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필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화 필름은 빛에 민감한 화학 물질을 얇은 플라스틱 베이스에 코팅하여 영상을 기록하는 매체이다. 1880년대에 개발되어 21세기 초까지 영화 촬영의 주요 방식으로 사용되었으며, 셀룰로이드 필름 베이스 개발과 35mm 필름 규격 표준화 과정을 거쳤다. 필름은 베이스, 에멀젼, 화학적 특성, 이미지 기록 방식, 감도, 색온도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분류되며, 흑백에서 컬러, 사운드 기술 발전과 함께 진화했다. 필름은 보존에 취약하여 열화될 수 있으며, 카메라 필름, 중간 필름, 프린트 필름으로 구분된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사용이 감소했지만, 일부 영화 제작자들은 미학적 이유로 필름을 사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저장 매체 - 박막
박막은 기판 위에 얇게 증착된 재료의 층을 의미하며, 물리 기상 증착, 화학 기상 증착, 액상 증착 등의 기술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저장 매체 - VHS
VHS는 JVC가 개발하여 베타맥스와의 경쟁에서 승리, 가정용 비디오 표준으로 자리 잡았으나,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으로 쇠퇴하여 생산이 중단되었고, 긴 녹화 시간과 간편한 조작이 성공 요인이었지만, 아날로그 방식의 한계로 화질 저하, 열화, 불편한 조작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 영상 기술 -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은 정지된 이미지나 사물을 연속적으로 보여 움직임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 매체로, 실사 촬영 외 기술로 이미지를 움직이는 창작물을 의미하며, 제작 기법과 표현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고 여러 매체를 통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영상 기술 - 디지털 시네마
디지털 시네마는 1990년대 후반부터 확산된 영화 제작 및 상영 방식으로, 스타워즈 에피소드 1과 돌비 디지털의 출시를 기점으로 DCI 표준화 및 VPF 모델 도입을 통해 극장 시스템이 전환되었으며, 현재 4K 해상도, 레이저 프로젝터 등의 기술 발전과 새로운 콘텐츠 배급 방식을 통해 향상된 관람 경험을 제공하지만 필름 옹호론과 단점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영화 필름 |
|---|
2. 역사
1880년대 초, 최초의 영화 실험은 부서지기 쉬운 종이 롤 필름을 사용해서 이루어졌다. 최초의 투명하고 유연한 필름 기저 물질은 셀룰로이드였으며, 존 카벗(John Carbutt), 한니발 구드윈(Hannibal Goodwin), 조지 이스트먼이 사진 촬영 목적으로 발견하고 정제했다.[14]
2. 1. 1888–1899: 표준화 이전
1880년대 초, 초기 활동 사진 실험은 깨지기 쉬운 종이 롤 필름을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존 카버트, 한니발 굿윈, 조지 이스트먼은 투명하고 유연한 셀룰로이드 필름 베이스를 개발했다.[14]이스트먼 코닥은 1889년에 셀룰로이드 필름을 상업적으로 출시했고,[3] 1891년에는 토머스 헨리 블레어가 경쟁자로 등장했다. 윌리엄 케네디 딕슨은 토머스 에디슨 연구소에서 블레어의 필름을 키네토스코프 실험에 사용했다. 블레어는 벌트 에이커스, 로버트 W. 폴, 조지 앨버트 스미스, 찰스 어번, 뤼미에르 형제 등 유럽 영화 제작 선구자들에게 필름을 공급했다. 이스트먼은 블레어를 인수하여 주요 공급업체가 되었다. 루이 뤼미에르는 빅토르 플랑숑과 협력하여 셀룰로이드 롤 필름에 뤼미에르 "블루 라벨" 사진 건판 에멀젼을 적용했다.
아메리칸 뮤토스코프 앤 바이오그래프는 1899년에 장편 영화 제작에 긴 필름을 사용한 최초의 회사였다.
