가 및 영향
에비스 마스캇츠는 일본 최초의 섹시 아이돌 그룹은 아니지만, AV 여배우와 아이돌의 경계를 허물고 AV 여배우의 위상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99] 1990년대에도 AV 여배우가 소속된 그룹이 있었지만, 이 경계를 허무는 데는 실패했다. 에비스 마스캇츠는 2010년대 아이돌과 AV 산업 양측의 시장 축소 상황에서, 직접적인 판촉 활동을 통해 큰 호응을 얻어 AV 여배우들의 잇따른 아이돌 그룹화를 촉진했다.[99]
4. 1. 긍정적 평가
에비스 마스캇츠는 AV 배우와 아이돌의 경계를 허물고, AV 배우의 위상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99] 1990년대에도 AV 여배우가 소속된 그룹이 있었지만, 이 경계를 허무는 데는 실패했다. 에비스 마스캇츠는 2010년대 아이돌과 AV 산업 양측의 시장 축소 상황에서, 직접적인 판촉 활동을 통해 큰 호응을 얻었다. 이는 AV 여배우들의 잇따른 아이돌 그룹화를 촉진하는 결과로 이어졌다.[99]게이 라이터 아본느 야스다(1984 ~ 2013)는 에비스 마스캇츠를 "사도를 걷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그룹"이라고 평가했다.[100] 그는 마지막 콘서트에서 키시 아이노가 "제 인생은 칭찬받을 만한 게 못 돼요. 저속한 일만 했고…. 다만 후회는 하지 않아요. 마스캇츠에 들어오고 나서 평범하지 않은 경험이 많이 생겼습니다. 지금 행복합니다!"라고 말한 것을 언급하며, 이들을 자신과 같이 사도를 걷는 그룹으로 보았다. 정도를 가고 싶어도 사도로 갈 수밖에 없는 사람들에게 "우리도 사도지만, 여기까지 해냈습니다."라는 것을 보여주는 희망과 같다고 평가했다.[100]
카츠키 타카시는 에비스 마스캇츠가 SDN48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유형의 그룹이라고 평가했다.[101] 두 그룹 모두 성인 대상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에비스 마스캇츠는 "AV 여배우라는 고정관념을 경쾌하게 부정해, 다면적인 인간상으로 표현하는 것에 성공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성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경지에 오른 아이돌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01]
다만, 에비스 마스캇츠는 음악적인 활동에만 치중한 그룹이 아니었기 때문에 음악적인 부분에서의 평가는 거의 없다.[102]
4. 2. 부정적 평가
에비스 마스캇츠는 음악적인 부분에서는 거의 평가를 받지 못했는데, 이는 음악 활동에만 집중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총감독 맥코이 사이토는 제2세대 에비스 마스캇츠 출범 당시 1세대 마스캇츠에 대해 "반 년에 한 번만 댄스 레슨을 받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102]4. 3. 영향
에비스 마스캇츠는 AV 여배우와 일반 아이돌의 경계를 허무는 데 성공하며, 일본 대중문화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2010년대 전후 아이돌과 AV 산업 양측의 시장 축소 상황에서, 에비스 마스캇츠는 직접적인 판촉 활동으로 큰 호응을 얻으며 AV 여배우의 위상을 높였다. 그 결과 AV 여배우들의 잇따른 아이돌 그룹화를 촉진했다.[99]게이 라이터였던 故 아본느 야스다는 에비스 마스캇츠를 '사도(邪道)'로 해석했다. 그는 마지막 콘서트에서 키시 아이노가 "제 인생은 칭찬받을 만한 게 못 돼요. 저속한 일만 했고... 다만 후회는 하지 않아요."라고 말한 것을 언급하며, 이들이 사도를 걷는 그룹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정도(正道)를 가고 싶어도 사도로 갈 수밖에 없는 사람들에게 "우리도 사도지만, 여기까지 해냈습니다."라는 희망을 보여주는 그룹이라고 덧붙였다.[100]
카츠키 타카시는 에비스 마스캇츠를 SDN48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유형의 그룹으로 보았다. 두 그룹 모두 성인 대상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에비스 마스캇츠는 AV 여배우라는 고정관념을 경쾌하게 부정하고, 성을 과잉되거나 억제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경지에 오른 아이돌이라고 평가했다.[101]
다만, 에비스 마스캇츠는 음악적인 활동에만 치중한 그룹이 아니었기 때문에 음악적인 부분에서의 평가는 거의 없다. 총감독 맥코이 사이토는 2세대 에비스 마스캇츠 출범 당시 1세대 마스캇츠에 대해 "반 년에 1회만 댄스 레슨을 받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102]
5. 구성원
전 멤버 |
---|
전 멤버 |
---|
PTA 멤버 |
---|
6. 음반 목록
에비스 마스캇츠는 싱글 앨범을 연간 2, 3장 주기로 발표했다. 2010년 2월 17일 첫 싱글 앨범 〈바나나 망고 하이 스쿨/하나 둘 셋 넷에 울어줘 with 눈물 네 자매〉가 발매되어 오리콘 차트 8위를 차지했는데, 당시 10위권내에 들지 못하면 그룹이 해산될 예정이었다는 사실이 후에 알려졌다.[48]
같은 해 7월 7일에는 두 번째 싱글 앨범 〈OECURA MAMBO/내 맘보〉,[58] 12월 8일에는 세 번째 싱글 앨범 〈치요코레이토/귀여운 고시엔〉을 발매했다.[62]
2nd 싱글 "OECURA MAMBO"에서는 유닛이 편성되었는데, 각 유닛별로 총 3가지 버전의 CD가 준비되었으며, 각각 "OECURA MAMBO"의 다른 버전이 수록되었다.
- team마: 아사미, 야마나카, 코다마, 쿠리바야시, 사쿠라기, 루카와, 오가와
- teamン: 요시자와, 니시노, 린린카, 리사, 키자키, 키시, 이치죠, 나가세
- team보: Rio, 안도, 시바타, 오우카, 하츠네, 카호, 오리이, 하야시다
6. 1. 싱글 앨범
UPCH-89072 (초회판B)UPCH-89073 (초회판C)
UPCH-80164 (통상판)
UPCH-80195 (type B)
UPCH-80196 (type C)
UPCH-80214 (type B)
UPCH-80215 (type C)
UPCH-80228 (type B)
UPCH-80229 (type C)
UPCH-80254 (통상판)
UPCH-89108 (스페셜프라이스판)
PCCA-03585 (type B)
PCCA-03586 (type C)
PCCA-70327 (통상판)
PCCA-03620 (초회한정판B)
PCCA-03621 (초회한정판C)
PCCA-70332 (통상판)
PCCA-03706 (초회한정판B)
PCCA-30707 (초회한정판C)
PCCA-70345 (통상판)
PCCA-70362 (통상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