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후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후이어는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주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드라비다어족 언어이다.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페르시아만 아랍 국가 및 투르크메니스탄에 분포하며, 칼라트, 쿠즈다르, 마스퉁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브라후이어의 기원과 관련하여 드라비다어족의 잔존 언어인지, 최근 유입된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어휘는 드라비다어, 발루치어, 페르시아어, 인도아리아어 등의 영향을 받았다. 방언 차이는 크지 않으며, 즈랄라와니와 사라와니 방언으로 구분된다.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의 특징을 가지며, 아랍 문자를 사용하며, 최근 로마자 표기법인 브롤리크바가 개발되었다. 유네스코는 브라후이어를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했으며, 보존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라비다어족 - 타밀어
타밀어는 드라비다어족 남부드라비다어파에 속하며 드라비다어족 중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로, 인도 타밀나두 주와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세계 각지의 타밀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 드라비다어족 - 곤드어
곤드어는 인도 중부 및 남부의 곤드족이 사용하는 드라비다어족 언어로, 소멸 위기에 직면하여 데바나가리 문자나 텔루구 문자로 표기되다 최근 곤드 문자 유니코드 등록으로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아프가니스탄의 언어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아프가니스탄의 언어 - 파슈토어
파슈토어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 언어로,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파키스탄 일부 지역의 지방 공용어이며, 다양한 방언과 페르시아-아랍 문자 변형을 사용하고, 파슈툰 민족주의와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며 풍부한 문학 전통을 가진다. - 이란의 언어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이란의 언어 - 다리어
다리어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페르시아어의 한 종류로, 행정, 정부,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며, 사산 왕조 시대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하여 이란 페르시아어와 차이를 보이고, 아프가니스탄 내 다양한 방언 중 카불 방언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브라후이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브라후이어 |
자기 이름 | بروہی (브로히) |
발음 | /bɾaːhuiː/ |
사용 지역 | 발루치스탄 |
사용 국가 |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
민족 | 브라후이족, 발루치족 |
화자 수 | 279만 5천 명 (1980–2017년 센서스) |
언어 계통 | 드라비다어족 |
하위 분류 | 북부 드라비다어파 |
문자 | 페르시아 문자 (나스탈리크체), 라틴 문자 |
ISO 639-3 | brh |
Glottolog | brah1256 |
Glottolog 설명 | 브라후이어 |
![]() | |
지리적 분포 | |
지위 | |
소수 언어 | 파키스탄 |
공식 소수 언어 | 발루치스탄 |
관련 기관 | 발루치스탄 대학교 브라후이어 학과 |
추가 정보 | |
관련 기사 | http://www.livemint.com/Sundayapp/lWCoIZ2K5dPycrhS1gk6nJ/A-slice-of-south-India-in-Balochistan.html |
2. 분포
브라후이어가 발루치스탄에 비교적 최근에 유입된 언어인지, 아니면 이전에 더 널리 퍼져 있던 드라비다어족의 잔존 언어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요제프 엘펜바인(Josef Elfenbein, 1989)에 따르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브라후이인들이 기원전 3천년경 드라비다인의 이동으로 파키스탄 북서부 지역으로 이동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남쪽으로 이동한 다른 드라비다인들과 달리, 그들은 기원전 2000년 이전부터 사라완과 자흘라완에 남아 있었다.[4]
중요한 방언 차이는 없다. 즈랄라와니 방언(남부, 쿠즈다르를 중심으로)과 사라와니 방언(북부, 칼라트를 중심으로)은 *h*의 발음으로 구분되는데, 북부에서만 유지된다.[1] 브라후이어는 페르시아어, 발루치어, 파슈토어를 포함한 이 지역에서 사용되는 이란어군의 영향을 받았다.
브라후이어의 음운 체계는 주변 언어들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모음은 장단 구분이 있으며, 자음은 권설음을 포함하지만 유기음 구분은 없다. 또한, 이 지역에서 흔히 발견되지 않는 마찰음도 존재한다.
브라후이어는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주 중앙부, 주로 칼라트, 쿠즈다르, 마스퉁 현에서 사용되지만, 인접한 현들과 파키스탄 발루치스탄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아프가니스탄에서도 소수가 사용한다. 하지만 브라후이 민족의 많은 구성원들이 더 이상 브라후이어를 사용하지 않는다.[3] 페르시아만 아랍 국가들과 투르크메니스탄에도 규모는 알 수 없지만 매우 적은 수의 브라후이어 사용 이주민들이 있다.
