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 음모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이즈 음모론은 HIV/AIDS의 기원과 확산에 대한 과학적으로 반박된 다양한 이론들을 포함한다. 주요 음모론으로는 천연두 백신 접종, B형 간염 백신,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 포트 데트릭 기원설, 인구 감소 음모론 등이 있으며, 이들은 HIV가 의도적으로 조작되거나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한 음모의 결과라는 주장을 담고 있다. 이러한 음모론은 에이즈 예방 노력을 저해하고, 감염인에 대한 차별을 심화시키며, 불필요한 불안감을 조성하는 등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음모론 확산에는 에이즈에 대한 공포, 사회적 불평등, 정부 및 과학계에 대한 불신 등이 배경으로 작용하며, 이슬람 국가, 왕가리 마타이, 만토 차발랄라-므심앙 등 특정 인물과 단체가 이를 지지하거나 관련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학 음모론 - 백신 기피
백신 기피는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증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신 접종을 거부하거나 꺼리는 현상이며, 개인과 사회의 건강을 위협하여 감염병 유행과 의료 시스템 과부하를 초래할 수 있다. - 의학 음모론 -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잘못된 정보와 기피 현상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잘못된 정보와 기피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백신 접종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고 방역 노력을 저해하며, 코로나19 위험성 경시, 허위 정보, 가짜 백신 유통, 위조 접종 증명서, 의학적 주장 왜곡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한 각국의 대책 시행을 야기한다. - HIV/AIDS - 아바카비르/라미부딘/지도부딘
HIV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복합 약물인 아바카비르/라미부딘/지도부딘은 과민성 반응, 젖산 산증, 간 비대증, 지질 이상, 골수 억제, 심근경색 위험 증가, 면역재구성염증증후군(IRIS), 빈혈, 호중구 감소증, 지방위축증과 같은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 HIV/AIDS - 래리 크레이머
래리 크레이머는 미국의 극작가, 소설가, 에이즈 활동가로, 영화 각본가로 활동하며 에이즈 위기에 대응하여 단체를 설립하고 작품을 통해 에이즈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2020년에 사망했다.
에이즈 음모론 | |
---|---|
개요 | |
질병 |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에이즈) |
원인 |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HIV) |
주요 반론 | HIV가 에이즈의 원인이라는 주장을 부정 에이즈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 다른 요인이 에이즈를 유발한다고 주장 |
주요 가설 (거짓) | |
감염원 | OPV 에이즈 가설 돼지 신장 세포 이론 영국 혈액 스캔들 |
관련 인물 | 피터 뒤스버그 타보 음베키 마티아스 라스 |
과학적 합의 | |
현재 상태 | 과학적으로 신빙성이 없음 |
주요 내용 | HIV가 에이즈의 원인임 에이즈는 존재함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가 효과적임 |
추가 정보 | |
관련 항목 | 에이즈 부정주의 음모론 |
2. HIV/AIDS 기원에 대한 과학적으로 반박된 이론들
HIV/AIDS의 기원에 대해 과학적으로 반박된 여러 이론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론들은 HIV가 어떻게 처음 인간에게 전파되었는지에 대해 다양한 주장을 제시하지만, 주류 과학계에서는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들은 일반적으로 HIV의 기원을 미국 정부 또는 그 계약자에게 돌리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몇몇 이론들은 특정 백신 접종(천연두 백신, B형 간염 백신,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이 HIV 감염을 유발했거나 확산시켰다고 주장한다. 또한, 포트 데트릭과 같은 군사 연구소에서 HIV가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2. 1. 천연두 백신 접종 이론
