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비다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라비다어족은 인도 아대륙의 토착 언어군으로, 타밀어, 텔루구어, 칸나다어, 말라얄람어 등을 포함하며,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인도-아리아어의 확산 이전에 널리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세기 초 언어학자들에 의해 연구가 시작되어 드라비다어군의 범위가 확장되었으며, 현재는 남부, 중남부, 중부, 북부의 4개 그룹으로 분류된다. 드라비다어족과 인더스 문명 사이의 관련성, 다른 언어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어족 내 언어들은 교착어의 특징을 보이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른다. 각 언어는 고유의 문법과 어휘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오랜 문학 전통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라비다어족 - 타밀어
타밀어는 드라비다어족 남부드라비다어파에 속하며 드라비다어족 중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로, 인도 타밀나두 주와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세계 각지의 타밀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 드라비다어족 - 브라후이어
브라후이어는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주에서 사용되는 드라비다어족 언어로, 기원전 3천년 또는 기원후 1000년 이후 유입설이 있으며, 주변 이란어군의 영향을 받아 아랍 문자와 로마자로 표기하고, 소멸 위기 언어로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드라비다어족 | |
---|---|
지도 정보 | |
![]() | |
언어 정보 | |
이름 | 드라비다어족 |
지역 | 남아시아, 주로 인도 남부, 스리랑카 북동부, 파키스탄 남서부 |
어족 색상 | 드라비다 |
계통 | 세계의 기본이 되는 어족 중 하나 |
조상 언어 | 원시 드라비다어 |
하위 어파 | 북부 드라비다어파 중부 드라비다어파 남중부 드라비다어파 남부 드라비다어파 타밀-칸나다 제어 투루 제어 곤디-쿠이 제어 텔루구 제어 콜라미어 파르지어 말토 제어 쿠루크어 브라후이어 |
ISO 639-2 | dra |
ISO 639-5 | dra |
링구아존 | 49= (계통 지역) |
글롯토코드 | drav1251 |
화자 수 | 2억 5천만 명 |
참고 년도 | 2020 |
글롯토코드 이름 | 드라비다어족 |
문화 및 역사 정보 | |
관련 민족 | 드라비다인 |
주요 왕조 | 촐라 왕조 체라 왕조 판디아 왕조 사타바하나 왕조 라슈트라쿠타 왕조 찰루키아 왕조 팔라바 왕조 카카티야 왕조 호이살라 왕조 상가마 왕조 살루바 왕조 툴루바 왕조 아라비두 왕조 나야크 왕조 레디 왕조 아리야차크라바르티 왕조 서강가 왕조 동강가 왕조 |
종교 | 드라비다 민속 종교 힌두교 자이나교 불교 사마나 아지비카 차르바카 |
주요 민족 | 브라후이족 곤드족 칸나다인 코다바족 말라얄리 텔루구인 타밀인 툴루족 이룰라족 나가족 (멸종) 기라바루족 (멸종) 촐라나이칸족 콘드족 코다바족 쿠루크족 파니야족 말토족 솔리가족 코라가족 |
2. 역사
드라비다어족은 크게 남부, 중남부, 중부, 북부 드라비다어파의 네 그룹으로 분류된다.[8]
드라비다어족의 기원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인도 아대륙의 토착 언어군으로 추정된다.[31] 인도-아리아어의 확산 이전에 인도 아대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토착 언어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14세기 산스크리트어 문헌인 《릴라틸라캄》에서는 현재 케랄라 주와 타밀나두 주의 구어가 유사하다고 언급하며 이들을 "드라미다(Dramiḍa)"라고 부른다. 저자는 "카르나타(Karṇṇāṭa)"(칸나다어)와 "안드라(Āndhra)"(텔루구어)를 "드라미다"로 간주하지 않는데, 이는 이들이 "타밀 베다" (《티루바이몰리》)의 언어와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이들을 "드라미다" 범주에 포함시킨다고 언급한다.
1816년, 프랜시스 와이트 엘리스는 타밀어, 텔루구어, 칸나다어, 말라얄람어, 툴루어, 코다바어가 공통의 인도유럽어가 아닌 조상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텔루구어, 칸나다어, 타밀어의 산스크리트어가 아닌 어휘를 상세히 비교하여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했으며, 이들 언어가 공통적인 문법 구조를 공유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1844년, 크리스티안 라센은 브라후이어가 이들 언어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1856년, 로버트 콜드웰은 《드라비다어 또는 남인도어 어족의 비교 문법》을 출판하여 드라비다어군의 범위를 크게 확장하고 드라비다어군을 세계 주요 언어군 중 하나로 확립했다.
1961년, T. 버로우와 M. B. 에메네우는 《드라비다어 어원 사전》을 출판했으며, 1984년에 주요 개정판이 출판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드라비다어족이 기원전 4천년기 또는 3천년기에 이란 고원에서 인도로 유입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하지만,[4] 또는 그 이전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32][33] 재구성된 원시 드라비다어 어휘는 이 어족이 인도 원산임을 시사한다. 원시 드라비다어는 원시 언어로서 역사 기록에 실제로 남아 있지 않다. 1980년대에 이 언어가 기원전 4천년경에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3천년경에 여러 가지 가지로 분화하기 시작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4] 크리슈나무르티는 원시 드라비다어가 인더스 문명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원시 드라비다어의 대략적인 시기를 3천년기 초"로 추정한다. 크리슈나무르티는 또한 남부 드라비다어 I(프로토 타밀 포함)와 남부 드라비다어 II(프로토 텔루구 포함)가 기원전 11세기경에 분리되었고, 다른 주요 가지들도 거의 같은 시기에 분리되었다고 말한다. Kolipakam 등(2018)은 원시 드라비다어를 기원전 2500년경으로 추정한다.[35]
몇몇 유전학자들은 드라비다어와 남아시아 유전적 구성의 원시 남인도(ASI) 구성 요소 사이에 강한 상관 관계가 있음을 지적했다. Narasimhan 등(2019)은 ASI 구성 요소 자체가 기원전 2천년기 초에 인더스 문명과 관련된 인구와 인도 반도에 거주하는 인구의 혼합으로 형성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이 두 집단 중 하나가 원시 드라비다어의 기원일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인더스 계곡 기원설은 브라후이어의 위치와 인더스 문자를 드라비다어로 해석하려는 시도와 일치한다. 반면에, 재구성된 원시 드라비다어의 동식물 용어는 인도 반도 기원설을 뒷받침한다.
