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하계, 동계, 동계 청소년 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단이다. 대한민국은 1948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후, 1980년 하계 올림픽을 제외하고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동계 올림픽은 1948년 생모리츠 대회에 처음 참가했으며, 1952년 오슬로 대회를 제외하고 모든 대회에 출전했다. 대한민국은 하계 올림픽에서 1988년 서울 올림픽을, 동계 올림픽에서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을, 2024년 강원 동계 청소년 올림픽을 유치했다. 대한민국 선수단은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김우진, 진종오, 김수녕, 전이경 등이 올림픽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2012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2012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서 열린 대회에서 금메달 6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종합 2위를 기록했으며, 스피드 스케이팅과 쇼트트랙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올림픽 정보
NOC 이름대한체육회
웹사이트www.sports.or.kr(한국어, 영어)
메달 순위18위
금메달142
은메달130
동메달127
총 메달 수399
올림픽 참가 정보
관련 정보
관련 참가국COR 남북 단일 (2018)
관련 국가JPN (1932–1936)

2. 개최한 대회

대한민국은 1988년 하계 올림픽2018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하였다.

올림픽개최 도시날짜국가 수참가 선수종목 수
1988년 하계 올림픽서울9월 17일 – 10월 2일1608,391237
2018년 동계 올림픽평창2월 9일 – 2월 25일922,920102


2. 1. 올림픽 개최 현황

대한민국은 현재까지 하계 올림픽동계 올림픽, 동계 청소년 올림픽을 1회씩 유치하였다.

각 대회는 일부 종목의 경우 분산개최가 이루어졌는데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는 요트 종목이 부산광역시에서,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는 빙상 종목이 강릉시에서 개최되었다. 2024년 강원 동계 청소년 올림픽은 강원도의 4개 도시 (강릉, 정선, 평창, 횡성)에서 분산 개최되었다.

대회개최 도시기간참가국 수참가 선수세부 종목
1988년 하계 올림픽서울9월 17일 - 10월 2일160개국8,391명237개
2018년 동계 올림픽평창2월 9일 - 2월 25일92개국2,920명102개
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강원1월 19일 - 2월 1일78개국1,812명90개


2. 2. 유치 실패

대한민국은 2010년 동계 올림픽2014년 동계 올림픽 유치를 위해 평창을 후보 도시로 내세웠으나, 각각 캐나다 밴쿠버러시아 소치에 밀려 유치에 실패했다.



정식 후보는 아니었지만, 부산광역시2024년 하계 올림픽2028년 하계 올림픽 유치를 검토했고, 서울특별시2032년 하계 올림픽 유치를 시도했다. 그러나 이들 대회는 각각 프랑스 파리, 미국 로스앤젤레스,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이 유치하였다.

3. 대회별 메달 집계

대한민국은 1948년 1948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후,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서 꾸준히 메달을 획득해 왔다. 특히 1988년 하계 올림픽은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되어, 대한민국 선수단은 역대 최다 메달을 획득하며 종합 4위를 기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동계 올림픽에서는 2018년 동계 올림픽이 대한민국 평창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 선수단은 동계 올림픽 사상 최다 메달을 획득하였다.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의 대회별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종목별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하계 올림픽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합계
양궁3210850
태권도143825
유도11192151
레슬링11111436
사격1012123
배드민턴78722
펜싱74819
복싱371121
역도37717
탁구331420
체조24511
핸드볼2417
수영1315
육상1102
야구1012
골프1001
필드하키0303
농구0101
근대 5종0022
축구0011
배구0011
합계109100111320



동계 올림픽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합계
쇼트트랙26161153
스피드 스케이팅510520
피겨 스케이팅1102
스켈레톤1001
봅슬레이0101
컬링0101
스노보드0101
합계33301679


3. 1.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대회참가 선수합계순위비고
1948 런던50002232첫 입성
1952 헬싱키19002237
1956 멜버른35011229
1960 로마360000-메달 없음
1964 도쿄154021327
1968 멕시코시티54011236
1972 뮌헨42010133
1976 몬트리올50114619사상 최초 금메달
1980 모스크바불참
1984 로스앤젤레스1756671910
1988 서울401121011334개최국, 최다 메달
1992 바르셀로나22612512297최다 동메달 획득
1996 애틀랜타30071552710최다 은메달 획득
2000 시드니281810102812
2004 아테네2649129309
2008 베이징26713118327최다 금메달 획득
2012 런던2481399315최다 금메달 획득
2016 리우데자네이루204939218
2020 도쿄23764102016
2024 파리14313910328최다 금메달 획득
2028 로스앤젤레스개최 예정
2032 브리즈번
합계10910011132014


