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사는 중국 고대 문학의 중요한 작품으로, 시경과 함께 중국 고전 문학의 양대 산맥으로 꼽힌다. 굴원의 시와 그를 추모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나라 방언으로 쓰여졌다. 전한 시대 유향에 의해 편집되었으며, 굴원, 송옥, 한나라 시인들의 시를 모아 현재의 형태로 정리되었다. 초사는 3자가 기저를 이루는 낭송적인 작품으로, 시와 산문의 중간 형태이며, 굴원을 비롯한 귀족들에 의해 창작된 장강 유역 남방 문학의 정수라고 평가받는다. 이소, 구가, 천문, 구장 등 다양한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국 신화와 종교적 신념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초사는 다양한 시적 특징을 보이며, 후대 시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시집 - 전당시
    《전당시》는 강희제의 칙령으로 편찬된 당나라 시대 시가집으로, 다양한 계층의 시 4만 8천여 수를 수록하여 당시 사회상과 문학적 경향을 보여주지만, 편찬상의 한계와 비판적 검토 필요성이 존재하며, 에도 시대 일본과 조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시집 - 시경
    《시경》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가집으로, 305편의 시가를 국풍, 아, 송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수록하고 있으며, 유교 경전으로서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초나라 (춘추 전국 시대) - 우맹
    우맹은 춘추시대 초나라의 재치 있는 배우로, 풍자를 통해 권력자를 비판하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구현하고자 노력한 인물이다.
  • 초나라 (춘추 전국 시대) - 초 (춘추 전국)
    초나라는 기원전 11세기부터 기원전 223년까지 존속한 춘추 전국 시대의 제후국으로, 장강 유역을 중심으로 강력한 국가로 성장하여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굴원, 춘신군, 항우 등의 역사적 인물을 배출했다.
  • 중국 고전 전적 - 춘추좌씨전
    《춘추좌씨전》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춘추 시대의 사건들을 노나라의 관점에서 서술하며, 문학적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는다.
  • 중국 고전 전적 - 관자
    《관자》는 관중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고대 중국의 문헌으로, 법가, 유교, 도가 사상이 혼합된 황로 사상을 표현하며 경제 및 금융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다.
초사 - [서적]에 관한 문서
개요
유형
언어고대 중국어
국가중국
표제
원어楚辭
로마자 표기Chu ci
의미초나라의 시
정보
저자굴원, 송옥
언어고대 중국어
장르

2. 성립

시경과 함께 중국 고전문학의 큰 기둥인 《초사》는 전한 말기 유향이 편집하였으나, 현재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판본은 후한왕일이 자신의 시를 합하여 주석을 붙인 《초사장구(楚辭章句)》이다.[5]

《시경》의 마지막 시보다 200년 정도 늦게 출현하였으며, 물, 빛, 풀, 꽃, 인심, 풍속, 신앙 등 모든 면에서 남방적인 특징을 보인다.[4] 《시경》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굴원과 같은 천재적인 시인들에 의해 개성적인 요소들이 결합되어 내용과 형식에서 독자적인 체계를 완성하였다. 내용의 공상성, 한 구절 여섯 글자의 활발한 리듬이 그 특징이며, 시가와 작가명을 함께 기록하게 된 것도 굴원이 출현한 이후의 일이다.

3. 특징

楚辭중국어는 3자가 기저를 이루는 낭송적인 작품으로, 시와 산문의 중간 형태이다. 굴원을 비롯한 귀족들에 의해 창작되었으며, 정열과 낭만으로 상상의 세계를 펼친 장강 유역 남방 문학의 정수(精華)라 불린다.

문체의 명칭으로서 ‘초사’의 특징은, 2자와 2자, 3자와 2자, 3자와 3자 사이에 ‘혜(兮)’자를 두는 《구가》의 구법, 또는 ‘혜’자 대신에 구 사이에 ‘지(之)’, ‘이(以)’, ‘이(而)’ 등의 조자(助字)를 넣고, 무운구말(無韻句末)에 ‘혜’자를 두는 《이소》식의 구법이다. 《초혼》에서는 ‘사(些)’자, 《대초》에서는 ‘지(只)’자를 구말에 둔다. 편미(編尾)에 ‘난(亂)’이라는 몇 구 내지 20구 가량의 종편사(終編辭)가 있는 것도 특징이다.