인더스 문명(기원전 3300~1900년)은 인더스강 유역에 위치했으며, 드라비다어족과 관련이 있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36] 1924년 인더스 문명을 발견한 후 존 마셜은 그 언어(들) 중 하나가 드라비다어족일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37] 헨리 헤라스, 카밀 즈벨레빌, 아스코 파르폴라, 이라바탐 마하데반 등의 연구자들은 문화적 및 언어적 유사성을 고대 인더스 문명의 원형 드라비다어 기원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로 제시했다.[38][39] 타밀나두에서 발견된 신석기 후기(기원전 2천년기 초, 즉 하라파 문명 쇠퇴 이후)의 석제 석부에 인더스 문자로 추정되는 표식이 새겨져 있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를 드라비다어족과의 관련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로 간주한다.[40][41]
유리 크노로조프는 이 기호들이 음절부호 문자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추측했고, 컴퓨터 분석을 바탕으로 기저 언어로는 집합어적인 드라비다어족이 가장 유력하다고 제안했다.[42] 크노로조프의 제안은 원형 드라비다어를 가정하여 여러 기호의 해독을 제시했던 헨리 헤라스의 연구에 앞선 것이다.[43]
언어학자 아스코 파르폴라는 인더스 문자와 하라파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쓰고 있다.[44] 1994년까지 파르폴라의 연구에 대한 종합적인 설명은 그의 저서 ''Deciphering the Indus Script''에 나와 있다.[45]
현대에 드라비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주로 인도 남부에 거주하지만, 과거에는 더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인도 남부는 드라비다어 사용 지역으로 남아 있지만, 중앙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네팔 등에서도 드라비다어 사용 지역이 발견된다.
쿠르크족과 말토족은 중앙 인도에 있는 드라비다어 사용 지역으로, 인도 남부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그들은 외부 기원에 대한 신화를 가지고 있다.[46] 쿠르크족은 전통적으로 데칸 고원,[47] 특히 카르나타카 출신이라고 주장한다. 브라후이족도 마찬가지로 자신들을 이주민이라고 부른다.[48][49][50]
파키스탄 발루치스탄 주에 거주하는 브라후이족은 어떤 사람들에 의해 언어적으로 잔존 개체군과 동일시되며, 이는 드라비다어가 과거 훨씬 더 널리 사용되었고, 들어온 인도-아리아어족에 의해 대체되었음을 시사할 수 있다. 그러나 브라후이어에 고대 이란어(아베스타어) 차용어가 없다는 것은 브라후이족이 1000년도 안 되는 기간 전에 중앙 인도에서 발루치스탄으로 이주했음을 시사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브라후이어 어휘에 기여한 주요 이란어는 발루치어이며, 쿠르드어와 같은 서부 이란어군으로, 서쪽에서 기원후 1000년경에 이 지역에 도착했다.[53] 쿠르크어와 말토어와 공유하는 음운 변화는 브라후이어가 원래 중앙 인도에서 그들 근처에서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
3. 분류
초기 분류에서는 중부 드라비다어와 남중부 드라비다어를 단일 가지로 분류했다. 반면, 크리슈나무르티는 남중부 드라비다어와 남부 드라비다어를 함께 묶었다. 토다-코타어 가지가 있는지, 코타어가 먼저 갈라져 나온 후 토다어가 갈라져 나왔는지(크리슈나무르티 주장) 등 다른 의견 불일치도 있다.
콜리파캄 외.(2018)은 드라비다어족에 대한 계산적 계통발생학 연구를 수행했다.[8] 그들은 네 개의 드라비다어 가지(남부 드라비다어 I, 남중부 드라비다어 II, 중부 드라비다어, 북부 드라비다어)의 내적 일관성을 뒷받침하지만, 이 네 가지의 서로에 대한 정확한 관계는 불확실하다고 말한다. 드라비다어의 연대는 4,500년 전으로 추정된다.[8]
3. 1. 남드라비다어파
남드라비다어파는 타밀칸나다어군, 툴루어군, 그리고 미분류 언어인 울라탄어로 구성된다.
타밀칸나다어군은 다시 칸나다어와 타밀코다구어로 나뉜다. 칸나다어에는 바다가어, 우랄리어, 칸나다어, 홀리야어가 속한다. 타밀코다구어는 코다구어와 타밀말라얄람어로 나뉘며, 타밀말라얄람어에는 만난어와 말라얄람어 (라불라어, 말라리안어, 말라베단어, 말라얄람어, 말라판다람어, 아라나단어, 카다르어, 파니야어, 팔리얀어 포함), 타밀어 (무투반어, 숄라가어, 이룰라어, 예루쿨라어, 카이카디어, 쿠룸바어, 타밀어 포함)가 속한다. 토다코타어도 타밀코다구어에 속한다.
툴루어군에는 벨라리어, 코라가어(코라어, 무두어 포함), 쿠디야어, 툴루어가 속한다.
3. 2. 중남드라비다어파
중남드라비다어파는 곤드쿠이어군과 텔루구어군으로 나뉜다.
