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도 (삽시도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도(삽시도리)는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특정도서이다. 팽나무 군락과 멸종위기종인 검은머리물떼새의 번식지 등 생태적 가치를 인정받아 특정도서 제168호로 지정되었으며, 건축물 신축, 토지 형질 변경 등 다양한 행위가 법적으로 제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령시의 지리 - 당진 단층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보령시까지 북동 방향으로 뻗은 약 48km 길이의 당진 단층은 수직 이동형 단층으로 추정되지만, 대부분 충적층에 덮여 있어 활동성 여부는 불확실하며, 최소 200만 년 전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되나 1978년 홍성 지진과의 연관성 및 활동성 규명을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보령시의 지리 - 오서산
오서산은 충청남도에 위치한 산으로, 서해안 풍경과 섬들을 조망할 수 있으며, 억새밭과 등산 명소로 알려져 있다. - 충청남도의 섬 - 도비도
도비도는 서해 최전방의 전략적 요충지로서 군사적 중요성을 지니는 동시에 해양 생물과 철새들의 서식지로서 생태적 가치가 높으나, 생태계 파괴 우려와 영유권 분쟁 및 어업권 문제 등이 미래 전망에 영향을 미치는 섬이다. - 충청남도의 섬 - 안면도
안면도는 태안반도 남쪽에 위치한 섬으로, 태안군에 속하며, 17세기에 육지에서 분리되었고, 해수욕장과 안면도 자연휴양림 등의 관광지가 있으며, 게국지가 유명하다. - 대한민국의 특정도서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 대한민국의 특정도서 - 다라도
다라도는 뛰어난 자연경관과 가마우지, 바다제비 서식지로 인해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생태계 보전을 위한 다양한 행위가 제한되는 섬이다.
오도 (삽시도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오도 |
위치 | 황해 |
군도 | 해당 정보 없음 |
주요 섬 | 해당 정보 없음 |
면적 | 13,575m2 |
최고점 | 해당 정보 없음 |
높이 | 해당 정보 없음 |
인구 | 해당 정보 없음 |
인구 밀도 | 해당 정보 없음 |
행정 구역 | |
나라 | 대한민국 |
도 | 충청남도 |
시 | 보령시 |
2. 특정도서
오도(조도)는 팽나무 군락 등 식생이 안정적으로 발달하였고, 전형적인 해안도서 식생의 층상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멸종위기종 2급인 검은머리물떼새 등 다양한 조류 번식지가 있어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2. 1. 지정 근거
오도(조도)는 팽나무 군락 등 식생이 안정적으로 발달하였고, 전형적인 해안도서 식생의 층상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검은머리물떼새 등 다양한 조류 번식지가 있어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3. 행위 제한
「대한민국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 제8조에 의거하여 특정도서 내에서는 다음 행위가 금지된다.
- 건축물·공작물의 신축·개축·증축
- 개간·매립·준설 또는 간척
- 택지 조성·토지 형질 변경·토지 분할
- 공유수면 매립
- 입목·죽의 벌채 또는 훼손
- 도로 신설
- 흙·모래·자갈·돌의 채취, 광물 채굴, 지하수 개발
- 가축 방목, 야생동물 포획·살생 또는 그 알의 채취, 야생식물 채취
- 특정도서에 서식하거나 도래하는 야생 동·식물 또는 특정도서 안에 존재하는 자연적 생성물을 섬 밖으로 반출하는 행위
- 특정도서 안으로 생태계 위해 외래 동·식물을 반입하는 행위
- 폐기물 매립 또는 투기
- 인화물질을 이용한 음식물 조리 또는 야영
- 지질·지형·자연적 생성물의 형상 손괴 기타 이와 유사한 행위
오도(삽시도리)는 대한민국의 특정도서 중 하나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4. 대한민국의 특정도서 목록
4. 1. 지역별 특정도서
4. 1. 1. 부산광역시
