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교는 중국에서 기원한 종교이자 철학 체계로, 도(道)를 우주의 근본 원리로 삼아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한다. 노자의 《도덕경》과 장자의 사상을 기반으로 하며, 개인의 수양과 불로장생을 추구하는 철학적 경향에서 종교적 형태로 발전했다. 한국에는 삼국 시대에 전래되어 민간 신앙과 융합되었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신앙과 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주요 인물로는 장도령, 장릉, 왕중양 등이 있으며, 교리로는 도, 덕, 자연, 무위, 심, 성명쌍수, 음양오행 등이 있다. 수행 방법으로는 정공, 기공, 도인, 내단, 부적, 재초 등이 있으며, 경전으로는 도덕경, 장자, 도장 등이 있다. 태극도, 팔괘, 용, 호랑이, 신선 등은 도교의 주요 상징이다. 도교는 윤리, 예술, 한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도교는 호국 신앙 및 민간 신앙과 결합하여 현세이익을 추구하는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 계통의 종교 - 선종
선종은 견성성불을 핵심 교리로 좌선과 참선을 통해 불성을 발견하여 열반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대승 불교의 한 종파이다. - 도 계통의 종교 - 유교
유교는 공자를 창시자로 동아시아 문화권에 영향을 미친 사상 체계로, 수기치인을 핵심 가치로 개인의 도덕적 수양과 사회 질서 구현을 강조하며, 사서오경과 오륜을 통해 사회 윤리를 제시한다. - 이원론 - 태극
태극은 만물의 근원이자 음양의 기원으로 여겨지는 중국 사상의 개념으로, 우주 생성론의 핵심이며 한국 문화의 중요한 상징이다. - 이원론 - 자이나교
자이나교는 마하비라에 의해 재확립된 고대 인도 종교로, 아힘사(비폭력)를 핵심 교리로 삼고 삼보를 통해 카르마에서 벗어나 해탈을 추구하며, 백의파와 공의파 등의 종파로 나뉜다. - 철학적 전통 -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는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제시한 사회, 경제, 정치 이론을 포괄하는 세계관으로, 계급 투쟁을 강조하며 공산주의 사회를 목표로 생산 수단의 공유 소유를 통해 자본주의의 착취적 노동 조건을 없애려 한다. - 철학적 전통 - 이슬람 철학
이슬람 철학은 이슬람 세계에서 그리스 철학, 이슬람 신학, 인도 및 페르시아 철학을 바탕으로 발전했으며, 칼람과 팔사파의 두 흐름 속에서 이븐 시나, 이븐 루시드 같은 철학자들을 배출하며 종교, 신비주의, 유럽 철학에 영향을 주었고 동서로 나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도교 | |
---|---|
개요 | |
![]() | |
명칭 | 도교 |
로마자 표기 | Dàojiào |
주요 개념 | 도 덕 무극 태극 음양 오행 기 내단술 무위 |
주요 장소 | |
종교 시설 | 도관 |
성직자 | 도사 |
경전 | |
주요 경전 | 노자도덕경 장자 남화진경 열자 참동계 포박자 황정경 도인경 청정경 운급칠첨 도장 |
신앙 | |
주요 신 | 삼청 옥황상제 황제 서왕모 칠선녀 팔선 관우 항아 마조 종규 뇌공 전모 무극오모 북두성군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남두성군 북극자미대제 태상도군 소아 남극노인 오독장군 유맹장군 적정자 오온사자 이십사제천 이십팔천 수노인 태상노군 구천현녀 용왕 |
주요 인물 | |
창시자 및 주요 인물 | 노자 장자 장릉 장각 위백양 갈홍 허손 구겸지 육수정 도홍경 손사막 진단 오조칠진 왕중양 구처기 장삼봉 |
종파 | |
주요 종파 | 오두미도 영보파 상청파 중현파 정명도 전진교 정일교 화산파 |
성지 | |
주요 성지 | 동천 도원향 호중천 봉래 도교 명산 선경 용궁 복덕도 |
2. 용어
도가와 도교는 사상과 신앙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노자는 도가의 이론가이지만, 종교로서의 도교에서는 신선이자 옥황상제에 버금가는 신으로 숭배받는다. 도가는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하지만, 도교는 노자의 저서 《도덕경》에 절대적인 권위를 부여하고 경전으로 삼았다.
'도교'라는 단어는 관련은 있지만 서로 다른 두 가지 중국어 용어를 번역하는 데 사용된다.[5]
# '도(道)의 가르침' : 도교 철학의 개념과 용어를 공유하는 조직적인 종교 운동들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종종 도교의 "진정한 종교", "신비주의적", "전례적" 측면으로 해석된다. 천사도는 이러한 의미의 초기 사례이다.
# '도의 철학 학파' 또는 '도학'(道學, 때로는 道學) : 핵심 도교 텍스트에 기반한 철학적 교리를 지칭하며, 전국 시대 제자백가 중 하나로 여겨진다.
철학으로서의 도교와 종교로서의 도교 구분은 오래되고 뿌리 깊다. 철학적 도교는 개인의 현실을 현실이자 가치 있는 모든 것(자연 세계와 사회)과 통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8] 그러나 '도'에 대한 초기 언급은 전례적이거나 초자연적인 특성이 거의 없으며, 추상적 형이상학 또는 인간 번영에 필요한 조건의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이러한 구분은 오늘날 중국인들 사이에서 이해되며, 펑유란과 찬윙칫 같은 초기 근대 학자들에 의해 반영되었다. '도학'이라는 용어는 서한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노자와 장자 같은 도교 경전 저자를 지칭한다.[9][10]
하지만 이러한 구분은 서양 또는 일본 출신 종교 학자들에 의해 도전받거나 거부되기도 한다. 이들은 도교 전통의 종교적, 철학적 특성이 분리될 수 없다고 본다. 중국학자 이자벨 로비네와 리비아 콘은 "도교는 결코 통일된 종교가 아니었으며, 항상 다양한 원시 계시를 기반으로 한 가르침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왔다"라고 말한다.
반면, 도교는 "복잡성과 다양성을 특징으로 하는 통일된 종교 전통"으로 특징지어지며, 역사적으로 '철학' 대 '종교'의 이분법으로 이해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도교 성립에 대한 도교 내부 전설과 현대 연구자들의 주요 학설은 다음과 같다.