만다펭고어
* 만다어
* 펭고어
쿠이쿠비어
* 코야어
* 쿠이어
* 쿠비어3. 3. 중드라비다어파
콜람나이키어군과 파르지가다바어군으로 구성된다.3. 4. 북드라비다어파
북드라비다어파는 쿠룩어(오라온어, 키산어), 말토어(쿠마르바그 파하리아어, 사우리아 파하리아어)와 브라후이어로 구성된다.[7] 이들 언어 중 인도와 스리랑카 이외에 중심지를 가진 언어는 브라후이어뿐이다.
일부 학자들은 북부 드라비다어가 유효한 소그룹을 형성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북동부(쿠룩-말토어)와 북서부(브라후이어)로 나눈다. 이들의 관련성은 주로 소수의 공통된 음운 변화를 기반으로 제안되었는데, 다음과 같다.[7]
맥알핀(2003)은 처음 두 변화에 대한 정확한 조건을 설정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러한 대응 관계 뒤에 구 드라비다어 *q와 *kʲ를 재구성해야 하며, 브라후이어, 쿠룩-말토어, 나머지 드라비다어는 세 개의 동등한 가지일 수 있으며, 브라후이어가 가장 먼저 갈라져 나온 언어일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한다.[7] 브라후이어와 쿠룩-말토어 사이에는 몇 가지 형태론적 유사점이 알려져 있지만, 맥알핀에 따르면 이는 공유된 혁신이라기보다는 공유된 고어로 분석될 수 있다.[7]
3. 5. 미분류
알라르어, 바지가르어, 바리아어, 카마르어, 카니카란어, 쿠리치야어, 말랑쿠라반어, 비샤반어, 쿰바란어, 카칼라어, 콜라나이칸어, 키르와르어가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미분류 언어로 ''글로토로그''에 등재되어 있다.[7] 쿰바란어와 칵칼라어는 타밀-말라얄람어에 속한다.[8]
4. 다른 어족과의 관계
현재까지 알려진 어족들 중에서 드라비다어족과 관련있는 타 어족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오랜 기간 접촉을 통해 인도 북부 등지에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의 인도아리아어군 언어들과 영향을 주고 받았다.
우랄어족 또는 알타이제어와의 연관성이 주장된 바 있으나 무엇도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였다.[23][24][25][26][27] 로버트 캘드웰, 토마스 버로우, 카밀 즈벨레빌, 미하일 안드로노프 등 드라비다어 언어학자들이 이러한 주장을 제기하였으나, 우랄어 전문가 대부분과 바드리라주 크리슈나무르티를 포함한 드라비다어 언어학자들에 의해서도 기각되었다.[28]
일부 학자들은 수메르 문명의 동쪽에 위치하여 있던 엘람 문명의 엘람어가 드라비다어족과 연관되어 있다는 엘람-드라비다어족 가설을 주장하였다.[30] 1970년대 초, 언어학자 데이비드 맥앨핀이 이 가설을 제시하였고, 1980년대 후반 고고학자 콜린 렌프루와 유전학자 루이지 루카 카발리-스포르차가 뒷받침했다.[29] 이들은 원시 드라비다어가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이란 지역 출신 농부들에 의해 인도로 가져왔다고 제안했다.[29] 그러나 언어학자들은 맥앨핀의 동족어를 설득력이 없다고 판단하고 그의 제안된 음운 규칙을 임의적이라고 비판했다. 엘람어는 일반적으로 학자들에 의해 고립어로 여겨진다. 2012년 Southworth는 서아시아 기원의 "자그로스어족"을 제안했는데, 여기에는 엘람어, 브라후이어, 드라비다어가 세 가지 가지로 포함된다.
드라비다어족은 노스트라트어족 제안에서 주요 언어족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의견은 그러한 깊은 연관성이 입증되지 않았거나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드라비다어와 인더스 문명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간의 관련성이 여러 연구에서 뒷받침되고 있다. 한편, 드라비다어와 우랄어 및 알타이어 사이에도 상당한 유사성이 존재한다. 지리적으로 매우 멀리 떨어진 드라비다어와 우랄어·알타이어의 유사성에는 수수께끼가 많지만,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메소포타미아 문명을 가지고 있던 원엘람인이 한쪽에서는 파키스탄으로 이주하여 인더스 문명·드라비다어족을 탄생시키고, 다른 한쪽에서는 동아시아로 이주하여 요하 문명·우랄-알타이어족을 탄생시켰을 가능성이 있다. 엘람인의 Y염색체 해프로그룹은 J2로 추정되지만, 드라비다인에게는 J2가 약 20% 정도의 중간 빈도로 관찰되며[62], 만주·요하 지역에서도 해프로그룹 J가 약 8% 발견된다.[63]
드라비다어족을 일본어, 바스크어, 한국어, 수메르어,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와 연결시키려는 연구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5. 음운 체계
원시 드라비다어는 산스크리트어 및 남아시아의 다른 인도이란어족 언어들과 달리, 유기음과 성문조음의 대조가 없었다. 그 상황은 그 자손 언어들 사이에서 상당히 다르며, 종종 단일 언어의 레지스터 사이에서도 다르다. 대부분의 현대 드라비다어는 일반적으로 파열음에서 어떤 성문조음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유기음에 대해서는, 이른바 "문어" 드라비다어(타밀어 제외)의 공식적인 변종에서 적어도 오늘날 나타나지만, 덜 공식적인 레지스터뿐만 아니라 많은 "비문어" 드라비다어에서는 드물거나 완전히 없을 수 있다.
