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역사지리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역사지리학은 과거의 지리적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문헌, 고지도, 유물, 유적, 자연환경 등을 활용한다. 연구 영역은 역사, 환경사, 역사 생태학과 밀접하게 관련 있으며, 실제 지표 공간, 인식된 세계, 추상화된 세계를 대상으로 한다. 시대에 따른 분류와 프린스의 분류(현실 세계, 인식된 세계, 추상화된 세계)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며,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독일, 영국, 미국, 프랑스, 일본 등에서 학문적 발전을 이루었으며, 미국지리학자협회, 영국왕립지리학회 등 관련 학술 단체가 존재한다. 주요 학술지로는 Journal of Historical Geography, Historical Geography, 역사지리학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사지리학 - 역사적 지역
    역사적 지역은 과거의 역사적 사건, 문화적 특징, 민족 구성 등을 기준으로 구획된 지역으로, 현대 국가나 행정 구역과 다를 수 있으며 역사 연구, 문화 이해, 지리적 분석 등에 활용된다.
  • 역사지리학 - 시간지리학
    시간지리학은 인간 활동을 시간과 공간 안에서 분석하는 학문으로, 개인의 활동 경로와 제약 요인을 연구하며 시공간 프리즘 등의 개념으로 활동 가능 공간을 보여주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밀접 접촉자 식별에도 활용된다.
역사지리학
학문 분야
학문명역사지리학
영어Historical geography
개요
정의인문지리학의 하위 분야
연구 대상과거의 지리적 현상 및 그 변화 과정
핵심 질문'과거에는 무엇이 어디에 있었고, 왜 거기에 있었는가?'
역사
기원역사학과 지리학의 교차점에서 발생
발전환경결정론 비판을 통해 발전
지역지리학과 계량혁명을 거치며 방법론 발전
비판지리학의 영향으로 새로운 관점 등장
연구 방법
주요 자료고문서
지도
사진
고고학적 유물
분석 기법문헌 연구
지도 분석
공간 분석
주요 연구 주제
자연 환경과거의 기후 변화
지형 변화
생태계 변화
문화과거의 생활 방식
문화 경관의 형성
종교 및 신앙의 지리적 분포
경제과거의 산업 구조
교역로의 변화
도시 및 촌락의 발달
정치과거의 영토 변화
국경의 형성
정치적 권력의 지리적 분포
사회과거의 인구 이동
사회 계층의 지리적 분포
질병의 확산
관련 분야
연관 학문역사학
고고학
인류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지리학 내 분야문화지리학
경제지리학
정치지리학
사회지리학
도시지리학
주요 학자
대표적인 학자칼 O. 사우어
기타
관련 학회역사지리학회
관련 간행물역사지리학 (歴史地理学)

2. 연구대상

역사지리학은 과거의 지리적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다. 이러한 자료에는 문헌, 고기록, 고지도, 유물 및 유적, 그리고 과거의 역사를 간직한 현재의 자연 등이 포함된다.


  • 문헌 및 고기록: 역사학에서 다루는 고문서·고기록도 자료로 사용한다. 검지장·명기장과 같은 대장류와 지지, 명소 안내기, 여행기 등 직접적으로 토지·장소에 대해 기술된 것 외에, 지방서·농서, 에도 막부 문서, 다이묘 문서, 종문인별장, 일기류 등도 사용한다.
  • 고지도: 장원도, 일본도, 세계도, 관선도, 촌도, 도중도, 관제도, 지적도, 외방도, 도시도, 조감도 등은 과거의 경관, 토지 이용, 교통, 행정 구역 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유물 및 유적: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얻어진 유물과 유적은 과거의 생활상, 기술 수준, 사회 구조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 과거의 역사를 간직한 현재의 자연: 지형, 식생, 수계 등 자연환경은 과거의 인간 활동과 상호작용하며 변화해왔다. 따라서 현재의 자연환경을 분석하는 것도 역사지리학 연구에 포함된다.[10][4]


최근 연구에서는 식물학고고학과 같은 비전통적인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10][4]

2. 1. 문헌

역사지리학에서는 역사학에서 다루는 고문서·고기록도 자료로 사용한다. 검주장(検注帳)·검지장(検地帳)·명기장(名寄帳)과 같은 대장류와 지지(地誌), 명소 안내기, 여행기 등 직접적으로 토지·장소에 대해 기술된 것 외에, 지방서(地方書)·농서(農書), 에도 막부 문서, 다이묘 문서, 종문인별장(宗門人別帳), 일기류 등도 사용한다.