3. 2.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

대회참가 선수합계순위비고
1948 생모리츠30000-첫 입성
1952 오슬로불참
1956 코르티나담페초40000-
1960 스쿼밸리70000-
1964 인스브루크70000-
1968 그르노블80000-
1972 삿포로50000-
1976 인스브루크30000-
1980 레이크플래시드100000-
1984 사라예보150000-
1988 캘거리280000-
1992 알베르빌23211410사상 최초 메달 획득
1994 릴레함메르2441166
1998 나가노3831269
2002 솔트레이크시티48220414
2006 토리노41632117최다 금메달 획득
2010 밴쿠버46662145최다 금메달 획득
2014 소치71332813
2018 평창122584177개최국, 최다 메달 획득
2022 베이징64252914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개최 예정
합계3125147015


3. 3. 종목별 메달 집계

대한민국은 올림픽에서 다양한 종목에 출전하여 메달을 획득하였다.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의 종목별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하계 올림픽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합계
양궁3210850
태권도143825
유도11192151
레슬링11111436
사격1012123
배드민턴78722
펜싱74819
복싱371121
역도37717
탁구331420
체조24511
핸드볼2417
수영1315
육상1102
야구1012
골프1001
필드하키0303
농구0101
근대 5종0022
축구0011
배구0011
합계109100111320



동계 올림픽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합계
쇼트트랙26161153
스피드 스케이팅510520
피겨 스케이팅1102
스켈레톤1001
봅슬레이0101
컬링0101
스노보드0101
합계33301679


3. 3. 1. 하계 올림픽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합계
양궁3210850
태권도143825
유도11192151
레슬링11111436
사격1012123
배드민턴78722
펜싱74819
복싱371121
역도37717
탁구331420
체조24511
핸드볼2417
수영1315
육상1102
야구1012
골프1001
필드하키0303
농구0101
근대 5종0022
축구0011
배구0011


3. 3. 2. 동계 올림픽 종목별 메달 집계


4. 메달 기록 보유 선수

대한민국 올림픽 메달 기록 보유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4. 1. 최다 메달


4. 2. 진기록



대한민국 최초의 올림픽 메달리스트는 194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김성집과 한수안이다. 최초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는 1956년 하계 올림픽 복싱 종목의 송순천이며,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는 1976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종목의 양정모이다.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여자 핸드볼 대표팀이 구기 종목 사상 첫 금메달을 획득했고, 양궁 김수녕이 여자 단체전, 여자 개인전에서 우승하며 대한민국 올림픽 사상 첫 2관왕을 달성했다.[5]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사격의 여갑순이 첫 금메달, 마라톤의 황영조가 마지막 금메달을 차지했다.[6]

199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쇼트트랙의 김기훈과 4000m 계주 단체팀이 최초의 동계올림픽 금메달을, 스피드스케이팅의 김윤만이 최초의 은메달, 쇼트트랙의 이준호가 최초의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대한민국은 쇼트트랙에서만 48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쇼트트랙의 안현수진선유가 대한민국 동계 올림픽 및 대한민국 올림픽 선수단 첫 3관왕을 달성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수영의 박태환이 남자 자유형 400m에서 대한민국 수영 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야구 대표팀은 9전 전승으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올림픽 사상 최다 금메달 13개를 수확하며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20년 만에 신기록을 세웠다.

2010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피겨스케이팅의 김연아가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외 종목 사상 첫 메달과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스켈레톤의 윤성빈이 최초로 썰매 종목 금메달, 스노보드의 이상호가 사상 첫 설상 종목 메달, 여자 컬링 대표팀이 사상 첫 올림픽 컬링 메달이자 은메달을 차지했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펜싱 남자 사브르 단체전에서 대한민국 올림픽 선수단의 100번째 금메달을 달성했다. 체조의 양학선이 남자 도마 개인전에서 올림픽 체조 첫 금메달,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은 올림픽 축구 사상 첫 동메달을 획득했다. 태권도의 황경선은 올림픽 태권도 2연패를 달성했다. 사격의 진종오는 대한민국 올림픽 사격 첫 2관왕을 달성하고, 4년 후 리우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올림픽 사상 첫 3연패이자 사격 첫 3연패를 달성했다. 양궁 오진혁은 대한민국 남자 양궁의 숙원이었던 남자 개인 양궁에서 첫 금메달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종합 5위로 원정 올림픽 사상 최고의 성적을 기록했다.

2014년 동계 올림픽에서 이상화는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500m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이 종목을 2연패한 역대 3번째 선수이자 첫번째 한국 선수가 되었다.[7]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구본찬은 양궁 남자 개인전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남자 양궁 사상 첫 올림픽 2관왕이 되었고, 올림픽 양궁 전 종목 금메달 석권을 달성했다.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박인비는 골프 여자 개인전에서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안산은 양궁 혼성 단체, 여자 단체, 여자 개인 종목에서 모두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최초의 하계 올림픽 3관왕이자 한 종목 3관왕이라는 신기록을 세웠다.[8]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여자 기계체조 여서정은 대한민국 여자 도마 개인전에서 처음으로 사상 첫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아버지 여홍철과 함께 부녀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전웅태는 근대 5종 남자 종목에서 대한민국의 올림픽 근대 5종 사상 첫 동메달을 획득했다.

