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엘프리데 옐리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프리데 옐리네크는 오스트리아의 소설가, 극작가, 시인으로, 1946년 오스트리아 슈타이어마르크 주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빈 시립 음악원에서 파이프 오르간, 피아노 등을 배우며 음악 교육을 받았고, 빈 대학교에서 미술사와 연극학을 전공했다. 옐리네크는 소설, 희곡, 에세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마르크스주의적 시각과 여성의 성, 권력 관계를 다룬 작품으로 유명하다. 그녀는 과격한 성 묘사, 자국 비판 등으로 논란을 겪었지만, 1998년 게오르크 뷔히너 상, 2004년 노벨 문학상 등을 수상하며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여성주의자 - 로자 마이레더
    로자 마이레더는 오스트리아의 페미니스트 작가이자 사상가, 예술가로서, 가부장적 사회 구조와 당대 페미니즘을 비판하며 여성 권리 옹호, 평화주의 운동에 헌신했고 수채화가 클럽에 입회한 최초의 여성이기도 하다.
  • 오스트리아의 여성주의자 - 파멜라 렌디바그너
    파멜라 렌디바그너는 오스트리아의 의사이자 정치인으로, 감염 역학 및 백신 예방 분야에서 전문 의학자로 활동했으며, 오스트리아 보건여성부 장관과 사회민주당 대표를 역임했다.
  • 루마니아계 오스트리아인 - 리게티 죄르지
    리게티 죄르지는 헝가리 태생 오스트리아 작곡가로, 나치 정권의 탄압과 헝가리 혁명 이후 망명을 통해 전위적인 음악을 탐구하며 음색 군집과 미세 다성악 기법을 활용한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 20세기 후반 현대 음악의 주요 인물로 평가받고 대중적으로도 알려졌다.
  • 루마니아계 오스트리아인 - 플라비우스 다닐리우크
    플라비우스 다닐리우크는 오스트리아 축구 선수로, 아드미라 바커, 라피트 빈 유소년팀, 레알 마드리드와 바이에른 뮌헨 유소년 아카데미를 거쳐 니스에서 프로 데뷔 후 여러 클럽을 거쳐 현재 엘라스 베로나 FC에서 임대 선수로 뛰고 있으며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으로도 데뷔했다.
  • 오스트리아의 공산주의자 - 한스 아이슬러
    한스 아이슬러는 정치적 신념을 음악에 담아 노동 운동과 사회 변혁에 기여한 오스트리아 태생 독일 작곡가로, 쇤베르크에게 사사 후 브레히트와 협력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나치 정권과 매카시즘을 거쳐 동독에서 국가를 작곡하며 사회주의 국가 건설에 기여했다.
  • 오스트리아의 공산주의자 - 카를 라데크
    카를 라데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공산주의 정치 이론가이자 혁명가로, 폴란드, 독일, 러시아 등지에서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 제1차 세계 대전 중 반전 운동,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 활동가, 코민테른에서 활동했으나, 대숙청 시기에 반역 혐의로 처형되었다.
엘프리데 옐리네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엘프리데 옐리네크
원어 이름Elfriede Jelinek
로마자 표기Elfriede Jelinek
2004년의 엘프리데 옐리네크
2004년의 옐리네크
출생일1946년 10월 20일
출생지오스트리아 슈타이어마르크주 뮈르츠투슐라크
국적오스트리아
직업극작가, 소설가
활동 기간1963년–현재
장르페미니즘
사회 비판
포스트드라마 연극
주제페미니즘
사회 비판
포스트드라마 연극
서명
수상
수상 내역게오르크 뷔히너 상 (1998년)
프란츠 카프카 상 (2004년)
노벨 문학상 (2004년)
주요 작품
대표 작품피아니스트
《죽은 자들의 아이들》
탐욕
욕망
기타 정보
교육빈 대학교

2. 생애

슈타이어마르크 뮐츠추슐라크 군에서 1946년 10월 20일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유대계 체코 출신 화학자였고, 어머니는 루마니아 출신의 빈 부유층 가톨릭 신자였다.[3] 김나지움 시절부터 빈 시립 음악원에 다니며 파이프 오르간, 피아노, 리코더를 배웠고, 이후에는 작곡을 공부했다. 빈 대학교에서 미술사와 연극학을 전공했으며, 재학 중이던 1967년에 시집을 출판했다. 같은 해에 대학을 중퇴하고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한편 음악 학교에서의 공부는 계속하여 1971년에 오르간 연주자 국가 시험에 합격하여 졸업했다.