도가와 도교는 사상과 신앙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도가의 이론가인 노자는 도교에서 신선으로, 옥황상제에 버금가는 신격화가 이루어졌다. 도가는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주축으로 하지만, 도교는 노자의 저서인 《도덕경》에 절대적인 권위를 부여하고 경전화하였다. 중국의 민간 신앙으로서의 도교는 중국인의 신앙 체계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이며, 중국인은 어떤 종교를 믿든지 그 기본 신앙에는 도교적인 요소가 있다고 할 수 있다.
3. 역사
도교에는 여러 파가 있는데, 천사도는 장씨가 교주를 세습하여 현재 대만에도 천사도의 마지막 교주가 생존하고 있다. 도교는 신선, 연단, 불로장생, 옥황상제 등을 믿으며, 불교와 교류하면서 서로 강력한 영향을 주고 받았다.
도교는 신선 사상에 중국의 민간 신앙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종교다. 흔히 "유불선" 삼교라고는 말하지만 "유불도" 삼교라고는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도교와 신선도는 같은 단어로 이해한다. 그 골자는 불로장생에 있으며, 의학, 약학, 화학, 연금술을 동반하고, 그 위에 신비적인 방술(方術)을 닦음으로써 스스로 진인, 신인(神人) 또는 선인(仙人)이 되기를 원한다.
도교가 백성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유교의 성리학처럼 배타주의나 편향주의로 나아가지 않고 모든 것을 포용하는 조화로움을 지녔기 때문이다. 민간신앙으로서의 도교는 현세의 이익을 전적으로 하여 농민 폭동과도 관련을 맺어 송나라 이후 《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 《보권(寶卷)》, 《공과격(功過格)》 등의 책이 나타났다.
중국의 무술도 도교와 관련이 있다. 주로 도교 사원 내에서 또는 도교 고승들에 의해 만들어지거나 훈련되었으며, 후에 평신도들에게 전파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양식에는 도교의 원리, 철학, 이미지 등이 포함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무당파의 무당권이 있다.
후한(25-220) 말기에 성립된, 장도릉(34-156)을 개조로 하는 오두미도 또는 천사도가 도교의 원류이다. 장도릉의 자손은 장시성의 용호산에서 정일교를 개교하였다. 서진(265-317)의 재상의 딸인 위화존(3세기말-4세기)은 모산파 또는 상청파를 열었다. 동진(317-420) 시대에 갈홍(283-c.343)은 《포박자》를 지어 일파를 열었다.
하지만 아직 민간신앙의 차원에 머물러 있었고, 북위(386-534)의 구겸지(365-448)에 이르러 교단도교로 확립되어 국가적 종교로 불교와 대립했다.[170] 양나라(502-557)의 도홍경(452-536)은 모산파를 대성하였다. 당(618-907), 송(960-1279) 시대에는 조정의 지지를 얻어 도교가 성행하였다. 이후 도사들이 퇴폐풍조를 초래하여서 금나라(1115-1234) 때는 혁신 운동이 일어나 전진도, 태일도, 진대도의 세 파가 발생하였다.
한반도로 도교가 전래된 첫 기록은 624년 고구려 영류왕(재위 618-642) 7년 때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영류왕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도교가 들어올 수 있도록 도와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러자 당나라에서는 천존상, 도법(道法)과 함께 도사(道士)를 파견하였다. 파견된 도사는 노자(老子)의 도법을 강의하였는데 영류왕과 수천 명의 고구려인들이 강의를 들었다. 이듬해인 625년에는 고구려에서 학인들이 당나라로 파견되어 불교와 도교의 교법을 배워왔다.
고구려의 도교와 관련된 다른 기록으로는 643년과 650년의 기록이 있다. 643년 고구려의 마지막 왕인 보장왕 2년에는 당시의 실권자인 연개소문의 건의로 당나라에서 숙달을 포함한 도사 8명과 함께 《도덕경》을 보냈다. 고구려 조정에서는 한 사찰에 이들 파견된 도사들이 거처하게 하였는데, 이것은 불교 사원을 도교의 사원인 도관으로 삼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650년 고구려 보장왕 9년에는 수도인 평양에 있던 반룡사의 승려 보덕이 고구려에서 국가적으로 도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경시하여 불교가 쇠퇴하자 이러한 상황을 개탄하며 백제로 옮겨가 전주에 경복사를 세우고 열반종의 교의를 강론하였다.[172] 이와 같이 고구려에서는 일시적으로 도교를 매우 숭상하였다. 고구려 말기에 융성했던 도교는 《삼국유사》 보장봉로조(寶藏奉老條)의 고려본기에서 전하는 기록에 의하면 오두미도였는데, 장도릉이 창시한 최초의 오두미도가 아니라 상당히 수정되고 발전된 형태의 것이었다.
신라(BC 57-AD 935)는 당나라와의 문물 교류가 활발하였으므로 도교가 상당히 유행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자세한 기록이 없다. 그러나 국모신(國母神)인 서술성모(西術聖母)를 일명 선도성모(仙桃聖母)라 하여 후세에 여선(女仙)으로 숭배한 일이 있으며, 국가의 제사에 오악신을 받들어 어느 정도 도교적 색채를 띠게 되었다는 기록은 있다. 신라 말기의 김가기(?~859), 최치원(857~?) 등은 도교 혹은 신선사상과 관련이 깊은 인물이었다.
고려(918-1392)에 들어와서는 도교를 중시하는 송나라(960-1279)의 풍습이 조금씩 전래하다가 예종(재위 1105-1122) 때에 송나라 휘종(재위 1100-1125)이 도사 두 명을 보내어 도법을 전하였고, 이에 고려에서는 개성의 북쪽에 복원관(福源觀)이라는 도관을 세워 삼청상을 모시고 도사를 두었다. 그러나 도교는 국가 중심의 도교 의식에 그치고 일반 민중의 종교적 발전에까지는 이르지 못하였고, 성신에 대한 신앙, 부적의 사용, 경신을 지키는 것 등이 대중화되었다. 도교에서 행하는 제사 및 기도 의식을 재초라고 하는데, 고려에서는 정사색이란 마을이 있어서 여기에서 재초가 행해졌다.
