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 (전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는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대예사일(大羿射日) 설화에서 열 개의 태양을 쏘아 떨어뜨려 세상을 구원하는 영웅으로 묘사된다. 그는 또한 불사약을 훔쳐 달로 도망간 아내 항아(姮娥)와 관련된 이야기로도 유명하며, 하(夏)나라를 찬탈하고 폭정을 일삼다 제자 봉몽에게 살해당하는 비극적인 모습도 보여준다. 이러한 다양한 면모는 여러 문헌과 전승을 통해 묘사되며, 한국 신화와도 유사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공신 - 복희
    복희는 고대 중국 신화 속 인물로, 여와와 함께 인류의 조상으로 숭배받으며, 팔괘를 창시하고 문자를 만들었으며 다양한 문화를 창조하고 전파한 인물로 여겨진다.
  • 천공신 - 하느님
    하느님은 한국어로 신을 지칭하는 용어로, 하늘에 존칭 접미사 '-님'이 붙은 어원을 가지며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기독교의 신을 지칭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
  • 중국 신화 - 제지
    중국 신화와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제지는 삼황오제 시대 인물로, 사기에는 고황제의 아들로 폭정을 펼친 것으로, 다른 기록에는 황제의 뒤를 이어 통치한 인물로 기록되어 그 통치 기간과 성격에 대한 기록이 엇갈린다.
  • 중국 신화 - 하나라
    하나라는 중국 최초의 왕조로 전해지며 우에 의해 건국되어 세습 왕조가 되었으나 걸의 폭정으로 상나라에 멸망당했고,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 속에서 얼리터우 문화와의 연관성으로 재평가되지만 역사 기록의 신빙성 논란은 여전하다.
  • 도교의 신 - 복희
    복희는 고대 중국 신화 속 인물로, 여와와 함께 인류의 조상으로 숭배받으며, 팔괘를 창시하고 문자를 만들었으며 다양한 문화를 창조하고 전파한 인물로 여겨진다.
  • 도교의 신 - 옥황상제
    옥황상제는 도교의 최고신으로 하늘을 다스리고 천상 세계의 질서를 유지하며, 인간으로서 선행을 쌓아 신이 된 존재로 숭배받고, 음력 1월 9일에 탄생을 기념하는 제사가 지내진다.
예 (전설)
기본 정보
활을 쏘는 후예, 1645년에 출판된 샤오 윤총의 '천국의 질문 그림'에 묘사됨
활을 쏘는 후예, 샤오 윤총의 《천문도》 (1645)에 묘사됨
다른 이름예(羿)
문화중국 신화
성별남성
배우자항아
직업궁수
상징활과 화살
가족제준 (아버지), 희화 (어머니)
신화 속 이야기
주요 업적열 개의 태양을 쏘아 떨어뜨림
여러 사나운 짐승을 퇴치함
관련된 신화항아의 달 여행
불사약

2. 신화 속의 예

예와 관련된 신화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 '''대예사일(大羿射日) 신화''': 요 임금 시절, 10개의 태양이 떠올라 세상을 불태우자 예가 활을 쏘아 9개의 태양을 떨어뜨리고 백성을 구원했다는 이야기이다.
  • '''항아(姮娥 혹은 상아) 설화''': 예가 서왕모에게서 받은 불사약을 아내 항아가 훔쳐 먹고 달로 도망갔다는 이야기이다.
  • '''하백(河伯)과의 대결''': 예가 황하의 신 하백의 눈을 쏘고 그의 아내 낙빈을 빼앗았다는 이야기이다.


이러한 신화들은 일월조정 등의 천지창조신화 중 영웅형 신화의 전형적 인물상과 하나라의 예라는 인물이 합쳐진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창세 무가(巫歌)에서 나타나는 인물(대별왕, 소별왕 등)과 같은 기원으로 추정된다.

