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법 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법 위원회는 유엔 헌장 제13조에 따라 국제법의 점진적인 발전과 법전화를 장려하기 위해 설립된 유엔의 산하기구이다. 1947년 유엔 총회 결의안 174호에 의해 창설되었으며, 34명의 국제법 전문가로 구성되어 개인 자격으로 활동한다. 위원회는 조약 초안 작성, 국제법 연구 등을 수행하며, 비엔나 조약법 협약,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규정 등 국제법 발전에 기여했다. 하지만 각국 정부의 관심 부족, 회의 기간의 제약, 소극적인 문제 해결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설립된 단체 - 주로스앤젤레스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로스앤젤레스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대한민국 외교부 산하 재외공관으로 캘리포니아주 남부, 애리조나주, 뉴멕시코주를 관할하며, 한국계 주민들의 영사 업무 지원과 더불어 로스앤젤레스 한국문화원, 로스앤젤레스 한국교육원을 통해 한국 문화와 교육을 홍보한다.
  • 1948년 설립된 단체 - NASCAR
    NASCAR는 미국에서 시작된 스톡카 레이싱 모터스포츠 기구로, 밀주 운반 차량 개조에서 기원하여 빌 프랑스 시니어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타원형 트랙에서의 고속 주행, 독특한 규칙, 전설적인 드라이버들과 해외 자동차 제조사의 참여로 미국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국제법 - 선전포고
    선전포고는 국가 간 적대 행위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과거 전쟁 개시의 필수 절차였으나 국제법 발전과 무력 사용 제한으로 현대에는 드물어졌지만 일부 분쟁에서 사용되며 합법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국제법 - 무주지
    무주지는 국제법상 어떤 국가의 영유권도 미치지 않아 점유를 통해 국가가 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지역으로, 로마법의 무주물 개념과 관련되나 영토 취득 대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식민지 확장의 명분으로 악용된 역사와 함께 사회적, 정치적 조직을 갖춘 사람들의 땅은 무주지로 간주될 수 없다는 해석이 등장하며 변화를 겪어왔다.
국제법 위원회
개요
명칭국제법위원회
영어 명칭International Law Commission
프랑스어 명칭Commission du droit international
중국어 명칭国际法委员会
러시아어 명칭Комиссия международного права
스페인어 명칭Comisión de Derecho Internacional
약칭ILC
종류보조 기관
현황활동 중
설립
설립일1947년 11월 21일
근거국제연합 총회 결의 A/RES/174 (II)
조직
소속국제연합 총회
본부 위치주로 제네바
기타
웹사이트국제법위원회 공식 웹사이트
관련 자료commons: Category:International Law Commission

2. 유엔 헌장과 국제법 위원회

유엔 헌장 제13조 1항 가호는 국제법 위원회 설립 근거를 명시하고 있다.

2. 1. 유엔 헌장 제13조 1항 가호

유엔 총회는 정치적 분야에서 국제협력을 촉진하고, 국제법의 점진적 발달 및 그 법전화를 장려하기 위하여 연구를 발의하고 권고한다.

3. 연혁

유엔 헌장 제13조 1항에 따라, 1947년 11월 21일 국제 연합 총회는 결의안 174호를 통과시켜 국제법 위원회를 창설했다.[22] 이는 국제법의 점진적 발전과 성문화를 장려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앞서 1946년 12월 11일, 유엔 총회는 결의 94호를 통해 "국제법의 점진적 발달과 법전화를 위한 위원회"(일명 "17인 위원회")를 설치했다.(A/RES/94 (I)).[21] 이 위원회는 1947년 5월 12일부터 6월 17일까지 회의를 열고 국제법 위원회 설치를 권고하는 보고서를 제출했다.[21]

1947년 11월 21일 유엔 총회 결의(A/RES/174 (II))에 따라, 1948년 11월 3일에 국제법 위원회 첫 선거가 실시되었고, 1949년 4월 12일에 제1회 회기가 개회되었다.

3. 1. 설립 배경

역사적으로 관습 국제법을 성문화하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으며, 이는 1924년 국제 연맹 총회 결의안에서 시작된 "국제법 점진적 성문화 전문가 위원회"의 작업으로 이어졌다. 이 위원회는 17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었으며, 국제법에서 다루어야 할 문제와 이를 위한 바람직한 단계에 대한 권고안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위원회의 작업은 1930년 국제 연맹 성문화 회의로 이어졌고, 이 회의의 많은 개념은 국제 연합 헌장에 채택되었다.