타밀어는 원시 드라비다어와 마찬가지로, 공식적인 말에서조차 유성음과 무성음 또는 무기음과 유기음을 음소적으로 구별하지 않는다. 사실, 타밀어 알파벳에는 유성음과 유기음 파열음을 위한 기호가 없다. 반면, 브라후이어는 인접한 신드어에서 사용되는 유기음 전체 목록을 가지고 일반적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드라비다어 중에서 예외적이다.[55] 유기음은 어휘의 인도아리아어 요소에 특히 집중되어 있지만, 드라비다어 어근을 가진 일부 브라후이어 단어도 유기음을 발달시켰다.[55]
대부분의 언어는 그 중간에 있다. 성문조음 대조는 대부분의 드라비다어의 모든 화용 레지스터에서 매우 일반적이다. 유기음 대조는 덜 일반적이지만, 더 높은 또는 더 공식적인 레지스터의 음운론뿐만 아니라 "문어" 언어(타밀어 제외)의 표준 표기법에서 비교적 잘 확립되어 있다. 그러나 구어체 또는 비표준적인 말에서는, 단어의 표준 철자에 나타나더라도 유기음이 일관성 없이 나타나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유기음이 발견되는 언어에서, 그것은 주로 산스크리트어 및 다른 인도이란어족에서 온 많은 수의 차용어에서 나타나지만, 어떤 것은 어원적으로 원어 단어에서도 발견되며, 종종 파열음 + 성문음 집단이 유기음으로 재분석된 결과이다.
드라비다어는 또한 역사적으로 치경음, 치조음, 그리고 설후음 발음 위치 사이의 3방향 구별과 많은 수의 유음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3방향 치경음 구별은 말라얄람어와 닐기리 산맥의 다양한 언어에서만 발견되는데, 이들은 모두 드라비다어족의 타밀-칸나다어파에 속한다.
다른 모든 드라비다어는 치경음과 설후음 사이의 2방향 구별만 유지하는데, 이는 주로 치조음을 치경음이나 설후음과 병합하거나 유음화를 통해 발생한다. 후자는 주로 남부 및 남중부 언어에서 발견되는데, 많은 언어에서 단일 원시 드라비다어 치조음 파열음 '*ṯ*'을 치조음 떨림 과 병합하였다. 그 후, 이들 언어 중 일부에서는 떨림이 치조음 닿소리 로 진화하거나 다른 음운 변화를 겪었다.
원시 드라비다어는 다섯 개의 단모음과 장모음을 가지고 있었다: '*a', '*ā', '*i', '*ī', '*u', '*ū', '*e', '*ē', '*o', '*ō'. 이중모음은 없었고; 'ai'와 'au'는 '*ay'와 '*av' (또는 '*aw')로 처리된다.
음소 길이를 가진 5모음 체계는 후손 언어들에서 대부분 보존되었지만, 주목할 만한 예외도 있다. 닐기리어파(코타어 제외, 코다구어 포함)는 후설 및 치경음 근처 모음에서 유래한 일련의 중앙 모음을 발달시켰다. 단모음 'u'(주로 어말)는 'ŭ/ụ' /ɯ~ɨ~ə/가 되었고, 툴루어와 말라얄람어에서도 음소가 되었는데, 이는 주로 둥근 모음 /u/를 가진 차용어 때문이다. 브라후이어는 모음 체계가 약간 불완전한데, 인도아리아어의 영향으로 단모음 'e'와 'o'가 다른 모음과 합쳐져 장모음만 남았다.
다음은 재구성된 자음 음소들이다.
- *ṯ는 남부 및 남중부 드라비다어에서 떨림소리( *r은 탄음)로 발전했다.
- 타밀어-말라얄람어를 제외한 모든 언어(현대 구어 타밀어 포함)는 파열음에 대한 유성/무성 대립을 발달시켰고, 차용어를 포함하면 모든 언어가 유성/무성 대립을 가지고 있다.
드라비다어는 핀란드어와 비슷하게, 유성 파열음과 무성 파열음을 구분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실제로 타밀어에는 유성 파열음과 무성 파열음을 구분하여 나타내는 기호가 없다. 또한 타밀어에는 성문 파열음과 무성 파열음을 구분하여 나타내는 기호도 없다. 드라비다어군(특히, 말라얄람어, 칸나다어, 그리고 텔루구어)은 유성음과 무성음, 그리고 성문음과 무성음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산스크리트어 및 다른 인도유럽어에서 매우 많은 차용어를 받아들였지만, 이러한 단어들은 드라비다어군 화자들에 의해 드라비다어족 음운에 맞는 발음으로 조정되어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단, 위의 세 언어는 타밀어와 달리, 원래 드라비다어에는 없는 성문 파열음과 무성 파열음의 구분을 산스크리트어 등을 통해 받아들였다.) 드라비다어는 또한 매우 많은 유음과 더불어, 치간, 치경, 역행성 경구개라는 세 가지 조음 위치의 구분으로 특징지어진다.
6. 문법
드라비다어족은 교착어이며,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SOV)이다.[26] 주요 품사는 명사(명사, 수사, 대명사), 형용사, 동사, 불변사(조사, 첨가어, 부사, 감탄사, 의성어, 의태어)이다.[26] 원시 드라비다어는 접미사만 사용했으며, 어근은 항상 앞에 왔다.[26]
드라비다어는 단수와 복수의 두 가지 수를 가지고 있다. 단수는 표시되지 않고, 복수는 접미사로 표현된다. 복수 접미사는 `-(n)k(k)a` (Kui의 '소들'), *-ḷ (Telugu의 '나무들'), 그리고 남드라비다어에서 흔히 사용되는 이 두 가지의 결합인 *-(n)k(k)aḷ (타밀어 '나무들')이 있다.
개별 드라비다어는 서로 다른 성(gender) 체계를 가지고 있다.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은 문법적 성(genus)이 항상 단어의 자연적 성과 일치한다는 점이다. "남성" 또는 "비남성"과 "인간" 및 "비인간" 범주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세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 남드라비다어는 단수에서는 남성(인간, 남성), 여성(인간, 비남성), 중성(비인간)을 구분하고, 복수에서는 인간과 비인간만 구분한다.
