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시적 정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시적 정치(prefigurative politics)는 바람직한 미래의 사회 관계와 관행을 현재에 구현하려는 정치적 접근 방식이다. 이는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다양한 사회 운동에서 나타났으며, 특히 참여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운동에서 두드러졌다. 예시적 정치는 1960년대의 중도주의와 전위주의를 거부하고, 창조와 계층 단절을 추구한다. 이는 현재의 조직, 기관, 의례를 통해 미래 사회의 모습을 미리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특징으로는 수단과 목적의 일치, 자코뱅주의, 자연발생주의, 코포라티즘의 극복 등이 있다.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의 자치 운동, 점거 운동, 흑표당의 지역 사회 프로그램 등 다양한 사례가 존재하며, 한국의 경우 직접적인 사례는 제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국가들의 사례를 통해 개념을 파악하고 적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나키즘 - 자유지상주의
자유지상주의는 개인의 자유를 최우선 가치로 여기며 국가의 역할을 최소화하거나 폐지하려는 정치 철학으로, 개인의 자율성을 강조하며 시민적 자유와 국가 축소를 옹호한다. - 아나키즘 - 엠마 골드만
엠마 골드만은 리투아니아 출신의 아나키스트, 페미니스트, 반전주의자로서, 20세기 초 미국에서 다양한 사회 운동에 참여하며 자본주의와 국가를 비판하고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평등을 옹호했다. - 아나키스트 이론 - 개인주의
개인주의는 개인의 가치와 자율성을 중시하는 철학적, 사회적 개념으로, 서구 문명 발전에 중요한 흐름이었으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집단주의와 대비되지만 사회 시스템에 따라 복합적으로 나타나 여러 사상과 연관되어 논의를 촉발한다. - 아나키스트 이론 - 무정부 상태
무정부 상태는 기존 행정 기관 붕괴 후 새로운 기관이 수립되지 않아 통치 권력이 부재한 상태로, 혁명, 내전, 전쟁, 자연재해 등으로 발생하며 사회적 혼란과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을 초래할 수 있고 실패 국가로 간주되며 정치철학적으로 '자연 상태'와 연관된다. - 아나르코공산주의 - 아나키즘
아나키즘은 국가와 권위에 반대하며 다양한 분파로 나뉘는 정치 철학으로, 사회적 아나키즘은 생산 수단의 사회화를,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은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며, 21세기 사회 운동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국가 부재 시의 문제점과 실현 가능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아나르코공산주의 -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은 멕시코 치아파스 주에서 활동하는 원주민 무장단체로, 1994년 무장봉기를 통해 멕시코 정부의 불평등에 저항하며 토지 개혁과 자치권을 요구하고, 대안세계화 운동과 연계하여 비폭력적 저항과 정치적 운동을 지속하고 있다.
예시적 정치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영어 명칭 | Prefigurative politics |
에스페란토 명칭 | antaŭfigura politiko |
정치 이론 | |
정의 | 사회 운동 및 활동의 행동 방식과 조직이 운동이 추구하는 미래 사회의 모습을 반영해야 한다는 정치 이론 |
관련 분야 | 아나키즘 직접 행동 참여 민주주의 자치 급진적인 사회 변혁 |
핵심 개념 | 사회적 관계 변화 조직 변화 현재의 행동이 미래를 결정 |
목표 | 이상 사회를 미리 구현 기존 사회 구조에 대한 대안 제시 |
특징 | 과정 중심 실험적 접근 사회 운동 내의 변화와 참여 강조 |
실천 | |
사례 | 자율 공동체 협동조합 상호부조 네트워크 직접 민주주의 모임 점거 운동 |
전략 | 기존 권력 구조를 넘어서는 대안적 구조 창출 현재의 사회적 관계 변화를 통해 미래 사회를 실현 기존 사회 시스템에 대한 저항과 대안 모색 |
비판 | |
잠재적 문제점 | 기존 시스템에 대한 변화를 가져오는 데 한계 사회 변혁을 위한 장기적인 전략 부족 운동 내의 불평등과 모순 가능성 사회 전체 변화를 위한 구조적인 전략 부족 기존 질서의 저항에 대한 취약성 |
2. 역사