1987년 더 타임스는 천연두 근절을 위한 대규모 예방 접종 캠페인이 에이즈 유행을 촉발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2] 이 기사에서는 익명의 "WHO 고문"을 인용, "천연두 백신 이론이 에이즈 폭발의 설명이라고 믿는다"고 주장했다. 천연두 백신은 이미 면역 체계가 손상된 사람들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타임스'' 기사는 "잠복 HIV"를 가진 군 입대자가 백신 접종 후 몇 달 만에 사망한 사례를 소개했지만, 이전에 HIV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현재 여러 전문 간행물에서는 HIV 감염자와 그들의 성 파트너 및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천연두 백신 접종을 금기로 묘사한다.[3][4] 일부 음모론자들은 천연두 백신이 의도적으로 HIV에 오염되었다는 가설을 제시한다.[5]반면, 2010년 발표된 연구는 천연두의 실제 근절과 그에 따른 대규모 예방 접종 캠페인의 "종료"가 HIV의 갑작스러운 출현에 기여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이론은 천연두 예방 접종이 "개인에게 이후의 HIV 감염 및/또는 질병 진행에 대한 어느 정도의 보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6][7] 천연두 백신 자체의 영향과 관계없이, 아프리카에서의 실제 사용은 면역 결핍 바이러스의 확산 및 변이에 기여했을 수 있는 비멸균 주사 범주 중 하나이다.[8]
2. 2. B형 간염 백신 (HBV) 이론
피부과 전문의 앨런 캔트웰은 자비 출판한 저서 《에이즈와 죽음의 의사들: 에이즈 유행병의 기원에 대한 탐구》(1988)와 《퀴어 혈액: 비밀 에이즈 집단 학살 음모》(1993)에서 HIV가 미국 정부 과학자들이 개발한 유전자 변형 생물체이며, 1978년에서 1981년 사이에 미국 주요 도시에서 게이 및 양성애자 남성을 대상으로 실시된 B형 간염 (B형 간염 백신) 실험을 통해 인구에 유입되었다고 주장했다. 캔트웰은 이 실험이 볼프 슈머네스의 지시로 이루어졌으며, 에이즈 유행병의 기원에 대한 정부의 은폐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로버트 B. 스트레커,[9] 마틸데 크림, 밀턴 윌리엄 쿠퍼도 비슷한 이론을 제기했다.2. 3.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 (OPV) 이론
에드워드 후퍼는 1999년 에이즈 OPV 가설에서 중앙 아프리카에서 침팬지 신장 세포 배양에서 자란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OPV) (침팬지 바이러스에 감염됨)의 초기 배치가 HIV-1의 최초 근원이라고 주장했다. 영국에서 발견된, 후퍼가 가장 강력하게 연루된 배치의 바이알을 분석한 결과 HIV/SIV 염기서열이나 침팬지 세포 성분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원숭이 미토콘드리아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위스타 연구소에 보관된 5개의 OPV 샘플(1958년과 1960년 사이에 벨기에령 콩고에서 사용된 배치 중 하나 포함)을 분석한 결과 침팬지 DNA는 발견되지 않았다.[10] 다른 분자 생물학 및 계통 발생 연구 또한 이 가설에 반박하며, 과학적 합의는 이를 입증된 것으로 간주한다.[11][12][13][14] 2004년 네이처지에 실린 한 논문은 이 가설을 "반박되었다"고 묘사했다.[15]2. 4. 포트 데트릭 기원설
야코프 세갈(1911–1995)은 동독 훔볼트 대학교 교수였으며, 에이즈가 포트 데트릭의 미국 군사 연구소에서 비스타 바이러스와 인간 T 림프 영양성 바이러스를 결합하여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1977년과 1978년 사이에 만들어진 이 새로운 바이러스는 조기 석방을 대가로 실험에 자원한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시험되었다. 그는 이 수감자들을 통해 바이러스가 일반 대중에게 확산되었다고 덧붙였다.냉전이 끝날 무렵, 전 KGB 요원 바실리 미트로킨과 올레그 고르디예프스키는 포트 데트릭 가설이 KGB 제1총국이 "작전 INFEKTION"이라는 암호명으로 고안한 선전 작전임을 독립적으로 폭로했다. 이 폭로는 나중에 동독 주요 정찰국 X부서의 장교 귄터 보넨삭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세갈이 러시아 KGB 요원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미트로킨은 그를 작전의 핵심 자산으로 언급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16][17] 세갈이 스스로 가설을 독자적으로 추구했는지, 아니면 단순히 명령을 따랐는지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세갈은 항상 후자를 부인했으며, 작전이 취소되고 냉전이 끝난 후에도 가설을 계속 추구했다.
