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은 1964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후, 하계 올림픽에는 1972년부터 참가했다. 1984년과 1988년 하계 올림픽, 2020년 하계 올림픽, 2022년 동계 올림픽에는 불참했다. 하계 올림픽에서는 총 61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동계 올림픽에서는 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2000년대에는 남북 선수단이 함께 '코리아'라는 이름으로 개폐막식에 참가하기도 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는 남북 단일팀을 구성하여 참가했다.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을 이유로 2020 도쿄 올림픽 불참을 선언했으며,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도 국가 자격 참가가 금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 |
|---|---|
| 올림픽 정보 | |
| NOC | PRK |
| NOC 이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 위원회 |
| 게임 | 올림픽 |
| 순위 | 50위 |
| 금메달 | 16 |
| 은메달 | 19 |
| 동메달 | 28 |
| 총 메달 수 | 63 |
| 공식 웹사이트 | 해당사항 없음 |
| 과거 코드 | 해당사항 없음 |
| 참가 횟수 | 해당사항 없음 |
| 올림픽 참가 상세 정보 | |
| 하계 올림픽 참가 |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
| 동계 올림픽 참가 |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8 2002 2006 2010 2018 2022 |
| 관련 정보 | (1932–1936) 대한민국 (2018) |
2. 역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64년 동계 올림픽(인스브루크)에 참가하면서 처음으로 올림픽 무대에 발을 들였다.[1] 같은 해 1964년 하계 올림픽(도쿄도)에서는 신흥국 경기 대회에 참가한 선수들의 올림픽 참가 금지 결정에 반발하여 인도네시아와 함께 대회를 보이콧했다. 1968년 동계 올림픽(그르노블), 1968년 하계 올림픽(멕시코시티)에서는 '북한'이라는 국명 호칭 요구에 반발하여 참가하지 않았다.
1972년 하계 올림픽(뮌헨)부터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게 되었다.[1] 이후 1984년 하계 올림픽의 소련 주도의 보이콧[1], 1988년 서울 올림픽[1], 코로나19 범유행 우려로 참가하지 않은 2020년 하계 올림픽(도쿄도)[1][5]을 제외하고는 역대 하계 올림픽 대회마다 매번 참가하였다. 반면 동계 올림픽 참가는 적극적이지 않은 편으로, 최근 13차례의 대회 중에서 8번만 참가하였다.[1]
하계 올림픽에서는 첫 대회였던 1972년 하계 올림픽에서부터 첫 금, 은, 동메달을 동시에 획득하였으며, 이후 불참한 대회를 제외하고는 모든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고 있다. 반면 동계 올림픽에서는 1964년 동계 올림픽에서 최초로 은메달을, 1992년 동계 올림픽에서 최초로 동메달을 획득한 것 이외에는 성적이 전무하다. 동계 올림픽에서의 금메달 획득은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들은 총 63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그 중 2개는 동계 올림픽에서 획득했다.[1]
햇볕정책으로 남북 화해 무드가 조성되던 2000년대에는 대한민국 선수단과 함께 '코리아'라는 국명으로 한반도기를 앞세워 올림픽 개폐막식에 입장하기도 했다.[2] 2000년 하계 올림픽,[2] 2004년 하계 올림픽,[2]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 동시 입장이 이뤄졌으나,[2] 출전은 별개의 선수단으로 진행되었다. 2008년 하계 올림픽부터 2016년 하계 올림픽까지는 남북 관계 경색 국면으로 동시입장이 이뤄지지 않았다.