'예시적 정치'는 아나키즘 성향의 인류학자 데이비드 그레이버가 제시한 개념으로,[34]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후반에 걸쳐 서유럽의 신좌익 운동과 미국의 히피 운동 등 다양한 사회 운동에서 나타난 실천 방식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는 목표로 하는 이상적인 사회의 모습을 현재의 운동 방식과 조직 구조 속에서 미리 구현하고자 하는 시도를 의미하며, 카를 카우츠키의 전위당 체계론이나[35] 권위주의적인 조직 운영 방식을 비판하고 수평적인 관계를 지향하는 특징을 갖는다.[36]
20세기 초 무정부주의자들은 명시적으로 '예시적(prefigur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 목표 자체와 일치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미하일 바쿠닌의 동료였던 자크 기욤(James Guillaume)은 권위주의적 조직에서 평등하고 자유로운 사회가 나올 수 없다고 주장했다.[10] 이러한 사상적 배경은 이후 예시적 정치 개념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이 개념은 이후 쉴라 로보섬(Sheila Rowbotham)에 의해 1960-70년대 여성 운동에,[5] 위니 브라인즈(Wini Breines)에 의해 미국의 민주 사회를 위한 학생회(SDS)에,[6] 존 L. 해먼드(John L. Hammond)에 의해 포르투갈 혁명에[7] 적용되어 분석되었으며, 참여민주주의 운동,[12][13][14] 이탈리아 자율주의,[15] 미국 반핵 운동,[16] 반세계화 운동[16] 등 다양한 운동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11]
2. 1. 서구의 예시적 정치
'예시적 정치'는 아나키즘 성향의 인류학자 데이비드 그레이버가 처음 제시한 개념으로, 정치적 힘 없이도 이념 운동가들이 만들어 낼 사회상을 미리 현재 체제에 대입하여 활동하는 정치적 행위를 의미한다.[34] 이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사용되는 수단이 그 목표와 일치해야 한다는 원칙에 기반하는데, 20세기 초 무정부주의자들이 이미 이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미하일 바쿠닌의 동료였던 자크 기욤(James Guillaume)은 "평등하고 자유로운 사회가 어떻게 권위주의적 조직에서 나올 수 있겠는가? 불가능하다."라고 주장했다.[10]이러한 예시적 정치 운동은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후반까지 서유럽의 신좌익 사이에서 확산되었으며, 미국의 히피 운동 역시 예시적 정치의 한 형태로 여겨진다. 이 운동은 카를 카우츠키가 주장한 전위당 체계론[35]이나 권위주의, 당중심주의를 거부한다. 대부분의 예시적 정치 실천가들은 특정 정당에 소속되지 않은 아나키스트들이며, 수평적인 조직 구조를 지향한다. 이러한 경향은 21세기 정치 운동 그룹 내에서 대중주의와 수평주의를 강조하는 흐름으로 이어진다.[36]
위니 브라인즈(Wini Breines)는 예시적 정치를 "반(反)제도, 시위, 그리고 정치에서 개인적이고 반계층적인 가치를 구현하려는 시도"로 설명하며, 참여 민주주의가 그 중심에 있다고 보았다.
전형화 정치라는 용어는 […] 반(反)제도, 시위, 그리고 정치에서 개인적이고 반계층적인 가치를 구현하려는 시도에서 인식될 수 있습니다. 참여 민주주의는 전형화 정치의 중심이었습니다. […] 전형화 정치의 핵심은 상당한 과제, 즉 운동의 생생한 실천 안에서 운동이 추구하는 사회를 "전형화"하고 구현하는 관계와 정치적 형태를 창출하고 유지하는 것을 중심 과제로 부과했습니다.[8]
즉, 예시적 정치는 계층적이고 중앙집권적인 조직에 저항하며, 평등하고 민주적인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운동 자체가 그러한 관계와 정치 형태를 미리 구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또한 브라인즈는 이를 공동체 개념과 연결하여, 현대 국가와 사회의 형식적이고 도구적인 관계 대신 더 직접적이고 개인적인 관계망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았다.[9]
예시적 정치를 받아들인 대표적인 단체로는 국제 노동조합인 세계산업노동자(IWW)가 있다. 이 단체는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를 주요 이념으로 삼으며 아나키즘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역사적으로는 스페인 내전 당시 아나키즘적 노동조합인 국가노동총동맹(CNT)이 조직했던 자유주의 공산주의(코무니스모 리베르타리오, Comunismo libertario) 사회가 중요한 사례로 꼽힌다. 당시 노동자들은 생산 수단에 대한 집단적 통제를 장악하고 분권화된 수준에서 사회를 운영했다.
