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우라 가네타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우라 가네타케는 사쓰마번 출신의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경찰, 지사, 내각 대신 등을 역임했다. 보신 전쟁, 세이난 전쟁에 참여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경찰로 활동하며 발도대를 이끌었다. 이후 여러 현의 지사를 거쳐 경시총감, 귀족원 의원을 지냈으며, 가쓰라 내각에서 체신대신, 농상무 대신, 내무대신을 역임했다. 그러나 '오우라 사건'으로 불리는 선거 및 의원 매수 혐의로 정계에서 몰락했으며, 대일본무덕회 회장 등을 지내다 1918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마구치현지사 - 다나카 다쓰오
다나카 다쓰오는 야마구치현 지사와 중의원 의원을 역임하며 통상산업대신, 문부대신, 자민당 총무회장 등 주요 요직을 지낸 일본의 정치인이다. - 미야기현지사 - 지바 사부로
지바 사부로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도쿄 제국대학 법학과를 졸업하고 석유 및 에너지 관련 기업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미야기현 지사와 중의원 의원, 노동대신을 역임하고 자유민주당 내에서 보수적인 입장을 대변하다가 1979년 사망했다. - 미야기현지사 - 유자와 미치오
유자와 미치오는 도쿄 제국대학 졸업 후 내무성 관료로 시작하여 여러 현 지사와 내무차관 등을 거쳐 도조 내각의 내무대신을 역임하며 전시 체제 강화에 기여했으나, 전후 공직 추방 후 참의원 의원으로 당선되기도 한 인물이다.
오우라 가네타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오우라 가네타케 |
로마자 표기 | Ōura Kanetake |
한자 표기 | 大浦兼武 |
출생일 | 1850년 6월 15일 |
출생지 | 사쓰마번 (가고시마현) |
사망일 | 1918년 9월 30일 |
국적 | 일본 |
직업 | 정치인, 각료 |
알려진 것 | 오우라 스캔들 |
정치 경력 | |
소속 | 사쓰마번 (무사), 내무성 관료 |
계급 | [[File:帝國陸軍の階級―肩章―中尉.svg|30px]] 육군 중위 |
작위 | 자작 |
훈장 | 종2위・훈1등・자작 |
내무대신 | 제24・27대 |
내각 | 제3차 가쓰라 내각 |
내각 | 제2차 오쿠마 내각 |
내무대신 취임일 | 1912년 12월 21일 |
내무대신 퇴임일 | 1913년 2월 20일 |
내무대신 재취임일 | 1915년 1월 7일 |
내무대신 재퇴임일 | 1915년 7월 30일 |
농상무대신 | 제21・25대 |
농상무대신 내각 | 제2차 가쓰라 내각 |
농상무대신 내각 | 제2차 오쿠마 내각 |
농상무대신 취임일 | 1908년 7월 14일 |
농상무대신 퇴임일 | 1911년 8월 30일 |
농상무대신 재취임일 | 1914년 4월 16일 |
농상무대신 재퇴임일 | 1915년 1월 7일 |
체신대신 | 제14대 |
체신대신 내각 | 제1차 가쓰라 내각 |
체신대신 취임일 | 1903년 9월 22일 |
체신대신 퇴임일 | 1906년 1월 7일 |
경시총감 | 제12・14대 |
경시총감 취임일 | 1898년 11월 9일 |
경시총감 퇴임일 | 1900년 10월 19일 |
경시총감 재취임일 | 1901년 6월 2일 |
경시총감 재퇴임일 | 1903년 9월 22일 |
기타 경력 | |
미야기현 지사 | 관선 제6대 |
미야기현 지사 취임일 | 1898년 7월 28일 |
미야기현 지사 퇴임일 | 1898년 8월 9일 |
구마모토현 지사 | 관선 제4대 |
구마모토현 지사 취임일 | 1896년 12월 1일 |
구마모토현 지사 퇴임일 | 1898년 7월 28일 |
야마구치현 지사 | 관선 제4대 |
야마구치현 지사 취임일 | 1895년 3월 26일 |
야마구치현 지사 퇴임일 | 1896년 12월 1일 |
시마네현 지사 | 관선 제10대 |
시마네현 지사 취임일 | 1893년 3월 21일 |
시마네현 지사 퇴임일 | 1895년 3월 27일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오우라 코우 |
자녀 | 오우라 가네이치 (장남) |
친족 (정치가) | 오우라 가네지 (손자) |
수상 내역 | |
훈장 | 훈1등 욱일대수장 |
훈장 | 대훈위 이화대수장 |
2. 생애
오우라 가네타케는 사쓰마 번의 시마즈 씨족 분가 출신으로, 보신 전쟁과 메이지 유신에 참여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제국 경찰에 합류하여 도쿄 경시청 경부보좌관까지 승진했다. 세이난 전쟁에서는 발도대를 이끌고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1900년 3월 19일, 귀족원 의원으로 칙선되었다. 1903년 제1차 가쓰라 내각에서 통신 대신을 맡았고, 이후 여러 내각에서 대신직을 역임하며 입헌 동지회 창립에도 관여했다.
