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문지리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문지리학은 인간과 환경 간의 관계를 공간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19세기 환경 결정론에서 시작하여, 지역지리학, 계량 혁명, 비판 지리학 등을 거치며 발전해왔다. 현재는 경제지리학, 도시지리학, 문화지리학, 사회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로 세분화되어 연구가 이루어진다. 연구 방법론으로는 공간 분석, 생태 분석, 지역 복합 분석 등과 경험론, 실증주의, 인문주의, 구조주의 등의 접근 방식이 활용된다. 주요 학술지로는 《안티포드》, 《지오포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문지리학 - 나라
    국가는 주권, 영토, 정부, 외교적 능력을 갖춘 정치 실체이며, 몬테비데오 협약에 따라 국가의 요건을 갖추고 국기, 국가, 애국심 등의 상징을 통해 정체성을 나타낸다.
  • 인문지리학 - 구세계
    구세계는 유럽 중심적 관점에서 아메리카 대륙을 신세계로 지칭하며, 청동기 시대부터 문화적 접촉을 맺었던 북위 45도선과 25도선 사이의 온대 지역, 특히 지중해 지역을 포함한 아프로-유라시아 대륙을 의미한다.
  • 환경사회과학 - 환경 정책
    환경 정책은 대기 및 수질 오염, 폐기물 관리,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보호, 천연자원 관리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기업, 개인이 채택하는 행동 원칙으로, 사회적, 경제적 차원과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여 규제, 경제적, 정보적 수단을 활용하고 정책 분석을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하지만, 정책 효과에 대한 논쟁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정책 통합 및 국제적 협력이 과제로 남아있다.
  • 환경사회과학 - 환경 사회 과학
    환경 사회과학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맥락을 분석하고, 사회역학과의 협력을 통해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제 간 연구 분야이다.
인문지리학
개요
정의세계 여러 민족의 문화, 공동체, 활동에 대한 연구
관련 학문지리학, 사회학, 인류학, 문화 연구
분야
분야행동
인지
비판
문화
동물
어린이
경제
농업
사이버
발전
금융
역사 경제
노동
마케팅
소매
이론 경제
교통
언어
언어학
음악
토착
도덕
심리
감성

성별
종교
음식
건강
역사
고대
상상
인터넷
정치
비판 지정학
선거
지정학
전략
군사
인구
정착
지역
도시
음악
교통
사회
관광
열대
방법론
방법론양적
지도 제작법
컴퓨터 지도 제작
웹 매핑
지질 연대 측정
지리 정보 시스템
분산 GIS
인터넷 GIS
웹 GIS
지질 모델링
지리 수학
지리 통계
지리 시각화
지구 위치 확인 시스템
수로 측량
지도 대수
참여 관찰
사진 측량
원격 감지
통계 조사
측량
토지 변화 모델링
질적
민족지학
지리 시학
인터뷰
설문 조사
이론적 접근
이론적 접근행동
비판
페미니스트
마르크스주의
비재현 이론
모더니즘
구조주의
기호학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 구조주의
해체주의

2. 역사

인문지리학의 역사는 지리학적 사고와 방법론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보여준다.

1830년 영국에서 왕립 지리학회가 설립되었다.[5] 1883년 영국 최초의 지리학 교수가 임명되었고,[6] 1922년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의 지리학 교수로 임명된 핼퍼드 존 매킨더는 영국에서 등장한 최초의 주요 지리학적 지성으로 평가받는다.[6]

1888년 미국에서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가 설립되어, 지리 정보를 대중에게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한 잡지인 ''내셔널 지오그래픽''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이 협회는 오랫동안 지리 연구 및 교육을 지원해 왔다.

1904년 미국 지리학회가 설립되었으며, 2016년에 회원들의 국제적인 특성을 반영하고자 미국 지리학자 협회로 명칭을 변경했다.

존 스노우가 작성한 1854년 브로드 스트리트 콜레라 발생 지도는 지리학적 방법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한 초기 사례 중 하나이다. 의사이자 역학의 선구자였던 스노우의 지도는 보건 지리학의 초기 사례로 볼 수 있다.