2. 2. 고기록

역사학에서 다루는 것과 같은 고문서·고기록도 자료로 사용한다. 검지장·명기장과 같은 대장류와 지지, 명소 안내기, 여행기 등 직접적으로 토지·장소에 대해 기술된 것 외에, 지방서·농서, 에도 막부 문서, 다이묘 문서, 종문인별장, 일기류 등도 사용한다.

2. 3. 고지도

장원도, 일본도, 세계도, 관선도, 촌도, 도중도, 관제도, 지적도, 외방도, 도시도, 조감도 등은 과거의 경관, 토지 이용, 교통, 행정 구역 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과거의 지도·지도(絵図)는 과거의 경관을 복원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역사지리학의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고대 율령제 아래에서 작성된 반전도와 중세의 장원 그림지도, 근세에 막부가 작성한 고쿠에즈 등, 시대에 따라 다양한 그림 지도가 존재한다. 또한, 그려지는 스케일도 세계도, 일본도, 도시도 등 다양하다.[1] 메이지 시대 이후에 작성된 지적도는 토지 한 필지의 형상과 지목을 나타낸 것으로 경관 복원에 유용하다. 그 외, 현대의 지형도와 항공사진도 지형에 남아있는 과거 경관을 찾는 수단으로, 경관 복원 시 베이스맵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근세의 명소도회와 근대에 많이 그려진 조감도는 보다 주관적인 장소 인식이 나타난 것으로 활용된다.[1]

2. 4. 유물, 유적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얻어진 유물과 유적은 과거의 생활상, 기술 수준, 사회 구조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2. 5. 과거의 역사를 간직한 현재의 자연

지형, 식생, 수계 등 자연환경은 과거의 인간 활동과 상호작용하며 변화해왔다. 따라서 현재의 자연환경을 분석하는 것도 역사지리학 연구에 포함된다.[10][4] 이러한 연구는 역사, 환경사, 역사 생태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7] 식물학고고학과 같은 방법을 활용하기도 한다.[10][4] 역사지리학은 전 세계 여러 사회의 문화적 특징이 지역 환경 및 주변 환경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어떻게 나타나고 진화했는지 밝히려고 한다.[8][9]

3. 연구 영역

역사지리학은 지리학과 역사 연구의 방법론을 모두 사용하여 과거의 경관을 복원하고 공간 패턴을 분석하며, 산업 및 교통 양상을 고찰하는 학문이다. 연구 영역은 문헌역사학이나 고고학과 겹치기도 하지만, 역사지리학은 역사적 사건 분석을 통해 과거의 공간 구조와 인간, 사회, 환경의 상호 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70년대 이후 지리학에서 인간의 공간 인지 및 표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그림, 지지, 문학 작품 등으로 당시 사람들의 지리적 인식을 연구하거나, 현재의 과거 인식, 역사적 마을 풍경, 문화적 경관 등 현대를 다루는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3. 1. 시대에 따른 분류

역사지리학에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역사학적 시대 구분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는 중세 이전의 연구가 많았지만, 점차 새로운 시대의 연구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인문지리학회의 학술지 『인문지리』에는 매년 전년도 연구 동향을 개관하는 “학계 전망”이 마련되어 있으며, 2009년 이후 역사지리학의 동향은 “선사·고대”, “중·근세”, “근대·현대”의 3구분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중세 이전의 연구가 감소함에 따라, 2016년 학계 전망부터는 “근세 이전”과 “근·현대”의 2구분으로 재편되었다.[14]

3. 2. 차원에 따른 분류 (프린스의 분류)

영국의 지리학자 프린스(H. Prince)는 역사지리학의 연구 영역을 현실 세계, 인식된 세계, 추상화된 세계의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1]

3. 2. 1. 현실 세계 (Real world)

현실 세계의 지표 공간을 다루는 역사지리학 연구가 많다. 이러한 연구는 사료 비판을 거친 사료를 이용하여 경관을 복원하고, 과거의 객관적인 지리적 모습을 그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양한 방법론과 이론이 제시되고 있으며, 연구 영역 또한 광범위하다. 성곽도시, 절 앞 마을의 경관사와 산, 들, 강, 바다의 환경사, 농업, 임업, 어업, 상업, 공업의 사회경제사, 가도(街道)나 철도 등의 교통사, 해외 이민의 사회사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가 축적되고 있다.

3. 2. 2. 인식된 세계 (Imagined world)

사람들의 인식상의 지표 공간을 다룬다. 1970년대 이후 인문지리학의 발전과 함께 성장한 분야이다. “살아진 공간(Lebenswelt)”이라는 개념에 기초하여, 사람들이 공간·장소에 대해 갖고 있던 인식을 연구한다. 지리적 이미지 분석에는 그림, 문학 작품, 기행문, 지지 등 다양한 자료가 활용된다.