말년에는 대일본무덕회 회장을 역임했다.
1918년 68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묘소는 아오야마 영원에 있다.
2. 1. 초기 경력: 경찰 및 관선 지사
사쓰마 번의 번주 시마즈 가문의 분가인 미야노조 시마즈 가(宮之城島津家)의 가신으로 태어났다. 보신 전쟁에서 사쓰마 군에 소속되어 오우 방면으로 출정하였다.메이지 유신 이후 경찰관이 되었으며, 세이난 전쟁 때 경시대(警視隊)에서 임시로 편성된 백병전 부대인 발도대(抜刀隊)를 인솔하여 전공을 세웠다. 나졸로부터 승진하여 삼등소경부(三等小警部) 겸 육군 중위가 되었으며, 1875년(메이지 8년)에 경시청 경부보로 승진하였다. 1882년(메이지 14년)에 오사카부 경부장(현재의 경찰본부장)으로 취임하였으며, 1884년(메이지 17년)에 마쓰시마 유곽(松島遊廓)에서 발생한 병사와 경관의 난투 사건에서 쌍방의 상관으로서 현장에 나누어 들어가 진압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다. 1888년(메이지 21년)에 내무성 경보국 차장으로 취임하였다.
1893년(메이지 26년) 이후 시마네현, 야마구치현, 구마모토현, 미야기현의 지사를 역임하였으며, 1898년(메이지 31년)에는 경시총감으로 취임하였다.
2. 2. 정계 진출과 대신 임명
메이지 유신 이후 경찰이 되었으며, 세이난 전쟁 때 경시대(警視隊)에서 임시로 편성된 백병전 부대인 발도대(抜刀隊)를 인솔하여 전공을 세웠다. 나졸로부터 승진하여 삼등 소경부(三等小警部) 겸 육군 중위가 되었으며, 1875년(메이지 8년)에 경시청 경부보로 승진하였다. 1882년(메이지 14년)에 오사카부 경부장으로 취임하였으며, 1884년(메이지 17년)에 마쓰시마 유곽(松島遊廓)에서 발생한 병사와 경관의 난투 사건에서 쌍방의 상관으로서 현장에 나누어 들어가 진압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다. 1888년(메이지 21년)에 내무성 경보국(警保局) 차장으로 취임하였다.1893년(메이지 26년) 이후 시마네현, 야마구치현, 구마모토현, 미야기현의 지사를 역임하였으며, 1898년(메이지 31년)에는 경시총감으로 취임하였다. 귀족원 의원도 맡아 1903년(메이지 36년)에 제1차 가쓰라 내각에서 체신대신으로 첫 입각을 하였다. 1906년(메이지 39년) 4월 1일에 훈일등 욱일대수장을 수여 받았다. 그 후 제2차 가쓰라 내각의 농상무 대신, 제3차 가쓰라 내각의 내무대신, 제2차 오쿠마 내각의 농상무 대신과 내무대신을 역임하였다. 입헌동지회 창립에도 가담하였다.
그러나 오쿠마 내각에 입각할 당시 선거 위반 혐의로 조사를 받게 되었고, 연이어 제2차 가쓰라 내각 때 2개 사단 증설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의원을 매수하였던 일이 발각되어 내무대신을 사임하게 되었으며 정치가로서의 생명이 끊기게 되었다(오우라(大浦) 사건).[8] 대일본 무덕회 회장과 영일 박람회 총재도 역임하였다.[3]
2. 3. 오우라 사건과 몰락
제2차 오쿠마 내각 당시 선거 위반 혐의로 조사를 받았다. 또한 제2차 가쓰라 내각에서 일본 제국 육군의 2개 사단 증설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의원들을 매수했던 사실이 발각되어 내무대신에서 물러나고 정치 생명이 끝나게 되었다. 이 사건을 오우라 사건(오우라 스캔들)이라고 한다.[4]다이쇼 4년(1915년) 8월 3일, 귀족원 의원을 사임하고, 다음 날 은거했다.
3. 기타 활동
4. 사망
1918년 9월 30일,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 하세의 별장에서 향년 68세로 사망했다. 묘소는 아오야마 영원이다.