2018년 동계 올림픽(평창군)에는 22명의 선수를 파견, 남한에서 열린 올림픽 대회로는 처음으로 참가하였다.[2] 개막식에서는 12년 만에 남북 동시 입장이 이뤄졌으며,[2] 특히 여자 아이스하키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남북 선수가 모두 참여하는 남북 단일대표팀을 결성하여 경기를 치렀다.[2] 단, 이 단일대표팀은 남북한 선수단과는 별개의 선수단으로 취급되어 메달 획득에 성공하더라도 남북한 그 누구의 것으로 집계되지는 않게 되었다. 22명의 선수 외에도, 응원단, 태권도 선수, 오케스트라가 포함된 대표단이 파견되었다.[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 위원회는 2021년 4월 6일에 코로나19 범유행으로부터 선수들을 보호한다는 이유를 내세워 202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5]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2021년 9월 8일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 위원회에 대해 2022년 말까지 자격 정지 처분을 내리고 2022년 동계 올림픽(베이징시)에서 국가 자격으로 참가하는 것을 금지시켰다.[6]
2. 1. 올림픽 참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64년 동계 올림픽(인스브루크)에 참가하면서 처음으로 올림픽 무대에 발을 들였다.[1] 같은 해 1964년 하계 올림픽(도쿄도)에서는 신흥국 경기 대회에 참가한 선수들의 올림픽 참가 금지 결정에 반발하여 인도네시아와 함께 대회를 보이콧했다. 1968년 동계 올림픽(그르노블), 1968년 하계 올림픽(멕시코시티)에서는 '북한'이라는 국명 호칭 요구에 반발하여 참가하지 않았다.1972년 하계 올림픽(뮌헨)부터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게 되었다.[1] 이후 1984년 하계 올림픽의 소련 주도의 보이콧[1], 1988년 서울 올림픽[1], 코로나19 범유행 우려로 참가하지 않은 2020년 하계 올림픽(도쿄도)[1][5]을 제외하고는 역대 하계 올림픽 대회마다 매번 참가하였다. 반면 동계 올림픽 참가는 적극적이지 않은 편으로, 최근 13차례의 대회 중에서 8번만 참가하였다.[1]
하계 올림픽에서는 첫 대회였던 1972년 하계 올림픽에서부터 첫 금, 은, 동메달을 동시에 획득하였으며, 이후 불참한 대회를 제외하고는 모든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고 있다. 반면 동계 올림픽에서는 1964년 동계 올림픽에서 최초로 은메달을, 1992년 동계 올림픽에서 최초로 동메달을 획득한 것 이외에는 성적이 전무하다. 동계 올림픽에서의 금메달 획득은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들은 총 63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그 중 2개는 동계 올림픽에서 획득했다.[1]
햇볕정책으로 남북 화해 무드가 조성되던 2000년대에는 대한민국 선수단과 함께 '코리아'라는 국명으로 한반도기를 앞세워 올림픽 개폐막식에 입장하기도 했다.[2] 2000년 하계 올림픽,[2] 2004년 하계 올림픽,[2]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 동시 입장이 이뤄졌으나,[2] 출전은 별개의 선수단으로 진행되었다. 2008년 하계 올림픽부터 2016년 하계 올림픽까지는 남북 관계 경색 국면으로 동시입장이 이뤄지지 않았다.
2018년 동계 올림픽(평창군)에는 22명의 선수를 파견, 남한에서 열린 올림픽 대회로는 처음으로 참가하였다.[2] 개막식에서는 12년 만에 남북 동시 입장이 이뤄졌으며,[2] 특히 여자 아이스하키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남북 선수가 모두 참여하는 남북 단일대표팀을 결성하여 경기를 치렀다.[2] 단, 이 단일대표팀은 남북한 선수단과는 별개의 선수단으로 취급되어 메달 획득에 성공하더라도 남북한 그 누구의 것으로 집계되지는 않게 되었다. 22명의 선수 외에도, 응원단, 태권도 선수, 오케스트라가 포함된 대표단이 파견되었다.[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 위원회는 2021년 4월 6일에 코로나19 범유행으로부터 선수들을 보호한다는 이유를 내세워 202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5]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2021년 9월 8일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 위원회에 대해 2022년 말까지 자격 정지 처분을 내리고 2022년 동계 올림픽(베이징시)에서 국가 자격으로 참가하는 것을 금지시켰다.[6]
2. 2. 주요 선수 및 메달
| 선수 | 종목 | 참가 올림픽 | 합계 | |||
|---|---|---|---|---|---|---|
| 계순희 | 유도 | 1996, 2000, 2004 | 1 | 1 | 1 | 3 |
| 김일 | 레슬링 | 1992, 1996 | 2 | 0 | 0 | 2 |
| 림정심 | 역도 | 2012, 2016 | 2 | 0 | 0 | 2 |
| 안금애 | 유도 | 2008, 2012 | 1 | 1 | 0 | 2 |
| 엄윤철 | 역도 | 2012, 2016 | 1 | 1 | 0 | 2 |
| 리성희 | 역도 | 2000, 2004 | 0 | 2 | 0 | 2 |
| 리병욱 | 복싱 | 1976, 1980 | 0 | 1 | 1 | 2 |
| 김명남 | 역도 | 1992, 1996 | 0 | 1 | 1 | 2 |
| 리분희 | 탁구 | 1992 | 0 | 0 | 2 | 2 |