이 개념은 이후 다양한 운동에 적용되었다.[11] 쉴라 로보섬(Sheila Rowbotham)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여성 운동에,[5] 위니 브라인즈는 미국의 민주 사회를 위한 학생회(SDS)에,[6] 존 L. 해먼드(John L. Hammond)는 포르투갈 혁명에[7] 각각 예시적 정치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또한 1960년대 이탈리아 자율주의 운동,[15] 1970년대와 1980년대의 미국 반핵 운동,[16] 그리고 21세기 초의 반세계화 운동에서도 예시적 정치의 특징이 나타난다.[16]
예시적 정치 운동은 이후 참여민주주의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지만,[12][13][14] 대부분의 아나키스트들은 직접민주주의를 지향하므로, 참여민주주의는 아나키즘과는 구별되는 자유주의 진영에서 주로 받아들여진 개념으로 볼 수 있다.
3. 이론적 배경
'예시적 정치' 또는 '전형화 정치'(prefigurative politics영어)는 미래에 만들고자 하는 이상적인 사회의 모습과 관계를 현재의 운동 방식과 조직 구조 안에서 미리 구현하려는 정치적 실천 방식을 의미한다.[17][18] 이는 단순히 목표를 설정하는 것을 넘어,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 자체가 목표하는 사회의 가치를 반영해야 한다는, 즉 "수단이 목적을 예비한다"는 원칙을 강조한다.[18] 데이비드 그레이버는 이를 정치적 힘 없이도 이념 운동가들이 만들어 낼 사회상을 미리 현 체제에 대입하여 활동하는 정치적 행위로 보았다.[34]
이러한 접근 방식은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후반 사이 서유럽의 신좌익 운동과 미국의 히피 운동 등에서 나타나기 시작했으며,[34] 기존의 전위주의적이고 중앙집권적인 조직 방식에 대한 비판 속에서 발전했다. 핵심 특징으로는 위계적 구조에 대한 거부와 수평적 관계, 참여 민주주의적 운영 방식의 강조 등을 들 수 있다.[8][9][36] 위니 브라인즈(Wini Breines)는 이러한 실천이 반(反)제도적이고 반계층적인 가치를 운동 내에서 구현하려는 시도라고 분석했다.[6][8]
정치 이론가 폴 레크스타드와 사이오 그라딘은 예시적 정치를 "바람직한 미래의 사회 관계와 관행을 현재 여기에서 의도적으로 실험적으로 구현하는 것"으로 정의하며,[17] 이것이 자유롭고 평등하며 민주적인 미래 사회를 만들어갈 주체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Adrian Kreutz 역시 예시적 정치를 "오늘날의 토양에 미래 사회의 씨앗을 심는 것"에 비유하며, 실천을 통해 대안적인 사회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활동 방식임을 강조했다.[18]
이 개념은 특정 시기나 운동에 국한되지 않고 이후 다양한 사회 운동으로 확산되었다. 1970년대 보그스(Boggs)는 러시아, 이탈리아, 스페인의 혁명 운동과 미국 뉴 레프트를 분석했으며,[5] 쉴라 로보섬은 여성 운동에,[5] 존 L. 해먼드는 포르투갈 혁명에[7] 이 개념을 적용했다. 또한 1960년대 이탈리아 자율주의 운동,[15] 1970-80년대 미국 반핵 운동,[16] 21세기 초의 반세계화 운동[16] 등에서도 예시적 정치의 특징이 나타났다. Darcy K. Leach는 현대의 여성 운동, 환경 운동, 자치 운동, 평화 운동, 원주민 권리 운동, 신자유주의 반대 운동 등에서 예시적 정치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19]
하지만 예시적 정치 운동이 항상 성공적인 것은 아니었다. 보그스(Boggs)는 이러한 운동이 쇠퇴하는 세 가지 패턴, 즉 자코뱅주의(중앙집권화에 의한 민주주의 침해), 자연발생주의(조직화 실패로 인한 전략적 마비), 코포라티즘(지도부의 기득권화 및 목표 변질)을 지적했다.[20]
3. 1. 아나키즘
아나키즘 성향의 인류학자 데이비드 그레이버는 '예시적 정치'를 정치적 힘 없이도 이념 운동가들이 만들어 낼 사회상을 미리 현 체제에 대입하여 활동하는 정치적 행위라고 정의하며 이 개념을 처음 제시했다.[34] 이러한 접근 방식은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후반까지 서유럽의 신좌익 운동가들 사이에서 확산되었으며, 미국의 히피 운동 역시 예시적 정치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예시적 정치를 실천하는 이들은 카를 카우츠키가 주장한 전위당 체계론[35]이나 권위주의, 당 중심주의를 거부하는 경향이 강하다. 대부분은 특정 정당에 소속되지 않은 아나키스트들이며, 조직 운영에 있어 수평적인 구조를 선호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21세기 예시적 정치 지지자들이 정치 운동 그룹 내부에서 대중주의와 수평주의를 강조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라 할 수 있다.[36]
