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완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함은 죽림칠현 중 한 명으로, 위나라 무도태수 완희의 아들이자 완적의 조카이다. 술을 즐기고 자유분방한 삶을 살았으며, 비파를 잘 다루어 구자에서 전래된 비파를 개조했다는 설이 있으며, 후세에 그 비파를 완함이라고 불렀다. 관직 생활에서 사마염에게 등용되지 못하고 순욱에게 배척당하여 시평태수로 좌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파 연주자 - 류팡
    중국 윈난성 쿤밍 출신의 류팡은 상하이 음악원에서 고쟁을 익히고 캐나다로 이민 후 앨범 수상, 영화 음악 참여, 다양한 협업 및 사회 활동을 펼친 고쟁 및 비파 연주자이다.
  • 진나라 (위진)의 음악가 - 순욱 (서진)
    순욱은 위나라에서 벼슬을 시작했으나 사마소의 찬탈을 도우며 서진 건국 후 무제의 총애를 받아 국가 시스템 안정화에 기여했으나, 권력에 아부하고 정적을 제거하는 데 앞장섰다는 비판과 함께 서진 멸망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평가도 받는 서진의 관료이자 음악가이다.
  • 조위의 음악가 - 두기 (공량)
    두기(杜夔)는 후한 말 위나라 초의 음악가로, 아악 부흥에 기여하고 황실 음악을 편성했으나, 조비와의 불화로 옥에 갇혀 사망했다.
  • 조위의 음악가 - 혜강
    혜강은 죽림칠현의 한 명이자 위나라 종실의 인척으로 유교적 권위주의와 형식주의를 비판하며 노장사상에 심취하여 은둔 생활을 즐겼고, 여안을 변호하다가 종회의 모함으로 사마소에 의해 처형당한 인물이다.
완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른 이름중롱(仲容)
출생지웨이시 현, 허난 성
아버지롼시
자녀롼잔
롼푸
친척롼위 (할아버지)
롼지 (삼촌)
롼셴 (오른쪽)과 롱치치, 4세기 부조
롼셴 (오른쪽)과 롱치치, 4세기 부조

2. 생애

죽림칠현(竹林七賢) 중 한 명으로, 위나라 무도태수(武都太守)였던 완희의 아들이자 완적의 조카이다. 완점과 완부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죽림칠현 중에서 행적에 대해 알려진 바가 가장 없으며, 《세설신어(世說新語)》나 《진서(晉書)》등 당나라송나라 대의 저서에서 일부 언급된 것이 전부이다. 생몰년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진 바 없으나, 왕융보다는 나이가 많고 죽림칠현 중에서 두 번째로 나이가 어렸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늙어 죽었다.

2. 1. 자유분방한 삶과 음악적 재능

죽림칠현 중 한 사람으로, 위나라 무도태수(武都太守)였던 완희의 아들이자 완적(阮籍)의 조카이다. 을 잘 마셨으며 종종 완적과 함께 음주를 즐겼다. 그는 비파를 잘 다루고 음률을 잘 이해했으며, 귀현(亀玆)을 가져와 비파로 개량했다는 설이 생겨나 이후 그 비파를 '''완함'''(阮咸)으로 불렀다.

젊어서 숙부 완적과 함께 술을 마시며 유람했고,[1] 인품이 방탕하여 예법에 구애받지 않아 당시의 유학자들에게 비방을 받았다.[1]

2. 2. 관직 생활과 좌천

을 잘 마셨으며 종종 완적과 함께 음주를 즐겼는데, 이러한 점으로 인해 당대의 선비들에게 질시를 받았다. 이후 산도에 의해 이부랑(吏部郞)에 추천되었으나, 다소 대충대충인 성격에 예법에 구속받지 않는 행동거지와 술을 즐기는 성격으로 인하여 서진 무제(武帝) 사마염에 의해 제지되었다. 이후 순욱에게 계속 배척을 받다가 결국 시평태수(始平太守)가 되었으며, 후세 사람들은 이 일화를 바탕으로 완시평(阮始平)이라는 를 지었다.

3. 완함과 관련된 악기

완함은 비파를 잘 다루고 음률에 정통했으며, 구자에서 전래된 비파를 개조했다는 설이 있어 후세에는 그 비파를 완함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약칭은 완(阮)이다.

3. 1. 완함(阮咸)

죽림칠현 중 한 명으로, 위나라 무도태수였던 완희의 아들이자 완적의 조카이다. 죽림칠현 중에서 행적에 대해 알려진 바가 가장 없으며, 《세설신어》나 《진서》 등 당나라송나라 대의 저서에서 일부 언급된 것이 전부이다. 생몰년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진 바 없으나, 왕융보다는 나이가 많고 죽림칠현 중에서 두 번째로 어렸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을 잘 마셨으며 종종 완적과 함께 음주를 즐겼는데, 이러한 점으로 인해 당대의 선비들에게 질시를 받았다. 이후 산도에 의해 이부랑(吏部郞)에 추천되었으나, 다소 대충대충인 성격에 예법에 구속받지 않는 행동거지와 술을 즐기는 성격으로 인하여 무제에 의해 제지되었다. 이후 순욱에게 계속 배척을 받다가 결국 시평태수가 되었으며, 후세 사람들은 이 일화를 바탕으로 완시평(阮始平)이라는 를 지었다. 이후 늙어 죽었다.

명청악에서 사용되는 완함


그는 비파를 잘 다루고 음률을 잘 이해했으며, 귀현(亀玆)을 가져와 비파로 개량했다는 설이 생겨나 이후 그 비파를 '''완함'''(阮咸)으로 불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