조선에서는 고려의 뒤를 이어 도교의 재초를 행였지만 복원관을 비롯한 여러 재초 거행 장소를 폐지하고 경복궁의 북쪽에 소격서를 한 군데만 두었다. 소격서에 태일전(太一殿), 삼청전(三淸殿) 등을 세우고 천존(天尊), 성군(星君), 신장(神將) 등 수백위(數百位)를 모셔 놓고 때때로 재초를 거행하였다. 지금의 삼청동(三淸洞), 성제정(星祭井), 소격동(昭格洞) 등이 당시의 도교 유적이다. 조선에서 도교는 국가적으로는 그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쇠퇴일로를 걷게 되었다. 그러나 민간에서는 단학(丹學)과 선풍(仙風) 및 도교에서 유래한 풍습이 전대(前代)에 비하여 많이 행해졌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명나라의 군사들에게서 배운 관우 숭배 등이 유행하였다.
4. 주요 인물
이름 설명 원시천존 태초의 시작으로서의 우주적인 존재 영보천존 영험한 보석으로서의 우주적인 존재 태상노군 길과 덕으로서의 우주적인 존재 옥황상제 중천자미북극대제 구진상궁천황대제 후천황지기 종리권 팔선 중 한 명 이철괴 팔선 중 한 명 한상자 팔선 중 한 명 조국구 팔선 중 한 명 여동빈 팔선 중 한 명 장국로 팔선 중 한 명 남채하 팔선 중 한 명 하선고 팔선 중 한 명 서왕모 동방동극청화대제태을구고천존 서방태극천황대제 남방남극장생대제옥청진왕 원시천존의 9번째 아들 북방북극중천자미대제 승천효법후토황지지 남방남극관음 동방숭은성제 3도10주선옹동화대제군 북방북극현령두모원군 중앙황극황각대선 금광성모 항아 탁탑천왕 나타 이랑진군 토지공 태산대제 뇌공 천령
E. T. C. 베르너, 《중국의 신화와 전설》, 1922
한국 도교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5. 교리와 사상
도(道)와 도교는 사상과 신앙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즉 도가의 이론가라 할 수 있는 노자는 종교로서의 도교에서는 신선으로, 옥황상제에 버금가는 신격화가 이루어질 정도이다. 도가는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주축으로 하나, 도교는 노자의 저서인 《도덕경》에 절대적인 권위를 부여하고 경전화하였다.
도교는 신선 사상에 중국의 민간 신앙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종교다. 흔히 "유불선" 삼교라고는 말하지만 "유불도" 삼교라고는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반에서는 도교와 신선도를 흔히 같은 단어로 이해한다. 그 골자는 불로장생에 있으며, 의학·약학·화학·연금술(鍊金術)을 동반하고, 그 위에 신비적인 방술(方術)을 닦음으로써 스스로 진인·신인(神人) 또는 선인(仙人)이 되기를 원한다.
도교가 백성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유교의 성리학처럼 배타주의나 편향주의로 나아가지 않고 모든 것을 포용하는 조화로움을 지녔기 때문이다.
도교는 본래 민간 신앙을 기반으로 하여 일어난 중국의 자연 종교이다. 정령 숭배를 기반으로 하여 신선 사상을 중심으로 삼고, 거기에 도가 역 음양오행 복서 참위 점성 등의 사상 및 이론과 무격 신앙을 가미하고, 다시 그 위에 불교의 체제와 조직을 본떠 결합한, 불로장생을 주목적으로 하는 한편 수(장수)·복(오복)·록(높은 벼슬)을 구하는 현세이익적인 자연 종교이다.
철학으로서의 도교와 도교 ''종교'' 사이의 구분은 오래되고 뿌리 깊은 것이다. 긍정적인 철학으로서의 도교는 개인의 현실을 현실일 뿐만 아니라 가치 있는 모든 것, 즉 자연 세계와 사회를 포괄하는 모든 것과 전체적으로 통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8] 그러나 '도' 자체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은 전례적이거나 명시적으로 초자연적인 특성이 거의 없으며, 추상적인 형이상학 또는 인간 번영에 필요한 일반적인 조건의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이러한 구분은 오늘날에도 중국인들 사이에서 일상적인 맥락에서 이해되고 있으며, 펑유란과 찬윙칫과 같은 중국 역사 및 철학의 초기 근대 학자들에 의해 반영되었다. '도학'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서한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노자와 장자와 같은 부상하는 도교 경전의 저자를 지칭한다.[9][10]
''도덕경''과 ''장자'' 자체, 또는 그들에 관해 쓰여진 초기 부차 자료는 어떠한 특정 초자연적 존재론도 제시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간 신앙과 철학적 도교의 계율의 종합으로부터 종교적 도교가 출현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전한 시대 이전과 한나라 시대의 사상가들이 사용했으며, 종종 도교로 분류되거나 스스로를 그렇게 여긴 사적인 숭배와 국가가 승인한 숭배를 명시적으로 거부한 사람들 사이에서도 송나라 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도교는 중국 고래의 종교적인 여러 관념을 바탕으로 오랜 기간을 거쳐 형성된 것으로, 한 사람의 교조가 시작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노자가 도교의 교조라고 할 수는 없지만, 『노자』에 나오는 "'''도'''"의 개념이 도교 사상의 근본임은 분명하다.
노자는 선진 시대의 학자로 여겨지지만, 그의 경력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점이 많고, 그의 사상을 기록한 『노자도덕경』의 성립 시기도 여러 설이 있다. 전국 시대 후기에는, 노자의 "도", "덕", "유", "무위"와 같은 사상은 알려져 있었으며, "도"를 세계 만물의 근원으로 정하는 사상도 이때 발생하여, 노자의 사상과 같은 도가라는 학파에서 해석되었다.
『노자』에서 말하는 "'''도(道)'''"의 개념이 도교 사상의 근본이다. 도교에서는 불로장생을 얻어 "도"와 합일하는 것을 궁극적인 이상으로 내걸며, 도덕의 교리를 기록한 책의 서두에는 『노자』의 "도" 또는 "도덕"에 대한 설명이 실리는 것이 통례이다. 『노자』에서는, 세상에서 보통 "도"라고 불리는 길은 진짜 길이 아니라고 부정하고, 눈에 보이는 현상 세계를 초월한 근원 세계, 천지 만물이 나타난 신비의 세계에 주목한다. "도"는 초월적이어서 인간에게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천지 만물을 낳는 위대한 작용을 하며, 기(氣)라는 형태로 천지 만물 안에 보편적으로 내재해 있다.