2. 1. 대예사일(大羿射日) 신화

요 임금 시절, 10개의 태양이 떠올라 세상을 불태우자 예가 활을 쏘아 9개의 태양을 떨어뜨리고 백성을 구원했다는 이야기이다. 산해경, 회남자 등에 기록되어 있다.[27][28]

회남자산해경에 따르면, 요 임금 재위 때 열 개의 해가 떠올라 곡식과 초목을 태워 백성들이 먹을 것이 없었다고 한다. 또한 알유, 착치, 구영, 대풍, 파사, 봉희 같은 괴수들이 백성들을 괴롭혔다. 이에 요 임금은 예를 시켜 열 개의 해를 쏘아 아홉을 맞추고, 여섯 괴수를 모두 제거하게 했다.[27][28]

원래 10개의 태양은 옥황상제의 아들이나 손자였다. 처음에는 10개의 태양이 하나씩 하늘을 건너갔지만, 어느 날 10개의 태양이 함께 나오면서 땅을 불태웠다. 요 임금은 호예(后羿)에게 태양을 제어하도록 했다. 호예는 처음에는 태양과 대화했지만, 효과가 없자 활을 쏘는 흉내를 냈다. 태양이 경고를 무시하자, 호예는 태양을 쏘기 시작했다. 하나씩 떨어질 때마다 태양은 세 발 달린 까마귀로 변했다. 마침내 단 하나의 태양만 남았는데, 요 임금과 태양의 어머니인 희화는 인류의 번영을 위해 그를 살려달라고 요청했다.[3] 다른 이야기에서는 호예의 마지막 화살을 용감한 소년이나 요 임금이 훔쳐 태양이 땅에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4][5]

호예는 요 임금의 지시를 받아 인간에게 문제를 일으키는 야유, 착치, 구영, 대풍, 봉희, 수사와 같은 여러 신화 속 짐승들을 죽이거나 가두었다.[6]

천제인 제군에게는 희화라는 아내가 있었고, 그 사이에 태양이 되는 10명의 아들을 낳았다. 이 열 개의 태양은 각각 새를 타고 있었으며 평소에는 극도로 거대한 신목인 부상수에서 생활하며 목욕을 했다. 그리고 교대로 하루에 한 명씩 지상을 비추는 역할을 맡았는데[13], 이 열흘을 일순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제요 시대에 태양들이 놀고 싶어서 한꺼번에 나타나게 되었다. 지상은 작열 지옥과 같은 상황이 되었고, 작물도 모두 말라 버렸다. 이 일로 곤혹스러워하는 제요에게 천제인 제군은 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기 위해 하늘에서 신 중 한 명인 예(羿)를 보냈다. 제군은 예에게 붉은 활인 퉁궁(彤弓)과 흰 깃털로 장식한 화살인 소증(素矰)을 주었다.[14] 예는 제요를 돕기 위해 처음에는 위협을 통해 태양들이 원래처럼 교대로 나오도록 하려 했지만 효과가 없었다. 그래서 하나만 남기고 9개의 태양을 쏘아 떨어뜨렸다. 이로 인해 지상은 다시 평온을 되찾았다고 한다.[15]

그 후에도 예는 각지에서 사람들의 생활을 위협하던 수많은 흉수(악유, 착치, 구영, 대풍, 수사, 봉시)를 퇴치했고, 사람들은 그의 위대한 업적을 칭송했다.[16]

2. 2. 항아(姮娥) 설화

예가 서왕모에게서 받은 불사약을 아내 항아(姮娥 혹은 상아)가 훔쳐 먹고 달로 도망갔다는 이야기이다. 예와 항아는 본래 천신이었으나, 상제의 아홉 아들인 태양을 쏘았다는 죄로 인간 세상에 추방되었다.[17][18] 예가 불쌍하다고 생각했는지, "보름달 밤에 달에 월병을 바치고 항아의 이름을 세 번 불렀다. 그러면 항아가 돌아와 다시 부부로 살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덧붙여지기도 한다.