20세기 초 아나키스트들은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 목표 자체와 일치해야 한다는 원칙을 중요하게 여겼지만, "전형화"(prefiguration)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미하일 바쿠닌의 동료였던 자크 기욤 James Guillaume|자크 기욤프랑스어은 "평등하고 자유로운 사회가 어떻게 권위주의적 조직에서 나올 수 있겠는가? 불가능하다"라고 주장하며 수단과 목적의 일치를 강조했다.[10]
이러한 아나키즘적 원칙이 실제 사회 구현으로 나타난 대표적인 사례는 스페인 내전 당시 국가노동총동맹(CNT)과 같은 아나코 생디칼리스트들이 조직했던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 comunismo libertario|코무니스모 리베르타리오es 사회이다. 노동자들은 분권화된 방식으로 생산 수단을 집단적으로 통제했으며, 대중적인 소통을 통해 채식 요리법부터 성병 치료법까지 다양한 정보를 공유했다.
'전형화' 또는 '예시적 정치'라는 개념은 이후 다양한 사회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1970년대 보그스(Boggs)는 러시아, 이탈리아, 스페인 혁명 운동과 미국 뉴 레프트 운동을 분석했으며, 쉴라 로보섬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여성 운동에,[5] 위니 브라인즈는 미국의 민주 사회를 위한 학생회(SDS)에,[6] 존 L. 해먼드는 포르투갈 혁명에 이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했다.[7]
위니 브라인즈는 '예시적 정치'를 1960년대 많은 집단과 정당들의 중도주의와 전위주의를 거부하는, 창조적이고 반(反)계층적인 정치 형태로 보았다.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전형화 정치라는 용어는 […] 반(反)제도, 시위, 그리고 정치에서 개인적이고 반계층적인 가치를 구현하려는 시도에서 인식될 수 있습니다. 참여 민주주의는 전형화 정치의 중심이었습니다. […] 전형화 정치의 핵심은 상당한 과제, 즉 운동의 생생한 실천 안에서 운동이 추구하는 사회를 "전형화"하고 구현하는 관계와 정치적 형태를 창출하고 유지하는 것을 중심 과제로 부과했습니다."[8]
브라인즈에게 예시적 정치는 계층적이고 중앙집중적인 조직에 저항하며 참여 민주주의를 핵심 가치로 삼는 것이었다. 이는 평등하고 민주적인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운동 스스로가 그러한 관계와 정치 형태를 내부적으로 먼저 구현해야 함을 의미했다. 또한 그는 예시적 정치가 현대 국가와 사회의 형식적이고 도구적인 관계를 넘어, 더 직접적이고 개인적이며 공동체적인 관계망을 지향한다고 보았다.[9]
국제 노동조합 중에서는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를 주요 이념으로 삼고 아나키즘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세계산업노동자(IWW)가 예시적 정치의 원칙을 받아들였다. 또한 예시적 정치 운동은 이후 참여민주주의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12][13][14] 다만, 대부분의 아나키스트들은 직접민주주의를 지향하므로, 참여민주주의는 아나키즘보다는 자유주의 진영에서 주로 받아들인 개념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시적 정치 개념은 이후에도 널리 사용되며[11] 1960년대 이탈리아 자율주의 운동,[15] 1970년대와 1980년대 미국 반핵 운동, 그리고 21세기 초의 반세계화 운동 등 다양한 사회 운동에 적용되었다.[16]
3. 2. 참여 민주주의
