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다 히데노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다 히데노부는 오다 노부나가의 손자이자 오다 노부타다의 장남으로, 1580년에 태어났다. 1582년 혼노지의 변으로 조부와 부친을 잃고 3세의 나이에 오다 가문의 당주가 되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지원을 받았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가담했으나 패배하여 고야 산에서 승려가 되었고, 1605년 2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기독교에 우호적이었으며, 상업 장려와 민생 안정에도 힘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05년 사망 - 야마우치 가즈토요
    야마우치 가즈토요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도사국을 얻어 다이묘가 되었고, 고치성을 축조하고 가다랑어 타다키의 유래를 만들었으며 20만 석의 영주가 되었으나 자식 없이 사망했다.
  • 1605년 사망 - 보리스 고두노프
    보리스 고두노프는 이반 뇌제 측근에서 차르까지 오른 16세기 말~17세기 초 러시아의 중요 인물로, 섭정 시절 개혁을 단행하고 차르로서는 서구 문물 수용 정책을 펼쳤으나 기근과 가짜 드미트리 1세의 난으로 혼란을 겪다 사망했다.
  • 1580년 출생 - 프란시스코 데 케베도
    프란시스코 데 케베도는 17세기 스페인의 시인이자 소설가, 정치가로서, 풍자와 해학이 넘치는 작품과 궁정 생활로 유명하지만, 반유대주의적 시각으로 비판받기도 하는 인물이다.
  • 1580년 출생 - 프란스 할스
    프란스 할스는 네덜란드 황금시대의 초상화가로서, 생동감 넘치는 인물 표현과 자유로운 붓놀림, 그리고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을 개성적으로 묘사한 집단 초상화로 유명하며, 후대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쇼바타 오다씨 - 오다 나가마스
    오다 나가마스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이자 오다 노부나가의 동생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센노 리큐에게 다도를 배워 유라쿠류를 창시한 다인으로도 유명하며, 그의 호 유라쿠는 도쿄도 유라쿠초 지명의 유래 설이 있다.
  • 쇼바타 오다씨 - 오다 노부나가
    오다 노부나가는 일본 전국 시대의 무장으로, 오와리 출신에서 시작하여 일본 통일을 목표로 센고쿠 시대를 지배하며 막강한 세력을 구축했으나 혼노지의 변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오다 히데노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다 히데노부
본명오다 히데노부 (織田 秀信)
출생1580년
사망1605년 7월 13일
출생지미노국
사망지미노국
별명삼보시 (三法師, 어린 시절 이름)
기후 주나곤 (岐阜中納言, 통칭)
계명대선원 규엄송정 (大善院圭厳松貞)
영명페트로
묘소와카야마현 고야산 고노무로타니 (광대원 경내)
와카야마현 하시모토시 향 부 국도 제371호선 고야 방면 길
가문 정보
씨족오다 씨
가문오다 단조노주 가문
아버지오다 노부타다
어머니도쿠주인 (徳寿院, 시오카와 나가미쓰의 딸)
형제오다 히데노리
배우자정실: 와다 마고다유의 딸
계실: 기지 정 마지노 (생지 마스미의 딸)
자녀공적 문서에는 자녀 없음 (서출 설이 있는 인물은 아래 참조)
관직 정보
주군도요토미 히데요시도요토미 히데요리
관위종4위 하 시종
좌근위권소장
참의
종3위 권 중납언
정3위
가명 (통칭)사부로, 기후 주나곤
군사 정보
소속도요토미 씨[[File:Goshichi_no_kiri_inverted.svg|15px]]
서군[[File:大一大万大吉.svg|15px]]세키가하라 전투
복무 기간미상
지위미상
부대오다 씨[[File:Mon-Oda.png|15px]]
지휘기후성
전투기후성 전투(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1600년)
수상미상
기타 정보
시대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초기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2. 생애