다른 판본에서는, 예가 태양을 쏜 후 백성들에게 영웅 왕으로 추대되었으나, 왕위에 오른 후 폭군이 되어 백성을 억압했다고 한다. 예는 영원히 살기 위해 서왕모에게서 불사의 영약을 얻었으나, 항아는 그가 영원히 살면 백성들이 그의 잔혹함에 희생될까 두려워하여 영약을 스스로 복용하고 달로 도망갔다. 항아가 날아갈 때 예는 그녀를 쏘려 했지만 실패했다. 사람들은 그녀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중추절에 그녀를 기린다.[8]

호예가 신들에게 불사의 약을 선물받았다는 이야기도 있다. 호예가 사냥을 나간 사이, 그의 제자 중 한 명인 풍몽이 불사의 약을 찾기 위해 호예의 집에 침입했다. 항아는 풍몽이 약을 빼앗기 전에 그것을 삼켰다. 약을 먹은 항아는 불멸이 되었고 달로 날아갔다.[7]

2. 3. 하백(河伯)과의 대결

예가 황하의 신 하백의 눈을 쏘고 그의 아내 낙빈을 빼앗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9][10] 초사의 천문(天問)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9][10]

"황제는 호예를 보내 하(夏)나라 백성을 개혁하게 했다. 그는 왜 하백을 쏘고 그의 아내 낙신을 데려갔는가?"[9][10]

2. 4. 한국 신화와의 연관성

회남자(淮南子), 산해경(山海經) 등의 문헌에 등장하는 대예사일(大羿射日) 신화와 한국의 천지창조 신화에 나타나는 영웅(대별왕, 소별왕 등)은 비슷한 점이 많으며, 같은 기원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7][28] 이들은 일월조정 등의 천지창조신화 중, 영웅형 신화의 전형적 인물상과 하나라의 예라는 인물이 합쳐진 것으로 보인다.

3. 하나라 시절의 예

역사 기록 속 예는 유궁씨의 임금으로, 하나라를 찬탈하고 폭정을 일삼았다고 전해진다. 춘추좌씨전 양공 4년조에 관련 설화가 나타난다.[29][30]죽서기년》에 따르면, 후이는 태강 통치 첫 해에 하왕조를 공격하여, 태강이 낙수 너머에서 사냥하는 동안 하 왕조의 수도인 진순을 점령했다.

논어 헌문편에 나오는 '활을 잘 쏘는 후예'는 이 예로 여겨진다.[30]

예가 죽은 이유가 예를 시기한 예의 제자 봉몽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예의 제자는 복숭아나무로 몽둥이를 만들어 예를 때려죽였다고 한다.

3. 1. 하나라 찬탈

춘추좌씨전 양공 4년조에 따르면, 예는 본디 유궁씨(有窮氏)의 임금이며, 소강 즉위 전 하나라가 쇠약한 틈을 타 하후 상을 죽이고 왕위를 찬탈했다.[29][30] 그러나 활 솜씨를 믿고 정치를 보지 않고 사냥에만 빠졌으며, 어진 신하를 버리고 한착을 재상으로 삼았다. 한착은 예를 사냥하도록 조장하고 예의 백성을 모두 장악하였다. 예는 권세를 잃고, 한착에게 장악당한 백성들에게 삶아 죽임을 당했다.[29][30]

3. 2. 폭정과 최후

예는 활 솜씨만 믿고 정사를 돌보지 않았으며, 간신 한착을 중용했다.[29][30]춘추좌씨전》 양공 4년조에 따르면, 예는 유궁씨의 임금으로 하나라 하후 상을 죽이고 왕위를 찬탈했으나, 활 솜씨를 믿고 사냥에만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았다. 어진 신하를 버리고 한착을 재상으로 삼았는데, 한착은 예를 조장하여 사냥에 몰두하게 하고 백성을 장악했다. 결국 예는 권세를 잃고 한착에게 장악당한 국민들에게 삶아 죽임을 당했다.[29][30]

논어 헌문편에 나오는 '활을 잘 쏘는 후예'는 바로 이 예를 가리킨다.[30]

다른 설에 따르면 예를 시기한 제자 봉몽이 복숭아나무 몽둥이로 때려 죽였다고도 한다.