도교에서는 불로장생을 얻어 "도"와 합일하는 것을 이상으로 삼지만, 그 경우에는 정신적인 깨달음만을 문제 삼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인 측면도 매우 중시한다. 따라서, 형이상학적인 "도"의 구체적인 발현인 "기"도 부각되게 되었다.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다는 사람들의 공통된 소망이 영원한 생명을 얻는다는 초현실적인 영역까지 부풀려진 것이 신선이라는 관념이며, 도교에서는 이념적으로 신선이 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고 있다. 신선은 동쪽 바다 멀리 있는 봉래산이나 서쪽 끝에 있는 곤륜산에 살며, 불로불사 등의 능력을 가진다. 또한, 전국 시대부터 한대에 걸쳐 신선은 날개가 달린 사람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신선은 하늘로 비상하는 존재로 여겨졌다.
또한, 도교에서 중심이 되는 신은, 처음에는 노자를 신격화한 '노군'이나 '태상노군'이 있었으며, 6세기경부터는 우주의 '도'를 신격화한 '원시천존'이나 '태상도군', 13세기경부터는 황제의 변신인 '옥황상제'나 '여조'가 있다. 그 외에도, 부뚜막의 신이나 마조 (해상의 수호신) 등 무수히 많은 신이 존재한다.
도교에서 천상의 세계는 신들이 사는 곳이며, 사람도 정도에 따라 도달할 수 있는 이상적인 경지라고 여겨졌지만, 구체적인 천계설은 경전에 따라 다양하여 통일되어 있지 않다. 당나라 초기 무렵에 천계설로 정착된 것이 "36천설"이며, 이에 따르면 천계는 36개의 하늘이 겹겹이 쌓인 구조를 하고 있으며, 삼계 내에 있는 "28천"과 그 위에 있는 "8천"으로 나뉜다. 삼계 28천 중 아래의 6천은 욕계, 다음 18천은 색계, 다음 4천은 무색계이며, 삼계 28천에 사는 자는 수명이 길고 아름다운 보옥에 둘러싸여 있지만, 생사를 면할 수는 없다. 무색계 위에는 4천이 있으며, 그곳에는 생사가 없고, 재해도 미치지 않는다. 그 위에는 삼경(태청경, 상청경, 옥청경)이 있으며, 그 위(36천의 최상부)에는 대라천이 있고, 과거·현재·미래의 삼세 천존이 거기에 있다.
36천설은 불교의 삼계 28천설을 하층부에 포함하고 있으며, 불교의 천계 위에 도교 특유의 하늘을 둠으로써 불교보다 우위에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신선은 세부적으로 등급이 나뉘어 각 계위에 따라 사는 곳이 정해져 있으며, 삼경에는 구선, 구진, 구성의 27개의 위가 있고, 각 위의 선인, 진인, 성인이 산다고 여겨졌다.
"귀(鬼)"란 죽은 자의 영혼이나 천지 산천의 정령을 말한다. 불로불사를 이상으로 내세우는 도교로서는 귀는 이상을 달성하지 못한 존재가 되지만, 실제로는 누구도 죽음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실제로는 도교와 귀의 관념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었다. 중국 고래의 태산 전설이 불교의 "지옥" 관념과 결합하여, 사람은 죽은 후 태산 지옥에 들어가 태산부군에 의해 심판을 받고, 명계에서의 처우가 결정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도교, 유교, 불교 사이에는 다양한 상호 교섭과 융합이 일어났다. 불교와 도교의 융합 사례로는 천계설, "겁(劫)"의 관념, 지옥, 지관(止觀), 선(禪)의 사상, 대승 사상, 공(空) 사상, 불성(佛性) 사상 등이 있다. 유교와 도교의 융합 사례는 윤리 사상의 면에서 잘 나타나며, 『태평경』이나 『포박자』 등, 유교의 윤리 도덕이 기조가 된 경전이 많다.
도교, 유교, 불교 삼교의 우열이 다투어지기 시작한 것은 특히 남북조 시대로, 황제 앞에서 공개 토론이 실시되는 등, 도교는 유교 및 불교와 삼각의 항쟁 시대로 접어들었고, 충분한 이론 형성이 필요하게 되었다. 나아가, 불교에 대한 우위를 나타내기 위해, 노자가 서역으로 건너가 석가모니가 되었다는 설을 세우는 『노자화호경』이나, 불교의 "삼계 이십팔천"을 능가하는 "삼계 삼십육천" 설을 만들어내는 등, 교리의 확충과 강화를 진행했다. 한편, 불교 측에서도 노자, 공자, 안연은 부처가 중국 사람들을 교화하기 위해 파견한 불제자라고 하는 "삼성 파견설" 등이 제창되었다.
6. 수행 방법
도교의 수행은 심신의 조화를 이루고, 불로장생을 추구하며, 궁극적으로 도와 하나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교의 수행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정공(靜功): 고요한 명상을 통해 마음을 정화하고, 번뇌를 없애며, 도에 집중하는 수행법이다.
- 기공(氣功): 호흡과 자세를 조절하여 체내의 기(氣)를 활성화하고, 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수행법이다. 기공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대표적으로 태극권이 있다. 태극권은 도교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 무술이자 수행법이다.
- 도인(導引): 몸을 움직여 기혈 순환을 촉진하고, 건강을 유지하며, 장수를 추구하는 수행법이다. 일종의 유연 체조로, 건강 유지와 질병 치료에 활용된다.[172]
- 내단(內丹): 체내에 단(丹)을 만들어 불멸을 추구하는 연금술적 수행법이다. 명상 등을 통해 체내의 기를 단련하여 몸 안에 금단(金丹)을 생성하고, 불로장생에 이르는 방법론이다.[172]
- 부적(符籍): 신성한 힘을 담은 그림이나 문자를 통해 재앙을 막고 복을 비는 의례이다. 영적인 능력이 깃든다고 여겨지는 "부"(부적, 영부)가 예로부터 사용되었으며, 천재지변, 인재의 방지 및 사악함, 병마의 퇴치를 위한 주술의 일종으로 널리 퍼졌다.[172]
- 재초(齋醮): 신에게 제물을 바치고 기도를 올리는 의례이다. 죽은 자를 구제하는 사자 의례와, 사람들의 생활에서 위험을 제거하고 평안을 기원하는 기안 의례의 두 계통이 있다.[172]
이 외에도 도교에서는 다음과 같은 수행 방법들이 있다.