2. 2. 1900–1919: 표준 규격 확립
영화 필름의 양과 영화 제작자가 증가함에 따라 표준화에 대한 요구가 커졌다. 1900년에서 1910년 사이에 필름 규격은 점차 표준화되었고 필름 재료가 개선되었다. 다양한 필름 게이지가 제작되었다. 35mm 필름은 에디슨(Edison)과 뤼미에르(Lumière) 카메라의 공통성 때문에 지배적인 규격이 되기 시작했다. 1909년, 영화 특허 트러스트를 조직한 에디슨은 35mm 규격, 에디슨 천공 및 1.33 화면비를 표준으로 하는 데 동의했다.[4]아그파(Agfa)는 1913년에 영화 필름을 생산하기 시작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인기 있는 프랑스, 미국, 이탈리아 필름 재료에 대한 보이콧이 시행될 때까지 대부분 지역 공급업체로 남아 있었다. 초기에는 가연성이 높은 니트레이트 필름 베이스로 제조되었다. 1909년, 시험 결과 셀룰로스 디아세테이트가 실행 가능한 대체 베이스임이 밝혀졌고, 이스트만 코닥은 1909년에 불연성 35mm 필름 재료를 출시했다. 그러나 필름을 유연하게 만드는 데 사용된 가소제가 빠르게 증발하여 필름이 건조하고 부서지게 되어 접합부가 분리되고 천공이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 때문에 1911년에 주요 미국 영화 스튜디오는 니트레이트 재료를 다시 사용하기 시작했다.[5]
2. 3. 1920년대: 필름 감도 다양화
1920년대에 영화 필름 제조사들은 제품 다양화를 시작했다. 이전에는 각 제조사마다 하나의 네거티브 필름(일반적으로 정색성 필름)과 하나의 프린트 필름을 제공했다. 1920년에는 X-back으로 알려진 F형 필름의 변형이 도입되었는데, 이는 필름에 정전기가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것이었다. 정전기는 스파크를 일으켜 필름에 이상한 노출 패턴을 만들 수 있었다.[6] 수지 뒷면을 사용한 탓에 필름이 너무 불투명해져, 당시 많은 카메라에서 흔히 사용되던 기술인 필름 뒷면을 통한 초점 조절이 불가능해졌다. X-back 필름은 미국 동부 해안에서 인기가 있었다.같은 시기 미국의 듀폰(1926년)과 벨기에의 게바르트(1925년)를 포함한 다른 제조사들이 설립되었다. 전색성 필름은 점차 일반화되었다. 1913년 키네마컬러와 같은 초기 컬러 영화 제작 공정에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색성 필름은 1918년 흑백 영화 야외 시퀀스 및 ''바다의 여왕''에 사용되었고, 원래 특별 주문 제품으로 제공되었다.[6] 붉은색 빛에 대한 감도가 높아 데이 포 나이트 촬영에 매력적인 옵션이었다.
1922년 코닥은 전적으로 전색성 필름으로 촬영한 장편 영화 ''목 없는 기사''를 제작하여 홍보했다. 전색성 필름은 비용이 더 들었고, 수년 동안 이 필름으로 전체 영화가 제작되지 않았다. 전색성 필름과 정색성 필름 간의 교차 편집은 의상 톤에 연속성 문제를 일으켜 전색성 필름은 종종 회피되었다.
1920년대 중반까지 코닥이 전색성 시장에서 경쟁이 없어 정색성 필름이 우위를 점했다. 1925년 게바르트는 제한된 색상 감도의 정색성 필름과 완전한 전색성 필름인 Pan-23을 출시했다. 1926년 코닥은 전색성 필름 가격을 정색성 필름과 동등하게 낮추었고, 전색성 필름은 몇 년 안에 정색성 필름의 시장 점유율을 따라잡기 시작했다.[7] 아그파와 파테에서도 유사한 전색성 필름을 제조하면서 1928년까지 전색성 필름으로의 전환이 거의 완료되었고, 코닥은 1930년에 정색성 필름 생산을 중단했다.[8]
2. 4. 컬러 필름
컬러 필름에 대한 실험은 19세기 말부터 이루어졌지만, 실용적인 컬러 필름은 1908년 키네마컬러가 등장하면서 상업적으로 실현되었다. 1935년 코닥(Kodak)이 16mm용 코다크롬을 출시하고, 1936년 8mm 필름을 출시하면서 아마추어 영화 제작에 컬러 필름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상업적으로 성공한 컬러 공정은 컬러 네거티브 대신 흑백 분리 필름을 장착한 특수 카메라를 사용했다. 테크니컬러 공정(1917–1954), 시네컬러는 특정 기본 색상에 감광되거나 특수 카메라의 컬러 필터 뒤에 노출된 한두세 개의 흑백 필름을 사용했다. 테크니컬러는 1941년 현장 촬영을 위해 모노팩(Monopack)이라는 컬러 리버설 필름을 도입했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표준 영화 카메라에 사용할 수 있는 코다크롬의 35mm 버전이었다.이스트만 코닥(Eastman Kodak)은 1950년 최초의 35mm 영화 필름 컬러 네거티브 필름인 이스트만 컬러 네거티브 필름 5247을 출시했다.[9] 1952년에는 품질이 향상된 이스트만 컬러 네거티브 필름 5248이 출시되면서 할리우드에서 컬러 영화 제작 방식이 변화했는데, 고가의 3 스트립 테크니컬러 공정과 모노팩을 대체했다.[9]
3. 분류 및 특성
필름은 베이스, 에멀젼, 화학적 특성, 이미지 기록 방식, 물리적 특성, 감도, 색온도 등 다양한 요소로 분류된다.