'예시적 정치' 또는 '전형화 정치'(prefigurative politicseng) 개념은 참여민주주의 운동과 깊은 관련을 맺으며 널리 사용되었다.[11][12][13][14]위니 브라인즈(Wini Breines)는 민주 사회를 위한 학생회(SDS) 연구에서[6] '전형화 정치'의 핵심을 참여 민주주의로 보았다. 브라인즈에 따르면, 전형화 정치는 계층적이고 중앙집중적인 조직에 대한 저항을 의미하며, 운동이 지향하는 평등하고 민주적인 사회의 관계와 정치 형태를 현재의 실천 속에서 미리 만들고 유지하는 것을 중요한 과제로 삼는다.[8][9] 즉, 참여 민주주의는 이러한 전형화 정치의 중심 원리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아나키스트 대부분은 직접민주주의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어, 참여민주주의는 아나키즘과는 다른 자유주의 진영에서 차용한 개념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3. 3.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는 '예시적 정치'의 핵심 원칙과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 예시적 정치는 목표로 하는 사회의 모습을 현재의 운동 방식과 조직 구조 안에서 미리 구현하고자 하는 실천 방식으로[34], 이는 카를 카우츠키가 주장한 전위당 중심의 위계적 조직론[35]이나 권위주의를 거부하는 아나키즘의 입장과 일맥상통한다. 대부분의 예시적 정치 실천가들은 특정 정당에 얽매이지 않고 수평적 네트워크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21세기 정치 운동 그룹 내에서 나타나는 대중주의 및 수평주의 강조 흐름과도 연결된다.[36]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이념을 표방하는 대표적인 국제 노동조합인 세계산업노동자(IWW)는 이러한 예시적 정치의 원칙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사례로 꼽힌다. 역사적으로 아나키스트들은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 목표 자체의 가치와 일치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해왔다. 비록 '예시적 정치(prefiguration)'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미하일 바쿠닌의 동료였던 자크 기욤(James Guillaume)은 "평등하고 자유로운 사회가 어떻게 권위주의적 조직에서 나올 수 있겠는가? 불가능하다"고 쓰며 수단과 목적의 일치를 역설했다.[10]
이러한 사상이 실제 사회 구성으로 나타난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는 스페인 내전 기간 중 아나코 생디칼리즘 성향의 노동조합 국가노동총동맹(CNT) 등이 중심이 되어 일부 지역에서 시도했던 자유지상주의적 코뮌 사회이다. 이들은 생산 수단에 대한 노동자들의 집단적 통제와 분권화된 자치 운영을 통해 위계 없는 사회를 실험했다.
예시적 정치의 개념은 이후 다양한 사회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쉴라 로보섬(Sheila Rowbotham)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여성 운동에,[5] 위니 브라인즈(Wini Breines)는 미국의 민주 사회를 위한 학생회(SDS) 활동에,[6] 존 L. 해먼드(John L. Hammond)는 포르투갈 혁명 과정에[7] 이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브라인즈는 예시적 정치가 반(反)제도적이고 반계층적인 가치를 운동의 실천 속에서 구현하려는 시도이며, 참여 민주주의가 그 핵심에 있다고 보았다.[8][9] 이러한 예시적 정치 개념은 이후 참여민주주의 운동에서도 받아들여졌으나[12][13][14], 아나키즘이 직접민주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반면, 참여민주주의는 자유주의 진영에서 발전한 개념이라는 차이가 있다.
이 외에도 예시적 정치 개념은 1960년대 이탈리아 자율주의 운동,[15] 1970년대와 1980년대 미국의 반핵 운동, 그리고 21세기 초 반세계화 운동 등 다양한 현대 사회 운동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하고 있다.[16]
4. 주요 특징
'예시적 정치'(Prefigurative politics)는 아나키즘 성향의 인류학자 데이비드 그레이버가 처음 제시한 개념이다. 그는 이를 정치적 힘이 없는 상태에서도 운동가들이 만들어갈 사회의 모습을 현재 체제 안에서 미리 실현하려는 정치적 행위로 정의했다.[34] 이러한 접근 방식은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후반까지 서유럽의 신좌익 운동가들 사이에서 확산되었으며, 미국의 히피 운동 역시 예시적 정치의 한 형태로 간주된다.