7. 경전
불교의 대장경에 해당하는 도장(道藏)이 도교 경전이다. 현재 전해지는 도장은 5,305권의 《정통도장》과 180권의 《속장》을 합쳐 총 5,48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통도장》은 동현(洞玄)·동진(洞眞)·동신(洞神)의 "삼동(三洞)"과 태현(太玄)·태평(太平)·태청(太淸)·정일(正一)의 "사보"로 구성된 삼동사보(三洞四輔: 세 개의 중심부과 네 개의 보완부) 체계이다.[170] 이러한 구성은 당시 중국 한역(漢譯) 불교경전 체계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삼동은 4세기말에서 5세기초에, 사보는 5세기말에서 6세기초에 성립되었다.[170]
도교 경전은 삼동사보십이류로 분류된다. 삼동은 동진경, 동현경, 동신경의 세 가지로, 각각 본문, 신부, 옥결, 영도, 보록, 계율, 위의, 방법, 중술, 기전, 찬송, 표주의 십이류로 나뉜다. 삼동은 상청경, 영보경, 삼황경(삼황문)이라고도 불리며, 4세기부터 5세기에 걸쳐 모산파를 중심으로 제작되었다. 사보는 이보다 늦은 5세기부터 6세기에 걸쳐 만들어졌으며, 태평도와 천사도, 도가와 신선가 등의 서적을 보충하여 성립되었다. 다만, 삼동사보가 엄격하게 분류대로 나뉘어져 있는 것은 아니며, 《묵자》나 《한비자》 등 도교 이외의 서적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 '''동진경(上清經중국어)''': 삼동 최상위의 상청경을 전한 파의 개조는 임성국임성현의 여성 위화존이다. 그녀는 두 아들과 전란을 피해 강남으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천사도의 제주(지도자)가 되었다. 그 후, 선도를 극하여 선녀가 되었고 자허원군·남악부인을 칭했다. 동진의 관리 허밀은 영매의 도움을 받아 자허원군 등을 선계에서 강림시켜 가르침을 적어 남겼다. 이것이 시대를 거쳐 상청경이 되었다. 정신을 연마하는 명상법인 존사법 등의 수련을 통해 더러운 인간계를 벗어나 신선계에 이르는 것을 가르친다.
- '''동현경(靈寶經중국어)''': 영보경의 기원은 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사귀를 물리치고 승선을 이룬다는 신인으로부터 받은 "영보오부"와 그 주술에 있다고 여겨진다. 이는 강남의 갈씨도라고 불리는 일족이 전했고, 경전으로 정비되었다. 그 내용은 불교, 특히 대승불교의 영향을 받아, 윤회와 원시천존이 중생을 구제한다는 사상을 가진다. 또한 의례를 자세하게 정하고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 '''동신경(三皇文중국어)''': 삼황경이라는 이름은 천황, 지황, 인황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출처에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서성산의 석실 벽에 새겨진 문언을 백화라는 인물이 배우고 취했다고도 하고, 숭산에서 포정이라는 인물이 석실에서 발견했다고도 한다. 이미 대부분이 사라져 현재에는 전혀 전해지지 않지만, 악귀 망량을 물리치는 법이나 귀신 사역법 등이 쓰여 있었다고 한다.
- '''사보''': "사보"는 태현, 태평, 태청, 정일의 네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태현, 태평, 태청은 동진, 동현, 동신의 교의를 보충하는 것이고, 정일은 삼동·삼보의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태현부는 《노자도덕경》 및 이와 관련된 경전류, 태평부는 《태평경》의 잔존하고 있는 것, 태청부는 금단과 관련된 문헌, 정일부는 오두미도·천사도 관계의 경전이다.
8. 상징과 이미지
도교의 대표적인 상징은 다음과 같다.
- '''태극도''': 음양의 조화를 상징하는 도안으로, 도교에서 널리 사용된다.
- '''팔괘''': 우주 만물의 변화를 나타내는 여덟 가지 괘로, 도교 점술에 사용된다.
- '''용과 호랑이''': 각각 음과 양을 상징하는 동물로, 도교 예술에 자주 등장한다.
- '''신선''': 불로장생을 얻은 존재로, 도교 신앙의 이상적인 모델이다. 신선은 동쪽 바다 멀리 있는 봉래산이나 서쪽 끝에 있는 곤륜산에 살며, 불로불사 등의 능력을 가진다.[1] 전국 시대부터 한대까지 신선은 날개가 달린 사람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으며,[2] 하늘로 비상하는 존재로 여겨졌다.[3] 신선에 대한 동경은 다양한 전설을 낳았고, 『열선전』이나 『신선전』과 같은 선인들의 전승이 생겨났다.[4]
9. 사회와 문화
도교는 '자비', '절제', '겸손'을 중요한 윤리로 강조하며,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한다.[48] 이러한 도교의 윤리 사상은 송나라 이후 민간에 널리 퍼진 선서와 공과격을 통해 구체적으로 실천되었다.[49] 선서는 일반 백성을 교화하기 위한 도덕서였고,[50] 공과격은 선행과 악행을 점수로 매겨 일상생활에서의 도덕적 실천을 장려하는 책이었다.[51]
도교 사상은 문학, 회화, 음악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도교의 신선 사상은 지괴소설과 같은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으며,[52] 왕희지와 같은 서예가들은 도교 경전을 필사하며 예술적 경지를 추구했다.[53] 회화에서는 도교적 주제를 다룬 그림이 많이 그려졌고, 특히 산수화는 도교의 이상향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졌다.[54] 음악 분야에서도 도교 의식에 사용되는 '도곡'이 발전하여 민간 음악과 융합되면서 '도정'이라는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냈다.[55]
도교의 양생술은 한의학 발전에도 기여했다. 양생술은 '기'를 중요하게 여기며, 신체 단련을 통해 건강과 장수를 추구하는 방법이다.[56] 이러한 양생술은 약물학, 침술, 뜸, 방중술 등 다양한 분야와 관련을 맺으며 발전했고,[57] 한의학의 이론적, 실천적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0. 한국 도교의 특징
한국 도교는 중국 도교의 영향을 받았지만, 한국 고유의 문화와 결합하여 독자적인 특징을 형성했다. 풍류도, 화랑도 등 한국 고유의 사상과 도교가 융합되기도 했다. 한국 도교는 호국신앙, 민간신앙과 결합되어 현세이익적인 성격을 띠기도 했다.[172]
624년 고구려 영류왕 때 당나라에서 천존상과 도법, 도사가 파견되면서 도교가 전래되었다. 643년에는 연개소문의 건의로 당나라에서 숙달을 포함한 도사 8명과 《도덕경》이 고구려로 보내졌다. 고구려에서는 불교 사찰이 도관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650년 고구려 보장왕 때에는 반룡사의 승려 보덕이 백제로 가서 경복사를 세우고 열반종을 강론했는데, 이는 고구려에서 국가적으로 도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경시했기 때문이다.[172]
신라에서는 국모신인 서술성모를 선도성모라 하여 여선으로 숭배했고, 국가 제사에 오악신을 받드는 등 도교적 색채를 띠었다. 신라 말기의 김가기, 최치원 등은 신선사상과 관련이 깊은 인물이었다.