5. 서훈
종류 | 수여 일자 | 훈장 및 기타 내역 |
---|---|---|
위계 | 1886년 7월 8일 | 정7위[11] |
위계 | 1891년 12월 10일 | 종6위[12] |
위계 | 1893년 4월 11일 | 정5위[13] |
위계 | 1898년 4월 30일 | 종4위[14] |
위계 | 1900년 12월 10일 | 정4위[15] |
위계 | 1903년 10월 30일 | 종3위[16] |
위계 | 1909년 6월 11일 | 정3위[17] |
위계 | 1918년 10월 1일 | 종2위[18] |
훈장 등 | 1886년 5월 29일 | 훈4등 욱일 소수장[19] |
훈장 등 | 1889년 11월 29일 | 대일본 제국 헌법 발포 기념장[20] |
훈장 등 | 1893년 12월 28일 | 훈3등 서보장[21] |
훈장 등 | 1904년 6월 28일 | 훈1등 서보장[22] |
훈장 등 | 1906년 4월 1일 | 욱일대수장[23], 메이지 37, 8년 종군기장[24] |
훈장 등 | 1907년 9월 21일 | 남작[25] |
훈장 등 | 1911년 8월 24일 | 자작[26] |
훈장 등 | 1912년 8월 1일 | 한국 병합 기념장[27] |
훈장 등 | 1915년 11월 10일 | 대례 기념장[28] |
외국 훈장 착용 허가 | 1900년 2월 13일 | 독일 제국: Order of the Red Eagle|별장 부착 적독수리 2등 훈장영어[29] |
외국 훈장 착용 허가 | 1905년 6월 27일 | 대한 제국: 대훈위 이화 대수장[30] |
외국 훈장 착용 허가 | 1910년 10월 8일 | 이탈리아 왕국: 성 마우리치오 라자로 1등 훈장[31], 러시아 제국: Order of the White Eagle (Russian Empire)|백수리 훈장영어[31] |
6. 가족
참조
[1]
문서
"Nobility, Peerage and Ranks in Ancient and Meiji-Japan," p. 24.
http://www.unterstei[...]
[2]
서적
Japan's Outcaste Abolition: The Struggle for National Inclusio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State
Routledge
[3]
간행물
Japan To-day. A Souvenir of the Anglo-Japanese Exhibition held in London, 1910
https://archive.org/[...]
[4]
서적
Democracy and the Party in Prewar Jap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웹사이트
大浦兼武とは
https://kotobank.jp/[...]
2013-07-28
[6]
웹사이트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大浦兼武」
https://kotobank.jp/[...]
[7]
간행물
『官報』第5012号、明治33年3月20日。
[8]
서적
華族総覧
講談社現代新書
[9]
간행물
『官報』第902号、大正4年8月4日。
[10]
간행물
『官報』第911号、大正4年8月14日。
[11]
간행물
『官報』第908号「叙任及辞令」1886年7月12日。
[12]
간행물
『官報』第2536号「叙任及辞令」1891年12月11日。
[13]
간행물
『官報』第2932号「叙任及辞令」1893年4月12日。
[14]
간행물
『官報』第4448号「叙任及辞令」1898年5月2日。
[15]
간행물
『官報』第5234号「叙任及辞令」1900年12月11日。
[16]
간행물
『官報』第6101号「叙任及辞令」1903年10月31日。
[17]
간행물
『官報』第7788号「叙任及辞令」1909年6月12日。
[18]
간행물
『官報』第1851号「叙任及辞令」1918年10月3日。
[19]
간행물
『官報』第904号「賞勲叙任」1886年7月7日。
[20]
간행물
『官報』第1943号「叙任及辞令」1889年12月18日。
[21]
간행물
『官報』第3152号「叙任及辞令」1893年12月29日。
[22]
웹사이트
中野文庫 - 旧・勲一等瑞宝章受章者一覧(戦前の部)
https://web.archive.[...]
[23]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1907年1月28日。
[24]
간행물
『官報』第7578号・付録「辞令」1908年9月28日。
[25]
간행물
『官報』第7272号「授爵敍任及辞令」1907年9月23日。
[26]
간행물
『官報』第8454号「叙任及辞令」1911年8月25日。
[27]
간행물
『官報』第205号・付録「辞令」1913年4月9日。
[28]
간행물
『官報』第1310号・付録「辞令」1916年12月13日。
[29]
간행물
『官報』第4990号「叙任及辞令」1900年2月22日。
[30]
간행물
『官報』第6599号「叙任及辞令」1905年6月30日。
[31]
간행물
『官報』第8195号「叙任及辞令」1910年10月13日。
[32]
문서
『平成新修旧華族家系大成』上巻、266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