덴쇼 8년(1580년) 오다 노부타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덴쇼 10년(1582년) 혼노지의 변으로 조부 오다 노부나가와 부친 노부타다가 사망하자, 마에다 겐이 등의 도움으로 기후성에서 기요스성으로 피신했다. 같은 해 기요스 회의에서 하시바 히데요시의 추대를 받아 3세의 나이로 오다 가문의 당주가 되었다. 오미국 사카타 군 3만 석을 영지로 받았으며, 호리 히데마사가 영주 대리를 맡았다.[7] 덴쇼 16년(1588년) 오다 사부로 히데노부(織田三郞秀信)로 개명하며 성인식을 치렀는데, '히데'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서, '노부'는 조부 오다 노부나가에게서 따온 것이다.[8]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이시다 미쓰나리의 서군에 가담했다. 그러나 동군 후쿠시마 마사노리, 이케다 데루마사에게 패하여 기후성을 빼앗기고 고야산에 은거하여 승려가 되었다. 이후 1605년 26세로 사망하였다.[4]

2. 1. 출생과 가독 상속

덴쇼 8년(1580년) 오다 노부타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유명은 '''삼법사'''이다. 어머니는 시오카와 나가미츠의 딸, 모리 가시나의 딸, 또는 다케다 신겐의 딸 마쓰히메라고도 한다.[5] 어머니가 마쓰히메일 경우, 다케다 신겐의 외손자가 된다.

덴쇼 10년(1582년) 혼노지의 변으로 조부 오다 노부나가와 부친 노부타다가 사망하자, 마에다 겐이 등의 도움으로 기후성에서 청주성으로 피신했다. 같은 해 청주회의에서 하시바 히데요시의 지지를 받아 3세의 나이로 오다 가문의 당주가 되었다.[3] 오미국 사카타 군 3만 석을 영지로 받았으며, 호리 히데마사가 영주 대리를 맡았다.[7]

오다씨의 가독 계승은 오다 정권의 해체와 도요토미 정권의 확립 과정에서 복잡한 경위를 밟았다. 덴쇼 12년(1584년)에 하시바 히데요시와 오다 노부오가 대립하자, 삼법사는 안토성에서 오미국 사카모토성, 다음으로 교토의 히데요시 휘하로 옮겨졌다. 같은 해 11월에 히데요시와 노부오가 강화(고마키·나가쿠테 전투)를 맺자, 정치적 입지를 역전시킨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노부오에게 오다가의 가독을 정식으로 인정했고, 삼법사는 다시 사카모토성으로 옮겨졌다.

2. 2. 도요토미 정권 하

도요토미 히데요시 슬하에서 성장한 히데노부는 1588년에 성인식을 치르고 오다 사부로 히데노부(織田三郞秀信)로 개명했다. 이름 중 '히데'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서, '노부'는 조부 오다 노부나가에게서 따온 것이다.[8] 오다와라 정벌 등에 참전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9][10]

1592년, 도요토미 히데카쓰가 사망하자 히데노부는 그의 영지인 미노국 기후성 13만 석을 상속받았다.[11] 같은 해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히데노부는 진주성 전투에 참전했다.

히데노부는 기독교에 대한 이해가 깊었다. 예수회 선교사 오르간티노를 존경했으며, 루이스 프로이스의 연보에는 히데노부가 동생과 함께 입교했다는 보고가 있다.[16] 알레산드로 발리냐노는 오와리와 미노 지역에서 신자가 증가하고 히데노부의 가신들 상당수가 신자였다고 보고했다.[16] 1599년에는 기후성 아래에 교회와 사제관 등을 건설하기도 했다.

2. 3. 세키가하라 전투와 몰락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가 발발하자 이시다 미쓰나리의 서군에 가담하였다. 그러나 동군 후쿠시마 마사노리, 이케다 데루마사에게 패하여 거성인 기후성을 빼앗기고 지위를 잃은 뒤 고야산에 은거하여 승려가 되었다. 이후 1605년 26세로 사망하였다.[4]

히데노부는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이시다 미쓰나리 휘하에서 복무했다. 전투 전 그는 미쓰나리의 전체 계획에서 중요한 요소였던 기후성을 장악했지만, 이케다 데루마사후쿠시마 마사노리와의 기후성 전투에서 성을 잃었다.