2. 1. 고대 및 중세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에는 지구가 둥글다는 생각과 경도위도 개념이 등장했다. 에라토스테네스는 최초로 지구 둘레를 계산했고, 프톨레마이오스는 세계 지도를 제작했다. 이슬람 세계에서는 알 이드리시 등이 지리학과 지도 제작에 기여했다. 중국에서는 독자적인 지도 제작 전통이 발전했으며, 한국에서는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와 같은 지도가 제작되었다.

2. 2. 근대

대항해 시대의 지리적 탐험과 식민지 확장은 인문지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세기와 19세기에 걸쳐 환경결정론과 지역지리학이 등장하였다.

환경 결정론은 사람들의 신체적, 정신적, 도덕적 습관이 자연 환경의 영향에 직접적으로 기인한다는 이론이다. 그러나 19세기 중반, 환경결정론은 현대 과학과 관련된 방법론적 엄격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이후 인종차별과 제국주의를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지역지리학은 공간을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가능론 및 문화 생태학과 관련하여, 사회와 문화에 대한 환경의 인과적 영향에 대한 일부 개념은 환경결정론과 함께 남아 있었다.

이 시기의 주요 학자로는 칼 리터 등이 있으며, 그는 지리학의 물리적 측면과 인문적 측면 사이의 연결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2. 3. 현대

1960년대 계량 혁명으로 인해 지역지리학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학문의 지나치게 설명적인 특성에서 과학적 엄격성이 부족하다는 인식과 지리학이 물리 지리학과 인문 지리학의 두 하위 분야 및 지질학으로부터 계속 분리되면서, 20세기 중반의 지리학자들은 공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계 및 수학적 모델을 적용하기 시작했다.[1] 계량 혁명 동안의 많은 발전은 현재 지리 정보 시스템의 사용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프레드 K. 섀퍼, 왈도 토블러, 윌리엄 개리슨, 피터 해게트, 리처드 촐리, 윌리엄 벙게, 토르스텐 헤거스트랜드 등이 이 시기의 대표적인 지리학자이다. 통계, 공간 모델링 및 실증주의적 접근 방식은 여전히 인문 지리학의 많은 분야에서 중요하다.

1970년대부터는 지리학과 관련된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비판 지리학'이라는 용어로 알려진 이러한 비판은 학문의 또 다른 전환점을 알렸다. 사람들이 지각된 공간과 장소를 만들고 위치 결정을 하는 방식을 이해하기 위한 행동 지리학이 잠시 등장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기법을 활용하는 '급진 지리학'이 등장했다. 데이비드 하비와 리처드 피트가 대표적인 급진 지리학자이다. 이들은 계량적 방법을 통해 인식된 문제에 대해 의미 있는 이야기를 하고,[7] 설명을 제시하기보다는 설명을 제공하고, 대안과 해결책을 제시하며, 실증주의자들과 관련된 객관성 대신 정치적으로 참여하고자 한다.[8] (계량 혁명의 객관성은 자본의 도구라고 급진 지리학자들에 의해 비판받았다). 마르크스주의 및 관련 이론과의 연관성을 가진 급진 지리학은 현대 인문 지리학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 있다(''Antipode'' 참조). 이푸 투안의 연구와 관련된 '인문 지리학'은 질적 접근 방식을 요구했다.

비판 지리학의 변화는 페미니스트 지리학, 새로운 문화 지리학, 정착 지리학, 그리고 포스트모던 및 포스트 구조주의 이론 및 철학과의 연계를 포함한 학문의 현대적 접근 방식으로 이어졌다.

20세기 전반의 인문지리학은 특정 지역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 즉 지역지리학적 연구를 지향했다. 지리적 사상의 지도화를 통한 귀납적인 고찰이 주로 이루어졌지만, 나열적인 지역 기술이 되기 쉬웠다. 이러한 한계에 대한 반성으로 법칙 정립적인 지리학을 목표로 하는 흐름이 발생했고, 1960년대 이후 계량혁명에 따라 인문지리학의 각 분야 연구에서 계량적 분석법이 도입되었다. 이로 인해 실증주의 지리학이 발전했고, 사회과학에서 공유되는 연구법이 지리학에서도 사용되게 되었다. 한편, 계량지리학에 대한 비판으로 1970년대 이후에는 인문주의 지리학 등 인간 자체에 주목한 연구의 세력이 증가했다. 또한, 선진국에서 나타난 사회적 모순의 영향을 받아 급진지리학이 발전했다.