3. 2. 3. 추상화된 세계 (Abstract world)

계량 혁명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 분야이며, 지리 공간 이론이 과거의 지표 공간에도 적용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추상화, 이론화, 법칙 설정을 지향한다. 구체적인 연구로는 야요이 시대의 집락에 대해 티센 이론을 적용한 것[1], 공간적 상호작용 모형에 의해 오미야마이리의 공간적 확산을 검증한 것[2] 등이 있다. 2000년대 이후에는 과거의 정보를 지리 정보 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시각화·분석하는 “Histor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역사 GIS영어”의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3].

3. 3. 주제에 따른 분류

일본의 역사지리학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들이 주로 연구된다.[1] 많은 주제는 역사학, 고고학, 건축사 등 지리학 이외의 학문에서도 연구되고 있다.[1]

4. 학문적 발전과 동향

역사지리학은 과거의 경관을 복원하고 공간 패턴을 분석하거나, 과거의 산업 및 교통 양상을 고찰하는 등 지리학과 역사 연구의 방법론을 모두 사용하는 학문이다. 문헌역사학이나 고고학 등과 연구 영역이 겹치기도 하지만, 역사지리학은 역사적 사건 분석을 통해 과거의 공간 구조와 인간 사회와 환경의 상호 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연구는 과거에는 역사학의 한 분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20세기에 들어 독일, 프랑스 등에서 역사적 경관 변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지리학의 하위 분야로 자리 잡았다.

1970년대 이후 지리학에서 인간의 공간 인지 및 표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역사지리학에도 인간의 내적 세계를 다루는 연구가 나타났다. 그림, 지도, 문학 작품 등을 통해 당시 사람들의 지리적 인식을 파악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의 과거 인식이나 역사적 마을 풍경, 문화적 경관 등 현대를 다루는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4. 1. 독일

페르디난트 폰 리히트호펜과 알프레트 헷트너 등에 의해 체계화된 근대 지리학의 "지리학(Chorologie)" 틀은 오랫동안 영향력을 가졌다. 헷트너는 "과거의 횡단면"이라는 말로 지리학에서 역사지리학의 위치를 설명했다.[11] 이는 일반 지리학이 현대를 대상으로 하는 반면, 역사지리학은 과거 특정 시점의 지리를 연구하는 것이라는 생각이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독일에서는 마을 형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농업사학자 August Meitzen|아우구스트 마이첸영어은 집촌, 산촌, 환촌과 같은 마을의 형태를 민족의 차이에서 설명했다. 지리학자인 오토 슐뤼터는 독일의 마을에 대해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마이첸의 민족 기원설이 부정확하다는 것을 보였다. 슐뤼터는 연구 대상을 경관에 한정하여 "문화 경관의 형태학(Morphologie der Kulturlandschaft)"으로서의 지리학을 제창했다.

슐뤼터는 독일을 중심으로 한 중세·근세 유럽의 옛 경관에 대해 연구하여 경관 변천을 "자연 경관", "원시 경관", "옛 경관"의 세 가지 개념으로 설명했다. 슐뤼터는 경관을 발생 과정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시대가 바뀌어도 끊임없이 그 장소에 나타나는 사건에 주목했다. 시대에 관계없이 발견되는 사건, 즉 "시간의 극복"에야말로 지리적인 진리가 있다고 그는 생각했다.

4. 2. 영국

헨리 클리포드 다비(Henry Clifford Darby)는 11세기 윌리엄 1세에 의해 작성된 토지대장인 둠즈데이 북을 바탕으로 중세 잉글랜드의 경관 복원을 수행했다.[1] 또한, 선사 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잉글랜드의 포괄적인 역사지리학 서적을 편찬했다.[1] 다비에 따르면, 역사지리학 연구는 "과거의 지리(past geographies)", "경관 변천(changing landscapes)", "현재 속의 과거(past in the present)", "지리적 변화(geographical change)"의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1] 그는 방법론으로 "'''연속 단면법'''(successive cross-section)"을 주창하여, 몇몇 시대의 복원도와 그 사이를 잇는 설명을 통해 지역 변화의 전체적인 모습을 그리려고 했다.[1]

다비에 이어 역사지리학 방법론을 주도한 것은 앨런 베이커(Alan Baker)이다.[2] 다비 밑에서 배운 베이커는 기존의 역사지리학을 비판하고, 다른 분야의 지식, 계량적 방법, 행동론적 관점 등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2] 다비와 베이커 등의 활약으로 역사지리학은 영국 지리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세계 역사지리학을 주도하게 되었다.[3]