세키가하라에서 패한 후, 히데노부의 가신들은 기후성에서 할복(切腹, seppuku)했다. 피로 물든 마루판은 나중에 소복사의 천장이 되었다. 이 천장은 현재 "피 천장(血天井, chi tenjō)"이라고 불린다. 히데노부 자신은 세키가하라에서 패한 지 5년 후에 사망했다.

게이초 4년(1599년) 윤3월, 기후의 가신 다키가와 슈젠에게 이시다 미쓰나리의 봉행직 은퇴와 사와야마 성에의 은거를 받아 이나바야마, 마치구치의 방비를 강화하도록 서면으로 지시하고 있다.

게이초 5년(1600년) 예수회 선교사들과 여러 차례 접견하고, 도요토미 히데요리를 알현하여 황금 200매, 군량미 2,000~3,000석을 하사받았다. 처음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이즈 정벌에 참전하여 7월 1일에 출진할 예정이었으나, 군장을 갖추는 데 시간이 걸려 출발이 지연되었다.

그 사이 이시다 미쓰나리로부터 "전투에서 승리하면 미노・오와리 2개국을 하사하겠다"는 조건으로 유인되어 서군에 가세하였다. 8월 5일자 미쓰나리의 서장 「준비 인원서」에는 미노구치 장수 중 한 명으로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히데노부가 서군에 가담함으로써 미노의 여러 세력 대부분이 이에 따랐다.

가시와기 히코에몬, 가와세 사마노스케가 이끄는 미쓰나리로부터의 원군을 얻어 게이초 5년(1600년) 8월 22일, 기소가와 연안의 요네에서 노신 모모 츠나이에, 대번두 이이누마 나가스케 등 2,500기(騎)를 선봉으로 하여 키즈쿠사 나가마사 등의 병사 1,000명을 나카노무라에 배치하고, 유군으로 사토 마사나리의 병사 1,000명을 신카나무라에 배치하여 기소가와를 방어선으로 하여 이케다 테루마사, 후쿠시마 마사노리 등 동군을 맞아 싸웠다(요네 전투). 총 병력은 6,530기였다. 히데노부 자신도 1,700기를 이끌고 가미카와데무라 엔마도까지 출진하여 총지휘를 했다. 이이누마 나가스케(고칸페이)가 이치야나가 가문 가로 오츠카 곤다유를 토벌하고 머리를 엔마도의 히데노부에게 전달하는 등 했으나, 병력 차이도 있어 패퇴했다. 같은 날 저녁, 스기우라 시게카쓰가 지키는 다케가하나 성도 함락되었고, 시게카쓰는 전사했다(다케가하나 성 전투).

궁지에 몰린 히데노부는 22일 밤 오가키 성, 이누야마 성에 원군을 요청하는 한편 기후 성에 고성하였다. 장수들의 배치는 본마루는 히데노부와 동생 히데노리, 이나바야마, 고겐야마 돈대에 미쓰나리로부터 온 원군 장수 마쓰다 마사오, 수룡사산 돈대에 역시 원군 장수 가와세 사마노스케 등, 총문구에 쓰다 후지사부로, 나나마가리구치에 키즈쿠사 나가마사 부자, 고덴, 햐쿠마가리구치에 모모 츠나이에, 미즈노테구치에 무토 스케쥬로였다. 고성전은 23일 하루 종일 계속되었지만, 전날 전투에서 병력이 격감했을 뿐만 아니라, 동군에 속한 이전 기후 성주였던 이케다 테루마사가 성의 구조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패세를 뒤집기 어려웠고, 히데노부는 히데노리와 함께 자결하려 했으나, 테루마사의 설득으로 23일 항복 개성하였다.