- 베이스: 초기에는 인화성이 높은 질산 섬유소를 사용했으나, 1930년대부터 셀룰로스 트리아세테이트를 사용한 "안전 필름"이 도입되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거의 모든 필름에 폴리에스터 필름 베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 에멀젼: 할로겐화 은 입자를 포함한 젤라틴 콜로이드로 구성되며, 컬러 필름의 경우 세 층으로 구성되어 각 층이 특정 빛 스펙트럼을 필터링한다.
- 화학적 특성: 현상 화학 물질에 따라 양화상 또는 네거티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최초의 필름은 네거티브 필름이었고, 이후 양화상을 생성하는 리버설 필름이 개발되었다.
- 이미지 기록: 적외선 필름이나 X-레이에 사용되는 특수 필름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흑백과 컬러 필름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 물리적 특성: 게이지와 천공 배열에 따라 분류되며, 게이지는 8mm에서 70mm 이상, 천공은 모양, 피치, 위치가 다를 수 있다. 필름이 감기는 방식과 포장 방식(코어, 주광 스풀, 카트리지)에 따라서도 구분된다. 제조 공정 및 카메라 장비에 따라 길이는 약 7.62m에서 약 609.60m까지 다양하다. 일반적인 길이는 아래 표와 같다.
| 필름 종류 | 길이 |
|---|---|
| 8mm | 약 7.62m |
| 수퍼 8 | 약 15.24m |
| 16mm | 약 30.48m, 약 121.92m |
| 35mm | 약 121.92m, 약 304.80m |
| 65/70mm | 약 304.80m |
- 감도: 필름 속도는 빛에 대한 감도를 나타내며, ASA 또는 노출 지수(EI)로 결정된다. 필름 속도는 촬영 가능한 조명 조건 범위, 이미지의 입자성 및 대비와 관련이 있다.[1]
- 색온도: 컬러 필름은 색온도에 따라 텅스텐 필름과 주광 필름으로 나뉜다. 텅스텐 조명은 3,200,000로 정의되며 주황색 색조를 띠고, 주광은 5,600,000로 정의되며 파란색 색조를 띤다. 렌즈 필터 등을 사용하여 색온도 문제를 보정할 수 있다. 흑백 필름은 자체 색온도가 없지만, 은 할라이드 입자가 파란색 빛에 약간 더 민감하다.[1]
- 사운드 (음향): 영화 필름은 빛에는 반응하지만 소리에는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10] 초기 영화는 무성 영화였다. 이후 사운드 온 디스크, 사운드 온 필름 기술이 개발되면서 유성 영화가 가능해졌다.
3. 1. 베이스
초기에는 인화성이 높은 질산 섬유소를 베이스로 사용했다. 1930년대에 필름 제조업체들은 셀룰로스 트리아세테이트 플라스틱 베이스를 사용한 "안전 필름"을 도입했다. 모든 아마추어 필름은 안전 필름이었지만, 전문가용에는 질산염이 계속 사용되었다. 코닥은 1951년에 질산염 베이스 생산을 중단했고, 영화 산업은 1951년에 미국에서, 1955년까지 국제적으로 안전 필름으로 완전히 전환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 거의 모든 릴리스 프린트에는 폴리에스터 필름 베이스가 사용되었다.3. 2. 에멀젼
에멀젼은 젤라틴 콜로이드에 현탁된 할로겐화 은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컬러 필름의 경우 세 층의 할로겐화 은이 존재하며, 각 층은 특정 빛 스펙트럼을 필터링하는 색상 커플러 및 중간층과 혼합되어 있다. 이러한 층들은 현상 후 네거티브 필름에 황색, 청록색, 자홍색 층을 생성한다.[1]3. 3. 화학적 특성
현상 화학 물질에 따라 피사체와 동일한 농도와 색상을 나타내는 양화상 또는 네거티브 이미지(어두운 하이라이트, 밝은 그림자, 원칙적으로 보색)를 생성할 수 있다. 최초의 필름은 빛에 의해 어두워지는 네거티브 필름이었다. 나중에 양화상을 생성하는 필름은 리버설 필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유형의 처리된 투명 필름은 스크린에 영사될 수 있다. 네거티브 이미지는 이미지를 다시 반전시켜 최종 양화상을 생성하는 사진 용지 또는 기타 기판으로 전송해야 한다. 네거티브 필름에서 양화상을 만드는 것은 네거티브를 스캔하여 소프트웨어로 반전시킬 수 있는 컴퓨터 파일을 만드는 방식으로도 수행할 수 있다.3. 4. 이미지 기록
적외선 필름(흑백 또는 가색)과 같은 변형된 유형도 있고, X-레이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전문 기술 필름, 정색성 필름과 같은 구식 공정도 있지만, 가장 흔한 두 가지는 흑백과 컬러이다. 일반적으로 오늘날 사용되는 대부분의 필름은 "일반" (가시광선) 컬러이지만, "일반" 흑백 역시 상당한 소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3. 5. 물리적 특성