4. 3.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칼 오트윈 자우어는 20세기 초반부터 지역적 관점에 따라 문화지리학(어떤 사람들은 모든 지리학이라고 말한다)을 재구성하려는 그의 프로그램에 '역사지리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자우어는 경관과 그 안의 문화는 역사를 통한 모든 영향(물리적,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환경적)을 고려해야만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 자우어는 세계 지역에 대한 충분한 전문성을 얻는 유일한 방법으로 지역 전문화를 강조했다. 자우어의 철학은 20세기 중반 미국 지리학적 사상을 형성하는 주요 요인이었다. 오늘날에도 지역 전문가들은 학계 지리학과에 남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리학자들은 이것이 학문 분야에 해를 끼쳤다고 생각한다. 즉, 데이터 수집과 분류에는 너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분석설명에는 너무 적은 노력을 기울였다는 것이다. 후대 지리학자들이 자신들의 이름을 낼 곳을 찾으려고 애쓰면서 연구는 점점 더 지역 특정적인 것으로 변해갔다. 이러한 요인들은 결국 미국에서 지리학을 학문 분야로서 심각하게 의문시하게 만든 1950년대 지리학의 위기로 이어졌을 수 있다.[13]

미국에서는 역사지리학이 문화지리학과 불가분의 형태로 발전했다. 칼 오. 사우어는 농업의 전파와 식생의 변화를 대상으로 주로 역사적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사우어는 미국지리학회 연차총회에서 "역사지리학에 대한 서론"이라는 제목의 회장 취임 연설에서 기존의 지리학이 역사를 경시해왔다고 비판했다. 사우어는 경관을 "자연 경관"에서 "문화 경관"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인류가 새로운 기술과 생활 방식을 획득하거나 자연 경관을 개변해 가는 과정을 "'''시간의 계승'''"에서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이전의 미국 지리학에서는 엘렌 셈플 등에 의한 환경결정론이 주류였지만, 사우어와 그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한 "버클리 학파"는 환경에 대한 인간의 적극적인 개입을 중시하고, 특히 농촌 지역에서의 물질적인 경관 요소의 분포와 전파 연구를 수행했다.

4. 4. 프랑스

폴 비달 드 라 블라슈(Paul Vidal de la Blache)를 시작으로 하는 프랑스 지리학은 전통적으로 역사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했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그 영광으로 가득 찬 프랑스 지리학의 전부가 역사지리학이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 또는 반대로 프랑스에서는 순수한 역사지리학은 존재하지 않고 단순한 보조적인 과학으로서 지리학이나 역사학에 내포되어 왔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1]는 상황이었다. 아날 학파(Annales School)의 창시자로 알려진 역사학자 뤼시앙 페브르(Lucien Febvre)는 『大地와 인류의 진화 ―역사에 대한 지리학적 서론―』이라는 저서에서 지리학 연구사를 소개하고, 스승이기도 한 블라슈를 높이 평가했는데[2], 이는 프랑스에서 지리학과 역사학의 거리가 가까웠음을 보여준다. 블라슈의 영향을 받은 지리학자로는, ''La Géographie de l’histoire''(『역사의 지리학』)이라는 저서를 남긴 Camille_Vallaux|카미유 발로프랑스어[3]와, 루아르 강(Loire) 유역의 지리와 근대 프랑스 포도원의 역사를 기록한 로제 디옹[4] 등이 있다.

4. 5. 일본

일본의 역사지리학 연구는 크게 네 가지 주요 흐름으로 나눌 수 있다.

  • 일본역사지리연구회 계열: 1899년 도쿄대학교 출신의 키타 사다키치와 하라 슈시로를 중심으로 설립되었다. 기관지 『역사지리』를 통해 많은 연구를 발표했으나, 역사적 방법에 치우쳐 역사지리학의 주류가 되지는 못했다. 요시다 토고의 『대일본지명사전』 편찬, 하라 슈시로의 역사 지명 연구와 역사 지도 제작 등이 주목할 만한 업적이다.

  • 교토제국대학 계열: 오가와 타쿠지가 1908년 교토제국대학에 일본 최초의 지리학 강좌를 개설하면서 시작되었다. 코마키 미네시게가 제창한 "'''시간의 단면'''"설은 이후 일본 역사지리학의 방향을 결정지었으며, 요네쿠라 지로와 후지오카 켄지로 등이 이를 계승했다. 후지오카 켄지로는 '''경관 변천사법'''을 제창하여 역사지리학 연구 및 보급에 힘썼다.