## 하계 올림픽
3. 메달 집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64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후, 1972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선수단을 파견하였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과 1988년 서울 올림픽에는 불참하였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불참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하계 올림픽에서 총 16개의 금메달, 18개의 은메달, 27개의 동메달을 획득하였다.대회 선수 금 은 동 합계 순위 1972 뮌헨 37 1 1 3 5 22 1976 몬트리올 38 1 1 0 2 21 1980 모스크바 57 0 3 2 5 26 1984 로스앤젤레스 불참 1988 서울 1992 바르셀로나 64 4 0 5 9 16 1996 애틀랜타 24 2 1 2 5 33 2000 시드니 31 0 1 3 4 60 2004 아테네 36 0 4 1 5 57 2008 베이징 63 2 2 2 6 34 2012 런던 51 4 0 3 7 20 2016 리우데자네이루 31 2 3 2 7 34 2020 도쿄 불참 2024 파리 16 0 2 4 6 68 합계 16 18 27 61
다음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하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리스트 명단이다.대회 메달 선수 종목 세부 종목 1972 뮌헨 Gold medal영어 리호준 사격 혼성 50m 소총 복사 Silver medal영어 김우길 복싱 남자 라이트 플라이급 Bronze medal영어 김용익 유도 남자 63 kg 리춘옥, 김명숙, 김중복, 강옥선, 김연자, 황혜숙, 장옥림, 백명숙, 렴춘자, 김수대, 정옥진 배구 여자 토너먼트 김광형 레슬링 남자 자유형 52 kg 1976 몬트리올 Gold medal영어 구용주 복싱 남자 밴텀급 Silver medal영어 리병욱 남자 라이트 플라이급 1980 모스크바 Silver medal영어 장세홍 레슬링 남자 자유형 48 kg 리호평 남자 자유형 57 kg 호봉철 역도 남자 52 kg Bronze medal영어 한경시 남자 52 kg 리병욱 복싱 남자 라이트 플라이급 1992 바르셀로나 Gold medal영어 최철수 복싱 남자 플라이급 배길수 체조 남자 안마 김일 레슬링 남자 자유형 48 kg 리학선 남자 자유형 52 kg Bronze medal영어 김용식 남자 자유형 57 kg 리광식 복싱 남자 밴텀급 리분희, 유선복 탁구 여자 복식 리분희 여자 단식 김명남 역도 남자 75 kg 1996 애틀랜타 Gold medal영어 계순희 유도 여자 48 kg 김일 레슬링 남자 자유형 48 kg Silver medal영어 김명남 역도 남자 70 kg Bronze medal영어 전철호 남자 76 kg 리용삼 레슬링 남자 자유형 57 kg 2000 시드니 Silver medal영어 리송희 역도 여자 58 kg Bronze medal영어 김운철 복싱 남자 라이트 플라이급 계순희 유도 여자 52 kg 강영균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54 kg 2004 아테네 Silver medal영어 김성국 복싱 남자 페더급 계순희 유도 여자 경량급 김향미 탁구 여자 단식 리송희 역도 여자 58 kg Bronze medal영어 김정수 사격 남자 50m 권총 2008 베이징 Gold medal영어 홍은정 체조 여자 도마 박현숙 역도 여자 63 kg Silver medal영어 오정애 여자 58 kg 안금애 유도 여자 경량급 Bronze medal영어 박철민 남자 경량급 원옥임 여자 경량급 2012 런던 Gold medal영어 안금애 유도 여자 52 kg 엄윤철 역도 남자 56 kg 김은국 남자 62 kg 림정심 여자 69 kg Bronze medal영어 량춘화 여자 48 kg 김명혁 남자 69 kg 양경일 레슬링 남자 자유형 55 kg 2016 리우데자네이루 Gold medal영어 리세광 체조 남자 도마 림정심 역도 여자 75 kg Silver medal영어 엄윤철 남자 56 kg 최효심 여자 63 kg 김국향 여자 +75 kg Bronze medal영어 김성국 사격 남자 50m 권총 김송이 탁구 여자 단식 2024 파리 Silver medal영어 김미래, 조진미 다이빙 여자 10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 리종식, 김금용 탁구 혼합 복식 Bronze medal영어 김미래 다이빙 여자 10m 플랫폼 방철미 복싱 밴텀급(54kg) 리세웅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60 kg 최효경 여자 자유형 53 kg
## 동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64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후, 1968년 그르노블 대회를 제외하고 여러 차례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1976년과 1980년, 1994년, 2002년, 2014년, 2022년 대회에는 불참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동계 올림픽에서 총 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한필화는 1964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30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초의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황옥실은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5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대회 선수 금 은 동 합계 1964 인스브루크 13 0 1 0 1 1972 삿포로 8 0 0 0 0 1984 