1990년대 이후에는 마이너리티젠더에 대한 주목이 깊어지거나, 문화적인 관점에서 경관이나 장소를 고찰하는 경향이 강화되었다. 인간의 의지 등 인간 자체에 관한 연구에서 다른 인문·사회과학과의 관계성이 강화되었다. 데이비드 하비자본론 공간론적 재해석과 에드워드 소자의 포스트모던 지리학은 다른 인문·사회과학에 공간에 대한 주목의 중요성을 알렸다(공간론적 전환). 공간론적 전환은 인문지리학과 다른 인문·사회과학을 융합한 GeoHumanities라는 학문을 성립시켰다.

20세기 후반, 이러한 연구 조류가 다수 발생함으로써 인문지리학에서는 많은 학파가 형성되었다.

3. 연구 분야

인문지리학은 경제지리학, 도시지리학, 사회지리학, 문화지리학, 역사지리학, 정치지리학 등으로 세분화된다.[16]

분야설명세부 분야
경제지리학지구 전반에 걸친 경제 활동의 위치, 분포 및 공간적 조직을 연구한다.마케팅 지리학, 교통 지리학
도시지리학도시, 마을 등 인구 밀도가 높은 정착 지역을 연구한다.경제 지리학, 인구 지리학, 정주 지리학
사회지리학인문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문화지리학문화적 산물과 규범, 공간과 장소에 따른 변동과 관계를 연구한다.사회지리학, 동물지리학, 언어지리학, 성과 공간, 아동지리학, 종교지리학
역사지리학과거의 인문, 물리, 이론, 실제 지리를 연구한다.
정치지리학정치적 과정의 공간적 결과와 그 과정이 공간 구조에 영향을 받는 방식을 연구한다.선거지리학, 지정학, 전략지리학, 군사지리학
정주지리학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을 연구하며, 건물과 인프라가 집중된 지역을 연구한다.
인구지리학인구의 분포, 구성, 이동 및 성장의 공간적 변동이 환경과 관련되는 방식을 연구한다.
건강지리학건강, 질병, 의료 서비스 연구에 지리 정보, 관점 및 방법을 적용한다.


3. 1. 경제지리학

경제지리학은 지구의 지리학을 연구하며, 인류의 생활 수준삶의 질을 참고하여 지구 전반에 걸친 경제 활동의 위치, 분포 및 공간적 조직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연구 대상은 연구자의 방법론적 접근 방식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인간의 경제 시스템, 국가 및 기타 요인과 생물물리적 환경 간의 관계를 연구한다.

거리 시장, 미얀마 시장

  • 세부 분야: 마케팅 지리학, 교통 지리학

3. 2. 도시지리학

정주지리학은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을 연구하는 분야로, 건물과 인프라가 집중된 지역을 연구한다. 이러한 지역은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경제 활동의 대부분이 집중된 곳이다.[11][12]

도시지리학은 도시, 마을 및 기타 비교적 인구 밀도가 높은 정착 지역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주요 관심사는 입지(정착지가 물리적 환경과 관련하여 어떻게 위치하는지)와 상황(정착지가 다른 정착지와 관련하여 어떻게 위치하는지)이다. 또 다른 관심사는 다양한 인구 통계 집단 및 사회 기반 시설의 레이아웃과 관련한 도시 지역의 내부 조직이다. 이 하위 분야는 또한 도시 지역에서 나타나는 과정과 패턴에 대한 관여를 살펴보기 위해 인문 지리학의 다른 분야의 아이디어를 활용한다.[11][12]

세부 분야로는 경제 지리학, 인구 지리학, 정주 지리학 등이 있다. 이것들이 도시지리학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일한 세부 분야는 아니지만, 주요 분야 중 일부이다.[11]

3. 3. 사회지리학

사회지리학은 인문지리학의 한 분야이다.[1]

분류:인문지리학

3. 4. 문화지리학

문화지리학은 문화적 산물과 규범, 즉 공간과 장소에 따른 그들의 변동과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언어, 종교, 경제, 정부 및 기타 문화 현상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어떻게 변동하거나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그리고 인간이 공간적으로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둔다.[9]

아시아의 계단식 벼농사


세부 분야로는 사회지리학, 동물지리학, 언어지리학, 성과 공간, 아동지리학, 종교지리학 등이 있다.