  • 도쿄문리과대학·도쿄교육대학·츠쿠바대학 계열: 우치다 칸이치와 그의 제자들이 주도했다. 우치다 칸이치는 철저한 사료 실증주의에 기반한 근세 농촌 연구를 수행했으며, 교토대학 계열이 선사와 고대를 주로 연구한 것과 달리 근세를 중심으로 연구를 전개했다. 1958년 역사지리학회가 설립되었고, 1981년부터는 『역사지리학조사보고』, 2009년부터는 『역사지리학야외연구』가 간행되고 있다.

  • 리쓰메이칸대학 계열: 안다 기노리가 1980년대 일본 최초로 환경고고학을 제창했다. 리쓰메이칸대학에서는 코마키 미츠시게 등의 “경관 변천사” 연구의 영향을 받아 평야부를 중심으로 한 지형 환경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환경고고학은 역사지리학과 연결되어 있지만, 환경결정론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리쓰메이칸대학에는 역사도시방재연구센터가 설치되어 재해에 관한 역사지리학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5. 주요 학술 단체 및 저널

주요 학술 단체로는 미국지리학자협회(AAG)의 역사지리 전문 그룹, 영국왕립지리학회(RGS)의 역사지리 연구 그룹이 있다. 역사지리학 전문 학술지로는 ''Journal of Historical Geography|저널 오브 히스토리컬 지오그래피영어''와 ''Historical Geography|히스토리컬 지오그래피영어''가 있다. 일본의 역사지리학회는 학술지 『역사지리학』을 발간하며, 츠쿠바대학 역사지리학연구실은 『역사지리학 야외 연구』를 발간한다. 『지리학평론』, 『인문지리』 등에도 역사지리학 연구가 게재된다. 일본지리학회에는 근대 일본 지역 형성 연구 그룹이, 인문지리학회에는 역사지리 연구부회가 있다.

5. 1. 국제

Journal of Historical Geography|저널 오브 히스토리컬 지오그래피영어 (JHG)는 역사지리학 분야의 대표적인 국제 학술지이다.[1] ''Historical Geography|히스토리컬 지오그래피영어''는 미국지리학회 역사지리학 전문 부회의 공식 학술지이다.[1]

1975년에는 영국과 미국의 지리학자들을 중심으로 ''Journal of Historical Geography|저널 오브 히스토리컬 지오그래피영어''(JHG)가 창간되었다.[1] 같은 해에 국제역사지리학회(ICHG)도 시작되어, 제1회 회의는 캐나다 킹스턴에서 열렸다.[1]

5. 2. 한국

한국역사지리학회는 역사지리학을 전문으로 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학회이다. 한국역사지리학회는 학술지 《역사지리학》을 발간하고 있다. 대한지리학회와 한국지역지리학회 등 유관 학회와 교류하고 있다.

참조

[1] 논문 Foreword to Historical Geography http://www.tandfonli[...] 1941
[2] 논문 Power, Modernity, and Historical Geography http://www.tandfonli[...] 1991
[3] 서적 An Historical Geography of Europe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90-08-31
[4] 논문 Towards an Integration of Historical Trees into the Mediterranean Archaeological Record: Case Studies from Central Israel https://www.tandfonl[...] 2023-03-04
[5] 논문 Teaching the history of geography: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http://journals.sage[...] 2017
[6] 논문 What Futures for the Pillar of Geography? a Report on the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Historical Geographers, London https://ejournals.un[...] 2015
[7] 논문 The Research Program of Historical Ecology 2006
[8] 논문 Cultural–Historical Geographies of the Archive: Fragments, Objects and Ghosts https://compass.onli[...] 2013
[9] 서적 Driving Spaces: A Cultural-Historical Geography of England's M1 Motorwa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9-07-31
[10] 논문 Ḥamāma: The historical geography of settlement continuity and change in Majdal 'Asqālan's hinterland, 1270–1750 CE https://doi.org/10.1[...] 2023
[11] 서적 Historical Geography Hodder and Stoughton educational 1954
[12] 간행물 Journal of Historical Geography Volome 1, Number 1 1975
[13] 논문 "The apple of my eye": Carl Sauer and historical geography https://doi.org/10.1[...] 1983
[14] 논문 学界展望 人文地理学会 2017
[15] 웹사이트 城下町のかたち http://www.bukkyo-u.[...] 2020-12-07
[16] 웹사이트 筑波大学 生命環境科学研究科 人文地理学研究グループ 発行雑誌・データ https://www.geoenv.t[...] 2022-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