# 중앙드라비다어와 많은 남중앙드라비다어는 단수와 복수 모두에서 남성과 비남성만 구분한다.
# 텔루구어와 북드라비다어는 단수에서는 남성과 비남성을 구분하고, 복수에서는 인간과 비인간을 구분한다.
세 가지 유형은 세 가지 언어의 3인칭 지시대명사 형태로 예시된다.
남성 단수 | 여성 단수 | 중성 단수 | 남성 복수 | 여성 복수 | 중성 복수 | |
---|---|---|---|---|---|---|
유형 1: 타밀어 (남드라비다어) | ||||||
유형 2: 텔루구어 (남중앙드라비다어) | ||||||
유형 3: 콜라미어 (중앙드라비다어) |
드라비다어의 조사는 접미사와 느슨하게 연결된 조어(postposition)로 표현된다. 격의 수는 텔루구어의 4격에서 브라후이어의 11격까지 다양하다. 주격은 항상 단어의 표지 없는 기본 형태이다. 다른 격들은 사격(oblique)이라고 불리며, 주격과 동일하거나 특정 접미사로 형성된 어간(stem)에 접미사를 추가하여 형성된다.
원시 드라비다어의 격 접미사는 목적격, 여격, 소유격의 세 가지 격에 대해 재구성될 수 있다. 다른 격 접미사는 드라비다어의 개별 어족에서만 나타난다.
- 목적격: *-ay (타밀어 '코끼리'), *-Vn (텔루구어 '아내')
- 여격: *-(n)k(k)- (타밀어 '너에게'; 텔루구어 '일을 위해')
- 소유격: -*a/ā (칸나다어 '~의'), *-in (타밀어 '왕의')
인칭 대명사는 1인칭과 2인칭에 나타난다. 1인칭 복수에는 포함적(inclusive) 형태와 배타적(exclusive) 형태가 있으며, 즉 화자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된다.[26] 또한 문장의 주어를 가리키는 재귀 대명사가 있으며, 인칭 대명사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다. 원시 드라비다어로 재구성된 인칭 대명사와 재귀 대명사는 아래 표에 나와 있다.
주격 | 사격 | 의미 | |
---|---|---|---|
1인칭 단수 | *yĀn | *yAn | 나 |
1인칭 복수 배타적 | *yĀm | *yAm | 우리(배타적) |
1인칭 복수 포함적 | *ñām | *ñam | 우리(포함적) |
2인칭 단수 | *nīn | *nin | 너 |
2인칭 복수 | *nīm | *nim | 너희들 |
재귀 단수 | *tān | *tan | (그/그녀/것) 자신 |
재귀 복수 | *tām | *tam | 그들 자신 |
지시 대명사는 3인칭 인칭 대명사로도 기능한다. 지시 대명사는 거리 관계를 나타내는 첫 모음과 수와 성을 나타내는 접미사로 구성된다. 거리에는 세 가지 수준이 있다. 먼 거리는 *a-로, 중간 거리는 *u-로, 가까운 거리는 *i-로 시작하는 모음을 사용한다.
드라비다어 동사는 어근에 시제, 법, 인칭 접미사를 붙여 형성된다. 따라서 타밀어 ''varukiṟēṉ'' '나는 온다'는 동사 어간 ''varu-'', 현재 시제 접미사 ''-kiṟ'', 1인칭 단수 접미사 ''-ēṉ''으로 구성된다. 원시 드라비다어에는 과거와 과거가 아닌 시제(미래를 포함) 두 가지 시제만 있었지만, 많은 자손 언어들은 더 복잡한 시제 체계를 발전시켰다. 부정은 특별한 부정 동사 형태로 종합적으로 표현된다(예: 콘다어 ''kitan'' '그는 만들었다', ''kiʔetan'' '그는 만들지 않았다').
드라비다어의 특징은 고정된 주어-목적어-동사 어순(SOV)이다. 따라서 문장에서 주어가 먼저 나오며(시간과 장소의 부수적인 결정 요소가 앞에 올 수 있을 뿐이다), 서술어는 항상 문장의 끝에 온다.
단순 문장은 주어와 서술어로 구성되며, 서술어는 동사 또는 명사가 될 수 있다. 드라비다어에는 연결 동사가 없다. 주어는 일반적으로 주격이지만, 많은 드라비다어에서 감정, 지각 또는 소유를 나타내는 문장에서는 주어가 여격이기도 하다. 말라얄람어를 제외한 모든 드라비다어에서 동사 서술어는 주격 주어와 일치한다.
복문은 주절과 하나 이상의 종속절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문장에는 유한 동사가 하나만 포함될 수 있다. 드라비다어에는 접속사가 없으며, 종속절은 등위절처럼 무한 동사 형태로 형성된다.
7. 어휘
원시 드라비다어의 어근은 대체로 단음절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원시 드라비다어 단어는 단순어, 파생어 또는 복합어일 수 있었다. 반복적 복합어는 단어를 반복하여 형성할 수 있었는데, 타밀어 ''avar'' "그"와 ''avaravar'' "모든 사람" 또는 ''vantu'' "오는"과 ''vantu vantu'' "항상 오는"을 비교해 볼 수 있다. 중복 복합어의 특별한 형태로, 두 번째 단어의 첫 음절이 ''ki''로 대체되는 소위 반향어가 있는데, 타밀어 ''pustakam'' "책"과 ''pustakam-kistakam'' "책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오늘날의 드라비다어는 상속된 드라비다어 어휘 외에 산스크리트어 또는 후대 인도아리아어에서 온 많은 단어를 가지고 있다. 타밀어에서는 20세기 초의 의도적인 언어 순수주의적 경향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을 차지하지만, 텔루구어와 말라얄람어에는 많은 인도아리아어 차용어가 있다. 다른 드라비다어와의 거리 때문에 이웃 언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브라후이어의 경우 어휘의 10분의 1만이 드라비다어 기원이다. 최근에는 인도의 모든 언어와 마찬가지로 드라비다어도 영어에서 광범위하게 차용한 단어를 가지고 있으며, 포르투갈어에서 차용된 단어는 그 수가 적다.