필름은 게이지와 천공 배열에 따라 분류된다. 게이지는 8mm에서 70mm 이상까지 다양하며, 천공은 모양, 피치, 위치가 다를 수 있다. 또한 필름은 천공과 베이스 또는 유제 측면을 기준으로 감기는 방식, 그리고 코어, 주광 스풀 또는 카트리지 내부에 포장되는지에 따라 구분된다. 제조 공정 및 카메라 장비에 따라 길이는 약 7.62m에서 약 609.60m까지 다양할 수 있다. 일반적인 길이는 다음과 같다.- 8mm: 약 7.62m
- 수퍼 8: 약 15.24m
- 16mm: 약 30.48m, 약 121.92m
- 35mm: 약 121.92m, 약 304.80m
- 65/70mm: 약 304.80m
3. 6. 감도 (Responsivity)
필름의 중요한 특성은 필름 속도이며, 이는 빛에 대한 감도에 따라 ASA 또는 노출 지수(EI)로 결정된다. 필름 속도는 촬영 가능한 조명 조건 범위를 결정하며, 이미지의 입자성 및 대비와 관련이 있다.[1] 필름 제조사는 일반적으로 노출 지수(EI) 번호를 제공하며, 이는 노출을 권장하는 ASA와 같다.[1] 그러나 블리치 바이패스 또는 교차 처리와 같은 강제 또는 비표준 현상, 필터 또는 셔터 각도에 대한 보상, 의도적인 과소 및 과다 노출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촬영 감독은 실제로 EI와 다르게 필름을 "평가"할 수 있다.[1]3. 7. 색온도
컬러 필름은 정확하게 흰색을 기록하는 색온도에 따라 텅스텐 필름과 주광 필름으로 나뉜다. 텅스텐 조명은 3,200,000로 정의되며, 색조가 더 "따뜻"하고 주황색으로 기운다. 주광은 5,600,000로 정의되며, 더 "차가운" 색조로 파란색으로 기운다. 필터가 없는 텅스텐 필름은 텅스텐 조명 아래에서 촬영하면 정상적으로 보이지만, 주광에서 촬영하면 파란색으로 보인다. 반대로 주광 필름을 주광에서 촬영하면 정상적으로 보이지만, 텅스텐 조명 아래에서 촬영하면 주황색으로 보인다. 이러한 색온도 문제는 렌즈 필터 및 조명 앞에 배치된 색상 젤과 같은 다른 요인으로 보정할 수 있다. 필름 재고의 색온도는 일반적으로 필름 속도 번호 옆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500T 필름은 ASA가 500이고 텅스텐 조명에 맞춰진 컬러 필름이고, 250D는 ASA가 250이고 주광에 맞춰져 있다. 흑백 필름은 자체적으로 색온도가 없지만, 은 할라이드 입자는 파란색 빛에 약간 더 민감한 경향이 있으므로 주광 및 텅스텐 속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코닥의 Double-X 필름은 250D/200T로 평가되는데, 텅스텐 조명이 동등한 양의 주광보다 노출을 약간 적게 주기 때문이다.[1]3. 8. 사운드 (음향)
영화 필름은 빛에는 반응하지만 소리에는 반응하지 않는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10] 이러한 이유로 초창기 영화는 무성 영화였고, 상영업자들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종종 라이브 음악 반주를 제공했다. 이후 엔지니어들이 별도의 사운드트랙 재생을 동기화하는 사운드 온 디스크 기술을 개발하고, পরবর্তীতে 필름 자체에 사운드트랙을 인쇄하는 사운드 온 필름 기술을 개발하면서 유성 영화가 가능해졌다.4. 보존
모든 플라스틱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수단을 통해 열화되기 쉽기 때문에 영화 필름도 마찬가지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필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되어 개별 프레임이 손상되거나 심지어 필름 전체가 파괴될 수 있다. 셀룰로스 질산염, 셀룰로스 디아세테이트 및 트리아세테이트는 불안정한 매체로 알려져 있는데, 부적절하게 보존된 필름은 많은 사진이나 다른 시각 자료보다 훨씬 빠르게 열화될 수 있다. 셀룰로스 질산염은 불안정한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결국 분해되어 질산을 방출하고, 이는 분해를 더욱 촉진한다. 셀룰로이드 분해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필름이 녹과 같은 가루로 변한다. 마찬가지로 트리아세테이트 필름 역시 열화에 취약하다. 필름의 얇은 두께 때문에, 자가 제작 필름 소유자들은 필름이 몇 년 안에 수축하고 부서져서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는 경우를 종종 발견한다. 일반적으로, 열화된 아세테이트 필름은 아세트산으로 분해되며, 셀룰로이드 분해와 유사하게 되돌릴 수 없는 기질의 자가 촉매 분해를 유발한다. 아세트산의 방출 결과는 식초의 강한 냄새를 유발하며, 이는 보존 커뮤니티에서 이 열화 과정을 "식초 증후군"이라고 부르는 이유이다. 현대의 폴리에스터 기반 필름은 이에 비해 훨씬 더 안정적이며, 적절하게 보관하면 수백 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5. 중간 필름 및 프린트 필름