유엔 헌장은 총회가 "국제법의 점진적 발달과 법전화를 장려하는 것" 등의 목적으로 연구를 발의하고 권고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13조 1항).

이를 받아들여, 1946년 12월 11일, 유엔 총회는 결의안 94호를 통과시켜 법률 전문가 위원회("17인 위원회")를 설립하고, 국제법의 점진적 발전과 성문화를 장려할 방법을 유엔 사무총장에게 권고하도록 요청했다. 이 위원회는 1947년 5월 12일부터 6월 17일까지 회의를 개최하고 국제법 위원회 설치를 권고했다.

1947년 11월 21일, 유엔 총회는 결의안 174호를 통과시켜 국제법 위원회를 창설하고, 위원회의 목적을 정의하는 규정을 첨부했다. 규정에 따르면, 국제법 위원회는 정부 대표가 아닌 개인 자격의 국제법 전문가로 구성된다는 방침이 다수에게 지지를 받았다.[21]

3. 2. 초기 활동

1948년 11월 3일, 유엔 총회에서 15명의 국제법 위원회 위원이 선출되었다.[7] 1949년 4월 12일부터 6월 9일까지 미국 뉴욕주 레이크 석세스에서 제1차 회기가 열렸다.[7]

제1차 회기 의제는 유엔 총회에서 준비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었다.[7]

  • 조약 및 협약으로 성문화가 필요한 국제법 주제에 대한 일반적인 조사.
  • 국가의 권리와 의무.
  • 뉘른베르크 원칙 및 인류 평화를 해치는 범죄의 정의.
  • 대량 학살 혐의가 있는 지도자를 기소할 사법 기구 설립 가능성.
  • 국제법 규칙 및 문서를 대중과 학자들이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모색.
  • 국제법 위원회와 다른 유엔 기구의 협력.


첫 회의에서 미국 위원인 맨리 O. 허드슨이 의장, 소련 위원 블라디미르 코레츠키가 제1부의장, 인도 위원 베네갈 라우가 제2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7]

위원회는 총회의 사전 동의 없이 의제에 주제를 포함할 권한이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고, 찬성 10표, 반대 3표로 그러한 권한이 있다고 결정했다.[8] 전쟁법 문제는 논의에서 제외되었고, 조약법, 중재, 해양법 문제가 최우선 순위로 주어졌다.[7]

피난처권 문제를 제외하고 국가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선언을 제2차 회기에서 더 논의하기로 결정했다.[7] 뉘른베르크 원칙 수립, 인류 평화를 해치는 범죄 목록, 보편적 형사 관할권 문제, 국제법 텍스트의 가용성 확대, 정부 및 유엔 기구와의 협력 문제도 제2차 회기까지 연기되었다.[7]

위원회는 이 회기에서 채택된 주요 법적 문서인 '''국가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초안 선언'''을 승인했다.[9] 이 작업은 파나마 대표 리카르도 호아킨 알파로 호바네가 상당 부분 수행했다.[7] 초안 선언은 추가 심의를 위해 유엔 총회에 회부되었으나, 총회는 1951년 12월 7일 결의안 596호에서 해당 문서에 대한 추가 논의를 연기했다.[7]

제2회 회기는 1950년 6월 5일부터 7월 29일까지 제네바에서 열렸으며,[10] 의장은 조르주 셀이었다. 회기 의제 및 최종 결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10]

원래 의제결정
제1회 회기 보고서와 국가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초안 선언문 (둘 다 현재 유엔 총회에서 승인)위원회는 추가 조치 없이 이를 인지
영해 문제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라는 유엔 총회의 권고위원회는 해당 권고를 수용
뉘른베르크 원칙의 공식화와 인류의 평화와 안전에 대한 범죄 규정 초안위원회는 "뉘른베르크 원칙"이라고 불릴 7가지 원칙을 제정
집단 학살에 유죄인 정치 지도자를 재판할 국제 법원 설립의 바람직성과 가능성위원회는 그러한 법원의 설립이 바람직하고 가능하다는 내용의 결의안을 통과시켰으나, 추가 논의가 있을 때까지 해당 법원 설립은 연기
조약법위원회는 추가 연구가 있을 때까지 결정 연기
국가 간의 중재 절차위원회는 강제 중재 절차에 대한 합의에 도달할 수 없었고, 해당 문제는 추가 검토가 있을 때까지 연기
공해 체제위원회는 공해 상의 모든 선박은 식별을 위해 하나의 국적 깃발만 가져야 한다고 결정. 그러나, 공해 체제와 관련된 나머지 문제에 대해서는 합의를 이루지 못함.
국제법 문서를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위원회는 국제법에 관한 유엔 간행물의 광범위한 배포와, 유엔이 국제 재판소 및 다양한 국가의 국내법 및 헌법에 대한 문서 시리즈 간행물을 시작할 것을 권고. 또한, 위원회는 유엔 총회에 정부 간의 법률 간행물 교환을 규제하는 국제 협약을 제정할 것을 권고.
망명권위원회는 해당 문제가 국제 사법 재판소에서 논의 중이었으므로, 이 문제에 대한 심의를 연기
다른 유엔 기구, 정부 및 기타 국내외 기구와의 위원회 협력(결정 내용 없음)
제3회 회기의 날짜 및 장소위원회는 1951년 5월부터 최대 12주 동안 제네바에서 열어야 한다고 결정