고려 예종 때 송나라 휘종이 도사 두 명을 보내 도법을 전했고, 개성에 도관인 복원관을 세워 삼청상을 모시고 도사를 두었다. 고려에서는 정사색이라는 마을에서 재초가 행해졌다.
조선에서는 소격서를 두고 재초를 행했지만, 경복궁 북쪽에 한 곳만 두었다. 소격서에는 태일전, 삼청전 등을 세우고 천존, 성군, 신장 등 수백 위를 모셨다. 지금의 삼청동, 성제정, 소격동 등이 당시의 도교 유적이다. 조선에서 도교는 국가적으로 쇠퇴했지만, 민간에서는 단학과 선풍, 관우 숭배 등이 유행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쇠퇴하였고, 현재는 그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의 도교 연구자들은 한국 도교가 자생했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지만, 국외 연구자들은 중국에서 전래되었다고 보는 경우가 많다. 자생설은 《삼국사기》에 나오는 신라의 "풍류도"나 "화랑도"와 신선의 관련성을 근거로 한다. 또한 한국 도교 설화가 단군 설화나 고구려 건국 신화와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전래설은 《삼국사기》의 624년 기록을 근거로 당나라 고조가 도사, 천존상, 도법을 고구려에 보낸 것을 도교의 본격적인 도입으로 본다. 또한 그 이전에도 4세기 초 이전의 낙랑 유적에서 도교의 주구인 동경이 발견되었고, 5세기 초 고분 벽화에 선인, 선수가 그려져 있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한다.
11. 참고 문헌
- 이즈카 요시코, 《도교사상 10강》, 이와나미 서점, 2020년
- 오미야 시로, 《영부의 주법 : 도교 비전》, 학연, 2002년
- 김정요, 《중국의 도교》, 미야자와 마사요, 시미즈 히로코, 이토 타케시 번역, 헤이카와 출판사, 1995년
- 사카데 요시노부, 《동서 시놀로지 사정》, "도교 연구의 현황", 동방서점, 1994년
- 사카데 요시노부, 《도교란 무엇인가》, 중앙공론신사, 2005년 (복간: 치쿠마 서방<치쿠마 학예 문고>, 2017년)
- 사카데 요시노부, 《에도 시대의 도교 숭배자들 타니구치 이치운・오에 분파・오가미 칸도・나카야마 세이잔・히라타 아츠타네》, 큐코 서원, 2015년
- 카트린 데스프, 《여성의 도교: 중국 여성 도교사》, 몬다 마치코 번역, 인문서원, 1996년
- 노구치 테츠로, 타나카 후미오, 마루야마 히로시, 아사노 하루지 편집, 《도교의 교단과 의례》, 강좌 도교 2, 웅산각출판, 2000년
- 타나카 후미오, "전도 의례"
- 아사노 하루지, "사자 의례"
- 마루야마 히로시, "기안 의례"
- 노구치 테츠로, 후쿠이 후미마사, 야마다 토시아키, 마에다 시게키 편집, 《도교와 중국 사상》, 강좌 도교 4, 웅산각출판, 2000년
- 니카이도 요시히로, "통속 문학과 도교"
- 아리사와 아키라, "연극·음악과 도교"
- 나라 유키히로, "건축과 도교"
- 스기하라 타쿠야, "회화와 도교"
- 오노 슈사쿠, "서와 도교"
- 노구치 테츠로, 나라 유키히로, 마츠모토 코이치 편집, 《도교와 중국 사회》, 강좌 도교 5, 웅산각출판, 2001년
- 카지 토시유키, "선서와 도교"
- 노구치 테츠로, 유사 노보루, 노자키 미츠히코, 마스오 신이치로 편집, 《아시아 여러 지역과 도교》, 강좌 도교 6, 웅산각출판, 2001년
- 츠즈키 아키코, "류큐와 중국의 신들"
- 정재서, "조선과 도교", 노자키 미츠히코 번역
- 후쿠나가 코지, 동아시아 기층 문화 연구회, 《도교와 동아시아 : 중국·조선·일본》, 인문서원, 1989년
- 센다 미노루, "기층" 발굴―상세와 신"
- 후쿠나가 코지, "도교에 있어서의 "초"와 "장"―『연희식』의 "제사"와 "축사"에 부쳐"
- 마에다 료이치, ""급급여율령"을 찾아서"
- P.R. 하츠, 《도교》, 스즈키 히로시 번역, 시리즈 세계의 종교, 아오토사, 2005년
- 스즈키 히로시, "초판 역자 후기"
- 요코테 유타카, "도사와 도관", 《도교의 교단과 의례》, 노구치 테츠로, 타나카 후미오, 마루야마 히로시, 아사노 하루지 편집, 강좌 도교 2, 웅산각출판, 2000년
- 요코테 유타카, 《중국 도교의 전개》, 세계사 리브레, 야마카와 출판사, 2008년
- 요시카와 타다오, 《서와 도교의 주변》, 헤이본샤, 1987년
- 고바야시 마사미, 《중국의 도교》, 중국 학예 총서, 소분사, 1998년
- 사카이데 요시노부 편집, 《「도교」의 대사전: 도교의 세계를 읽다》, 신인물왕래사, 1994년
- 스나야마 미노루, "도교의 성립과 역사"
- 미우라 쿠니오, "풍수술"
- 하야시 사토시, "침구와 도교"
- 사카우치 요시오, "태식"
- 마츠무라 타쿠미, "행기"
- 코바야시 카즈히코, "도인"
- 이카이 요시오, "방중술"
- 니하라 토시쿠니 편집, 《중국사상사전》, 켄분출판, 1984년
- 오오가타 토오루, "삼동사보십이류"
- 오오가타 토오루, "시해"
- 사카이 타다오, "선서"
- 후쿠이 후미마사, "도교"
- 후쿠이 후미마사, "정일교"
- 누마지리 마사타카, "도가"
- 아키즈키 칸에이, "정명도"
- 아키즈키 칸에이, "전진교"
- 이시이 마사코, "상청파"
- 노가미 토시즈카, "진대도교"
- 쿠보 노리타다, "태일교"
참조
[1]
서적
Worlds Together, Worlds Apart: A History of the World – From the Beginnings of Humankind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W. W. Norton
2014-12-16
[2]
웹사이트
http://www.wdsdjxh.c[...]