3. 5. 역사지리학

역사지리학은 과거의 인문적, 물리적, 이론적, 그리고 "실제" 지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역사지리학은 광범위한 문제와 주제를 연구한다. 흔한 주제는 과거의 지리와 장소 또는 지역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많은 역사지리학자들은 사람들이 환경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고 문화 경관을 만들어왔는지 포함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리적 패턴을 연구한다.

3. 6. 인구지리학

인구지리학은 인구의 분포, 구성, 이동 및 성장의 공간적 변동이 환경 또는 위치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1] 인구 분포, 인구 이동, 인구 구조, 저출산·고령화 문제 등을 다룬다.

3. 7. 정치지리학

정치지리학은 정치적 과정의 공간적으로 불균등한 결과와 정치적 과정 자체가 공간 구조의 영향을 받는 방식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하위 분야로는 선거지리학, 지정학, 전략지리학, 군사지리학 등이 있다.

3. 8. 정주지리학

정주지리학은 도시 지리학을 포함하며, 정주의 공간적, 관계적, 이론적 측면에 특히 중점을 두고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즉, 건물과 인프라가 집중된 지역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역은 경제 활동의 대부분이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집중된 곳이다.

3. 9. 건강지리학

의료 또는 건강 지리학은 건강, 질병, 의료 서비스 연구에 지리 정보, 관점 및 방법을 적용하는 학문이다. 건강 지리학은 사람과 환경 사이의 공간적 관계와 패턴을 다루며, 질병이 어떻게 확산되고 억제되는지, 그 이유를 연구하는 인문 지리학의 하위 분야이다.[10]

4. 연구 방법론

인문지리학은 연구 대상과 방법에 따라 다양한 접근 방식을 취한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전반에는 지역지리학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특정 지역의 인문적, 물리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연구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나열적인 지역 기술에 그치기 쉽다는 비판을 받았다.[2]

1960년대 계량 혁명 이후, 인문지리학의 각 분야에서는 계량적 분석법이 도입되어 실증주의 지리학이 발전했다.[3] 이 시기에는 프레드 K. 섀퍼, 왈도 토블러, 윌리엄 개리슨 등이 대표적인 지리학자로 활동했으며, 지리 정보 시스템의 사용이 이러한 계량 혁명의 발전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는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과 함께 비판 지리학이 등장했다. 행동 지리학은 사람들이 공간과 장소를 인식하고 위치 결정을 하는 방식을 이해하고자 했으며,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기법을 활용한 급진 지리학은 데이비드 하비, 리처드 피트와 같은 지리학자들을 통해 발전했다. 급진 지리학자들은 계량적 방법의 한계를 지적하고, 사회 문제에 대한 대안과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했다.[4]

이푸 투안의 연구와 관련된 '인문 지리학'은 질적 접근 방식을 강조했다. 비판 지리학의 변화는 페미니스트 지리학, 새로운 문화 지리학 등 현대적 접근 방식으로 이어졌다.

이처럼 다양한 연구 조류가 등장하면서, 인문지리학에는 많은 학파가 형성되었다.[5]

4. 1. 전통적 방법론

피터 해겟은 연구 방법에 따라 인문지리학을 공간 분석, 생태 분석, 지역 복합 분석으로 분류했다.[1] 공간 분석은 연구 대상의 위치나 분포에, 생태 분석은 지역 구성 요소 간의 관계성에 주목한다.[2] 지역 복합 분석은 공간 분석과 생태 분석을 결합한 것이다.[2]

제임스 버드(James Bird)는 접근 방식에 따라 인문지리학을 경험론, 실증주의, 인문주의, 구조주의로 분류했다.[1] 이는 인문 지리학이나 급진 지리학 등의 발전을 바탕으로 고안되었다.[1]