제2회 회기의 진행은 냉전으로 인한 동서 분열의 영향을 받았다. 소련 측 위원 코레츠키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위원회에 대표되지 않고 중화민국을 대표한다고 주장하며 항의했다.[11] 그는 위원회의 중국 측 위원을 중국 본토 출신으로 교체할 것을 요구했다.[11] 위원회 의장 셀은 소련의 요구에 반대하며, 각 위원은 어떤 정부의 입장이 아닌 자신의 법적 견해를 대표한다고 주장했다.[11] 위원회는 10대 1의 투표로 허드슨의 입장을 수용했으며, 코레츠키는 항의의 표시로 회의에 불참하고 회기를 떠났다.[11]

4. 조직

국제법 위원회는 1947년 11월 21일 유엔 총회에서 처음 승인되었으며, 1950년, 1955년, 1981년에 위원회 규정이 개정되었다. 위원회는 유엔 회원국 정부가 지명한 후보자 명단에서 총회가 선출하는 34명의 국제법 전문가로 구성된다. 위원들은 개인 자격으로 활동하며, 특정 국가를 대표하지 않는다.

위원회의 활동 방식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총회의 요청이 있을 때 특별보고관을 임명하여 작업 계획을 준비하고, 정부의 서면 의견을 받아 보고서를 작성하여 총회에 제출한다. 둘째, 정부, 정부 간 기구, 유엔 기구의 요청으로 국제 협약 초안을 작성하고, 정부의 서면 의견을 받아 최종 초안을 총회에 제출한다. 셋째, 위원회가 자체적으로 국제법 문제를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그 결과를 총회에 제출한다. 위원회의 독립적인 심의는 주로 연례 회의에서 이루어진다.

4. 1. 위원 구성

국제법 위원회는 총회가 선출하는 34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5년이다.[6] 위원들은 국제법 전문가로서, 각 국가를 대표하는 공무원이 아닌 개인 자격으로 활동한다.

일본에서는 요코타 키사부로 전 국제법 교수(1957-61년), 쓰루오카 센닌 전 유엔 대사(1961-81년), 오키소 모토오 전 주 태국 대사(1982-91년), 야마다 나카마사 전 주 인도 대사(1992-2009년)가 위원을 역임했다. 2009년 5월, 야마다 위원의 사임에 따른 선거에서 무라세 신야 조치 대학 교수가 선출되었다.[23]

2023-2027년 임기 위원은 다음과 같다.[6]

이름국적임기
다포 아칸데(Dapo Akande)2023–2027
카를로스 J. 아르궤요 고메스(Carlos J. Argüello Gómez)2023–2027
아사다 마사히코(Masahiko Asada)2023–2027
보그단 아우레스쿠(Bogdan Aurescu)2023–2027
야쿠바 시세(Yacouba Cissé)2023–2027
아흐메드 아민 파탈라(Ahmed Amin Fathalla)2023–2027
롤프 아이나르 파이프(Rolf Einar Fife)2023–2027
마티아스 포르토(Mathias Forteau)2023–2027
조르지 로드리구 방데이라 갈린두(George Rodrigo Bandeira Galindo)2023–2027
파트리시아 갈방 텔레스(Patrícia Galvão Teles)2023–2027
클라우디오 그로스만 길로프(Claudio Grossman Guiloff)2023–2027
황후이캉(Huikang Huang)2023–2027
찰스 C. 얄로(Charles C. Jalloh)2023–2027
아흐메드 라라바(Ahmed Laraba)2023–2027
이근관(Keun-Gwan Lee)2023–2027
빌라완 맹클라타나쿨(Vilawan Mangklatanakul)2023–2027
안드레아스 D. 마브로얀니스(Andreas D. Mavroyiannis)2023–2027
이본 밍가샹(Ivon Mingashang)2023–2027
주세페 네시(Giuseppe Nesi)2023–2027
응우옌 홍 타오(Hong Thao Nguyen)2023–2027
포비 오코와(Phoebe Okowa)2023–2027
닐뤼페르 오랄(Nilüfer Oral)2023–2027
하산 우아자니 샤디(Hassan Ouazzani Chahdi)2023–2027
마리오 오야르사발(Mario Oyarzábal)2023–2027
마르틴스 파파린스키스(Mārtiņš Paparinskis)2023–2027
비말 N. 파텔(Bimal N. Patel)2023–2027
아우구스트 라이니쉬(August Reinisch)2023–2027
페넬로페 라이딩스(Penelope Ridings)2023–2027
후안 호세 루다 산톨라리아(Juan José Ruda Santolaria)2023–2027
알리운 살(Alioune Sall)2023–2027
루이 사바도고(Louis Savadogo)2023–2027
문흐-오르길 첸드(Munkh-Orgil Tsend)2023–2027
마르셀로 바스케스-베르무데스(Marcelo Vázquez-Bermúdez)2023–2027
예브게니 자가이노프(Evgeny Zagaynov)2023–2027