2019-04-21
[3]
웹사이트
The State of Religion in China
https://www.cfr.org/[...]
2024-05-15
[4]
웹사이트
Taiwan 2017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https://www.ait.org.[...]
US Federal Government
2018-05-29
[5]
논문
1990
[6]
백과사전
Taoism
http://plato.stanfor[...]
Metaphysics Research Lab, CSLI, Stanford University
[7]
논문
1989
[8]
학술지
Taoism and teaching without words
https://www.tandfonl[...]
2023-03-21
[9]
웹사이트
Daoist Philosophy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iep.utm.edu/[...]
[10]
백과사전
Dao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0
[11]
논문
1997
[12]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philosophy of religion
Routledge
2010
[13]
논문
1997
[14]
서적
Myths and Legends
Wellfleet Press
[15]
웹사이트
Other Religions
https://www.pewresea[...]
2012-12-18
[16]
서적
Tong Sing: The Book of Wisdom: Based on the Ancient Chinese Almanac
Barnes & Noble Books
[17]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us Rites, Rituals, and Festivals
Routledge
[18]
웹사이트
Huangdi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19]
서적
Taoism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0
[20]
논문
1997
[21]
논문
2003
[22]
논문
1997
[23]
서적
Women in Taoism
https://books.google[...]
[24]
서적
The Essential Tao: An Initiation Into the Heart of Taoism Through the Authentic Tao Te Ching and the Inner Teachings of Chuang-Tzu
Castle Books
1998
[25]
서적
The Essential Tao: An Initiation Into the Heart of Taoism Through the Authentic Tao Te Ching and the Inner Teachings of Chuang-Tzu
Castle Books
1998
[26]
서적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Penguin Random House UK
[27]
서적
Dragons, Gods & Spirits from Chinese Mythology
Peter Bedrick Books
[28]
서적
A Short History of Myth
Canongate Books
[29]
웹사이트
4.8 Huang-Lao Ideology
https://scholarworks[...]
Indiana University, History G380
2010
[30]
서적
Discovering God: The Origins of the Great Religions and the Evolution of Belief
HarperOne
[31]
논문
2000
[32]
백과사전
Lâo-Tsz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1
[33]
웹사이트
Neo-Taoism
https://plato.stanfo[...]
[34]
논문
1997
[35]
논문
1997
[36]
논문
[37]
논문
[38]
웹사이트
Ancient Building Complex in the Wudang Mountains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23-02-10
[39]
논문
[40]
학술지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Ideological Resources of the Confluence of Islam and Confucianism
2022-08-16
[41]
웹사이트
Daoist Philosophy
https://iep.utm.edu/[...]
2024-12-05
[42]
서적
The Story of China: The Epic History of a World Power from the Middle Kingdom to Mao and the China Dream
St. Martin's Press
[43]
논문
[44]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Springer Nature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서적
Taoist Ritual and Popular Cults of Southeast China
Princeton University
[50]
학술지
Taoism, an Appreci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17-02-01
[51]
서적
Lost T'ai-chi Classics from the Late Ch'ing Dynasty (Chinese Philosophy and Cultur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2]
학술지
Taijiquan and Daoism: From Religion to Martial Art and Martial Art to Religion
http://blackmoonharb[...]
[53]
서적
Taoist Ritual and Popular Cults of Southeast China
Princeton University
[54]
웹사이트
Religious Freedom in China in 2006
http://www.hrwf.net/[...]
Human Rights Without Frontiers
[55]
백과사전
Front matter
https://www.scienced[...]
Elsevier
2024-04-27
[56]
서적
The People's Almanac #2
William Morrow and Company
[57]
서적
Taoist Ritual and Popular Cults of Southeast Ch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58]
서적
Man's Religions
Macmillan
[59]
서적
Taoist Environmentalism in the West: Ursula K. Le Guin's Reception and Transmission of Taoism
Harvard University Press
[60]
학술지
Tracing the Contours of Daoism in North America
http://www.daoistcen[...]
[61]
서적
Martial Arts Politics Explained
Amazon Digital Services LLC - KDP
[62]
서적
Chapter 4 - An overview of Vietnamese history and culture
https://www.scienced[...]
Chandos Publishing
2024-04-27
[63]
학술지
Dao-di herbs and its change of cultivated origin place
http://dx.doi.org/10[...]
2011-07-01
[64]
논문
[65]
웹사이트
Daoist Philosophy
https://iep.utm.edu/[...]
2024-04-27
[66]
웹사이트
Neo-Taoism
https://plato.stanfo[...]
2019-06-01
[67]
서적
Chán Buddhism in Dūnhuáng and Beyond: A Study of Manuscripts, Texts, and Contexts in Memory of John R. McRae
Brill Publishers
[68]
논문
[69]
논문
[70]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Chuang Tzu
Columbia University Press
[71]
harvp
[72]
서적
Living in the Tao: The Effortless Path of Self-Discovery
[73]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us Rites, Rituals, and Festivals
Routledge
[74]
서적
Taoism
Shambhala
[75]
서적
World Religions: Eastern Tra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76]
서적
World History: Our Human Story
Sheridan Kentucky
2021-05-01
[77]
웹사이트
Taoism
https://www.worldhis[...]
2024-04-27
[78]
서적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Merriam-Webster
[79]
학술지
Buddhist Influence on Early Taoism: A Survey of Scriptural Evidence
1980
[80]
서적
Spectacular China
Könemann
[81]
서적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Merriam-Webster
[82]
harvp
[83]
Citation
Copyright
https://www.scienced[...]