옐리네크는 소설, 희곡, 에세이, 번역, 라디오 드라마, 영화 시나리오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1974년부터 1991년까지 공산당에 입당했으며, 초기에는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착취 비판과 문명 비판적인 작품이 많았지만, 이후에는 부권 사회와 자국 오스트리아의 경직된 관습 사회에 대한 규탄에 초점을 두었다. 한편, 과격한 성 묘사나 신랄한 자국 비판 등으로 오스트리아 보수 단체로부터 "포르노 작가" 등으로 비난을 받기도 했지만, 남성에 의한 성의 지배적 폭력성을 문체적으로 이질화하면서 그 가부장제적 기만성을 고발하고 있다.

1998년 게오르크 뷔히너 상 수상 외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1983년 소설 작품 《피아니스트》는 미하엘 하네케에 의해 영화화되어 2001년 칸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로 선정되었다.

2004년 노벨 문학상 수상 당시 "자신이 공인이 되어 버리는 것은 유감이다"라고 말하며, 토마스 핀천이나 같은 오스트리아 출신인 페터 한트케가 더 적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2005년, 옐리네크의 작품을 "불쾌한 포르노그래피", "예술적인 구축을 포기한 문장의 산"으로 노벨상 수여에 항의하며 크누트 안룬드(Knut Ahnlund)가 스웨덴 아카데미를 퇴회했다.

2. 1. 초기 생애

슈타이어마르크 뮐츠추슐라크 군에서 1946년 10월 20일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유대계 체코 출신 화학자였고, 어머니는 루마니아 출신의 빈 부유층 가톨릭 신자였다.[3] 김나지움 시절부터 빈 시립 음악원에 다니며 파이프 오르간, 피아노, 리코더를 배웠고, 이후에는 작곡을 공부했다. 빈 대학교에서 미술사와 연극학을 전공했으며, 재학 중이던 1967년에 시집을 출판했다. 같은 해에 대학을 중퇴하고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한편 음악 학교에서의 공부는 계속하여 1971년에 오르간 연주자 국가 시험에 합격하여 졸업했다.[8]

2. 2. 작가 활동

빈 대학교에서 미술사학과 음악사학, 연극학을 전공했으며, 재학 중이던 1967년에 시집을 출판했다. 같은 해 대학을 중퇴하고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한편 음악 학교는 계속 다녔으며, 1971년에 오르간 연주자 국가 시험에 합격하여 졸업했다.

옐리네크는 소설, 희곡, 에세이, 번역, 라디오 드라마, 영화 시나리오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1974년부터 1991년까지 공산당에 입당했으며, 초기에는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착취 비판과 문명 비판적인 작품이 많았지만, 이후에는 부권 사회와 자국 오스트리아의 경직된 관습 사회에 대한 규탄에 초점을 두었다. 한편, 과격한 성 묘사나 신랄한 자국 비판 등으로 오스트리아 보수 단체로부터 "포르노 작가" 등으로 비난을 받기도 했지만, 남성에 의한 성의 지배적 폭력성을 문체적으로 이질화하면서 그 가부장제적 기만성을 고발하고 있다.

1998년 게오르크 뷔히너 상 수상 외 다수의 문학상을 받으며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1983년 소설 《피아니스트》는 미하엘 하네케에 의해 영화화되어 2001년 칸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로 선정되었다.[3]

2. 3. 노벨 문학상 수상

Elfriede Jelinek|엘프리데 옐리네크de는 1998년 게오르크 뷔히너 상을 비롯한 다수의 문학상을 받으며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83년 소설 《피아니스트》는 미하엘 하네케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어 2001년 칸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하기도 했다.

2004년 노벨 문학상 수상 당시 옐리네크는 "자신이 공인이 되어 버리는 것은 유감이다"라고 말하며, 토마스 핀천이나 같은 오스트리아 출신인 페터 한트케가 더 적합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2005년에는 옐리네크의 작품을 "불쾌한 포르노그래피", "예술적인 구축을 포기한 문장의 산"으로 비판하며 노벨상 수여에 항의한 크누트 안룬트(Knut Ahnlund)가 스웨덴 아카데미를 퇴회하기도 했다.