3. 역사
그러나 일부 다른 학자들은 브라후이어가 현재 지역으로 최근에 유입된 언어라고 본다. 그들은 브라후이어가 기원후 1000년 이후에야 인도 중부에서 발루치스탄으로 이동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브라후이인들의 유전적 증거는 이웃 발루치어 사용자들과 구별할 수 없으며, 중앙 드라비다어 사용자들과는 유전적으로 거리가 멀다는 것을 보여준다.[5] 브라후이어 어휘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이란계 언어인 발루치어는 북서 이란어군에 속하며, 기원후 1000년경에 서쪽에서 이 지역으로 이동했다. 어떤 학자는 그 이동 시기를 13세기 또는 14세기 후반으로 보기도 한다. 브라후이어 어휘는 페르시아-아랍어 기원 35%, 발루치어 기원 20%, 인도아리아어 기원 20%, 드라비다어 기원 15%, 알 수 없는 기원 10%로 구성된 것으로 여겨진다.[6]
프랭클린 사우스워스(2012)는 브라후이어가 드라비다어가 아니며, 남아 있는 드라비다어와 엘람어와 연결하여 남서아시아(이란 남부)에서 유래하여 인도아리아인의 이동 이전에 남아시아와 서아시아 동부 일부 지역에 널리 분포했던 "자그로스어족"을 형성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7]
4. 방언
방언명 사용 지역 사라완(brh-sar) 칼라트 중심 북부 자라완(brh-jha) 쿠즈다르 중심 남부
칼라트 방언(brh-kal)은 사라완 방언에 포함되므로 테이블에서 제거하여 중복을 피했다.
5. 음운
브라후이어는 모음과 자음에서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았지만, 고유한 특징 또한 유지하고 있다. 특히, 원시 드라비다어의 흔적을 일부 단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5. 1. 모음
브라후이어는 장모음 /aː eː iː oː uː/|/aː eː iː oː uː/mul와 이중모음 /aɪ̯ aʊ̯/|/aɪ̯ aʊ̯/mul, 단모음 /a i u/|/a i u/mul 사이에 부분적인 길이 구분을 보인다. 인접한 인도아리아어와 이란어의 영향으로 단모음 /e, o/는 나타나지 않는다. 원시 드라비다어 단모음 *e는 어근 음절에서 a, ē, i로, *o는 ō, u, a로 대체되었다.[1]
5. 2. 자음
브라후이어 자음은 역설음화 패턴을 보이지만, 주변 언어에서 발견되는 유기 구분이 없으며, 무성 측 마찰음 와 같이 이 지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여러 마찰음을 포함한다.[1] 자음은 발로치어와 매우 유사하지만, 브라후이어는 마찰음과 비음이 더 많다.순음 | 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치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파열음 | ||||||||||||
마찰음 | colspan="2" | | |||||||||||
측면 접근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전동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접근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는 북부에서는 성문 폐쇄음에 해당하며, 어두와 자음 사이에서 나타난다. 어말 자음 앞에서는 소실된다. 어두 모음 앞에는 비음운론적 성문 폐쇄음이 나타난다. (예: hust (N), ʔust (S) '심장').[2]
- 와 은 많은 경우 자유롭게 변이한다. 대조는 두세 항목으로 제한된다. 의 출현 조건은 명확하지 않다.[2]
- 는 어두에 나타나지 않는다. 북부 브라후이어에서 → 는 앞에 나타난다 (Elfenbein 1998: 394). (예: xūrt → xūṛt '작은').[2]
- 자음 는 북동쪽에서 유기음과 자유롭게 교체된다. 어두 유기 파열음은 남부의 차용어에서 나타나며, 무기 파열음과 자유롭게 변이한다.[2]
- 는 연구개 파열음 앞에 나타난다.[3]
- 브라후이어는 일부 단어에서 원시 드라비다어 후두음 *를 로 보존한다. (예: PD. *caH- ~ *ceH- > Br. kah-).[4]
5. 3. 강세
브라후이어의 강세는 양에 기반한 패턴을 따르는데, 첫 번째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에 놓이거나, 모든 모음이 단모음일 경우 첫 번째 음절에 놓인다.6. 문자
브라후이어는 드라비다어족 언어 중 유일하게 브라마 문자 계열 문자로 쓰인 기록이 없는 언어이다. 20세기 후반부터 아랍 문자로 쓰여 왔으며, 파키스탄에서는 우르두어를 기반으로 한 나스타리크체가 사용된다.[8] 다른 드라비다어족 언어들도 각 언어의 무슬림 소수 민족 화자들에 의해 역사적으로 아랍 문자로 쓰여 왔는데, 대표적으로 아라비-타밀과 아라비-말라얄람이 있다.