남형제도, 북형제도, 생도 등은 부산광역시에 속해 있다.4. 1. 2. 인천광역시
오도 인근의 섬들은 다음과 같다.- 각흘도
- 광대도
- 구지도
- 낭각흘도
- 대가덕도
- 대송도
- 멍애섬
- 뭉퉁도
- 부도
- 분지도
- 비도
- 상바지섬
- 서각흘도
- 서만도
- 석도
- 소낭각흘도
- 소송도
- 소초지도
- 소통각흘도
- 수리봉
- 수시도
- 신도
- 어평도
- 우도
- 중바지섬
- 중통각흘도
- 토끼섬
- 통각흘도
- 하바지섬
- 할미염
- 항도
4. 1. 3. 경기도
경기도라고 불리는 섬은 없고, 대신 말육도, 매박섬 등이 있었다.4. 1. 4. 충청남도
오도(조도)는 팽나무 군락 등 식생이 안정적으로 발달하였고, 전형적인 해안도서 식생의 층상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멸종위기종 2급인 검은머리물떼새 등 다양한 조류 번식지가 있어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지정번호 : 제168호
- 면적 : 13,575m2
- 지번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삽시도리 산116
4. 1. 5. 전라북도
전라북도에는 내조도, 달루도, 대형제도, 딴정금도, 보농도, 석도, 세항도, 소횡경도, 십이동파도1, 십이동파도2, 십이동파도4, 십이동파도6(병풍도), 십이동파도9, 외조도, 외치도(큰딴치도), 횡경도 등이 있다.4. 1. 6. 전라남도
오도 (삽시도리)는 전라남도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하지 않는다.4. 1. 7. 경상북도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96번지에 위치한 독도는 동해의 해저 지형으로부터 솟은 용암이 굳어져 형성된 화산섬(火山島)이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섬으로, 동도와 서도 2개의 큰 섬과 89개의 부속 도서로 구성되어 있다.4. 1. 8. 경상남도
경상남도에는 다음의 섬들이 있다.- 갈도(갈곳도)
- 갈도쌍여
- 갈산도1
- 갈산도2
- 고도
- 곰섬(웅도)
- 네바위
- 녹운도
- 농가도
- 대구을비도
- 대병대도
- 대혈도
- 대호도
- 돌거칠리도
- 등대섬
- 딴독섬
- 마도
- 마안도
- 막도
- 목도(부도)
- 문래섬
- 백사도
- 사도
- 상비사도
- 상장도
- 샛개끝
- 세존도
- 소구을비도
- 소다포도
- 소덕도
- 소마도
- 소목과도
- 소병대도
- 소지도
- 소첨도
- 소초도
- 소치도
- 소치섬
- 솔섬(악도)
- 솔여도
- 송도
- 악도(장구섬)
- 안거칠리도
- 어유도
- 오동도
- 외부지도
- 우무섬(우무도)
- 윗대호섬
- 자사리제도(5)
- 장도
- 적도
- 좌사리도(자사리도)
- 죽암도(미도)
- 채도
- 춘복도(충복도)
- 토도(토끼섬)
- 하비사도
- 하서도(수렁여)
- 학섬(학도)
- 향기도
- 혈도
- 홍도
4. 1. 9. 제주특별자치도
보론섬, 수령섬, 염섬, 직구도, 청도, 흑검도 등으로 불린다.5. 충청남도의 섬 목록(참고)
5. 1. 시/군별 섬 목록
5. 1. 1. 당진시
난지도, 행담도, 비경도, 우무도, 분도, 소조도, 대조도, 소들섬 등이 있다.5. 1. 2. 보령시
보령시에 속하는 섬들은 다음과 같다: 나무섬(상목도), 나무섬(하목도), 납작도, 녹도, 대길산도, 대청도, 명덕도, 무명도2, 변도, 불안도, 석도, 소길산도, 소도, 아랫노랑이섬, 오도(삽시도리), 오도(외연도리), 외연열도, 외횡견도, 원산도, 윗노랑이섬, 죽도, 추도, 횡견도, 중길산도, 소길산도, 대화사도, 소화사도, 모도, 외고도, 중수도, 질마도, 불모도, 토끼섬, 호도, 황도.5. 1. 3. 서산시
서산시에는 고파도, 묘도, 옥도, 죽도, 흑어도, 윤계도, 웅도, 저도, 솜섬, 우도, 소우도, 목섬, 먹어섬, 도둑적섬, 닭섬, 분점도, 솔섬, 쌍도, 아섬, 쑤암이섬, 할미섬, 간월암 등 여러 섬이 있다.5. 1. 4. 서천군
서천군 관할 섬은 대죽도, 오력도, 유부도, 아목섬 등이 있다.5. 1. 5. 아산시
아산시에 속했던 섬들은 다음과 같다.- 쌀조개섬
- 솟벌섬
5. 1. 6. 예산군
도중도 등5. 1. 7. 태안군
태안군에는 다음과 같은 섬들이 있다.가의도, 거아도, 격렬비열도, 곳도, 난도, 내파수도, 동격렬비도, 목개도, 묘도, 북격렬비도, 서격렬비도, 석도, 솔섬, 신진도, 안면도, 외파수도, 죽도, 황도
5. 1. 8. 홍성군
홍성군 관할 섬은 죽도, 오가도, 모도, 명덕도 등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