3. 작품 세계

엘프리데 옐리네크는 소설, 극작, 수필, 번역, 라디오 드라마영화 시나리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16] 1974년부터 1991년까지 공산당원으로 활동했으며, 초기에는 막시즘 관점에서 문명 비판적인 작품을 주로 썼으나, 이후에는 부권 사회와 모국 오스트리아의 관리에 대한 비판으로 초점을 옮겼다.[11]

1983년에 발표한 소설 《피아노 치는 여자》는 미하엘 하네케 감독에 의해 《피아니스트》로 영화화되어 2001년 칸 국제영화제에서 심사위원대상을 받았다.[11] 옐리네크는 오스트리아의 나치 과거에 대한 비판으로 인해 오스트리아와 스스로를 차별화했지만, 그녀의 글은 잉에보르크 바흐만, 말렌 하우스호퍼, 로베르트 무질과 같은 오스트리아 작가들의 영향을 받아 오스트리아 문학 전통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11]

옐리네크의 작품은 라디오 연극, 시, 연극 텍스트, 격정적인 에세이, 선집, 소설, 번역, 시나리오, 악곡, 오페라 대본과 발레, 영화 및 비디오 아트 등을 포함하며, 다면적이고 매우 논쟁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16] 주요 문학 평론가들로부터 칭찬과 비난을 동시에 받았으며,[17] 프리츨 사건 이후에는 "오스트리아의 변태적인 모습을 '히스테리컬'하게 묘사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18] 그녀의 정치적 활동 또한 서로 다른, 종종 격렬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17]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옐리네크는 1998년 게오르크 뷔히너 상, 2002년과 2004년 뮐하임 극작가상, 2004년 프란츠 카프카 상, 그리고 2004년 노벨 문학상 등 많은 상을 받았다.[17]

2006년 4월, 옐리네크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를 지지했다는 혐의로 코미디 프랑세즈의 레퍼토리에서 제외된 페터 한트케의 연극 ''Die Kunst des Fragens''(질문의 예술)을 지지하는 발언을 했다.[20] 그녀의 작품은 영어권 국가에서는 덜 알려져 있었으나, 2012년 7월과 8월, Just a Must 극단의 ''Ein Sportstück''의 주요 영어 초연으로 영어권 관객들의 주목을 받았다.[21][22] 2013년 2월과 3월, 뉴욕의 Women's Project는 그녀의 ''공주 드라마'' 중 하나인 ''Jackie''의 북미 초연을 무대에 올렸다.[23]

1990년대에 옐리네크는 요르크 하이더의 자유당과 격렬하게 대립하며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24] 1999년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 이후 자유당과 오스트리아 국민당으로 구성된 연립 내각이 구성되자 옐리네크는 이 내각을 강력하게 비판했다.[25]

많은 외국 정부들은 자유당의 민족주의와 권위주의 혐의를 이유로 오스트리아 정부를 외면했다.[26][27] 오스트리아 내각은 자신들에 대한 제재를 오스트리아 전체에 대한 공격으로 해석하고, 연립 정당을 지지하는 국민적 단결(Nationaler Schulterschluss)을 이끌어내려 했다.[28][29] 이로 인해 정치적 분위기가 격화되어 옐리네크와 같은 반대파들은 연립 지지자들로부터 반역 혐의를 받기도 했다.[26][27]

1980년대 중후반, 옐리네크는 매춘부 살인 혐의로 수감되었던 자크 운터베거의 석방을 요구하는 청원에 서명한 오스트리아 지식인 중 한 명이었다. 운터베거는 석방 후 2년 안에 9명의 여성을 더 살해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체포된 후 자살했다.[30]

3. 1. 주요 주제

프리데리케 아이글러는 옐리네크의 글에 나타나는 세 가지 주요하고 상호 관련된 "대상"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자본주의적 소비 사회와 모든 인간 관계의 상품화이다. 둘째, 공적 및 사적 생활에 남아있는 오스트리아 파시스트 과거의 잔재이다. 셋째, 자본주의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이 겪는 체계적인 노동 착취와 억압이다.[12]

옐리네크는 여러 인터뷰에서 카를 크라우스, 엘리아스 카네티, 유대 카바레 등 오스트리아-유대 유머 풍자 전통이 자신의 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13] 지그리트 뢰플러와의 인터뷰에서 옐리네크는 자신의 작품이 현대 오스트리아에서 괴상하게 여겨지는 이유는 풍자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오해받기 때문이며, "유대인이 죽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14] 그녀는 홀로코스트 생존자의 딸로서 자신의 유대인 정체성을 강조하며, 파시즘에 의해 파괴되고 사라져가고 있다고 믿는 유대-비엔나 전통과의 연속성을 주장했다.[15]

