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산 서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산 서씨는 조선 시대 참군 서의민을 기세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연산 서씨는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을 본관으로 하며,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2명, 무과 급제자 5명을 배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서해조, 서병덕, 서기환, 서덕모, 서용칠, 서기철, 서철모 등이 있으며, 홍성 연산서씨 석보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산 서씨 - 서기철
    서기철은 1987년 KBS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하여 스포츠 중계, 드라마 출연, 서산시 홍보대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KBS 아나운서실 차장, 스포츠국 부장, 편성본부 부주간 등 주요 보직을 역임하고 정년퇴직 후 프리랜서 아나운서로 활동 중인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다.
연산 서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씨연산 서씨
連山徐氏
관향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시조서준영(徐俊英)
중시조서의민(徐義敏)
집성촌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남도 서산시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년도2015
인구7,510명
인물서해조
서병덕
서기철
서철모
서중철
비고서씨일가연합회

2. 역사

연산 서씨(連山 徐氏)의 시조 '''서준영'''(徐俊英)의 아들 서보(徐寶)가 있었으나 이후 문헌이 없어서, 조선조에서 참군(參軍)을 지낸 '''서의민'''(徐義敏)을 기세조로 한다.[1]

2세손 서종수(徐宗秀)는 현감(縣監)을 역임하였고,[1] 3세손 서련(徐憐)은 통훈대부(通訓大夫)로 제주판관(濟州判官)을 역임하였다.[1] 4세손 서천령(徐千齡)은 1546년(명종 1년) 진사시에 합격하였다.[1]

3. 서씨 분파

서씨(徐氏)는 애초에 두 관적(貫籍)이 없었으나, 이후 이천, 달성, 대구, 장성, 연산, 남평, 부여, 평당, 남양, 당성 등 8파로 나뉘었다. 1742년 간행된 이천 서씨 족보인 《임술보》(壬戌譜) 서문에는 달성, 대구, 부여, 평당, 장성, 연안, 전주, 남평, 남양, 당성의 서씨가 모두 아간공(阿干公) 서신일을 조상으로 하여 나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천 서씨 족보 「계미보癸未譜(1763년)」 서문에는 우리나라 서씨는 이천, 부여, 달성이 저명하며, 이천 서씨, 달성 서씨, 부여 서씨는 모두 아간대부 서신일의 후손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4. 본관

연산(連山)은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일대의 옛 지명이다. 백제 시대에는 황등야군(黃等也郡)이었다가, 신라 경덕왕 때 황산군(黃山郡)으로 변경되었고, 고려 태조 때 연산군(連山郡)으로, 조선 태종 때 연산현으로 불렸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충청도 연산현의 토성(土姓)으로 (宋)·서(徐)·손(孫)·고(高) 4성이 기록되어 있다.[2] 1914년 연산면 등 5개 면으로 나누어 논산군에 통합되었고, 1996년 논산시로 승격되었다.

5. 인물

서해조(1689년 ~ 1770년)는 9세손으로 1735년 문과에 급제하여 1751년에 사헌부지평이 되고, 이조정랑을 거쳐 1763년 병조참의, 1770년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했다.

서병덕(1712년 ~ )은 10세손으로 1751년(영조 27) 문과에 급제하여 장령(掌令)‧헌납(獻納)을 거쳐 한성부판윤에 올랐다. 1811년(순조 11) 궤장(免杖)을 하사받았다. 시호는 정익(靖翼)이다.

서기환(1849년 ~ 1906년)은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의병을 일으켜 1906년 홍주성 전투에 참가했다가 순절했다.

서덕모(1954년 ~ )는 제10대 충청북도 정무부지사를 역임하였다.

서용칠(1954년 ~ )은 연세대학교 환경공학부 교수이다.

서기철(1962년 ~ )은 KBS 아나운서이다.

서철모(1964년 ~ )는 제17대 대전광역시 행정부시장및 민선 8기 대전광역시 서구청장이다.

서철모(1968년 ~ )는 민선 7기 경기도 화성시장이다.