예시적 정치를 추구하는 이들은 카를 카우츠키가 주장한 전위당 체계론[35]이나 권위주의, 당 중심주의를 거부하는 경향이 강하다. 대부분은 특정 정당에 소속되지 않은 아나키스트들이며, 조직 운영에 있어 수평적 구조를 지향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21세기의 예시적 정치 운동가들이 그룹 내부에서 대중주의와 수평주의를 강조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다.[36]
정치 이론가 폴 레크스타드와 사이오 그라딘은 예시적 정치를 "바람직한 미래의 사회 관계와 관행을 현재 여기에서 의도적으로 실험하고 구현하는 것"[17]으로 정의하며, 이것이 자유롭고 평등하며 민주적인 미래 사회를 위한 능력, 동기, 의식을 가진 행위자를 키우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옥스퍼드 뉴 칼리지의 정치 이론가 [https://adriankreutz.weebly.com Adrian Kreutz]에 따르면, 예시적 정치 또는 선취주의(prefigurativism)의 실천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오늘날의 토양에 미래 사회의 씨앗을 심는 것을 통해 다른 세상을 만들어내려는 사회 변혁 활동에 참여하는 방식입니다. [...] 선취주의는 현재의 폭정이 없는 세상이 어떤 모습일지 보여주는 방법입니다. 그것은 가능성의 영역에서 희망(그러나 현실 도피가 아님!)을 발견하는 방법입니다. 말과 이론만으로는 제공할 수 없는 것입니다. [...] 활동주의의 한 형태로서, 선취주의는 수단이 기대할 수 있는 결과와 일치한다는 생각을 강조합니다. 그것은 현재 여기에서, 우리 조직, 기관 및 의례의 작은 범위 내에서 제정된 사회 구조가 혁명 이후의 미래에서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더 광범위한 사회 구조를 반영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18]
데이비드 그레이버는 그의 저서 『아나키스트 인류학의 단편들』에서 1999년 시애틀 WTO 시위에서 나타난 예시적 정치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시애틀에서 시위대가 “이것이 바로 민주주의의 모습이다”라고 외칠 때, 그들은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기를 원했습니다. 최고의 직접 행동 전통에 따라, 그들은 특정한 형태의 권력에 맞서 싸울 뿐만 아니라, 그 메커니즘을 폭로하고 문자 그대로 움직임을 멈추게 하려고 시도했습니다. 그들은 그 권력이 기반으로 하는 사회 관계의 종류가 불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그렇게 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이 운동이 일관성 없는 이데올로기를 가진 멍청한 아이들 무리에 의해 지배된다는 모든 깔보는 발언이 빗나간 이유입니다. 다양성은 분산된 조직 형태의 기능이었고, 이 조직이 바로 운동의 이데올로기였습니다. (p. 84)
Darcy K. Leach는 『The Wiley-Blackwell Encyclopedia of Social and Political Movements』에서 예시적 정치의 경향이 역사적으로 반란의 초기 단계에 나타났다가 운동이 중앙 집중화되면서 사라지는 경향이 있었지만, 1960년대 이후로는 더욱 명확하게 표현되고 광범위하게 퍼져나가 오늘날 전 세계의 다양한 운동(여성, 환경, 자치, 평화, 원주민 권리, 신자유주의 반대 운동 등)에서 안정적인 특징으로 자리 잡았다고 분석했다.[19]
국제 노동조합 단체 중에서는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와 아나키즘 이념을 가진 세계산업노동자(IWW)가 이러한 예시적 정치를 받아들인 대표적인 예이다. 이후 참여민주주의 운동에서도 이 개념이 채택되었으나, 대부분의 아나키스트들은 직접민주주의를 지향하므로, 참여민주주의는 아나키즘과는 다른 자유주의 진영에서 차용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한편, Boggs는 예시적 정치 운동이 쇠퇴하는 세 가지 일반적인 패턴을 분석했다.[20]
- 자코뱅주의: 인민 포럼이 억압되거나 중앙 집중화된 혁명 권력에 의해 주권이 침해되는 경우.
- 자연발생주의: 지역적이거나 반정치적인 성향으로 인해 전략적 마비가 발생하여 효과적인 조정을 위한 광범위한 구조 형성을 방해하는 경우.
- 코포라티즘: 활동가들의 과두제적 계층이 기존 체제에 포섭되어 자신의 권력 유지를 위해 운동의 원래 급진적인 목표를 포기하는 경우.