여성의 성욕, 성적 학대, 그리고 성 대결은 옐리네크 작품의 주요 주제이다.[19] ''Wir sind Lockvögel, Baby!''(우리는 미끼, 베이비!), ''Die Liebhaberinnen''(연애하는 여자들), ''Die Klavierspielerin''(피아니스트)와 같은 텍스트들은 인간 관계에 내재된 잔혹함과 권력 다툼을 때로는 아이러니컬하게, 형식적이고 엄격하게 통제된 스타일로 보여준다.[19] 옐리네크에 따르면, 권력과 공격성은 종종 관계의 주요 원동력이다.[19] ''Ein Sportstück''(스포츠 연극)은 경쟁 스포츠의 어두운 면을 탐구한다.[19] 그녀의 도발적인 소설 ''Lust''는 성, 공격성, 학대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담고 있으며, 많은 비평가들로부터 포르노그래피에 비유되는 등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도덕적 실패에 대한 냉철한 묘사의 힘을 주목한 다른 평론가들은 이 소설이 오해되고 과소평가되었다고 여겼다.[17]

3. 2. 문학적 특징

옐리네크의 문학은 초기에는 막시즘 관점에서 문명 비판적인 작품이 많았으나, 이후에는 부권 사회와 모국 오스트리아의 관리에 대한 비판에 초점을 옮겼다.[11] 그녀의 글에는 세 가지 주요하고 상호 관련된 "대상"이 있는데, 자본주의적 소비 사회와 모든 인간 관계의 상품화, 공적 및 사적 생활에서 오스트리아 파시스트 과거의 잔재, 그리고 자본주의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의 체계적인 노동 착취와 억압이다.[12]

옐리네크는 오스트리아-유대 유머 풍자 전통이 그녀의 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하며, 특히 카를 크라우스, 엘리아스 카네티, 유대 카바레를 언급했다.[13] 그녀는 자신의 작품이 현대 오스트리아에서 풍자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오해받는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유대인 정체성을 강조하며 파시즘에 의해 파괴되고 사라져가고 있다고 믿는 유대-비엔나 전통과의 연속성을 주장했다.[14][15]

그녀의 작품은 다면적이며 매우 논쟁적이다. 주요 문학 평론가들로부터 칭찬과 비난을 동시에 받았으며,[17] 프리츨 사건 이후, 그녀는 "오스트리아의 변태적인 모습을 '히스테리컬'하게 묘사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18]

여성의 성욕, 성적 학대, 그리고 성 대결은 그녀 작품의 주요 주제이다.[19] ''Wir sind Lockvögel, Baby!'' (우리는 미끼, 베이비!), ''Die Liebhaberinnen'' (연애하는 여자들), 그리고 ''Die Klavierspielerin'' (피아니스트)와 같은 텍스트들은 인간 관계에 내재된 잔혹함과 권력 다툼을 보여준다.[19] 옐리네크에 따르면, 권력과 공격성은 종종 관계의 주요 원동력이다. 그녀의 소설 ''Lust''는 성, 공격성, 학대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담고 있으며, 일부 비평가들은 이 소설을 포르노그래피에 비유하기도 했다.[17]

4. 주요 작품 목록

옐리네크는 소설, 희곡뿐만 아니라 시, 라디오 연극, 에세이, 영화 시나리오, 오페라 대본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발표했다.[16] 그녀의 작품은 문학 평론가들로부터 칭찬과 비난을 동시에 받았으며, 프리츨 사건 이후 "오스트리아의 변태적인 모습을 '히스테리컬'하게 묘사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17][18] 그녀의 정치적 활동 또한 격렬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17]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옐리네크는 1998년 게오르크 뷔히너 상, 2002년과 2004년 뮐하임 극작가상, 2004년 프란츠 카프카 상, 그리고 2004년 노벨 문학상 등 많은 상을 수상했다.[17]

'''발표된 시'''


  • 1967년, 시집 ''Lisas Schatten, 리자의 그림자''


'''한국어 번역 작품'''