최근에는 퀘타에 있는 발루치스탄 대학교(University of Balochistan)의 브라후이어 위원회가 개발하고 탈라르 신문(Talár (newspaper))이 채택한 브롤리크바(Brahui Roman Likvar의 약자)라는 로마자 표기법도 등장했다.[9]
6. 1. 아랍 문자
브라후이어는 드라비다어족 언어 중 유일하게 브라마 문자 계열 문자로 쓰인 기록이 없는 언어이다. 20세기 후반부터 아랍 문자로 쓰여 왔다.[8] 다른 드라비다어들도 각 언어의 무슬림 소수 민족 화자들에 의해 역사적으로 아랍 문자로 쓰여 왔는데, 대표적으로 아라비-타밀과 아라비-말라얄람이 있다.
파키스탄에서는 우르두어를 기반으로 한 나스타리크체가 사용된다. 브라후이어의 철자법은 ڷ|ur 자가 음을 나타내는 점에서 독특하다. 아래 표는 브라후이어 철자법에 채택된 문자들을 보여준다.
문자 | 라틴 문자 대응 | IPA | |||||||||||||||||||||||||||||||||
---|---|---|---|---|---|---|---|---|---|---|---|---|---|---|---|---|---|---|---|---|---|---|---|---|---|---|---|---|---|---|---|---|---|---|---|
{{lang|brh|ا|} | } || á, a, i, u || , , ,
b | á | p | í | s | y | ş | v | x | e | z | ź | ģ | f | ú | m | n | l | g | c | t | ŧ | r | ŕ | d | o | đ | h | j | k | a | i | u | ń | ļ |
구분 기호가 있는 문자는 장모음, 치경후치 및 역설음, 유성 연구개 마찰음 및 무성 측 마찰음을 나타낸다.
7. 보존 노력
많은 사람이 브라후이어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것을 두려워하며, 종종 낮은 계급의 언어로 여기기도 한다. 하지만 브라후이어는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언어이다.
2009년 유네스코(UNESCO) 보고서에 따르면, 브라후이어는 파키스탄의 멸종 위기에 처한 27개 언어 중 하나였다. 당시 브라후이어는 5단계 위험 등급(안전하지 않음, 명확히 멸종 위기, 심각하게 멸종 위기, 극심하게 멸종 위기, 멸종) 중 가장 낮은 단계인 "안전하지 않음"으로 분류되었으나, 이후 이 등급은 "취약"으로 변경되었다.[10]
8. 샘플 텍스트
Bani Adam|바니 아담brh
: 모든 인간은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 평등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대해야 한다.[1]
: 많은 사람들이 브라후이어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종종 그들은 그것을 낮은 계급의 언어라고 여긴다. 하지만 그것은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언어이다.[1]
참조
[1]
OED
Brahui
[2]
웹사이트
A slice of south India in Balochistan
http://www.livemint.[...]
2017-02-18
[3]
서적
International Journal of Dravidian Linguistics, Volumes 36-37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linguistics, University of Kerala
2020-11-00
[4]
웹사이트
BRAHUI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5]
논문
An Ethnolinguistic and Genetic Perspective on the Origins of the Dravidian-Speaking Brahui in Pakistan
2017-00-00
[6]
서적
A contrastive analysis of Brahui and Urdu
http://worldcat.org/[...]
Academy for Educational Development
1991-00-00
[7]
논문
Rice in Dravidian and its linguistic implications
2011-00-00
[8]
웹사이트
Бесписьменный язык Б.
http://www.worklib.r[...]
2015-06-23
[9]
웹사이트
Bráhuí Báşágal
https://sites.google[...]
Brahui Language Board, University of Balochistan
2009-04-00
[10]
서적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Publishing
2010-00-00
[11]
웹사이트
Haftaí Talár
http://www.talarpub.[...]
Talár Publications
2010-06-29
[12]
웹사이트
Бесписьменный язык Б.
http://www.worklib.r[...]
2018-09-23
[13]
웹사이트
Bráhuí Báşágal
https://sites.google[...]
Brahui Language Board, University of Balochistan
2009-04-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