5. 사례
예시적 정치의 개념은 다양한 역사적, 현대적 사회 운동에서 그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데이비드 그레이버가 처음 제시한 이 개념은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후반 사이 서유럽의 신좌익 운동과 미국의 히피 운동 등에서 나타난 실천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34]
이후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운동에 적용되어 분석되었다. 예를 들어, 쉴라 로보섬은 1960-70년대 여성 운동에,[5] 위니 브라인즈는 미국 민주 사회를 위한 학생회(SDS)에,[6] 존 L. 해먼드는 포르투갈 혁명에 이 개념을 적용했다.[7] 브라인즈는 특히 참여 민주주의를 예시적 정치의 핵심 요소로 보았다.[8][9]
노동 운동 영역에서는 세계산업노동자(IWW)와 같은 조직이나 스페인 내전 당시 국가노동총동맹(CNT) 등이 조직한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 공동체에서 그 원칙이 구현된 사례를 볼 수 있다. 또한, 1960년대 이탈리아 자율주의 운동,[15] 1970-80년대 미국의 반핵 운동,[16] 21세기 초의 반세계화 운동에서도 예시적 정치의 요소가 나타났다.[11][12][13][14]
더 최근에는 멕시코의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EZLN) 운동,[21][22][23] 아르헨티나의 공장 점거 운동, 2011년의 여러 점거 운동(이집트, 스페인 15-M 운동, 미국 월가 점령 운동 등)[24][25][26], 미국의 흑표당의 지역 사회 프로그램, 협동 잭슨(Cooperation Jackson) 운동[27] 등 다양한 형태의 운동들이 예시적 정치의 사례로 언급되거나 분석되고 있다. 공동체 토지 신탁이나 바하이교 공동체의 실천[28][29][30][31] 등에서도 유사한 특징을 찾을 수 있다.
5. 1. 국제적 사례
'예시적 정치'는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후반까지 서유럽의 신좌익 운동과 미국의 히피 운동 등 다양한 국제적 운동에서 나타났다.[34] 이 개념은 여러 학자와 운동가들에 의해 다양한 맥락에 적용되었다.- 쉴라 로보섬(Sheila Rowbotham)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여성 운동에 이 개념을 적용했다.[5]
- 위니 브라인즈(Wini Breines)는 미국의 민주 사회를 위한 학생회(SDS)의 활동에서 예시적 정치의 특징을 분석했다.[6] 브라인즈는 예시적 정치가 반(反)제도적 시위와 개인적, 반계층적 가치를 중시하며, 참여 민주주의를 핵심으로 삼는다고 설명했다. 이는 운동이 추구하는 평등하고 민주적인 사회의 관계와 정치 형태를 운동 내부에서 미리 구현하려는 시도이다.[8][9]
- 존 L. 해먼드(John L. Hammond)는 포르투갈 혁명에 이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했다.[7]
- 국제 노동조합 단체인 세계산업노동자(IWW)는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예시적 정치의 원칙을 일부 받아들였다.
- 스페인 내전 기간 동안 국가노동총동맹(CNT, Confederación Nacional del Trabajo)과 같이 아나르코 생디칼리슴을 따르는 노동조합주의자들이 조직한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comunismo libertario) 사회는 노동자들이 분권화된 방식으로 생산 수단을 집단적으로 통제하는 예시적 정치의 중요한 역사적 사례로 꼽힌다.
- 이 개념은 이후 1960년대 이탈리아 자율주의 운동,[15] 1970년대와 1980년대의 미국의 반핵 운동,[16] 21세기 초의 반세계화 운동 등 다양한 사회 운동에 적용되었다.[11][12][13][14]
- 1994년 멕시코에서 시작된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EZLN) 운동은 원주민의 권리와 문화를 옹호하며 국가 권력 구조를 비판하고, 자치 정부, 교육, 의료 시스템 등 자체적인 자치 구조를 개발하여 지역 사회의 권한 강화를 추구했다. 이는 탈식민화 연구와 정치의 정의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제기했다.[21][22][23]
- 공동체 토지 신탁 모델은 투기 시장에서 벗어나 협동 소유 방식의 영구 주택을 제공하는 예시적 실천이다.
