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람드라비다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은 엘람어와 드라비다어가 어족 관계에 있다는 언어학적 가설이다. 19세기부터 제기되었으며, 에드윈 노리스, 로버트 칼드웰 등이 증거를 제시했다. 데이비드 맥알핀은 두 언어 간의 어휘 및 문법적 유사성을 근거로 이 가설을 지지했다. 이 가설은 학계에서 주목받았지만, 엘람어 자료 부족으로 인해 평가가 어렵다. 일부 학자들은 이 가설을 지지하지만, 많은 역사 언어학자들은 입증되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은 농경의 확산과 관련하여, 엘람을 통해 근동에서 인더스 계곡으로 농경이 전파되었다는 주장과 연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엘람드라비다어족 | |
---|---|
개요 | |
이름 | 엘람-드라비다어족 |
다른 이름 | 자그로스어족 (가설적인 어족) |
사용 지역 | 남아시아, 서아시아 |
언어 계통 | 가설적인 어족 |
하위 어족 | 드라비다어족 엘람어 |
추가 정보 | |
논쟁 여부 | 논쟁 중 |
Glotto 코드 | 없음 |
관련 학자 | 데이비드 W. 맥앨핀 |
2. 가설의 역사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은 19세기 초, 에드윈 노리스가 1853년에 이 가설을 지지하는 논문을 처음 발표하면서 제기되었다.[2] 1856년에는 로버트 칼드웰이 드라비다어에 관한 비교 언어학 서적을 출판하면서 추가적인 증거를 제시했다.[9] 이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데이비드 맥알핀 조교수가 이 이론을 뒷받침하는 논문들을 발표했으며,[5][3] 하라파어 (인더스 문명의 언어)도 이 어족에 속할 수 있다고 추측했다.
2. 1. 초기 제안
엘람드라비다어족이 어떤 방식으로든 관련이 있다는 개념은 19세기 초 두 분야가 시작될 때부터 존재했다. 에드윈 노리스는 1853년에 이 가설을 지지하는 논문을 처음으로 발표했다.[2] 로버트 칼드웰은 1856년에 드라비다어에 관한 비교 언어학 서적을 출판하면서 추가적인 증거를 제시했다.[9]2. 2. 맥알핀의 연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드라비다 언어학 및 언어학 조교수였던 데이비드 맥알핀은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을 뒷받침하는 일련의 논문을 발표했다.[5][3] 맥알핀은 하라파어 (인더스 문명의 언어)도 이 어족에 속할 수 있다고 추측했다.3. 언어학적 논거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에 따르면, 드라비다어족은 현재 이란 남서부에 위치한 엘람을 거쳐 중동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현재의 파키스탄으로 가져온 언어라고 한다.[4][5] 데이비드 맥알핀은 엘람어와 드라비다어 간의 어휘 및 문법적 유사성을 근거로 이 가설을 제시했다. 맥알핀은 두 언어 간에 어휘의 상당 부분이 동계어이거나 동계어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으며, 2인칭 대명사, 격변화, 파생어, 추상 명사, 동사 구조, 시제 등에서 유사성을 발견했다.[6]
3. 1. 어휘 유사성
데이비드 맥알핀은 엘람어와 드라비다어 사이에 몇 가지 유사점이 있음을 확인했다. 그는 드라비다어와 엘람어 어휘의 20%가 동계어이며, 12%는 동계어일 가능성이 높다고 제안했다.[4][5][6] 맥알핀은 엘람어와 드라비다어가 유사한 2인칭 대명사와 평행한 격변화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두 언어는 유사한 파생어, 추상 명사, 그리고 동일한 동사 어간 + 시제 표지 + 인칭 어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과거"와 "비과거"의 두 가지 긍정적 시제를 가진다.[6]3. 2. 문법 유사성
데이비드 맥알핀에 따르면, 드라비다어족은 현재 이란 남서부에 위치한 엘람을 거쳐 중동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현재의 파키스탄으로 가져온 언어라고 한다.[4][5] 맥알핀(1975)은 그의 연구에서 엘람어와 드라비다어 사이에 몇 가지 유사점을 확인했다. 그는 드라비다어와 엘람어 어휘의 20%가 동계어이며, 12%는 가능성이 높은 동계어라고 제안했다. 그는 더 나아가 엘람어와 드라비다어가 유사한 2인칭 대명사와 평행한 격변화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두 언어는 유사한 파생어, 추상 명사, 그리고 동일한 동사 어간 + 시제 표지 + 인칭 어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둘 다 "과거"와 "비과거"의 두 가지 긍정적 시제를 가지고 있다.[6]4. 학계의 반응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은 학계의 주목을 받았으나, 여러 비판도 제기되었다. 바드라라주 크리슈나무르티는 맥알핀이 제안한 형태론적 일치점을 "임시변통적"이라고 평가했고, 카밀 즈벨레빌 등도 비슷한 비판을 했다.[1][8] 게오르기 스타로스틴은 다른 인접 언어족과의 일치점보다 낫지 않다고 비판했다.[9] 대부분의 역사 언어학자들은 이 가설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보며, 엘람어를 고립어로 간주한다.[10][11][12]