5. 1. 역사 속 인물

서해조(1689년 ~ 1770년)는 1735년 문과에 급제하여 1751년에 사헌부지평이 되고, 이조정랑을 거쳐 1763년 병조참의, 1770년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했다.

서병덕(1712년 ~ )은 1751년(영조 27) 문과에 급제하여 장령(掌令)‧헌납(獻納)을 거쳐 한성부판윤에 올랐다. 1811년(순조 11) 궤장(免杖)을 하사받았다. 시호는 정익(靖翼)이다.

서기환(1849년 ~ 1906년)은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의병을 일으켜 1906년 홍주성 전투에 참가했다가 순절했다.

서덕모(1954년 ~ )는 제10대 충청북도 정무부지사를 역임하였다.

서용칠(1954년 ~ )은 연세대학교 환경공학부 교수이다.

서기철(1962년 ~ )은 KBS 아나운서이다.

서철모(1964년 ~ )는 제17대 대전광역시 행정부시장및 민선 8기 대전광역시 서구청장이다.

서철모(1968년 ~ )는 민선 7기 경기도 화성시장이다.

5. 2. 현대 인물

서덕모(徐德模, 1954년 ~ )는 제10대 충청북도 정무부지사를 역임했다. 서용칠(徐容七, 1954년 ~ )은 연세대학교 환경공학부 교수이다. 서기철(徐基哲, 1962년 ~ )은 KBS 아나운서이다. 서철모(徐轍模, 1964년 ~ )는 제17대 대전광역시 행정부시장을 역임하고, 민선 8기 대전광역시 서구청장(국민의힘)이다. 서철모(徐喆模, 1968년 ~ )는 민선 7기 경기도 화성시장을 역임했다.

6. 과거 급제자

연산 서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명, 무과 급제자 5명을 배출하였다.

문과
서병덕(徐秉德)
서해조(徐海朝)



무과
서간세(徐幹世)
서언호(徐彦虎)
서윤박(徐潤璞)
서윤재(徐潤載)
서충세(徐忠世)



생원시
서경현(徐景賢)
서병덕(徐秉德)
서지눌(徐志訥)
서지성(徐志宬)
서택중(徐宅中)
서해조(徐海朝)
서흠선(徐欽善)



진사시
서명세(徐名世)
서병대(徐秉岱)
서승원(徐承元)
서용석(徐龍錫)
서주세(徐胄世)
서천령(徐千齡)
서필성(徐必成)
서휘세(徐徽世)


6. 1. 문과

연산 서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2명을 배출하였다.
문과 급제자

  • 서병덕(徐秉德)
  • 서해조(徐海朝)

6. 2. 무과

연산 서씨는 조선시대에 무과 급제자 5명을 배출하였다.

  • 서간세(徐幹世)
  • 서언호(徐彦虎)
  • 서윤박(徐潤璞)
  • 서윤재(徐潤載)
  • 서충세(徐忠世)

6. 3. 생원시

서경현(徐景賢), 서병덕(徐秉德), 서지눌(徐志訥), 서지성(徐志宬), 서택중(徐宅中), 서해조(徐海朝), 서흠선(徐欽善)이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6. 4. 진사시

서명세(徐名世), 서병대(徐秉岱), 서승원(徐承元), 서용석(徐龍錫), 서주세(徐胄世), 서천령(徐千齡), 서필성(徐必成), 서휘세(徐徽世) 등이 진사시에 급제하였다.

7. 항렬자

연산 서씨의 항렬자는 다음과 같다.

16세17세18세19세20세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
基(기)錫(석)承(승)模(모)容(용)喆(철)鐘(종)源(원)
洙(수)
寅(인)
相(상)
燮(섭)
烈(열)
廷(정)
圭(규)
鎭(진)
鎬(호)
泳(영)
泰(태)
穆(목)
根(근)
然(연)
熙(희)
坤(곤)
均(균)
鉉(현)
鏞(용)


8. 집성촌

연산 서씨의 집성촌은 다음과 같다.

9. 문화재

홍성 연산서씨 석보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54호이다.

참조

[1]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서천령
[2] 세종실록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연산현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