  • 『토텐아우베르크 - 시체가 쌓이는 녹색 산야』 (쿠마다 야스아키 역, 1996년, 산겐샤)
  • 『피아니스트』 (나카고메 케이코 역, 2002년, 조에이샤)
  • 『하고 싶은 기분』 (나카고메 케이코, 리타 브릴 역, 2004년, 조에이샤)
  • 『너, 신경 쓸 것 없어 - 슈베르트의 가곡에 기인하는 죽음의 소 삼부작』 (타니가와 미치코 역, 2006년, 론소샤)
  • 『레스트 하우스, 혹은 여자는 모두 이런 것』 (타니가와 미치코 역, 2007년, 론소샤)
  • 『죽음과 처녀 프린세스들의 드라마』 (나카고메 케이코 역, 2009년, 조에이샤)
  • 『죽은 자들의 아이들』 (나카고메 케이코, 스나가 츠네오, 오카모토 카즈코 역, 2010년, 조에이샤)
  • 『빛이 없는.』 (하야시 릿키 역, 2012년, 하쿠스이샤)
  • 『빛이 없는. 삼부작』 (하야시 릿키 역, 2021년, 하쿠스이샤, 하쿠스이 U 북스)

4. 1. 소설

옐리네크는 1970년 소설 ''Wir Sind Lockvogel Baby, 우리는 미끼새들이다''를 발표했다.[16] 1972년에는 소설 ''Michael, 미하엘''을 발표했다.[16] 1975년에는 소설 ''Die Liebhaberinnen, 연인들''을 발표했다.[16] 1980년에는 소설 ''Die Ausgesperrten, 내쫓긴 자들''을 발표했다.[16] 1983년에는 소설 ''Die Klavierspielerin, 피아노 치는 여자''를 발표했다.[16] 1990년 소설 ''Lust, 욕망''을 발표했다.[16] 1995년에는 소설 ''Die Kinder der Toten, 죽은 자의 아이들''을 발표했다.[16] 2000년에는 소설 ''Gier, 탐욕''을 발표했다.[16] 2007/8년에는 인터넷 소설 ''Neid, 시기''를 발표했다.[16]

''Die Liebhaberinnen'' (연인들), ''Die Klavierspielerin'' (피아니스트)와 같은 텍스트들은 인간 관계에 내재된 잔혹함과 권력 다툼을 때로는 아이러니컬하게 형식적이고 엄격하게 통제된 스타일로 보여준다.[19] 옐리네크에 따르면, 권력과 공격성은 종종 관계의 주요 원동력이다.[19] 그녀의 도발적인 소설 ''Lust''는 성, 공격성, 학대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담고 있다. 이 소설은 많은 비평가들로부터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으며, 일부는 이 소설을 포르노그래피에 비유했다. 그러나 도덕적 실패에 대한 냉철한 묘사의 힘을 주목한 다른 평론가들은 이 소설이 그들에 의해 오해되고 과소평가되었다고 여겼다.[17]

'''발표된 소설 목록'''

발표년도작품명(원제)한국어 번역 제목비고
1970wir sind lockvögel baby!우리는 미끼새들이다
1972Michael. Ein Jugendbuch für die Infantilgesellschaft미하엘
1975Die Liebhaberinnen연인들
1980Die Ausgesperrten쫓겨난 사람들
1983Die Klavierspielerin피아니스트
1985Oh Wildnis, oh Schutz vor ihr황야여, 그녀를 지키는 자여
1989Lust하고 싶은 기분
1995Die Kinder der Toten죽은 자들의 아이들
2000Gier탐욕
2007Neid시기옐리네크의 웹사이트에 출판된 개인 소설[40]


4. 2. 희곡

옐리네크는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썼는데, 희곡도 그중 하나이다. 그녀의 희곡은 여성의 성욕, 성적 학대, 성 대결 등을 주요 주제로 다루며, 인간관계의 잔혹함과 권력 다툼을 보여준다.[19] ''Ein Sportstück'' (스포츠 연극)은 경쟁 스포츠의 어두운 면을 탐구한다.[19]

옐리네크의 희곡은 영어권 국가에서는 덜 알려져 있었으나, 2012년 ''Ein Sportstück''의 영어 초연과 2013년 ''Jackie''의 북미 초연을 통해 영어권 관객들에게도 알려지기 시작했다.[20][21][22][23]