공성전에서는 위격자문에서 치열한 총격전이 벌어졌고, 이의마루문 전투에서는 문 안에 있던 연초고에 불이 붙어 폭발하여 화염에 휩싸였다. 무사 돈대, 본마루 나나켄 야구라에서도 전투가 벌어졌다. 수적으로 열세인 성 측이었지만, 오다 히데노리와 오다 텟부, 사이토 도쿠모토, 키즈쿠사 나가마사, 모모 츠나이에, 카지가와 타카모리, 무토 스케쥬로(토키 일족), 이리에 사콘, 이이누마 나가자네, 아다치 추쇼, 야마다 마타자에몬, 다키가와 하치베에, 와다 마고다유, 쓰다 후지에몬, 토노 사에몬, 다테 헤이에몬, 오오카 사마노스케 등 가신들이 분전하여 적을 저지했다. 사무라이 대장급의 전사자도 많았다. 『무덕안민기』에는 후쿠시마 마사노리 군이 430, 이케다 테루마사 군이 490, 아사노 유키나가 군이 308의 수급을 거두었다는 것이 8월 28일 항목에 기록되어 있다. 함락 시까지 살아남은 가신들은 할복했다고 한다.[4]

오다 히데노부 발결 묘(기후현 기후시 엔토쿠지 경내)


성을 나온 히데노부는 가미카나의 조센보에서 삭발하고, 외가인 오와리 오가리 이코마 저택으로 옮긴 후, 외가의 영지이자 외숙모인 도쿠히메도 한때 머물렀던 오와리 지타로 보내졌다.

기후 성 함락 후, 가신 고바야시 신로쿠로가 관가에서 철수하는 시마즈 요시히로의 군세의 길 안내를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항복한 히데노부에 대한 사면 여부를 두고 의견이 분분했지만, 가문에 히데노부 가신의 친척도 많았고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자신의 공적과 맞바꾸는 대신 사면을 주장했기 때문에, 합전 종결 후 미노(기후) 13만 석은 몰수되어 고야산으로 보내졌다.[13]

3. 통치와 정책

노부나가의 정책을 계승하여 낙시낙좌 정책을 시행하고 상업을 장려하였으며, 우카이 어업을 보호하였다.[16] 기독교에 대한 이해가 깊어 구네키 솔디 오르간티노를 존경하였고, 루이스 프로이스의 연보에는 히데노부 형제가 "출신이 귀족이며 큰 기대를 받고 있다"고 보고되었다.[16] 게이초 원년 산펠리페호 사건 이후에는 신앙을 공개적으로 드러내지 않았으나, 게이초 3년 히데요시 사후에는 다시 적극적으로 활동하여 게이초 4년 기후 성하에 교회와 사제관, 양생소를 건설하였다. 알레산드로 발리냐노는 오와리와 미노 지역에서 신자가 증가하였고, 히데노부의 가신들 중 상당수가 신자였다고 보고하였다.[16]

한편, 불교 사원에 대한 보호 정책도 펼쳐 선광사, 엔토쿠지, 법화사, 추후쿠지 등 여러 사원을 지원하였다.


  • 분로쿠 2년 윤정월, 엔토쿠지에 판물을 주었다.
  • 분로쿠 3년 12월 3일, 법화사에 사찰 영지 20석을 기증하였다.
  • 분로쿠 5년 윤 7월 2일, 법화사에 추가로 사찰 저택을 기증하고, 여러 가지 세금을 면제하고 사찰 내에서의 난폭 행위·진영 설치 금지를 통달하였다.
  • 분로쿠 4년, 추후쿠지가 노부나가·노부타다 및 오다 가문 선조의 위패소이기 때문에, 사찰 문전의 모든 세금을 면제하는 것을 인정하였다.
  • 분로쿠 5년, 추후쿠지에 문전 세금에 대한 문서를 발급하고, 히데요시의 인장을 얻었으므로 인정하도록 전달하는 등, 중시하는 태도를 보였다.
  • 게이초 4년 11월, 혼세이지에 판물을 내렸다.
  • 게이초 5년, 묘쇼지에 다케나카 시게하루의 저택 터를 기증하여 사찰 부지를 옮기게 하였다.