사라예보 6 0 0 0 0 1988 캘거리 6 0 0 0 0 1992 알베르빌 20 0 0 1 1 1998 나가노 8 0 0 0 0 2006 토리노 6 0 0 0 0 2010 밴쿠버 2 0 0 0 0 2018 평창 22 0 0 0 0 합계 0 1 1 2
## 하계 올림픽 종목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72년 뮌헨 하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후,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과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제외하고 꾸준히 하계 올림픽에 참가해왔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불참하였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90%;"
|-
! 대회
! 선수
| style="background:gold; width:4.5em; font-weight:bold;" | 금
| style="background:silver; width:4.5em; font-weight:bold;" | 은
| style="background:#cc9966; width:4.5em; font-weight:bold;" | 동
! style="width:4.5em; font-weight:bold;" | 합계
! style="width:4.5em; font-weight:bold;" | 순위
|-
| align=left | 하계 올림픽/Summer Olympics영어|1972}} || 37 || 1 || 1 || 3 || '''5''' || 22
|-
| align=left | 하계 올림픽/Summer Olympics영어|1976}} || 38 || 1 || 1 || 0 || '''2''' || 21
|-
| align=left | 하계 올림픽/Summer Olympics영어|1980}} || 57 || 0 || 3 || 2 || '''5''' || 26
|-
| align=left | 하계 올림픽/Summer Olympics영어|1984}} || colspan=6 rowspan=2 |불참
|-
| align=left | 하계 올림픽/Summer Olympics영어|1988}}
|-
| align=left | 하계 올림픽/Summer Olympics영어|1992}} || 64 || 4 || 0 || 5 || '''9''' || 16
|-
| align=left | 하계 올림픽/Summer Olympics영어|1996}} || 24 || 2 || 1 || 2 || '''5''' || 33
|-
| align=left | 하계 올림픽/Summer Olympics영어|2000}} || 31 || 0 || 1 || 3 || '''4''' || 60
|-
| align=left | 하계 올림픽/Summer Olympics영어|2004}} || 36 || 0 || 4 || 1 || '''5''' || 57
|-
| align=left | 하계 올림픽/Summer Olympics영어|2008}} || 63 || 2 || 2 || 2 || '''6''' || 34
|-
| align=left | 하계 올림픽/Summer Olympics영어|2012}} || 51 || 4 || 0 || 3 || '''7''' || 20
|-
| align=left | 하계 올림픽/Summer Olympics영어|2016}} || 31 || 2 || 3 || 2 || '''7''' || 34
|-
| align=left | 하계 올림픽/Summer Olympics영어|2020}} || colspan=6 |불참
|-
! colspan=2 | 합계 !! 16 !! 18 !! 27 !! 61
3. 1.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64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후, 1972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선수단을 파견하였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과 1988년 서울 올림픽에는 불참하였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불참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하계 올림픽에서 총 16개의 금메달, 18개의 은메달, 27개의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 대회 | 선수 | 금 | 은 | 동 | 합계 | 순위 |
|---|---|---|---|---|---|---|
| 1972 뮌헨 | 37 | 1 | 1 | 3 | 5 | 22 |
| 1976 몬트리올 | 38 | 1 | 1 | 0 | 2 | 21 |
| 1980 모스크바 | 57 | 0 | 3 | 2 | 5 | 26 |
| 1984 로스앤젤레스 | 불참 | |||||
| 1988 서울 | ||||||
| 1992 바르셀로나 | 64 | 4 | 0 | 5 | 9 | 16 |
| 1996 애틀랜타 | 24 | 2 | 1 | 2 | 5 | 33 |
| 2000 시드니 | 31 | 0 | 1 | 3 | 4 | 60 |
| 2004 아테네 | 36 | 0 | 4 | 1 | 5 | 57 |
| 2008 베이징 | 63 | 2 | 2 | 2 | 6 | 34 |
| 2012 런던 | 51 | 4 | 0 | 3 | 7 | 20 |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31 | 2 | 3 | 2 | 7 | 34 |
| 2020 도쿄 | 불참 | |||||
| 2024 파리 | 16 | 0 | 2 | 4 | 6 | 68 |
| 합계 | 16 | 18 | 27 | 61 | ||
다음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하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리스트 명단이다.
