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면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면도는 태안반도 남쪽에 위치한 섬으로, 행정구역상 태안군에 속하며 안면읍과 고남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리적으로는 동쪽에 천수만을 접하고 있으며, 17세기에 육지에서 분리되어 섬이 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소나무가 궁궐 건축 등에 사용되었고, 고려 시대에는 운하 건설이 시도되었으나 중단되었다. 1990년에는 핵폐기물 처리장 건설 계획에 대한 반대 운동이 있었으며, 1970년 안면교가 건설되어 육지와 연결되었다. 주요 관광지로는 해수욕장과 안면도 자연휴양림 등이 있으며, 향토 음식으로는 게국지가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안군의 지리 - 태안 내파수도 해안지형
    태안 내파수도 해안지형은 파도 작용으로 형성된 사취 및 역취가 발달하고 높은 원마도와 양호한 분급을 보이는 자갈로 구성된 희귀한 자연 현상으로, 서해안 연안의 퇴적 작용 연구에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 태안군의 지리 - 격렬비열도
    서해 중부 해상에 위치한 격렬비열도는 북격렬비도, 동격렬비도, 서격렬비도로 구성되어 예로부터 중요한 어장이자 대한민국의 영해 기점 역할을 수행하며, 북격렬비도는 유인도, 동·서격렬비도는 무인도이다.
  • 황해의 섬 - 대부도
    대부도는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 여러 국가를 거쳐 현재는 5개 행정동으로 나뉘며 관광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육지 및 주변 섬과 연결되어 있으며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갯벌과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 황해의 섬 - 서해 5도
    서해 5도는 대한민국 서해 황해도 연안에 위치한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우도의 다섯 섬으로,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 관할이 되었으며 북방한계선을 둘러싸고 북한과의 군사적 긴장이 지속되는, 과거 황해도에 속했으나 현재는 경기도 옹진군에 편입된 군사적 요충지이다.
  • 충청남도의 섬 - 도비도
    도비도는 서해 최전방의 전략적 요충지로서 군사적 중요성을 지니는 동시에 해양 생물과 철새들의 서식지로서 생태적 가치가 높으나, 생태계 파괴 우려와 영유권 분쟁 및 어업권 문제 등이 미래 전망에 영향을 미치는 섬이다.
  • 충청남도의 섬 - 녹도
    녹도는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에 속한 섬으로, 녹도항이라는 지방어항이 있으며, 예로부터 어업 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현재는 관광 기능도 수행하는 복합 항구이다.
안면도
지도
안면도 위성 사진
기본 정보
이름안면도
한자 표기安眠島
로마자 표기Anmyeondo
한자 의미편안히 잠들 수 있는 섬
지리
위치태안반도 서쪽
기타
참고 자료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 자료네이버 지식백과
참고 자료국토교통부

2. 지리

안면도는 본래 태안반도에서 남쪽 바다로 길게 뻗어나온 (串)이었는데, 17세기에 육지에서 분리되어 섬이 되었다. 섬은 안면읍의 국사봉(109m)을 제외한 대부분 산지가 구릉지대여서 조선시대에는 대규모 목장과 농장지로 이용되었다.

위성사진


태안반도의 남쪽에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동쪽에는 천수만이 펼쳐져 있다. 천수만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에는 북쪽부터 서산, 홍성, 보령가 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태안군의 남부를 차지한다. 섬의 대부분은 안면읍에, 남쪽 끝부분은 고남면에 속한다.

3. 역사

안면도는 원래 태안반도의 일부였으나, 조선 인조 때 삼남 지방의 조세 곡물 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지금의 안면읍남면 사이를 절단하여 섬이 되었다는 설이 널리 퍼져 있었다.[6] 그러나 이것이 인공적인 절단인지, 해수(海水)에 의한 침식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운하절단설은 1872년(고종 9년)에 간행된 태안읍지에 실린 "태안 향리 방경잠이 감영에 물길을 뚫어 통하게 할 것을 건의하여 섬이 되었다"는 짧은 기록 외에는 다른 근거가 없다.[7][8]