2. 5. 인구 감소 음모론
밀턴 윌리엄 쿠퍼(1943–2001)는 1991년 자신의 저서 《창백한 말》에서 AIDS가 흑인, 히스패닉, 동성애자의 인구를 감소시키기 위한 음모의 결과라고 주장했다.[18]3. 음모론의 확산과 영향
에이즈 음모론은 에이즈 예방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음모론을 믿는 사람들은 예방 조치가 소용없다고 생각하여 위험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19] 2005년 연구에 따르면, 조사 대상 아프리카계 미국인들 사이에서 HIV가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음모론이 널리 퍼져 있었으며, 일부는 정부 기관이 에이즈를 퍼뜨렸다고 믿었다. 그러나 대다수는 의료 및 공중 보건 기관의 노력을 신뢰했다.[19]
3. 1. 음모론의 확산 배경
필 윌슨(Phil Wilson) 로스앤젤레스 흑인 에이즈 연구소 전무에 따르면, 사람들은 어떤 조치를 취하든 이 질병에 걸릴 수 있다고 믿기 시작하면서 음모론은 에이즈 예방에 장벽이 되고 있다. 2005년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믿음은 위험한 행위를 할 때 주의를 덜 기울이게 만드는데, 그 이유는 아무런 소용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19]2005년 한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 500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중 거의 절반이 HIV가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고 답했다. 4분의 1 이상이 에이즈가 정부 연구소에서 만들어졌다고 믿었고, 12%는 CIA에 의해 만들어져 퍼졌다고 믿었다. 동시에 75%는 의료 및 공중 보건 기관이 흑인 사회에서 에이즈 확산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다.[19]
3. 2. 음모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필 윌슨(Phil Wilson) 로스앤젤레스 흑인 에이즈 연구소 전무에 따르면, 음모론은 사람들이 어떤 조치를 취하든 이 질병에 걸릴 수 있다고 믿게 만들어 에이즈 예방에 장벽이 된다고 한다. 2005년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믿음은 위험한 행동을 할 때 주의를 덜 기울이게 만드는데, 그 이유는 아무런 소용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19] 해당 연구에서 조사 대상이었던 500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중 거의 절반이 HIV가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고 답했다. 4분의 1 이상은 에이즈가 정부 연구소에서 만들어졌다고 믿었고, 12%는 CIA에 의해 만들어져 퍼졌다고 믿었다. 그러나 동시에 75%는 의료 및 공중 보건 기관이 흑인 사회에서 에이즈 확산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다.[19]4. 음모론을 지지하는 주요 인물 및 단체
일부 개인 및 단체는 HIV/AIDS가 인위적으로 만들어졌거나 특정 집단을 겨냥한 것이라는 음모론을 지지하거나 확산시켰다. 대표적인 사례로 이슬람 국가, 왕가리 마타이, 만토 차발랄라-므심앙 등이 있다.