4. 구성

왕일의 《초사장구》는 17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석본으로는 《초사장구》 외에 북송 홍흥조의 《초사보주》, 주희의 《초사집주》 등이 있다.[1]

사는 육언(六言) 내지 칠언(七言)으로 읊어지며, 원래는 민요이며, 그 기원은 무당의 노래에 있다고 전해진다. 중국 북방의 문학에 비해 매우 감정이 강하게 나타나며, 음률을 정돈하기 위한 목적으로 ‘兮(혜)’ 자가 들어가는 것이 특징이다.[1]

4. 1. 주요 작품


  • 이소
  • 구가
  • 천문
  • 구장
  • 원유
  • 복거
  • 어부
  • 구변
  • 초혼
  • 대초
  • 석서
  • 초은사
  • 칠간
  • 애시명
  • 구회
  • 구탄
  • 구사

5. 배경

시경》과 함께 중국 고전문학의 큰 기둥인 《초사》는 초나라 방언으로 쓰였으며, 전한유향이 편집하였다. 굴원의 시와 그를 추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초사》는 현재 중국 중부에 위치했던 초나라에서 기원한 시 형식을 따랐다. 초나라는 당시 중국 문화권의 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었으며, 중원 문화와 남방 문화가 혼합된 지역이었다. 따라서 북중국 사람들은 때때로 초나라를 다양한 이국적인 특징으로 명성이 자자한 "남쪽"의 일부로 간주했다. 《초사》의 구절들은 특징적으로 이국적인 요소가 강하게 나타난다. 중국 형태의 무속 신앙이 초나라에서 두드러졌고, 많은 《초사》 구절들이 "영적 여행"을 묘사한다.[4] 그러나 남방의 영향은 극히 미미하여 무속 신앙과 남방에서 유래한 매장물에 국한되었으며, 그 외 문학, 시, 의복, 건축 등은 모두 북방의 영향을 받았다.[4]

이국적인 요소에 대한 다른 언급으로는 다양한 마법 식물이나 향기로운 식물과의 만남, 다양한 영혼과 신과의 교류, 그리고 하늘, 땅끝, 박트리아, 신화 속의 곤륜산과 같은 다양한 이국적인 장소로의 여행 등이 있다.

굴원송옥의 시집은 《초사》에 포함되어 있으며, 서한 시대에 인기를 얻었다. 많은 한나라 시인들 또한 《초사》 스타일로 글을 썼다. 왕일은 《초사》에 대한 광범위한 주석을 달았으며, 자신의 작품 "구사"를 17번째이자 마지막 섹션으로 추가했다.[5]

《초사》의 내용은 과거 초나라 영토의 문화와 종교적 신념에 대한 중요한 1차 자료이다.[16] 이 시에 반영된 신념은 이전 상과 주 왕조의 신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무속 신앙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17] 비행이나 여행의 주제는 샤머니즘의 전형적인 특징이며, 《초사》의 시 전체에서 자주 발견된다.[18]

《초사》의 성립은 전한 말기의 유향에 의한 것이지만, 이는 산일되었고, 현행 《초사》는 거기에 후한왕일이 자신의 시를 합한 《초사장구》가 현재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초사》이다.

출현 연대는 《시경》의 마지막 시가 성립된 시기보다 200년 정도 늦을 뿐만 아니라, 그 물, 빛, 풀, 꽃, 그리고 인심과 풍속, 특히 신앙의 형태가 모두 남방적이다. 《시경》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몇 명의 천재적인 시인에 의해 이러한 요소들이 개성적으로 결합되어 내용과 시형에서 독자적인 체계가 완성되었다. 내용에서의 공상성, 형식에서의 한 구절 여섯 글자의 활발한 리듬이 그 특징이다. 또한 시와 작가명을 함께 기록하게 된 것도 굴원이 출현한 이후의 일이다.

6. 저자 및 편집

시경》과 함께 중국 고전문학의 큰 기둥인 《초사》는 전한유향이 편집하였다. 굴원의 시와 그를 추모하는 내용을 담은 시로 구성되어 있다.[3]

비록 《초사》가 여러 시인의 시를 엮은 선집이지만, 굴원은 이소의 작가이자 주인공으로서 중심 인물이었다. 《초사》의 여러 부분을 쓴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작가들도 있으며, 일부는 전통적인 출처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 다양한 학술 자료에서는 누가 무엇을 썼는지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며, 일부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은 의문이나 질문이 제기된다.

사마천의 《사기》에는 굴원의 작품 5편이 언급되어 있다: 《이소(離騷)》, 《천문(天問)》, 《초혼(招魂)》, 《애영(哀郢)》, 《회사(懷沙)》.

동한 시대의 왕일에 따르면, 총 25편의 작품이 굴원에게 귀속될 수 있다: 《이소(離騷)》, 《구가(九歌)》(11편으로 구성), 《천문(天問)》, 《구장(九章)》(9편 모두), 《원유(遠遊)》, 《보거(卜居)》, 《어부(漁父)》.