영어에 들어온 드라비다어 단어로는 "orange" (산스크리트어 ''nāraṅga''를 거쳐, 타밀어 ''nāraṅkа̄y'' < ''nāram-kа̄y'' 참조), "catamaran" (타밀어 ''kaṭṭumaram'' "[묶인 통나무로 만든] 배"), "mango" (타밀어 ''māṅkāy'', 말라얄람어 ''māṅṅa'', 포르투갈어 ''manga''를 거쳐), "mongoose" (텔루구어 ''muṅgisa'', 칸나다어 ''muṅgisi'') 및 "curry" (타밀어 ''kaṟi'')가 있다.
타밀어 등 인도 남동부의 언어는 기층 언어였던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문다어파의 영향을 받았다.
칸나다어, 말라얄람어 및 텔루구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산스크리트어 등의 언어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받았으며, 유기음을 차용하여 받아들였다. 산스크리트어 단어와 그 파생어는 칸나다어, 말라얄람어, 텔루구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타밀어는 산스크리트어나 다른 외래어의 영향이 가장 적고, 원 드라비다어에 가장 가까운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북인도의 이슬람화와 인도양에서 이슬람 상인들의 활동에 의해, 북인도의 여러 언어만큼은 아니지만 아랍어와 페르시아어가 산스크리트어에 이어 새로운 상층 언어로서 드라비다어 위에 겹쳐졌다. 이러한 요소에는 힌디어 등 현대 북인도 여러 언어를 매개로 도입된 것과 인도양 무역을 통해 직접 도입된 것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영향은 산스크리트어에 의한 것에 비하면 경미하며, 힌디어를 비롯한 북인도의 여러 언어에서는 아랍어, 페르시아어의 상층에 의해 폐기된 산스크리트어 유래 어휘가, 오히려 이러한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드라비다어에 남아 있는 역설적인 현상도 적지 않다.
단어 | 물고기 | 나 | 밑 | 오다 | 하나 |
---|---|---|---|---|---|
원시 드라비다어 | *mīn | *yān | *kīẓ ~ kiẓ | *waru ~ wā | *onṯu, *oru, *on |
타밀어 | mīṉ | yāṉ, (nāṉ) | kīẓ | varu, vā- | oṉṟu, oru, ōr |
말라얄람어 | mīn | ēṉ, (ñāṉ) | kīẓ, kiẓu | varu, vā- | onnŭ, oru, ōr |
이룰라어 | (nā(nu)) | kiye | varu | ondu, or- | |
코타어 | mīn | ān | kī, kīṛm | vār-, va- | oḏ,ōr, o |
토다어 | mīn | ōn | kī | pōr-, pa- | wïd, wïr, oš |
바다가어 | mīnu | (nā(nu)) | kīe | bā-, bar | ondu |
칸나다어 | mīn | (nānu) | kīẓ, keḷa | ba-, bāru- | ondu, or, ōr |
코다구어 | mīnï | (nānï) | kï;, kïlï | bār-, ba- | ondï, orï, ōr, onï |
툴루어 | mīnɯ | yānu, yēnu | kīḷɯ | barpini | oñji, or, oru |
텔루구어 | mīnu | ēnu, (nēnu) | kri, k(r)inda | vaccu, rā- | oṇḍu |
곤디어 | mīn | anā, (nanna) | vaya | undi, or- | |
콘다어 | mīn | (nān(u)) | vā-, ra- | unṟi, or- | |
쿠이어 | mīnu | ānu, (nānu) | vāva | ro- | |
쿠위어 | mīnu | (nānu) | vā- | ro- | |
만다어 | ān | vā- | ru- | ||
펜고어 | mīn | ān, āneŋ | vā- | ro- | |
콜라미어 | ān | var-, vā | |||
파르지어 | mīni | ān | kiṛi | ver- | |
가다바어 | mīn | ān | var- | ||
말토어 | mīnu | ēn | bare | ort-, -ond | |
쿠룩어 | ēn | kiyyā | barnā- | oṇḍ, ort-, on | |
브라후이어 | ī | ki-, kē- | bar-, ba- | asi(ṭ), on- | |
타밀어-텔루구어는 1인칭 포함 *ñām에서 역으로 형성된 1인칭 단수 대명사 ''*ñān''을 만들었는데, *yān과 유사하다. 타밀어와 같은 일부 언어는 ''yāṉ, nāṉ''과 같이 두 가지 형태를 모두 유지한다.
