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완전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전체는 모든 기약 다항식이 분해 가능한 체를 의미하며, 이는 체의 모든 유한 확대가 분해 가능한 확대라는 것과 동치이다. 체의 표수가 0이거나, 표수가 p>0인 경우 모든 a에 대해 b^p=a인 b가 존재하거나 프로베니우스 사상이 자기 동형 사상을 이루면 완전체이다. 완전체 위에서 유한 생성 확대체는 가분적으로 생성된다. 양의 표수 p를 갖는 체 K에 대해, K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완전체를 완전 폐포라고 한다. 표수가 0인 체, 모든 유한체, 대수적으로 닫힌 체는 완전체이며, 표수 p인 체 K에 대한 유리 함수체 K(x)는 완전체가 아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론 - 분해체
    분해체는 체 K 위의 다항식 p(X)가 일차 인자의 곱으로 완전 인수분해되고 그 근들에 의해 K 위에서 생성되는 체 확대 L을 의미하며, 동형을 제외하고 유일하고 갈루아 군과 관련이 있다.
  • 체론 - 체 (수학)
    체는 사칙연산이 자유롭고, 0이 아닌 모든 원소가 곱셈에 대한 역원을 갖는 가환환으로, 수학, 물리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본적인 역할을 하는 대수 구조이다.
완전체
개요
학문 분야추상대수학
정의모든 대수적 확대가 분리 확대인 체
성질characteristic 0인 체는 완전체다.
유한체는 완전체다.
예시
완전체characteristic 0인 모든 체
모든 유한체
대수적으로 닫힌 체
불완전체유리 함수체 Fp(T)
역사적 맥락
도입에른스트 스테이니츠가 1910년에 도입
연구니콜라 부르바키, 장피에르 세르 등이 연구
참고 문헌
참고 자료MathWorld의 Perfect Field

2. 정의

''K''가 완전체라는 것은 ''K''에 대한 모든 기약 다항식이 분해 가능 다항식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K''의 모든 유한 확대가 분해 가능 확대라는 것과 동치이다. 완전체가 아닌 체는 '''불완전체'''(imperfect field영어)라고 한다.

2. 1. 동치 조건

''K''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은 서로 동치이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체를 '''완전체'''라고 한다.

  • ''K''에 대한 기약 다항식은 분해 가능 다항식하다.
  • ''K''의 모든 유한 확대는 분해 가능 확대이다.
  • ''K''의 모든 대수적 확대는 분해 가능 확대이다.
  • ''K''의 표수가 0이거나, 아니면 표수가 p>0인 경우 모든 a\in K에 대하여 b^p=ab가 존재한다.
  • ''K''의 표수가 0이거나, 아니면 표수가 p>0인 경우 프로베니우스 사상 a\mapsto a^p이 ''K''의 자기 동형 사상을 이룬다.

3. 성질

완전체 ''k'' 위의 모든 유한 생성 확대체 ''K''는 가분적으로 생성된다. 즉, 가분적 초월 기저를 갖는다. 다시 말해, ''K''가 ''k''(Γ) 위에 가분적으로 대수적인 초월 기저 Γ가 존재한다.[5]

4. 완전 폐포

양의 표수 p를 갖는 체 K에 대해, 완전 폐포 Kp-∞는 K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완전체이다. 이는 K에 모든 원소의 pn 제곱근 (n = 1, 2, 3, ...)을 첨가하여 얻어진다.[6]

:K^{p^{-\infty}}=K\left(\bigcup_{n=1}^\infty\{a^{p^{-n}}\colon a\in K\}\right)\subseteq\bar K

보다 일반적으로, 소수 표수 p의 가환환 R의 완전 폐포는 R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완전환이다.

4. 1. 완전 폐포의 보편 성질

완전 폐포는 분리 가능성 검사에 사용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가환 ''k''-대수 ''A''는 A \otimes_k k^{p^{-\infty}}가 환원적일 때, 그리고 그럴 때만 분리 가능하다.[6][11]

5. 예


  • 표수가 0인 는 완전체이다. 따라서, 실수체, 복소수체, p진수체 등이 모두 완전체이다.[2]
  • 모든 유한체 \mathbb F_{p^n} 또한 완전체이다.[3]
  • 모든 대수적으로 닫힌 체는 (표수가 0이 아니더라도) 완전체이다.
  • 체 확장에 의해 전순서 집합인 완전체의 집합의 합집합도 완전체이다.
  • 완전체에 대한 대수적인 체도 완전체이다.
  • 표수가 0인 모든 체(예: \mathbb{Q}와 모든 유한 확대, \mathbb{C})도 완전체이다.

6. 불완전체

대수기하학을 제외하고, 수학에서 등장하는 대부분의 체들은 완전체이다. 완전체가 아닌 체를 불완전체라고 한다.

불완전체의 예로는 표수가 p인 체 K에 대한 유리 함수체 K(x)가 있다. x\in K(x)의 경우 \sqrt[p]x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2]

실제로 접하게 되는 대부분의 체는 완전체이다. 불완전한 경우는 주로 표수가 p > 0인 대수 기하학에서 발생한다. 모든 불완전체는 필연적으로 그 소체 (최소 부분체) 위에 초월적인데, 그 이유는 소체가 완전체이기 때문이다. 불완전체의 예시로는 체 \mathbf{F}_q(x)가 있는데, 프로베니우스 자기 사상이 x \mapsto x^p를 보내므로 전사 함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 체는 다음과 같은 완전체에 포함된다.

:\mathbf{F}_q(x,x^{1/p},x^{1/p^2},\ldots)

이 체를 '''완전화'''라고 부른다. 불완전체는 기저체의 대수적 폐포에서 기약 다항식이 기약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기술적인 어려움을 야기한다. 예를 들어,[4] k가 표수 p인 불완전체이고 ''a''가 ''k''에서 ''p'' 제곱근이 아닌 경우 f(x,y) = x^p + ay^p \in k[x,y]를 생각해 보자. 그러면 대수적 폐포 k^{\operatorname{alg}}[x,y]에서 다음과 같은 등식이 성립한다.

:

f(x,y) = (x + b y)^p ,



여기서 ''b'' = ''a''이고, 그러한 ''b''는 이 대수적 폐포에 존재한다. 기하학적으로 이것은 fk[x,y]에서 아핀 평면 곡선을 정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참조

[1] 서적
[2] 문서
[3] 문서
[4] 서적 Elliptic Curves https://www.jmilne.o[...]
[5] 논문 Theorem 26.2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논문 Theorem 26.2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