왕일은 《초혼(招魂)》을 굴원의 동시대인인 송옥에게 귀속시키기로 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초혼(招魂)》이 굴원의 원작이라고 여기는 반면, 《원유(遠遊)》, 《보거(卜居)》, 《어부(漁父)》는 다른 사람에 의해 쓰여진 것으로 여겨진다.

한나라 성제 시대에, 유향이 유안의 이전 편집을 바탕으로 굴원, 송옥의 시와 왕포, 가의, 엄기(嚴忌중국어), 유향 본인을 포함한 한나라 시인들의 시를 현재 알려진 형태의 《초사》 선집으로 정리하고 편집한 것으로 보인다.

《초사》의 중요한 측면 중 하나는 이에 대한 주석이다. 표준 판본의 《초사》에 대한 초기 주석의 상당 부분은 한나라 왕실 사서관인 왕일이 제공했다.[5]

7. 시적 특징

《초사》는 3자가 기저를 이루고 있으며, 낭송적인 작품으로 시와 산문의 중간 형태이다. 굴원을 비롯한 귀족들에 의해 창작되었으며, 정열과 낭만으로 상상의 세계를 펼친 장강 유역 남방 문학의 정화(精華)라 불린다.[12]

문체의 명칭으로서 ‘초사’는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2자와 2자, 3자와 2자, 3자와 3자 사이에 ‘혜(兮)’자를 두는 《구가》의 구법(句法), 또는 ‘혜’자 대신에 구 사이에 ‘지(之)’, ‘이(以)’, ‘이(而)’ 등의 조자(助字)를 넣고, 무운구말(無韻句末)에 ‘혜’자를 두는 《이소》식의 구법이 있다. 또 《초혼》에서는 ‘사(些)’자, 《대초》에서는 ‘지(只)’자를 구말에 둔다. 그 밖에 편미(編尾)에 ‘난(亂)’이라는 몇 구 내지 20구 가량의 종편사(終編辭)가 있는 것도 특징이다.[12]

7. 1. 송(Song) 스타일

일부 《시경》 시는 4음절 행을 사용하며, 4개의 동일하게 강세를 받는 음절을 사용한다. 이는 때때로 대명사나 임시어를 네 번째(또는 마지막) 위치에 사용하여 격행에서 네 번째 음절의 강세를 약화시키는 방식으로 변형된다.[11] 《천문》, 《초혼》, 《대초》는 모두 《시경》의 전형적인 운율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경》 스타일 (《시경》과 《초사》 모두)은 이러한 행들을 운율을 맞춘 4행 연구로 묶는다. 따라서 송(Song) 스타일 시의 표준 구성 요소는 강하고 쿵쿵거리는 음질을 가진 4행 연구이다.

변형된 송 스타일 구절("7-플러스"의 한 유형)은 7개의 강세를 받는 음절 또는 악센트가 있는 음절을 사용하고, 격행의 마지막 음절에는 강세가 없는 약한 악센트의 음절을 사용한다.

"천문"은 《시경》의 전형적인 운율적 특징을 공유한다. 즉, 4자 행, 운율을 맞춘 4행 연구의 지배적인 경향, 그리고 격행에서 약한(강세가 없는) 행의 마지막 음절을 사용하는 간헐적인 교차이다.

"대초"와 "초혼"의 시 형태("7-플러스"의 다른 종류)는 이 패턴에서 벗어나 주어진 작품 전체에서 표준 임시어 후렴구를 균일하게 사용하며, 행에 강세와 강세가 없는 음절을 교대로 사용하는 것이 표준 구절 형식이 되었다. 다양한 고대 중국 고전 시에서 단음절 후렴구로 사용되는 임시어는 다양하다. (현대 발음에 따르면), "초혼"은 ''xie''를 사용하고, "대초"는 ''zhi''를 사용하며, "구변"은 ''xi''를 사용한다. 이러한 강세가 없는 임시어 중 어느 하나라도 운율에서 유사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두 행의 조합은 첫 번째 4음절과 마지막 3강세 음절 사이에 시적 단락 구분을 두고 약한 무의미한 후렴구 음절을 추가하여 하나의 단일 7자 행의 효과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12]

"구변"의 개별 노래나 시에서, 일반적으로 행은 다양한 수의 음절로 구성되며, 임시 단어로 구분된다. 이 경우 선택된 임시 단어는 兮(, 상고한어: ''*gˤe'').[13] 이는 사자성구 형식의 "시경"과는 달리, 표현에 다른 리듬적 여유를 더한다.