다음은 드라비다어족의 숫자 1부터 10까지의 목록이다. 비교를 위해 인도유럽어족 언어도 함께 제시하였다.[64]
숫자 | 남부 | 중남부 | 중부 | 북부 | 드라비다 원어 | 인도아리아어파 | 이란어파 | ||||||||||||
---|---|---|---|---|---|---|---|---|---|---|---|---|---|---|---|---|---|---|---|
타밀어 | 칸나다어 | 말라얄람어 | 코다구어 | 투루어 | 베아리어 | 텔루구어 | 곤디어 | 콜라미어 | 쿠르크어 | 브라후이어 | 힌디어 | 산스크리트어 | 마라티어 | 발루치어 | 페르시아어 | ||||
1 | oṉṟu | ondu | onnu | ond | onji | onnu | okaṭi | undi | okkod | oṇṭa | asiṭ | *onṯu 1 | ek | éka | ek | yak | yek | ||
2 | iraṇṭu | eraḍu | raṇḍu | danḍ | raḍḍ | jend | renḍu | raṇḍ | irāṭ | indiŋ | irāṭ | *iraṇṭu 2 | do | dvi | don | do | do | ||
3 | mūṉṟu | mūṟu | mūnnu | mūṉd | mūji | mūnnu | mūḍu | muṇḍ | mūndiŋ | mūnd | musiṭ | *muH- | tīn | tri | tīn | sē | seh | ||
4 | nāṉku | nālku | nālu | nāl | nāl | nāl | nālugu | nāluṇg | nāliŋ | nāx | čār (II) | *nāl | cār | catúr | cār | cār | cahār | ||
5 | aintu | aidu | añcu | añji | ayN | añji | ayidu | saiyuṇg | ayd 3 | pancē (II) | panč (II) | *cay-m- | panc | pañca | pātc | panc | panj | ||
6 | āru | āṟu | āṟu | ār | āji | ār | āṟu | sāruṇg | ār 3 | soyyē (II) | šaš (II) | *cāṯu | che | ṣáṣ | sahā | śaś | śeś | ||
7 | ēẓu | ēlu | ēẓu | ēḻ | yēl | ēl | ēḍu | yeḍuṇg | ēḍ 3 | sattē (II) | haft (II) | *ēẓ | sāt | saptá | sāt | hapt, haft | haft | ||
8 | eṭṭu | eṇṭu | eṭṭu | eṭṭ | enma | ett | enimidi | armur | enumadī 3 | aṭṭhē (II) | hašt (II) | *eṇṭṭu | āṭh | aṣṭá | āṭh | haśt | haśt | ||
9 | oṉpatu 5 | ombattu | ompatu 5 | oiymbad | ormba | olimbō | tommidi | unmāk | tomdī 3 | naiṃyē (II) | nōh (II) | *toḷ/*toṇ | nau | náva | nau | nuo | noh | ||
10 | pattu | hattu | pattu | patt | patt | patt | padi | pad | padī 3 | dassē (II) | dah (II) | *paH(tu) | das | dáśa | dahā | da | dah |
# 타밀어와 말라얄람어에서는 1의 다른 형태로도 사용되지만, 부정관사를 나타낼 때나 명사의 수를 나타낼 때 (예: "한 사람" 등) 사용된다.[64]
# 어근 *īr은 복합어로 볼 수 있으며, 타밀어, 텔루구어, 칸나다어, 말라얄람어에서는 "이중, 두 배"의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irupatu(20, 문자 그대로 "10의 두 배"), iravai(텔루구어로 20), iraṭṭi(타밀어로 "이중의"), iruvar(타밀어로 "두 사람"), ippatthu(ipp-hatthu, 칸나다어로 20, 문자 그대로 "10의 두 배").[64]
# 콜라미어의 5부터 10까지는 텔루구어에서 차용한 것이다.[64]
# 고대 상감 문학에서는 9를 나타낼 때 tondu도 사용되었지만, 후대에는 onpadu로 대체되었다.[64]
# 이 어형은 "10보다 1 적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드라비다 원어의 *toḷ은 타밀어와 말라얄람어에서는 예를 들어 90(thonnooru)에 사용된다.[64]
8. 문자
9. 문학
타밀어, 칸나다어, 텔루구어, 말라얄람어 등 4개의 드라비다어는 오랜 문학 전통을 가지고 있다. 투루어와 코다바어 문학은 비교적 최근에 나타났다. 최근에는 곤디어로 된 오래된 문학도 발견되었다.[57]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드라비다어 비문은 기원전 2세기의 것으로, 타밀나두주의 마두라이 구역과 티루네벨리 구역의 동굴 벽에 새겨진 76개의 고대 타밀어 비문이다. 이 비문들은 타밀 브라흐미라고 불리는 브라흐미 문자의 변형된 형태로 쓰여져 있다. 2019년, 타밀나두 고고학부는 마두라이 근처 케엘라디(Keezhadi)에서 발굴한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기원전 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토기 파편에 타밀-브라흐미 문자로 쓰인 이름이 새겨져 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58] 그러나 이 보고서는 완전한 고고학적 연구의 세부 사항이 부족하며, 다른 고고학자들은 이 유적지에서 얻은 가장 오래된 연대를 이 토기 파편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59] 고대 타밀어로 된 가장 오래된 장문의 텍스트는 5세기 경에 편찬된 타밀 문법과 운율에 관한 저서인 《톨카피얌(Tolkāppiyam)》으로, 가장 오래된 부분은 기원전 2세기 후반 또는 1세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칸나다어로 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비문은 37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시바모가 구역 시랄라코파(Shiralakoppa) 근처 탈라군다(Talagunda)의 프라나베슈와라 사원 단지에서 발굴된 사자 난간(Simhakatanjana) 비문으로, 하산 구역의 할미디 비문(450년)을 대체했다.[60] 9세기의 운율에 관한 논문인 《카비라자마르가(Kavirajamarga)》는 알려진 최초의 문학 작품이다. 가장 오래된 텔루구어 비문은 카다파 구역 에라구디파두(Erragudipadu)의 것으로, 57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최초의 문학 작품은 11세기의 《마하바라타(Mahābhārata)》 일부 번역본이다. 가장 오래된 말라얄람어 텍스트는 9세기의 바자팔리 동판(Vazhappally copper plate)이며, 최초의 문학 작품은 12세기의 《라마차리탐(Rāmacaritam)》이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Dravidic
https://www.dictiona[...]
2021-12-20
[2]
서적
The History of Bhutan
Random House India
2013-04-23
[3]
서적
The Indo-Aryan controversy: evidence and inference in Indian history
2005
[4]
간행물
Tamil Culture
https://books.google[...]
Academy of Tamil Culture
2008-11-25
[5]
서적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Devraj to Jyoti, Volume 2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2020-11-10
[6]
서적
The Cambridge World Pre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7-01
[7]
논문
Velars, Uvulars and the Northern Dravidian hypothesis
[8]
논문
A Bayesian phylogenetic study of the Dravidian language family
2018-03-21
[9]
웹사이트
Proto-Dravidian Agriculture
https://www.sas.upen[...]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24-03-11
[10]
서적
Language Shifts Among the Scheduled Tribes in India: A Geographical Stud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2012-09-07
[11]
웹사이트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2001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and Census Commissioner, India
2017-10-14
[12]
웹사이트
India – Census of India 2011 – LANGUAGE ATLAS – INDIA
https://censusindia.[...]