; 임원

위원회는 매 회기마다 의장, 제1·제2 부의장, 기초 위원회 위원장, 일반 보고관(General Rapporteur)을 선출한다. 이들 5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뷰로(Bureau)는 회기 일정 및 조직적 사항을 결정한다. 또한, 뷰로 구성원에 전 회기 의장 및 특별 보고관(Special Rapporteur) 등을 더한 확대 뷰로(Enlarged Bureau)가 설치된다. 1970년대 이후, 회기마다 입안 그룹(Planning Group)이 설치되어 위원회의 프로그램과 작업 방법을 검토한다.[21]

4. 2. 분과

; 본회의

: 본회의(plenary)는 주로 특별 보고관, 워킹 그룹, 기초 위원회, 입안 그룹의 보고를 심사하고, 조문안을 승인한다. 회기 말에는 유엔 총회에 대한 연차 보고서를 심사하고 채택한다. 본회의는 원칙적으로 공개로 진행된다.[21]

; 특별 보고관

: 특별 보고관(Special Rapporteur)은 국제법 위원회에서 임명받아 해당 사항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고, 본회의 심사에 참여하며, 기초 위원회 작업에 참여하고, 초안에 대한 주석을 작성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21]

; 워킹 그룹

: 국제법 위원회에서는 토픽별로 워킹 그룹(소위원회, 스터디 그룹, 자문 그룹이라고도 불림)을 설치해 왔다. 이는 국제법 위원회 산하나 입안 그룹에 의해 설립되며, 특별 보고관 임명 전 예비 작업, 임명 후 방침 결정, 긴급 시 안건 전체를 다룬다. 워킹 그룹에서 논의된 초안은 직접 본회의로 보내지거나 기초 위원회의 심사를 받는다.[21]

; 기초 위원회

: 국제법 위원회는 제1회 회기부터 회기마다 기초 위원회를 설치하고 있다. 기초 위원회는 다양한 법 체계의 가치관을 고려하면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조문의 기초를 목표로 한다. 기초 위원회가 제출한 조문안은 국제법 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승인되는 경우가 많지만, 수정되거나 다시 기초 위원회에 부쳐지는 경우도 있다.[21]

5. 활동

국제법 위원회는 국제법의 다양한 측면에 관해 초안을 작성하는 것을 중심으로 활동한다. 위원회는 스스로 주제를 선택하거나 유엔 총회로부터 위탁받기도 한다.[7] 1954년 파리에서 열린 제6차 회기에서는 무국적 상태 감소를 위한 초안 협약과 인류 평화에 대한 범죄 관련 초안 규정을 작성했다.

5. 1. 작업 절차

위원회는 유엔 총회의 요청이 있을 때 특별보고관을 임명하고 작업 계획을 준비한다. 정부는 해당 문제에 대한 서면 의견을 제출하고, 보고관은 보고서를 작성하여 위원회와 유엔 사무총장의 승인을 받는다.[7] 이후 위원회는 보고서를 재검토하고 총회에 제출한다. 정부, 정부 간 기구, 유엔 기구로부터 협약 초안 작성 요청을 받을 경우에도 위원회는 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정부의 서면 의견을 받는다. 최종 초안은 총회에 제출된다.[7] 위원회는 국제법 문제를 정기적으로 검토하며, 외부 요청과 독립적으로 활동한다. 모든 권고 사항은 최종 승인을 위해 총회에 제출된다.[7]