4. 2. 계량적 방법

피터 해겟은 연구 방법에 따라 인문지리학을 공간 분석, 생태 분석, 지역 복합 분석의 세 가지로 분류했다.[1] 공간 분석은 연구 대상의 위치나 분포에 주목하고, 생태 분석은 지역 구성 요소 간의 관계성에 주목한다.[2] 지역 복합 분석은 공간 분석과 생태 분석을 복합한 것이다.[2]

4. 3. 질적 방법

주어진 소스에는 질적 방법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그러나 연구 방법에 따른 분류를 언급하고 있으므로, 이를 간략하게 소개하는 방식으로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피터 해겟은 인문지리학의 연구 방법을 공간 분석, 생태 분석, 지역 복합 분석의 세 가지로 분류했다.[1] 공간 분석은 연구 대상의 위치나 분포에, 생태 분석은 지역 구성 요소 간의 관계성에 주목한다.[2] 지역 복합 분석은 공간 분석과 생태 분석을 복합한 고찰 방법이다.[2]

4. 4. 비판적 접근

인문지리학의 하위 분야에서는 다양한 철학적 접근 방식이 연구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 지리학자는 페미니스트 지리학자나 마르크스주의 지리학자가 될 수 있다.

비판적 접근 방식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

  • 비판 지리학
  • 페미니스트 지리학
  • 마르크스주의 지리학
  • 탈식민주의


1970년대 이후, 선진국에서 두드러진 사회적 모순의 영향을 받아 급진지리학이 발전했다.[2] 1990년대 이후에는 마이너리티젠더에 대한 관심이 깊어졌고, 문화적 관점에서 경관이나 장소를 고찰하는 경향이 강화되었다.[3]

5. 주요 학술지

인문지리학은 여러 학술지를 통해 연구 결과 및 저술물을 발표한다. 인문지리학은 학제 간 연구 분야이지만, 인문지리학에 초점을 맞춘 다수의 저널이 존재한다. 주요 학술지는 다음과 같다.

학술지명설명
ACME: 비판적 지리학을 위한 국제 전자 저널[13]
안티포드
아레아
인문지리학 대화
경제지리학
환경 및 계획
지오포럼
지오그라피스카 안날러
지오휴머니티스[14]
글로벌 환경 변화: 인간과 정책적 차원[15]
인문지리학
이주 레터
인문지리학의 발전
사우스이스턴 지오그래퍼[16]
사회 및 문화 지리학[17]
경제 및 사회 지리학 저널
영국 지리학자 협회 논문집
『인문지리』일본 인문지리학회
『인문지리』중국 시안외국어대학교 인문지리연구소
지리 학회지(Geographische Zeitschrift)


참조

[1] Encyclopedia Human Geography Blackwell
[2] 웹사이트 Human Geography http://www.bl.uk/res[...] 2017-02-26
[3] 웹사이트 Human Geography http://www.geog.uni-[...] 2017-02-23
[4] 서적 Cultural Landscape, The: An Introduction to Human Geography Pearson
[5] 웹사이트 History http://www.rgs.org/A[...] 2011-03-09
[6] 간행물 Chairs of Geography in British Universities https://www.jstor.or[...] 2023-07-16
[7] 서적 Social Justice and the City Edward Arnold
[8] 웹사이트 Antipode: A Radical Journal of Geography: Celebrating Over 40 years of Radical Geography 1969–2009 http://www.wiley.com[...] 2010-05-31
[9] 서적 The human mosaic: a thematic introduction to cultural geography HarperCollinsCollegePublishers
[10] 간행물 Health geography: supporting public health policy and planning
[11] 간행물 Urban geography: city structures
[12] 서적 Urban Geography, 3rd. Edition Wiley
[13] 웹사이트 ACME journal homepage. http://www.acme-jour[...] 2015-05-18
[14] 뉴스 GeoHumanities http://www.tandfonli[...] 2017-07-26
[15] 웹사이트 Global Environmental Change https://www.journals[...] 2020-05-11
[16] MUSE
[17] 뉴스 Social & Cultural Geography http://www.tandfonli[...] 2017-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