| 대회 | 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
| 1972 뮌헨 | 리호준 | 25px 사격 | 혼성 50m 소총 복사 | |
| 김우길 | 25px 복싱 | 남자 라이트 플라이급 | ||
| 김용익 | 25px 유도 | 남자 63 kg | ||
| 리춘옥, 김명숙, 김중복, 강옥선, 김연자, 황혜숙, 장옥림, 백명숙, 렴춘자, 김수대, 정옥진 | 25px 배구 | 여자 토너먼트 | ||
| 김광형 | 25px 레슬링 | 남자 자유형 52 kg | ||
| 1976 몬트리올 | 구용주 | 25px 복싱 | 남자 밴텀급 | |
| 리병욱 | 남자 라이트 플라이급 | |||
| 1980 모스크바 | 장세홍 | 25px 레슬링 | 남자 자유형 48 kg | |
| 리호평 | 남자 자유형 57 kg | |||
| 호봉철 | 25px 역도 | 남자 52 kg | ||
| 한경시 | 남자 52 kg | |||
| 리병욱 | 25px 복싱 | 남자 라이트 플라이급 | ||
| 1992 바르셀로나 | 최철수 | 25px 복싱 | 남자 플라이급 | |
| 배길수 | 25px 체조 | 남자 안마 | ||
| 김일 | 25px 레슬링 | 남자 자유형 48 kg | ||
| 리학선 | 남자 자유형 52 kg | |||
| 김용식 | 남자 자유형 57 kg | |||
| 리광식 | 25px 복싱 | 남자 밴텀급 | ||
| 리분희, 유선복 | 25px 탁구 | 여자 복식 | ||
| 리분희 | 여자 단식 | |||
| 김명남 | 25px 역도 | 남자 75 kg | ||
| 1996 애틀랜타 | 계순희 | 25px 유도 | 여자 48 kg | |
| 김일 | 25px 레슬링 | 남자 자유형 48 kg | ||
| 김명남 | 25px 역도 | 남자 70 kg | ||
| 전철호 | 남자 76 kg | |||
| 리용삼 | 25px 레슬링 | 남자 자유형 57 kg | ||
| 2000 시드니 | 리송희 | 25px 역도 | 여자 58 kg | |
| 김운철 | 25px 복싱 | 남자 라이트 플라이급 | ||
| 계순희 | 25px 유도 | 여자 52 kg | ||
| 강영균 | 25px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형 54 kg | ||
| 2004 아테네 | 김성국 | 25px 복싱 | 남자 페더급 | |
| 계순희 | 25px 유도 | 여자 경량급 | ||
| 김향미 | 25px 탁구 | 여자 단식 | ||
| 리송희 | 25px 역도 | 여자 58 kg | ||
| 김정수 | 25px 사격 | 남자 50m 권총 | ||
| 2008 베이징 | 홍은정 | 25px 체조 | 여자 도마 | |
| 박현숙 | 25px 역도 | 여자 63 kg | ||
| 오정애 | 여자 58 kg | |||
| 안금애 | 25px 유도 | 여자 경량급 | ||
| 박철민 | 남자 경량급 | |||
| 원옥임 | 여자 경량급 | |||
| 2012 런던 | 안금애 | 25px 유도 | 여자 52 kg | |
| 엄윤철 | 25px 역도 | 남자 56 kg | ||
| 김은국 | 남자 62 kg | |||
| 림정심 | 여자 69 kg | |||
| 량춘화 | 여자 48 kg | |||
| 김명혁 | 남자 69 kg | |||
| 양경일 | 25px 레슬링 | 남자 자유형 55 kg | ||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리세광 | 25px 체조 | 남자 도마 | |
| 림정심 | 25px 역도 | 여자 75 kg | ||
| 엄윤철 | 남자 56 kg | |||
| 최효심 | 여자 63 kg | |||
| 김국향 | 여자 +75 kg | |||
| 김성국 | 25px 사격 | 남자 50m 권총 | ||
| 김송이 | 25px 탁구 | 여자 단식 | ||
| 2024 파리 | 김미래, 조진미 | 25px 다이빙 | 여자 10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 | |
| 리종식, 김금용 | 25px 탁구 | 혼합 복식 | ||
| 김미래 | 25px 다이빙 | 여자 10m 플랫폼 | ||
| 방철미 | 25px 복싱 | 밴텀급(54kg) | ||
| 리세웅 | 25px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형 60 kg | ||
| 최효경 | 여자 자유형 53 kg |
3. 2. 동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64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후, 1968년 그르노블 대회를 제외하고 여러 차례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1976년과 1980년, 1994년, 2002년, 2014년, 2022년 대회에는 불참했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동계 올림픽에서 총 2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한필화는 1964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30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초의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황옥실은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5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대회 | 선수 | 금 | 은 | 동 | 합계 |