조선왕조실록 광해 8년(1616년) 기사에 이미 "공홍도(公洪道)의 안면도(安眠島, 원문은 안眠道)"라는 기록[9]이 있고, 안면도와 태안반도 사이 바다의 폭이 최소 160m로 경인운하(폭 80m)의 2배가 넘으며, 한국 서해안의 조수간만 차가 평균 6m에 이른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운하절단설은 신뢰하기 어렵다. 또한, 세곡선의 침몰이 잦았던 곳은 안흥량태안반도(근흥면소원면) 일대의 바다로 안면도 북쪽이며,[10][11] 이 때문에 고려조선 시대에 운하 건설이 논의되고 굴착 공사가 시도된 곳은 현재 태안군서산시의 경계인 태안읍 인평리 흥인~굴포 사이의 '굴포운하' 계획이었다는 점[10]도 운하절단설을 뒷받침하지 못한다.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39권, 세종 10년(1428년) 1월 4일 기사[11]에는 안면도 광지곶에 사는 백성들을 육지로 옮겨 살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안면도가 1428년 이전부터 섬이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872년 운하절단설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고려 시대에는 조세용 곡물을 운송하기 위해 태안반도를 동서로 횡단하는 운하를 건설하려 했으나 중단되었다. 이후 조선 시대인 17세기에 운하가 완공되면서 반도 남부가 안면도로 분리되었다.

3. 1. 안면도 핵폐기물 처리장 반대 운동

1990년 11월, 정부는 주민과의 협의 없이 안면도에 핵폐기물 처분장 건설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후, 섬 주민들의 거센 반대 운동 결과, 1993년 봄에 계획이 백지화되었으며[3] 3월 25일에는 승리 집회가 열렸다.[4]

4. 교통

1970년대한민국에서 3번째 연륙교인 안면교(총길이 208.5m)가 건설되었다.[1] 원산안면대교보령해저터널이 각각 2019년2021년에 완공되어 안면도와 보령의 거리가 크게 단축되었다.[1] 이는 서산, 홍성, 보령의 교통 정체 해소와 관광 자원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1] 국도 77호선이 섬을 종단하고 있으며, 앞으로 남쪽 지역은 보령시와 연결되는 국도가 개설될 예정이다.[4]

5. 생태

안면도에는 천연기념물 제138호로 지정된 모감주나무 군락이 방포해수욕장에 위치해 있다. 새우난 등 다양한 희귀 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6. 관광지


  • 안면도 자연휴양림: 안면도의 소나무조선 시대에 국가의 주요 자원으로서 중요하게 관리되었으며, 궁궐이나 함선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임진왜란거북선 등 주요 함선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현재도 '''안면송'''(安眠松)이라 불리며, 휴양림을 이루어 유명하다.
  • 꽃지해수욕장
  • 기지포해수욕장
  • 두에기해수욕장
  • 두여해수욕장
  • 바람아래해수욕장
  • 밧개해수욕장
  • 방포해수욕장
  • 백사장해수욕장
  • 삼봉해수욕장
  • 샛별해수욕장
  • 안면해수욕장
  • 장곡해수욕장
  • 장삼포해수욕장

7. 유적

8. 향토음식

게국지는 안면도의 대표적인 향토음식이다. 게국지는 꽃게장을 자주 먹는 태안 사람들이 남은 게장 국물에 김치, 겉절이 등을 넣고 찌개를 끓여 먹었던 것에서 유래된 음식이다. 숙성 과정 없이 바로 끓여 먹는 것이 특징이며, 진한 국물 속에서 우러나는 깊은 맛이 일품이다.

참조

[1] 백과사전 안면도 (安眠島)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11
[2] 웹사이트 안면도 https://terms.naver.[...] 2019-05-31
[3] 웹사이트 韓国 亀裂と絆 http://japan.nonukes[...]
[4] 간행물 核も原発もいらない アジアフォーラム・通信 NEWS No.3
[5] 웹인용 120417(조간)_2012년도_지적통계연보_발간(지적기획과1) http://www.molit.go.[...] 2012-04-16
[6] 웹사이트 안면읍 소개 http://www.taean.go.[...] 2014-10-30
[7] 웹사이트 굴포운하 http://www.crcs.net/[...] 2013-04-19
[8] 서적 태안읍지 1872
[9] 사료 조선왕조실록 광해군일기(중초본) 1616-05-04
[10] 뉴스 <신병주의 역사에서 길을 찾다>⑥ 조선시대 태안반도에 물길공사 왜?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8-02-13
[11] 뉴스 태안 마도 인근 해역서 조선 시대 침몰선 확인 https://news.v.daum.[...] KBS 2014-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