4. 1. 이슬람 국가
이슬람 국가는 정부와 제약 회사가 HIV 생성과 확산을 포함한 집단 학살적인 인종차별 정책을 추구해 왔다는 견해를 지지한다.[20] 그 결과, 이 단체는 미국이 후원하는 어린이 예방 접종 프로그램에 대한 보이콧을 촉구했다. 레너드 호로비츠가 보이콧 결정에 영향을 미친 인물로 언급되었다.[20]4. 2. 왕가리 마타이
2004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이자 환경 운동가인 왕가리 마타이는 ''타임'' 매거진 인터뷰에서 "에이즈는 백인을 멸망시키기 위해 선진국이 제조한 생물학적 무기"라는 이전 주장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 마타이는 "에이즈를 누가 만들었는지, 생물학적 제제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그런 것은 달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압니다. ... 너무 노출되어서는 안 되는 진실이 있는 것 같습니다."라고 답했다.[21] 이후 2004년 12월, 마타이는 서면 성명을 통해 "저는 바이러스가 아프리카인을 파괴하기 위해 백인이나 백인 세력에 의해 개발되었다고 말하거나 믿지 않습니다. 그런 견해는 사악하고 파괴적입니다."라고 밝혔다.[22]4. 3. 만토 차발랄라-므심앙
남아프리카 공화국 보건부 장관 만토 차발랄라-므심앙은 2000년에 밀턴 윌리엄 쿠퍼의 책 중 에이즈 음모론을 다룬 챕터를 남아프리카 공화국 고위 정부 관료들에게 배포하여 비판을 받았다.[23] 니콜리 네트라스는 에이즈 부정론자들을 오랫동안 비판해 왔으며, 차발랄라-므심앙이 쿠퍼의 이론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이를 아프리카에 유포한 것을 비판했다.[24]참조
[1]
논문
The origins of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viruses: Where and when?
[2]
뉴스
Smallpox vaccine 'triggered Aids virus'
1987-05-11
[3]
논문
Smallpox Vaccine: Contraindications, Administration, and Adverse Reactions
https://www.aafp.org[...]
2003-09-01
[4]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About Smallpox Contraindications and Screening
http://www.bt.cdc.go[...]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06-20
[5]
뉴스
Kenya: Don't Discount Conspiracy Theories on Origin of Aids
https://allafrica.co[...]
2010-06-20
[6]
논문
Significantly reduced CCR5-tropic HIV-1 replication in vitro in cells from subjects previously immunized with Vaccinia Virus
BioMed Central
2010-05-18
[7]
뉴스
Smallpox vaccine 'helped fight HIV'
https://www.independ[...]
2010-06-20
[8]
논문
Serial human passage of simian immunodeficiency virus by unsterile injections and the emergence of epidemic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 Africa
2001-06
[9]
웹사이트
The Strecker Memorandum – AIDS is a man made disease
https://www.youtube.[...]
2015-06-27
[10]
간행물
Cold water downstream from The River
The Lancet
2001-04-28
[11]
논문
AIDS. Origins of HIV
[12]
논문
Results make a monkey of OPV-AIDS theory
[13]
논문
AIDS origins. Disputed AIDS theory dies its final death
[14]
웹사이트
Origin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AID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01-30
[15]
논문
Origin of AIDS: contaminated polio vaccine theory refuted
[16]
서적
The Sword and the Shield: The Mitrokhin Archive and the Secret History of the KGB
https://archive.org/[...]
Basic Books
[17]
웹사이트
Aids-Verschwörung. Das Propaganda-Virus des KGB
https://www.spiegel.[...]
Spiegel Geschichte
2012-06-26
[18]
서적
The Skeptic's Dictionary: A Collection of Strange Beliefs, Amusing Deceptions, and Dangerous Delus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Inc.
2013-01-17
[19]
뉴스
Study: Many Blacks Cite AIDS Conspiracy
https://www.washingt[...]
2005-01-25
[20]
서적
Conspiracy Culture: From the Kennedy Assassination to the X-files
https://books.google[...]
[21]
잡지
10 Questions: Wangari Maathai
http://content.time.[...]
2007-03-19
[22]
웹사이트
The Challenge of AIDS in Africa
http://greenbeltmove[...]
Green Belt Movement
[23]
뉴스
SA Government steps into Aids row
http://news.bbc.co.u[...]
BBC News
2000-09-14
[24]
서적
The AIDS Conspiracy: Science Fights Back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