이러한 문서 발급 상황으로 미루어 보아, 히데노부의 기후 통치가 이 무렵 본격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히데요시 사후에도 히데노부의 통치 방침은 변하지 않았다. 히데노부 시대 기후 영내에서 대규모의 봉기소동이 발생했다는 기록은 없으며, 수운을 중시하는 등 민생 안정에 힘썼다.

4. 인물과 평가

오다 노부나가와 마찬가지로 화려한 것을 좋아했으며, 평소에도 멋쟁이였다고 전해진다. 기후의 엔토쿠지에 남아 있는 초상화에는 능소화 문양이 그려진 하늘색 옷에 보라색 바지에 파란 꽃이 그려진 모습이 확인된다. 노부나가와 용모가 매우 흡사했다는 설도 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의 전초전에서 싸울 때는 노부나가를 연상시키는 투구를 쓰고 출진했다고 전해진다.[15] 기후 성 함락 당시 성에 남아 있던 모든 가신들에게 감사장을 써서 주었다는 전승도 남아 있다.[15]

히데노부는 기후 성을 함락당한 탓에 무장으로서 능력이 부족하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으며, “오락에만 능했다”는 혹평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세키가하라 전투 전초전에서 적극적으로 군비를 정비했고, 기후 성 공방전에서 보여준 전술, 패배 시의 행동을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과연 노부나가의 직손이다”라고 칭찬했다는 기록(『개정 삼가 후풍토기』)도 있다.

5. 가계

구 분내 용
오다 노부타다
시오카와 나가미츠의 딸·스즈
형제오다 히데노리
* 정실 : 와다 마고타유의 딸[1]
아들* 서장자 : 히데토모 (어머니·우메)[2]
묘(록각 요시카쓰 부인, 어머니·와다 마고타유 딸)[3]
양자하치만야마 히데쓰나 (록각 요시카쓰의 아들 또는 동생)[3]
손자* 오다 요시나오[4]



이하의 자손에 대해서는 상질의 사료에서는 실재가 확인되지 않은 자칭·전승을 기술한다.[2]

6. 기타

히데노부의 가신단에는 사이토 도산의 후손 등 사이토 가문 출신 인물들이 많았다.[17]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히데노부의 가신들 중 상당수는 후쿠시마 가문, 이케다 가문 등에 등용되었다.

히데노부 사후, 그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나타났으나, 진위 여부는 불분명하다. 1625년(간에이 2년) 사이토 도쿠모토는 고야산의 히데노부 묘를 찾아 시를 짓기도 했다.

7. 등장 작품


  • 오카다 히데후미 『오다 히데노부』 (후타바샤 『노부나가의 그림자』 수록, 2011년)
  • 이마무라 쇼고 『황금』 (쇼덴샤 『차, 히코고로』 수록, 2022년)

참조

[1] 서적 Two Japanese Christian heroes: Justo Takayama Ukon and Gracia Hosokawa Tamako http://worldcat.org/[...] Bridgeway Press 1959
[2] 서적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https://gallica.bnf.[...] 1906
[3]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1
[4] 간행물 Gifu City Walking Map Gifu Lively City Public Corporation 2007
[5] 문서 西山家文言覚書秘伝録
[6] 서적 織田信長 戦国時代の「正義」を貫く 平凡社 2020-12
[7] 문서 多聞院日記
[8] 문서 近世日本国民史
[9] 문서 聚楽行幸記
[10] 서적 大日本古文書. 家わけ 三ノ一(伊達家文書之一) {{NDLDC|1908790/344}[...] 東京帝国大学 1908
[11] 서적 韓国の倭城と壬辰倭乱 http://www.iwata-sho[...] 岩田書院 2005-04
[12] 서적 日本近世武家政権論 日本図書刊行会 2000-06
[13] 문서 改正三河後風土記
[14] 학술지 小早川家の「清華成」と豊臣政権 https://cir.nii.ac.j[...] 2008-12
[15] 서적 日本逸話大事典
[16] 서적 キリシタンになった大名 聖母の騎士社 2004-05
[17] 웹사이트 岐阜県史 https://www.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