|---|---|---|---|---|---|
| 1964 인스브루크 | 13 | 0 | 1 | 0 | 1 |
| 1972 삿포로 | 8 | 0 | 0 | 0 | 0 |
| 1984 사라예보 | 6 | 0 | 0 | 0 | 0 |
| 1988 캘거리 | 6 | 0 | 0 | 0 | 0 |
| 1992 알베르빌 | 20 | 0 | 0 | 1 | 1 |
| 1998 나가노 | 8 | 0 | 0 | 0 | 0 |
| 2006 토리노 | 6 | 0 | 0 | 0 | 0 |
| 2010 밴쿠버 | 2 | 0 | 0 | 0 | 0 |
| 2018 평창 | 22 | 0 | 0 | 0 | 0 |
| 합계 | 0 | 1 | 1 | 2 |
3. 3. 하계 올림픽 종목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72년 뮌헨 하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후,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과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제외하고 꾸준히 하계 올림픽에 참가해왔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불참하였다.| 대회 | 선수 | 금 | 은 | 동 | 합계 | 순위 |
|---|---|---|---|---|---|---|
| 37 | 1 | 1 | 3 | 5 | 22 | |
| 38 | 1 | 1 | 0 | 2 | 21 | |
| 57 | 0 | 3 | 2 | 5 | 26 | |
| 불참 | ||||||
| 64 | 4 | 0 | 5 | 9 | 16 | |
| 24 | 2 | 1 | 2 | 5 | 33 | |
| 31 | 0 | 1 | 3 | 4 | 60 | |
| 36 | 0 | 4 | 1 | 5 | 57 | |
| 63 | 2 | 2 | 2 | 6 | 34 | |
| 51 | 4 | 0 | 3 | 7 | 20 | |
| 31 | 2 | 3 | 2 | 7 | 34 | |
| 불참 | ||||||
| 합계 | 16 | 16 | 23 | 55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역도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으며, 레슬링, 복싱, 유도, 체조, 사격, 탁구, 다이빙, 배구에서도 메달을 획득했다.
3. 4. 동계 올림픽 종목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64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후, 1972년, 1984년, 1988년, 1992년, 1998년, 2006년, 2010년, 2018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였다. 현재까지 금메달은 없으며, 은메달 1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획득한 은메달은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동메달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나왔다. 그 외에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스켈레톤, 컬링, 아이스하키, 루지, 피겨 스케이팅,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프리스타일 스키, 노르딕 복합, 스키 점프, 스노보드에는 메달 기록이 없다.
참조
[1]
뉴스
Why the Olympics matter when it comes to North Korea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8-01-07
[2]
뉴스
Winter Olympics 2018: North Korea will send 22 athletes to Pyeongchang
https://www.bbc.com/[...]
2018-02-10
[3]
뉴스
North Korea at the Winter Olympics: All you need to know
https://www.bbc.com/[...]
2018-02-10
[4]
웹사이트
IOC disappointed after UN reject demand for sporting equipment to be sent to North Korea
https://www.insideth[...]
2018-08-09
[5]
뉴스
North Korea, citing the pandemic, will skip the Tokyo Olympics.
https://www.nytimes.[...]
2021-04-05
[6]
뉴스
North Korea suspended from IOC after Tokyo no-show
https://www.reuters.[...]
2021-09-08
[7]
웹사이트
北朝鮮、五輪・パラ不参加 コロナ理由、初の表明国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1-07-27
[8]
웹사이트
北朝鮮、五輪もパラリンピックも不参加 コロナ影響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1-07-27
[9]
뉴스
北朝鮮に資格停止処分 東京大会不参加で―IOC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21-09-09
[10]
뉴스
北朝鮮、北京五輪不参加を表明 「敵対勢力が策動」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