4. 1. 지지
이 가설은 학계의 주목을 받았지만, 엘람어에 대한 자료 부족으로 인해 평가가 어렵다.[9] 엘라모-드라비다어족 가설 지지자로는 이고르 디아코노프[7]와 프랭클린 사우스워스가 있다.[3]4. 2. 비판
바드라라주 크리슈나무르티는 맥알핀이 제안한 엘람어와 드라비다어의 형태론적 일치점을 "임시변통적"이라고 평가했으며, 음운론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보았다.[1] 카밀 즈벨레빌 등도 비슷한 비판을 제기했다.[8] 게오르기 스타로스틴은 다른 인접 언어족과의 일치점보다 더 나을 것이 없다고 비판했다.[9] 대부분의 역사 언어학자들은 엘라모-드라비다어족 가설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보고 있으며,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엘람어를 다른 알려진 언어와 관련이 없는 고립어로 받아들인다.[10][11][12]5. 농경의 확산과 가설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은 농경이 근동에서 인더스 계곡 지역으로 엘람을 통해 확산되었다는 주장과 관련이 있다. 엘람과 인더스 문명 간에는 광범위한 교역 증거를 통해 지속적인 연관성이 발견된다.[13]
5. 1. 농경 확산 가설
농경이 근동에서 인더스 계곡 지역으로 엘람을 통해 확산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이는 농경인들이 엘람으로부터 농경뿐만 아니라 새로운 언어를 가져왔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를 뒷받침하는 민족식물학적 데이터에는 밀의 근동 기원 및 명칭(D. 풀러) 등이 있다. 이후 엘람과 인더스 문명 간의 광범위한 교역 증거는 두 지역 간의 지속적인 연관성을 보여준다.[13]렌프루와 카발리-스포르차는 원시 드라비다어가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온 농부들에 의해 인더스 계곡으로 유입되었다고 주장했지만,[14] 최근 해거티와 렌프루는 "맥알핀의 언어 데이터 분석, 즉 그의 주장은 정통에서 거리가 멀다"고 언급하며, 풀러는 드라비다어가 다른 언어와 관계가 없다고 보고, 따라서 인도 고유 언어로 간주한다고 덧붙였다.[14] 렌프루와 반은 여러 시나리오가 데이터와 일치하며, "언어에 대한 배심원단의 평결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고 결론 내렸다.[14]
나라심한 외 (2019)는 인더스 계곡 문명(IVC) 인의 이란 조상 구성 요소가 이란 농부와 관련은 있지만 구별되는 사람들, 즉 기원전 6000년 이후 이란 농부에게 흔했던 아나톨리아 농부 관련 조상이 없는 사람들에 의해 기여되었다고 결론 내렸다. 이러한 이란 농부 관련 사람들은 북인도에서 농경이 시작되기 전에 인도에 도착했을 수 있으며, 성숙한 IVC가 시작되기 전인 기원전 5400년에서 3700년 사이에 인도 사냥꾼-채집인과 관련된 사람들과 섞였다. 실베스터 외 (2019)는 (렌프루 (1996)을 언급하며)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에 고립된 드라비다어 화자인 브라ഹു이족의 존재는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을 뒷받침한다"고 언급했으며, 신석기 시대에 양방향 이주와 혼합이 발생했다고 결론 내렸다.
5. 2. 인더스-메소포타미아 관계
농경이 근동에서 인더스 계곡 지역으로 엘람을 통해 확산되었다는 주장은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의 근거 중 하나이다. 이는 엘람에서 온 농경인들이 농경 기술뿐만 아니라 새로운 언어도 함께 가져왔음을 시사한다. 밀의 근동 기원 및 명칭(D. 풀러)과 같은 민족식물학적 데이터는 이를 뒷받침한다.[13] 엘람과 인더스 문명 간의 광범위한 교역 증거는 두 지역 간의 지속적인 연관성을 보여준다.렌프루와 카발리-스포르차는 원시 드라비다어가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온 농부들에 의해 인더스 계곡으로 유입되었다고 주장했다.[13] 그러나 최근 해거티와 렌프루는 맥알핀의 언어 데이터 분석이 정통에서 거리가 멀다고 언급하며, 풀러는 드라비다어가 다른 언어와 관계가 없다고 보고 인도 고유 언어로 간주한다고 덧붙였다.[14] 렌프루와 반은 여러 시나리오가 데이터와 일치하며, "언어에 대한 배심원단의 평결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고 결론 내렸다.[14]
나라심한 외 (2019)는 인더스 계곡 문명(IVC) 인의 이란 조상 구성 요소가 이란 농부와 관련은 있지만 구별되는 사람들, 즉 기원전 6000년 이후 이란 농부에게 흔했던 아나톨리아 농부 관련 조상이 없는 사람들에 의해 기여되었다고 결론 내렸다. 이러한 이란 농부 관련 사람들은 북인도에서 농경이 시작되기 전에 인도에 도착했을 수 있으며, 성숙한 IVC가 시작되기 전인 기원전 5400년에서 3700년 사이에 인도 사냥꾼-채집인과 관련된 사람들과 섞였다. 실베스터 외 (2019)는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에 고립된 드라비다어 화자인 브라후이족의 존재는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을 뒷받침한다고 언급했으며, 신석기 시대에 양방향 이주와 혼합이 발생했다고 결론 내렸다.