7. 2. 한(漢) 스타일

구변의 개별 노래들은 다양한 수의 음절로 구성되며, 임시 단어 '혜(兮)'로 구분되어 표현에 리듬적 여유를 더한다.[12]

7. 3. 사오(騷) 스타일

이소》식의 구법은 2자와 2자, 3자와 2자, 3자와 3자 사이에 ‘혜(兮)’자를 두거나, ‘혜’자 대신에 구 사이에 ‘지(之)’, ‘이(以)’, ‘이(而)’ 등의 조자(助字)를 넣고, 무운구말(無韻句末)에 ‘혜’자를 두는 것이다. 또 《초혼》에서는 ‘사(些)’자, 《대초》에서는 ‘지(只)’자를 구말에 두고 있다. 그 밖에 편미(編尾)에 ‘난(亂)’이라는 몇 구 내지 20구 가량의 종편사(終編辭)가 있는 것도 특징이다.[12]

8. 신화와 종교

무덤 짐승-경비(진무수). 기원전 5~3세기, 초나라, 중국 남부


《초사》는 다양한 시와 산문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대 문학에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초나라 지역의 문화와 종교적 신념에 대한 귀중한 역사적 정보를 제공한다.[15][16] 특히 "천문"과 같은 일부 작품은 신화적 내용을 상세히 담고 있다. 《초사》는 혼(魂)과 백(魄)의 존재와 같은 종교적, 철학적 질문을 시적으로 다룬다.

《초사》는 초기 중국 신화 속 신화적 존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여기에는 뿔 달린 용(구룡), 악어 용(교룡), 도교에서 불멸의 존재로 알려진 선인과 진인, 거대한 뱀 파사, 무지개 용(홍), 비룡, 촉룡 등이 언급된다. 또한, 등, 시, 치에 사용된 한자의 의미에 대한 정보도 《초사》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여와, 천, 고대 군주 순, 대홍수에 관한 신화는 《초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상강의 여신과 반점 죽순의 유래에 관한 전설도 포함되어 있다.

《초사》의 내용은 과거 초나라 지역의 문화와 종교적 신념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16] 이 시에 나타난 신념은 상과 주 왕조의 신념과 관련이 있지만, 무속 신앙의 특징을 강하게 보여준다.[17] 비행이나 여행의 주제는 샤머니즘의 전형적인 특징이며, 《초사》의 여러 시에서 자주 나타난다.[18] "이소"와 "구가"는 모두 신성한 존재와의 만남을 포함하는 공중 비행과 함께 꽃의 상징성을 공유한다.[19]

9. 후대의 영향

《초사》는 여러 장르의 고전 중국 시에 큰 영향을 미쳤다.[20] 또한 영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그 영향력을 더욱 확대했다.

《초사》는 《시경》처럼 정전이 되지 못했다. 데이비드 호크스는 "《초사》의 시들은 인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정전에도 속하지 않았으며, 기이하고 정통적이지 않은 주제를 다루었고, 서주 전통의 성역 밖에서 기원했다."라고 말한다.[21] 그러나 《초사》 전통의 일부는 공자 사상을 포함하며, 자신의 청렴함을 훼손하는 것보다 죽음을 택하는 충성스러운 신하를 찬양한다. 한나라 시대에 출판된 후, 《초사》는 다양한 해설과 판본을 포함하여 다양한 편집 처리를 거쳤다. 현재 《초사》의 섹션이 일반적으로 배열된 순서는 10세기 또는 11세기 동안 또는 그 이후에 편집 재배치를 통해 정해졌다.[22] 그러나 이는 '이소'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왕이의 판본에서는 "《이소경》"으로 제목이 붙여져 있다. 《초사》의 다른 작품들은 일반적으로 원본 "고전" 텍스트에 대한 주석 또는 확장의 범주에 속한다.[23]

《초사》의 영향은 가의, 심전기, 장열, 두보, 한유, 유종원, 소식을 포함한 시인들의 작품을 통해 나타난다.

10. 한국어 번역본


  • 류성준 옮김, 《초사》
  • 권용호 옮김, 《초사》, 글항아리, 2015년
  • 고난 이치로 역주, 《초사》 (이와나미 문고, 2021년)
  • 호시카와 기요타카 역저, 《초사 신석 한문 대계 34》 (메이지 서원, 1970년)
  • * 발췌판 《초사 신서 한문 대계 24》 (메이지 서원, 2004년, 스즈키 가오리 편)
  • 후지노 이와토모 역저, 《초사 한시선 3》 (슈에이샤, 신판 1996년)

참조

[1] 서적 Ch'u Tz'u: Songs of the South, an Ancient Chinese Anthology Clarendon Press
[2] 서적 Sao Poetry Columbia University Press
[3] 문서
[4] 서적
[5] 서적
[6] 문서
[7] 위키소스 離騷
[8] 위키소스 九歌
[9] 문서
[10] 위키소스 天問
[11] 서적
[12] 서적
[13] 문서
[14] 서적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서적 Chinese Poetry as Soul Summoning: Shamanistic Religious Influences on Chinese Literary Tradition Cambria Press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