Registrar General and Census Commissioner of India
2023-09-23
[13]
서적
Global Indian Diasporas: Exploring Trajectories of Migration and Theory
https://books.googl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22-08-14
[14]
서적
India's Low-Skilled Migration to the Middle East: Policies, Politic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2-08-14
[15]
웹사이트
Countries where Tamil is official language தமிழ் நாடுகள்
https://tamilfunda.c[...]
2018-12-24
[1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Tamil Diaspora
http://murugan.org/r[...]
2017-12-30
[17]
웹사이트
Irish Census 2016
https://statbank.cso[...]
2021-06-10
[18]
웹사이트
Vienna Malayalee Association
http://www.viennamal[...]
2021-06-10
[19]
웹사이트
Väestö 31.12. Muuttujina Maakunta, Kieli, Ikä, Sukupuoli, Vuosi ja Tiedot
https://web.archive.[...]
2021-06-10
[20]
웹사이트
Welcome to Nionkairali.com – Indian Malayalees in Japan- Japan malayalees, Malayali, Keralite, Tokyo
http://nihonkairali.[...]
2021-06-10
[21]
뉴스
Where Malayalees once held sway
http://www.dnaindia.[...]
2015-08-11
[22]
웹사이트
Dr Veerendra Heggade in Dubai to Unite Tuluvas for Tulu Sammelan
http://www.daijiworl[...]
2017-11-12
[23]
논문
Dravidian and Uralian: the lexical evidence
[24]
논문
Evidences of the Scythian Affinities of the Dravidian Languages, Condensed and Arranged from Rev. R. Caldwell's Comparative Dravidian Grammar
[25]
논문
Dravidian Studies IV: The Body in Dravidian and Uralian
[26]
백과사전
Dravidian Languages
Encyclopædia Britannica
2006
[27]
논문
Comparative Studies on the Nature of Dravidian-Uralian Parallels: A Peep into the Prehistory of Language Families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amil Studies
[28]
서적
Comparative Dravidian Phonology
Mouton
[29]
논문
The Origins of Indo-European Languages
1989-10
[30]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Mesopotamia, Egypt and Aksum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서적
History of Language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20-11-10
[32]
논문
High-resolution analysis of Y-chromosomal polymorphisms reveals signatures of population movements from central Asia and West Asia into India
Springer India
2001-12
[33]
서적
Genetic Disorders of the Indian Subcontin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8-11-25
[34]
서적
History and Archaeology, Volume 1, Issues 1–2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Ancient History, Culture, and Archaeology, University of Allahabad
[35]
뉴스
Dravidian language family is approximately 4,500 years old, new linguistic analysis finds
https://www.scienced[...]
2018-05-17
[36]
웹사이트
Stone celts in Harappa
http://www.harappa.c[...]
2006-05-06
[37]
뉴스
Pot route could have linked Indus & Vaigai
https://timesofindia[...]
Times of India
2018-10-05
[38]
웹사이트
Peoples and languages in pre-Islamic Indus valley
http://asnic.utexas.[...]
2008-11-20
[39]
서적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2nd Edition
Elsevier
2006
[40]
웹사이트
A Note on the Muruku Sign of the Indus Script in light of the Mayiladuthurai Stone Axe Discovery
http://www.harappa.c[...]
2006-09-04
[41]
뉴스
Significance of Mayiladuthurai find
http://www.hinduonne[...]
The Hindu
2006-05-01
[42]
harvnb
1965
[43]
harvnb
1953
[44]
서적
The Quest for the Origins of Vedic Culture: The Indo-Aryan Migration Debate
Oxford
[45]
harvnb
1994
[46]
서적
The Quest for the Origins of Vedic Culture: The Indo-Aryan Migration Debate
[47]
서적
The Orāons of Chōtā Nāgpur: their history, economic life, and social organization.
[48]
서적
Origin and Spread of the Tamils
[49]
서적
Ideology and status of Sanskrit : contributions to the history of the Sanskrit language
[50]
서적
The Brahui language, an old Dravidian language spoken in parts of Baluchistan and Sind
[51]
서적
Ancient India; Culture and Thought
[52]
서적
Ceylon & Indian History from Early Times to 1505 A.D.
[53]
학술지
A periplus of the 'Brahui problem'
[54]
백과사전
Dravidian languages
http://search.eb.com[...]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06-30
[55]
Q
[56]
서적
Colloquial Tamil : the complete course for beginners
Routledge
2002
[57]
뉴스
Gondi manuscript translation to reveal Gondwana history
https://www.thehindu[...]
The Hindu
2014-01-20
[58]
보고서
Keeladi: an Urban Settlement of Sangam Age on the Banks of the River Vaigai
Department of Archaeology, Government of Tamil Nadu
[59]
학술지
Experts Question Dates of Script in Tamil Nadu's Keeladi Excavation Report
https://thewire.in/t[...]
2019-10-17
[60]
뉴스
Kannada inscription at Talagunda of 370 CE may replace Halmidi inscription as the oldest
https://www.deccanhe[...]
Deccan Herald
[61]
서적
The Dravidian languages
https://doi.org/10.4[...]
Routledge
[62]
학술지
Polarity and temporality of high-resolution y-chromosome distributions in India identify both indigenous and exogenous expansions and reveal minor genetic influence of Central Asian pastoralists
2006-02
[63]
학술지
Dual origins of the Japanese: Common ground for hunter-gatherer and farmer Y chromosomes
2006
[64]
서적
The Dravidian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