옐리네크의 주요 희곡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제목초연 연도초연 장소
노라가 남편을 떠난 후 일어난 일; 또는 사회의 기둥1979년그라츠
클라라 S, 음악 비극1982년
질병 또는 현대 여성. 마치 연극처럼1987년
부르크 극장. 노래가 있는 익살극1985년
욕망과 운전 면허 (포르노그래피)1986년그라츠 슈티리안 아텀
구름. 집1988년
프레지덴트 아벤트빈트. 요한 네스트로이를 매우 자유롭게 따른 드라마 소극1992년인스브루크 티롤 란데스테아터
토테나우베르크1992년부르크 극장(아카데미테아터)
휴게소 또는 그들은 모두 하고 있어. 코미디1994년부르크 극장
막대기, 지팡이, 그리고 갈고리. 수공예품1996년도이체스 샤우슈필하우스
스포츠 연극1998년부르크 극장
그가 아닌 그 (로베르트 발저와 함께)1998년잘츠부르크 페스티벌, 도이체스 샤우슈필하우스 공동
작별 인사2000년베를리너 앙상블
침묵2000년도이체스 샤우슈필하우스
죽음과 소녀 II2000년엑스포 2000, 자르브뤼켄 국립 극장 및 ZKM 칼스루에 공동
아무 문제 없어 – 작은 죽음의 3부작2001년샤우슈필하우스 취리히
알프스에서2002년뮌헨 캄머슈필레, 샤우슈필하우스 취리히 공동
공주 드라마: 죽음과 소녀 I-III 및 IV-V2002년파트 I-III: 도이체스 샤우슈필하우스, 파트 IV-V: 도이체스 극장
그 작품2003년부르크 극장(아카데미테아터)
밤비랜드2003년부르크 극장
이름과 마르기트 "아타밤비 포르노랜드"의 일부2004년샤우슈필하우스 취리히
울리케 마리아 슈투아르트2006년탈리아 극장
동물에 관하여2006년
레흐니츠 (학살 천사)2008년
상인의 계약. 경제 코미디2009년
그 작품 / 버스 안에서 / 추락2010년샤우슈필 쾰른
겨울 여행2011년뮌헨 캄머슈필레
빛 없음2011년샤우슈필 쾰른
파우스트In and out2012년샤우슈필하우스 취리히[42]
거리. 도시. 습격2012년뮌헨 캄머슈필레
그림자 (에우리디케가 말하다)2013년부르크 극장
물론이죠!2013년브레멘 극장
피보호자들2013년 (낭독), 2014년 (제작)함부르크 (낭독), 만하임 (제작)
침묵하는 소녀2014년뮌헨
분노2016년뮌헨
왕의 길에서2017년함부르크
백설공주2018년쾰른
흑수2020년


5.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1986년하인리히 뵐 문학상 (쾰른)
1987년슈타이어마르크주 문학상
1996년브레멘 문학상 - 《죽은 자들의 아이들》(Die Kinder der Toten)
1998년게오르크 뷔히너 상
2002년하인리히 하이네 상 (뒤셀도르프)
2002년베를린 연극상
2002년뮐하임 극작가상 - 《아무것도 아냐》(Macht Nichts)
2003년엘제 라스크 슈 쉴러 극작가상
2004년전쟁 맹인 라디오 연극상 - 《재키》(Jackie)
2004년프란츠 카프카 상
2004년노벨 문학상
2004년스티그 다게르만 상
2004년뮐하임 극작가상 - 《그 작품》(Das Werk)
2009년뮐하임 극작가상 - 《레흐니츠 (교살 천사)》(Rechnitz (Der Würgeengel))
2011년뮐하임 극작가상 - 《겨울 여행》(Winterreise)
2011년미국 예술 문학 아카데미 명예 회원
2017년파우스트 상 평생 공로상
2021년 명예 시민
2021년네스트로이 연극상 평생 공로상