편집된 작업용 프린트 또는 편집 결정 목록(EDL)을 가이드로 사용하여 네거티브 커터가 원본 카메라 네거티브(OCN)를 조립한다. OCN에서 제작된 응답 프린트는 영화 제작자의 취향에 맞게 밀도와 색상이 수정(타이밍)된다. 인터포지티브(IP) 프린트는 OCN에서 인쇄되어 응답 프린트와 동일하게 보이는지 확인 후, 각 IP는 하나 이상의 듀프 네거티브(DN) 사본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개봉용 프린트는 DN에서 생성된다.[11]
최근, 디지털 중간 과정(DI)의 개발로 이미지를 풀 해상도와 비트 심도로 편집하고, 시각 효과를 합성하고, 색상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 워크플로우에서는 응답 프린트가 디지털 방식으로 생성된 다음 필름 레코더를 사용하여 IP 단계로 출력된다.[11]
중간 필름은 복제 과정에서 이미지 정보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기능만 하기 때문에, 각 제조업체는 한두 가지 다른 중간 필름만 생산하는 경향이 있다. 개봉용 프린트 필름은 일반적으로 "일반" 프린트 또는 약간 더 높은 채도와 대비를 가진 고급 프린트(코닥 비전 프리미어와 같은)의 두 가지 종류로만 제공된다.
6. 쇠퇴
21세기 초까지 영화 촬영 기법의 주된 형태는 영화 필름이었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많은 분야에서 영화 필름을 대체하게 되었다. 영화 영사기 또한 디지털 영사로 교체되었다.[12]
일부 영화 제작자들은 미학적인 이유로 여전히 필름을 선택하고 있다. 광화학 필름으로만 제작되거나 아날로그와 디지털 방식을 혼합하여 제작된 영화는 소수이지만, 아르떼 영화와 주류 영화 모두에서 안정적으로 제작되고 있다.
디지털 방식은 때때로 필름 그레인이나 기타 노이즈를 추가하여 필름룩을 연출하기도 한다.
참조
[1]
간행물
Photography
Wiley-VCH, Weinheim
2005
[2]
서적
Encyclopedia of Forensic Science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2-12-28
[3]
웹사이트
KODAK FILM HISTORY Chronology of Motion Picture Films - 1889 to 1939
http://www.aipcinema[...]
2013-02-02
[4]
문서
[5]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Cinema 1907–1915
Charles Scribner's Sons
1990
[6]
문서
1994
[7]
문서
1992
[8]
웹사이트
Kodak: Chronology of Motion Picture Films, 1889 to 1939
https://www.kodak.co[...]
[9]
웹사이트
1940 - 1959 {{!}} Motion Picture Film
https://www.kodak.co[...]
2019-12-12
[10]
서적
The Power Filmmaking Kit: Make Your Professional Movie on a Next-to-Nothing Budget
https://books.google[...]
Focal Press
2008
[11]
서적
Color and Mastering for Digital Cinem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2-07-26
[12]
웹사이트
Digital Cinema Conversion Nears End Game
https://variety.com/[...]
2019-12-12
[13]
간행물
Photography
Wiley-VCH, Weinheim
2005
[14]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kodak.com[...]
2015-0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