3. 3. 봉몽(逢蒙)의 배신

예의 제자 봉몽이 예를 시기하여 복숭아나무 몽둥이로 때려죽였다는 설도 전해진다.[19][20] 봉몽은 예의 활 기술을 전부 흡수한 후, "예를 죽여 버리면 내가 천하 제일의 명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마침내 예가 방심한 틈을 타 뒤에서 쳐서 죽였다. 이 일로 인해, 가까운 사람에게 배신당하는 것을 "예를 죽인 자는 봉몽"(봉몽살예)이라고 말하게 되었다.

4. 전승과 해석

예에 대한 상반된 기록은 신화와 역사가 혼재된 결과로 해석된다.

4. 1. 영웅과 폭군

예는 신화에서는 백성을 구원하는 영웅으로, 역사에서는 권력을 남용한 폭군으로 묘사된다.

춘추좌씨전》 양공 4년조에 위장자가 주군 진 도공에게 간언한 말에 후예 설화가 나타난다. 이에 따르면 예의 일생은 다음과 같다.

예는 본디 유궁씨(有窮氏)의 임금이며, 소강 즉위 전 하나라가 쇠약한 틈을 타 하후 상을 죽이고 왕위를 찬탈했다. 그러나 활 솜씨를 믿고 정사를 보지 않고 사냥에만 빠졌으며, 어진 신하를 버리고 한착을 재상으로 삼았다. 한착은 예를 사냥하도록 조장하고 예의 국민들을 모두 장악하였다. 예는 권세를 잃고, 한착에게 장악당한 국민들에게 삶아죽임을 당했다. 예의 아들에게 삶은 예를 먹이니 아들은 자살했다.[29][30]

논어 헌문편에 나오는 '활을 잘 쏘는 후예'는 이 예로 여겨진다.[30]

예가 죽은 이유가 예를 시기한 예의 제자 봉몽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예의 제자는 복숭아나무로 몽둥이를 만들어 예를 때려죽였다고 한다.

후이는 또한 고전 자료에서 고대 중국의 부족 지도자로 묘사되었으며, 보통 전설적인 인물과 혼동된다. 《죽서기년》에 따르면, 후이는 태강왕 통치 첫 해에 하왕조를 공격하여, 태강이 낙수 너머에서 사냥하는 동안 하 왕조의 수도인 진순을 점령했다. 태강의 조카인 하상왕 통치 8년에[2] 후이는 부관인 한착에게 폐위되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후이가 10개의 해를 쏘았다는 전설(十日|스르중국어)은 후이가 상(相|샹중국어)을 쏘았다는 오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11]

후이의 부조

5. 문화적 영향

예의 이야기는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문학, 예술, 민속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항아와의 사랑 이야기는 중추절의 기원 설화 중 하나로 여겨지며, 월병을 먹는 풍습과도 관련이 있다.[8]

5. 1. 중추절과 항아

중추절은 항아의 희생을 기리는 명절이며, 예와 항아의 이야기는 중추절의 기원 설화 중 하나로 여겨진다.[8]

예가 태양을 쏜 후 백성들은 그를 영웅 왕으로 추대했지만, 왕위에 오른 예는 폭군이 되어 백성을 억압했다. 예는 영원히 살기 위해 서왕모에게서 불사의 영약을 얻었으나, 항아는 예가 영원히 살면 백성들이 그의 잔혹함에 희생될 것을 두려워하여 영약을 마시고 하늘로 날아갔다. 예는 항아를 쏘려 했지만 실패했고, 사람들은 항아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중추절에 그녀를 기린다.[8]

다른 판본에서는 예가 신들에게 불사의 약을 선물받았지만, 사냥을 나간 사이 제자 풍몽이 집에 침입하여 약을 찾자 항아가 먼저 약을 삼켰다고 한다. 항아는 불멸이 되어 달로 날아갔다.[7]

초사의 ''천문(天問)''에는 황제가 예를 보내 하나라 백성을 개혁하게 했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예는 뛰어난 궁수이자 사냥꾼이었지만, 오만하고 폭군이 되어 황하의 신 하백을 죽이고 그의 아내 낙신을 차지했다.[9][10]