참조

[1]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2004 https://www.nobelpri[...] 2020-09-23
[2] 서적 Contemporary European Playwrigh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7-22
[3] 웹사이트 Elfriede Jelinek biography http://www.notablebi[...] notablebiographies.com 2005-03-23
[4] 웹사이트 Elfriede Jelinek: Introduction http://www.enotes.co[...] eNotes 2002-06-15
[5] 웹사이트 Elfriede Jelinek profile http://www.poetryfou[...] The Poetry Foundation 2013-09-07
[6] 웹사이트 Helene Buchner https://www.geni.com[...] 2023-05-06
[7] 웹사이트 '"Obscene Fantasies": Elfriede Jelinek's Generic Perversions' https://scholarwork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2020-12-05
[8] 서적 Elfriede Jelinek Greenwood Press
[9] 웹사이트 "Portrait of the 2004 Nobel Laureate in Literature"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10-07-13
[10] 웹사이트 Gottfried Hüngsberg profile https://www.imdb.com[...] IMDb.com 2010-07-13
[11] 간행물 How to Get the Nobel Prize Without Really Trying
[12] Citation The Feminist Encyclopedia of German Literature Greenwood Press
[13] 간행물 Modern vs. Postmodern Satire: Karl Kraus and Elfriede Jelinek https://www.jstor.or[...] 2020-12-05
[14] 서적 Holocaust Literature: Agosín to Lentin Routledge 2003
[15] 서적 Keepers of the Motherland: German texts by Jewish women writer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6] 서적 Anti-War Theatre After Brecht Springer 2016
[17] encyclopedia Elfriede Jelinek Gale 2003-03
[18] 뉴스 Wife of incest dad under suspicion http://www.theaustra[...] The Australian 2008-05-05
[19] 뉴스 Elfriede Jelinek: Game on https://www.thestage[...] 2017-10-06
[20] 웹사이트 Accounts http://www.thestage.[...] 2016-08-11
[21] 웹사이트 Postcards from the Gods: Sports Play – Nuffield Theatre, Lancaster http://postcardsgods[...] 2016-08-11
[22] 뉴스 Sports Play at the Nuffield, Lancaster {{!}} The Times http://www.thetimes.[...] 2016-08-11
[23] 웹사이트 Jackie | WP Theater https://wptheater.or[...] 2024-02-25
[24] 웹사이트 DAS KOMMEN https://www.elfriede[...] 2020-09-04
[25] 간행물 The Struggle for a Civil Society and beyond: Austrian Writers and Intellectuals Confronting the Political Right https://www.jstor.or[...] 2004
[26] 서적 Nobel Faces: A Gallery of Nobel Prize Winner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7-12-03
[27] 서적 Gender and Trauma: Interdisciplinary Dialogu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1-11-15
[28] 서적 Discursive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9-01-19
[29] 서적 The New Authoritarianism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2019-03-30
[30] 웹사이트 Johann Unterweger biography http://www.biography[...] Johann Unterweger. (2014). The Biography.com website. 2014-11-22
[31] 웹사이트 Elfriede Jelinek https://www.rowohlt-[...] 2021-12-09
[32] 웹사이트 Awards – Georg-Büchner-Preis – Elfriede Jelinek https://www.deutsche[...] 2021-12-09
[33] 웹사이트 Else-Lasker-Schüler- Preis an Elfriede Jelinek https://www.derstand[...] 2021-12-09
[34] 웹사이트 Hörspielpreis der Kriegsblinden: Auszeichnung für Elfriede Jelinek https://www.spiegel.[...] 2021-12-09
[35] 웹사이트 Franz-Kafka-Preis für Elfriede Jelinek https://deutsch.radi[...] 2021-12-09
[36] 웹사이트 Elfriede Jelinek erhält Literatur-Nobelpreis https://www.deutschl[...] 2004-10-07
[37] 뉴스 Jelinek för Stig Dagerman-priset https://www.svd.se/j[...] 2021-12-09
[38] 뉴스 Mülheimer Dramatikerpreis: Elfriede Jelinek gewinnt zum dritten Mal https://www.faz.net/[...] 2021-12-09
[39] 웹사이트 Sprachmacht gegen Polit-Theater https://www.deutschl[...] 2021-12-09
[40] 웹사이트 Neid https://www.elfriede[...] 2011
[41] 웹사이트 Bambiland – translated by Lilian Friedberg https://www.elfriede[...] 2021-11-16
[42] 웹사이트 FaustIn and out https://www.elfriede[...] 2021-11-16
[43] 간행물 Shadow. Eurydice Says https://muse.jhu.edu[...] 2017
[44] 간행물 BAMBILAND https://read.dukeupr[...] 2009-01-01
[45] 웹사이트 Sport in Art – MOCAK https://en.mocak.pl/[...] 2021-11-15
[46] 서적 Sport w sztuce : Sport in art Muzeum Sztuki Współczesnej w Krakowie
[47] 웹사이트 ELFRIEDE JELINEK - LANGUAGE UNLEASHED http://www.sixpackfi[...] 2023-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