- 아르헨티나에서는 자논과 같은 노동자에 의한 공장 점거 및 회복 운동, 실업 노동자 운동, 지역 주민 집회 등에서 수평성과 존엄성, 자유에 기반한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만들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 2011년 이집트와 아랍 세계, 스페인의 15-M 운동, 미국의 월가 점령 운동 등 점거 운동들은 정치적 대화를 위한 공공 공간을 창출하고 무료 식량, 도서관, 의료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공동체적 속성을 구현하려 했다.[24] 특히 스페인의 15-M 운동은 "소수의 탐욕이 아닌 국민의 필요에 맞는 진정한 민주주의"를 요구하며 자율적으로 조직되었다.[25][26]
- 미국의 흑표당은 1960년대부터 10개항 강령을 실현하기 위해 무료 아동 아침 식사, 지역 사회 보건소, 해방 학교 등 다양한 지역 사회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 미국 미시시피주 잭슨의 협동 잭슨(Cooperation Jackson)은 흑인 자결과 사회 변혁을 목표로 연대 경제 구축을 추구하는 예시 정치를 추구한다. 이는 뉴 아프리칸 인민 조직과 맬컴 X 풀뿌리 운동이 개발한 급진적인 변화에 대한 장기적인 비전인 잭슨-쿠시 계획에 뿌리를 두고 있다.[27]
- 전 세계 바하이교 공동체는 인류의 하나됨, 남녀 평등 등 교리에 담긴 원칙을 공동체 생활과 행정 시스템에 구현하려는 노력을 통해 사회 모델을 실현하고자 한다.[28][29][30][31]
5. 2. 한국의 사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의 사례'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참조
[1]
뉴스
Prefigurative Politics in Practice
https://commonslibra[...]
2024-04-19
[2]
웹사이트
Understanding Prefigurative Politics: A Deep Dive
https://www.classwit[...]
Mason Carter
2024-10-25
[3]
논문
Marxism, Prefigurative Communism, and the Problem of Workers' Control
1977
[4]
논문
Prefigurative politics
2013
[5]
서적
The Women's Movement and Organizing for Socialism
Merlin Press
1979
[6]
논문
Community and Organization: The New Left and Michels' "Iron Law."
1980
[7]
서적
Building Popular Power: Workers' and Neighborhood Movements in the Portuguese Revolution
Monthly Review Press
1988
[8]
서적
Community and Organization in the New Left, 1962-1968: The Great Refusal
1989
[9]
서적
The Great Refusal: Community and Organization in the New Left: 1962-1968
Praeger
1982
[10]
논문
The direct action ethic: From 59 upwards
[11]
백과사전
Prefigurative Politics
https://www.anthroen[...]
2022
[12]
서적
Social Movements and Struggles for Socialism
Lexington Books
2012
[13]
학술지
Geographies of the future: Prefigurative politics
2021
[14]
학술지
On the necessity of prefigurative politics
2021
[15]
서적
The subversion of politics: European autonomous social movements and the decolonization of everyday life
AK Press
2006
[16]
웹사이트
Anarchism and the Movement for a New Society: Direct Action and Prefigurative Community in the 1970s and 80s
https://web.archive.[...]
2009
[17]
서적
Prefigurative Politics: Building Tomorrow Today
Polity
2020
[18]
웹사이트
Review of Paul Raekstad and Sofa Saio Gradin: Prefigurative Politics: Building Tomorrow Today
https://marxandphilo[...]
2020
[19]
논문
Prefigurative politics
2013
[20]
논문
Marxism, prefigurative communism, and the problem of workers’ control
1977
[21]
웹사이트
Prefigurative Politics in Practice: Examples and Strategies
https://commonslibra[...]
2024-04-19
[22]
웹사이트
Zapatistas and New Ways of Doing Politics
https://oxfordre.com[...]
2019
[23]
웹사이트
The Revolutionary Resonance of praxis: Zapatismo as Public Pedagogy
https://reframe.suss[...]
2014
[24]
서적
Consensus: What It Is, What It Is Not, Where It Came From, and Where It Must Go
AK Press
2012
[25]
웹사이트
“It's the Real Democracy, Stupid”
www.edu-factory.org/[...]
2011
[26]
논문
Horizontal democracy now: From alterglobalization to occupation
2012
[27]
웹사이트
Understanding Prefigurative Politics: A Deep Dive
https://www.classwit[...]
Mason Carter
2024-10-25
[28]
웹사이트
What Baháʼís Do
http://www.bahai.org[...]
[29]
서적
Beyond the Culture of Contest
George Ronald
[30]
서적
Eleven
Friesen Press
[31]
학술지
The Pursuit of Social Justice
https://bahaiworld.b[...]
2022-10-12
[32]
서적
Marxism, Prefigurative Communism, and the Problem of Workers' Control
[33]
뉴스
예시적 정치 관련 프레시안 기사문
http://www.pressian.[...]
[34]
서적
Fragments of an Anarchist Anthropology
[35]
기타
[36]
서적
Community and Organization in the New Lef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