Chandos Publishing
2024-04-27
[84]
서적
World Religions: Eastern Tra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85]
서적
World Religions: Eastern Tra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86]
서적
World Religions: Eastern Tra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87]
웹사이트
青山王的秘書長-陰陽司公 {{!}} 保庇網
https://www.nownews.[...]
2023-05-09
[88]
서적
Illustrated Dictionary of Religions
DK
[89]
서적
World Scripture: A Comparative Anthology of Sacred Texts
Paragon House Publishers
[90]
서적
Tao Te Ching: The Essential Translation of the Ancient Chinese Book of the Tao
Viking Press
[91]
웹사이트
Taoism
https://education.na[...]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23-04-30
[92]
서적
Day of Empire: How Hyperpowers Rise to Global Dominance–and Why They Fall
Doubleday
[93]
웹사이트
Xian
https://www.encyclop[...]
2023-04-30
[94]
서적
World Scripture: A Comparative Anthology of Sacred Texts
Paragon House Publishers
[95]
학술지
Virtuous Life, Honored Afterlife and the Evolution of Confucianism
https://scholarworks[...]
California State University
2023-06-03
[96]
웹사이트
zhenren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4-23
[97]
웹사이트
Zhenren
https://www.encyclop[...]
2023-04-23
[98]
harvp
[99]
서적
Taoism and Science: Cosmology, Evolution, Morality, Health and more
Ultravisum
[100]
harvp
[101]
harvp
[102]
학술지
Teaching the Dao: monotheism, transcendence, and intercultural philosophy
[103]
harvp
[104]
harvp
[105]
harvp
[106]
논문
Cultural additivity: behavioural insights from the interact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folktales
2018
[107]
웹사이트
BBC - Religion: Taoism
https://www.bbc.co.u[...]
2024-04-27
[108]
웹사이트
ren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4-23
[109]
간행물
Chinese Medicine: From Temples to Taoism
1996
[110]
문서
1993
[111]
문서
2005
[112]
문서
2005
[113]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Eastern Philosophy
Alpha Books
[114]
문서
1997
[115]
문서
1997
[116]
서적
World Religions: Eastern Tra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17]
웹사이트
Scripture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5-22
[118]
문서
2003
[119]
웹사이트
Taoism: Overview
http://www.patheos.c[...]
2011-05-16
[120]
웹사이트
Laozi
http://plato.stanfor[...]
Stanford University
2011-09-18
[121]
문서
2004
[122]
문서
2004
[123]
웹사이트
Daoism {{!}} Definition, Origin, Philosophy, Belief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4-27
[124]
서적
Walking the I Ching
https://books.google[...]
Blue Snake Books
[125]
서적
The I Ching Workbook
https://books.google[...]
Doubleday
[126]
서적
The Taoist I Ching
https://books.google[...]
Shambhala
[127]
웹사이트
Jordan: The Taoist Canon
http://weber.ucsd.ed[...]
Weber.ucsd.edu
2011-05-16
[128]
문서
2004
[129]
문서
2004
[130]
문서
2000
[131]
문서
2004
[132]
문서
1997
[133]
문서
2000
[134]
서적
Religions in the Modern World
Routhledge
2016
[135]
서적
Taoism and the Arts of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4-02-26
[136]
문서
2004
[137]
문서
2004
[138]
웹사이트
Taoism Ritual, Worship, Devotion, Symbolism, Taoism Symbolism
https://www.patheos.[...]
2023-02-20
[139]
서적
The Book of Symbols: Reflections on Archetypal Images
Taschen
[140]
서적
The Book of Symbols: Reflections on Archetypal Images
Taschen
[141]
서적
The Book of Symbols: Reflections on Archetypal Images
Taschen
[142]
서적
The Ageless Chinese: A History
Charles Scribner's Sons
[143]
간행물
2010 Chinese Spiritual Life Survey
Purdue University's Center on Religion and Chinese Society
[144]
웹사이트
Taoism: Modern Age
http://www.patheos.c[...]
2011-05-16
[145]
웹사이트
Taiwan Yearbook 2006
http://www.gio.gov.t[...]
Taiwan Government Information Office, Department of Civil Affairs, Ministry of the Interior
[146]
웹사이트
2010 Yearbook – Religion
http://www.yearbook.[...]
Hong Kong Government
2014-10-20
[147]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2010: Statistical Release 1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 Language and Religion
http://www.singstat.[...]
Singapore Department of Statistics
2011-01-12
[148]
논문
TRADUÇAO: A Sociedade Taoísta do Brasil e a globalizaçao do Taoismo da Ortodoxia Unitária
[149]
웹사이트
Taoism and Taoist Art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4-07-16
[150]
서적
Dao Companion to Daoist Philosophy
Springer Netherlands
2014-09-27
[151]
웹사이트
Zhuangzi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4-29
[152]
웹사이트
Windows on Asia
http://www.asia.msu.[...]
[153]
서적
Day of Empire: How Hyperpowers Rise to Global Dominance–and Why They Fall
Doubleday
[154]
서적
World Religions: Eastern Tra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55]
웹사이트
Contemplations on the Tao Series
https://societyofepi[...]
2015-04-01
[156]
서적
World Religions: The Great Faiths Explored & Explained
DK
[157]
웹사이트
xian
https://www.britanni[...]
2023-02-21
[158]
서적
Daoism and medicine 1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22-06-19
[159]
서적
World Religions: Eastern Tra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60]
서적
Myths & Legends of India, Egypt, China & Japan
Lorenz Books
[161]
서적
The Essential Tao: An Initiation Into the Heart of Taoism Through the Authentic Tao Te Ching and the Inner Teachings of Chuang-Tzu
Castle Books
1998
[162]
서적
World Religions: Eastern Tra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63]
서적
Myths and Legends
Wellfleet Press
[164]
논문
Buddhist Influence on Early Taoism: A Survey of Scriptural Evidence
1980
[165]
논문
Images of Sinicised Vedic Deities on Chinese Altars
1998
[166]
서적
Making Sense of World History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20-10-22
[167]
서적
China & Japan (Myths and Legends)
Avenel Books
[168]
웹사이트
Sanguan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4-30
[169]
웹사이트
Gods and spirits
https://www.bbc.co.u[...]
BBC
2023-05-04
[170]
웹사이트
도교의 성립
http://donation.enc.[...]
[171]
웹사이트
道教的神仙系譜
http://www.twtaoism.[...]
道教全球資訊網
2010-12-18
[172]
웹사이트
열반종
http://donation.en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