5. 3. 유전학적 연구
나라심한 외(2019)는 인더스 계곡 문명(IVC) 인의 이란 조상 구성 요소가 이란 농부와 관련은 있지만 구별되는 사람들, 즉 기원전 6000년 이후 이란 농부에게 흔했던 아나톨리아 농부 관련 조상이 없는 사람들에 의해 기여되었다고 결론 내렸다.[14] 이러한 이란 농부 관련 사람들은 북인도에서 농경이 시작되기 전에 인도에 도착했을 수 있으며,[14] 성숙한 IVC가 시작되기 전인 기원전 5400년에서 3700년 사이에 인도 사냥꾼-채집인과 관련된 사람들과 섞였다. 실베스터 외(2019)는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에 고립된 드라비다어 화자인 브라후이족의 존재가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을 뒷받침한다고 언급했으며, 신석기 시대에 양방향 이주와 혼합이 발생했다고 결론 내렸다.6. 문명과의 관련 (일본어 위키백과 내용)
고고학적 관점에서 인더스 문명의 언어가 드라비다어족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며,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영향을 받았다는 유사점이 발견된다. 따라서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엘람어와 인더스 문명의 드라비다어족이 같은 계통의 언어여도 이상할 것이 없다. 드라비다어족과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사이에는 문법적 유사성이 존재하며, 이는 이들 언어가 공통 조상에서 파생되었음을 시사한다. 이 공통 조상으로 원(原) 엘람어가 존재했을 가능성도 있다. (노스트라틱어족#원향과 확산 참조).
6. 1. 인더스 문명과 드라비다어족
고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인더스 문명의 언어가 드라비다어족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며, 인더스 문명에는 메소포타미아 문명으로부터의 영향과 유사점이 다수 발견된다. 따라서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엘람어와 인더스 문명의 드라비다어족이 동계 언어여도 이상할 것이 없다. 또한 드라비다어족과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사이에는 문법적 유사성이 존재하며, 이는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양자가 공통 조상에서 파생되었음을 시사한다. 양자의 공통 조상으로서 원(原) 엘람어의 존재를 위치 지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노스트라틱어족#원향과 확산 참조).6. 2. 메소포타미아 문명과의 관계
고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인더스 문명의 언어가 드라비다어족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며, 인더스 문명에는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영향과 유사점이 다수 발견된다. 따라서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엘람어와 인더스 문명의 드라비다어족이 동계 언어여도 이상할 것이 없다. 또한 드라비다어족은 우랄어족, 알타이어족과 문법적 유사성이 존재하며, 이는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양자가 공통 조상에서 파생되었음을 시사한다. 양자의 공통 조상으로서 원(原) 엘람어의 존재를 위치 지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노스트라틱어족#원향과 확산 참조).6. 3. 우랄어족, 알타이어족과의 유사성
드라비다어족과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사이에는 문법적 유사성이 존재하며,[1] 이는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양자가 공통 조상에서 파생되었음을 시사한다. 양자의 공통 조상으로서 원(原) 엘람어의 존재를 상정해 볼 수도 있다(노스트라틱어족#원향과 확산 참조).참조
[1]
서적
Archaeologies of Text: Archaeology, Technology, & Ethics
Oxbow Books
[2]
논문
Proto-Elamo-Dravidian: The Evidence and Its Implications
https://web.archive.[...]
[3]
논문
Rice in Dravidian
[4]
서적
Genetic Disorders of the Indian Subcontin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8-11-25
[5]
논문
David McAlpin
https://www.jstor.or[...]
[6]
간행물
David McAlpin
[7]
서적
When Worlds Collide: The Indo-Europeans and the Pre-Indo-Europeans
Karoma
[8]
서적
The Dravid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2003-01-16
[9]
논문
On the genetic affiliation of the Elamite language
http://starling.rine[...]
[10]
서적
Roger Blench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
서적
Roger D. Woodar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Amalia E. Gnanadesika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3]
Citation
High-resolution analysis of Y-chromosomal polymorphisms reveals signatures of population movements from central Asia and West Asia into India
2001-12
[14]
Citation
The Cambridge World Pre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논문
David McAlpin
https://www.jstor.or[...]
[16]
논문
Rice in Dravid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