제준은 자신의 아들(태양)을 죽인 예를 싫어하여[16] 예와 항아를 신적에서 제외했고, 그들은 불로불사가 아니게 되었다. 예는 곤륜산 서쪽의 서왕모에게서 불로불사의 약을 받았지만, 항아는 약을 독차지하고 마셔 버렸다. 항아는 예를 피해 달(광한궁)에 몸을 숨겼고, 예를 배신한 벌로 두꺼비가 되었다는 설도 있다.[17][18]

"보름달 밤에 달에 월병을 바치고 항아의 이름을 세 번 불렀다. 그러면 항아가 돌아와 다시 부부로 살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참조

[1] 서적 Chinese Myths: From Cosmology and Folklore to Gods and Immortals Amber Books
[2] 웹사이트 Hou Yi https://www.britanni[...]
[3] 서적 Classical Chinese Myths Joint Publishing Co. 1984
[4] 서적 The Mythology Bible: The Definitive Guide to Legendary Tales https://books.google[...] Sterling
[5] 웹사이트 Hou Yi Shooting the Sun http://chinaarchery.[...] 2009-11
[6] 간행물 Restoring the "Epic of Hou Yi" 1995
[7] 웹사이트 Chang'e, Chinese Deity https://www.britanni[...] The Editors of Encyclopedia Britannica 2018-03-08
[8] 서적 Handbook of Chinese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9] 웹사이트 被水下的洛神惊艳,你可知道她的前世今生? http://yn.people.com[...] 2024-03-21
[10] 웹사이트 Luo Shen 洛神, the Goddess of the River Luo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2024-03-21
[11] 웹사이트 《历史的错觉》①|嫦娥其实和后羿没关系? https://www.thepaper[...] 2023-03-31
[12] 문서 梶原昭路 校注 『将門記』 平凡社<東洋文庫 (平凡社)|東洋文庫> 1975年 227-228頁
[13] 문서 袁珂 著、鈴木博 訳『中国の神話伝説』上、青土社、1993年 289-296頁
[14] 문서 『山海経』広注 巻十八「帝夋賜羿彤弓素矰」郭璞云:「彤弓、朱弓。矰、矢名、以白羽羽之。外伝:『白羽之矰、望之如荼』也」
[15] 문서 松村武雄 編 『中国神話伝説集』 社会思想社<現代教養文庫> 1976年 15頁
[16] 문서 袁珂 著、鈴木博 訳『中国の神話伝説』上、青土社、1993年 298-302頁
[17] 문서 袁珂 著、鈴木博 訳『中国の神話伝説』上、青土社、1993年 314-320頁
[18] 문서 松村武雄 編 『中国神話伝説集』 社会思想社<現代教養文庫> 1976年 17頁
[19] 문서 『孟子 (書物)|孟子』に「逢蒙殺羿、羿也有過」という文がある。
[20] 문서 袁珂 著、鈴木博 訳『中国の神話伝説』上、青土社、1993年 322-325頁
[21] 문서 市村瓚次郎 『東洋史統』1巻 冨山房 1940年 50頁
[22] 문서 内藤虎次郎 『支那上古史』 弘文堂書籍 1944年 66-67頁
[23] 문서 李玉潔『中国早期国家性质』(河南大學出版社、1999年10月)
[24] 문서 錢穆『史记地名考』(商務印書館、2001年7月)
[25] 문서 『春秋左氏伝』昭公 (魯)|昭公二十八年「昔有仍氏生女、黰黒而甚美、光可以鑑。名曰玄妻。楽正后夔取之、生伯封。実有豕心、貪惏無饜、忿纇無期、謂之封豕。有窮后羿滅之、夔是以不祀」
[26] 문서 『楚辞』天問「浞娶純狐、眩妻爰謀、何羿之射革、而交呑揆之」
[27] 문서 《회남자·본경훈》(淮南子·本經訓)
[28] 문서 《산해경·해외동경》(山海經·海外東經)
[29] 문서 정태현: 《역주 춘추좌씨전》 권4, 전통문화연구회, 978-89-91720-13-8 94140, 44 - 46쪽
[30] 문서 주희: 《사서장구집주》 논어집주제7 헌문 제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