지금까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하계 올림픽은 1988년 서울 올림픽 (33개), 동계 올림픽은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17개)이다.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하계 올림픽 종목은 유도 (51개), 동계 올림픽 종목은 쇼트트랙 (53개)이다.

5. 대회별 참가 종목 현황

대한민국은 역대 올림픽에서 다양한 종목에 참가해 왔다.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 종목별 참가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

종목1948년1952년1956년1960년1964년1968년1972년1976년1984년1988년1992년1996년2000년2004년2008년2012년2016년2020년
-- 양궁colspan=6 style="background:#bbb"|
-- 육상
-- 배드민턴colspan=6 style="background:#bbb"|dcolspan=2 style="background:#bbb"|e
-- 야구style="background:#bbb"|ddstyle="background:#bbb"|dcolspan=3 style="background:#bbb"|ddcolspan=2 style="background:#bbb"|
-- 농구
볼링
colspan=9 style="background:#bbb"|dcolspan=8 style="background:#bbb"|
-- 복싱
카누
사이클
다이빙
승마
-- 펜싱
-- 하키
-- 축구
-- 골프colspan=15 style="background:#bbb"|
-- 체조
-- 핸드볼colspan=6 style="background:#bbb"|
-- 유도colspan=4 style="background:#bbb"|style="background:#bbb"|
-- 근대 5종
조정
요트
-- 사격
-- 수영
싱크로나이즈
-- 탁구colspan=9 style="background:#bbb"|
-- 태권도colspan=9 style="background:#bbb"|ddstyle="background:#bbb"|
테니스
colspan=5 style="background:#bbb"|dcolspan=2 style="background:#bbb"|d
-- 트라이애슬론colspan=12 style="background:#bbb"|
-- 배구colspan=4 style="background:#bbb"|
수구
-- 역도
-- 레슬링


  • d : 시범 종목
  • e : 전시 종목


종목1948년1956년1960년1964년1968년1972년1976년1980년1984년1988년1992년1994년1998년2002년2006년2010년2014년2018년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colspan=2 style="background:#bbb"|
-- 봅슬레이colspan=2 style="background:#bbb"|
크로스컨트리
-- 컬링colspan=12 style="background:#bbb"|
-- 피겨스케이팅
프리스타일스키
colspan=10 style="background:#bbb"|
노르딕복합
colspan=3 style="background:#bbb"|
루지
colspan=3 style="background:#bbb"|
아이스하키
colspan=3 style="background:#bbb"|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colspan=9 style="background:#bbb"|d
-- 스켈레톤colspan=12 style="background:#bbb"|
스키점프
-- 스노보드colspan=12 style="background:#bbb"|
-- 스피드스케이팅


  • d : 시범 종목

5. 1. 하계 올림픽 참가 종목 현황

종목1948년1956년1960년1964년1968년1972년1976년1980년1984년1988년1992년1994년1998년2002년2006년2010년2014년2018년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colspan=2 style="background:#bbb"|
-- 봅슬레이colspan=2 style="background:#bbb"|
크로스컨트리
-- 컬링colspan=12 style="background:#bbb"|
-- 피겨스케이팅
프리스타일스키colspan=10 style="background:#bbb"|
노르딕복합colspan=3 style="background:#bbb"|
루지colspan=3 style="background:#bbb"|
아이스하키colspan=3 style="background:#bbb"|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colspan=9 style="background:#bbb"|d
-- 스켈레톤colspan=12 style="background:#bbb"|
스키점프
-- 스노보드colspan=12 style="background:#bbb"|
-- 스피드스케이팅


  • d : 시범종목

참조

[1] 뉴스 Heather Richardson falls short of medal, Lee Sang-hwa wins 500m gold http://olympictalk.n[...] NBC News 2014-02-11
[2] 뉴스 (Olympics) Speed skater Lee Sang-hwa poised for gold in women's 500 meters http://www.globalpos[...] GlobalPost 2014-02-11
[3] 웹사이트 Team Republic of Korea - Profile {{!}} Tokyo 2020 Olympics https://olympics.com[...] 2021-08-15
[4] 문서 같은 해 하계 올림픽에는 참가하였다.
[5] 문서 여자 양궁 2관왕 계보는 2004 아테네까지 16년 동안 이어 갔지만 그러나 2008 베이징 여자 양궁 개인전에서 중국의 일방적 응원과 개최국 중국의 이점까지 극복하지 못해 결국 여자 양궁의 2관왕 계보는 중단되었고 2012 런던 여자 양궁 개인전에서 기보배가 명맥을 이어 지면서 다시 계보는 시작했다.
[6] 뉴스 한국마라톤 올림픽 제패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2-08-12
[7] 뉴스 이상화, 올림픽 2연패한 4번째 한국선수이자 氷速사상 3번째 500m 2연패 http://sports.news.n[...]
[8] 웹사이트 https://imnews.imb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