5. 2. 주요 주제

1949년 제1회 회기에서 국제법 위원회는 다음 14개의 주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21]

번호주제
1국가 및 정부의 승인
2국가 및 정부의 승계
3국가 및 그 재산의 재판 관할 면제
4국가 영역 밖에서 행해진 범죄에 대한 관할
5공해의 규율
6영해의 규율
7국적 (무국적 포함)
8외국인의 취급
9망명의 권리
10조약법
11외교 관계 및 면제
12영사 관계 및 면제
13국가 책임
14중재 절차



이 중 "국가 및 정부의 승계"는 후에 "조약에 관한 승계", "조약 이외의 문제에 관한 승계", "국제 기구의 구성 자격에 관한 승계"의 세 가지로 나뉘었다. 또한 "공해의 규율"과 "영해의 규율"은 제8회 회기(1956년)에서 "해양법"이라는 하나의 주제로 묶어 최종 보고서가 작성되었다.

이러한 최초 설정된 주제는 이후 50년 이상 국제법 위원회의 기본적인 작업 프로그램이 되었으며, 현재까지 "국가 및 정부의 승인", "국가 영역 밖에서 행해진 범죄에 대한 관할", "외국인의 취급", "망명의 권리"를 제외한 상기 주제에 대해 최종 보고서를 제출했다.

5. 3. 연례 회의

위원회는 1949년부터 매년 회의를 개최하고 있다.[7] 회의는 주로 제네바에서 열리지만, 뉴욕, 파리, 모나코 등에서도 개최된 적이 있다.[21]

회의개최 장소
제1차 회의 (1949년)뉴욕 국제 연합 본부
제6차 회의 (1954년)파리 유네스코 본부
제17차 회의 제2부 (1966년 1월)모나코
제50차 회의 (1998년)뉴욕



처음에는 회의록이 등사본 형태로 보관되어 일반에 공개되지 않았다. 그러나 1955년 12월 3일, 유엔 총회는 결의안 987호를 통과시켜 회의록 요약본을 연감에 게재하여 일반 대중과 정부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13]

1973년까지 회의 기간은 보통 10주였다. 1973년 총회는 1974년 제26차 회의 기간을 12주로 승인했고, 이후 12주가 일반적이다. (단, 1986년 제38차 회의는 예산 문제로 10주 동안 개최되었다.) 최근에는 회의를 제1부와 제2부로 나누어 개최하는 경우가 많다.[21]

6. 성과

국제법 위원회는 국제 법질서의 핵심이 되는 여러 조약과 국제법 관련 작업들을 만들어냈다.[17] 1955년 제7차 회기에서는 공해가 어떤 국가에도 속하지 않으며 어떤 정부도 통제할 수 없다고 규정한 '공해의 체제에 관한 잠정 조항'을 채택했다.[12] 또한 위원회는 회의 내용을 정기적으로 발행하여 대중에게 공개할 수 있도록 유엔 사무총장에게 요청했고, 이는 총회 결의안 987로 이어져 위원회 연감의 출판을 가능하게 했다.[13]

6. 1. 주요 협약 및 문서

다음은 국제법 위원회에서 기안하여 채택된 주요 협약 및 문서들이다.

채택 연도협약 및 문서
1961년외교 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
1963년영사 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
1969년조약법에 관한 비엔나 협약
1973년외교관을 포함한 국제적으로 보호되는 자에 대한 범죄의 방지 및 처벌에 관한 조약 (총회에서 채택)
1978년조약에 관한 국가 승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
1983년국가의 재산, 공문서 및 채무에 관한 국가 승계에 관한 조약
1986년국가와 국제 기구 간 또는 국제 기구 상호 간의 조약법에 관한 조약
1997년국제 수로의 비항행적 이용에 관한 조약 (총회에서 채택)
1998년국제 형사 재판소 로마 규정
2001년국제불법행위에 대한 국가책임
2004년국가 및 그 재산의 재판 관할 면제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


7. 비판

국제법 위원회 업무와 관련하여, 각국 정부가 위원회의 결론을 무시하거나 협약 제정 시 권고를 받아들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1950년 7월 7일 열린 제63차 회의에서 의장 조르주 셀은 각국 정부가 위원회 업무에 대한 관심 부족으로 위원회가 보낸 질문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18]

연례 회의 기간이 짧아(10~12주) 논의 중인 문제를 충분히 연구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었다. 1951년 5월 17일 열린 위원회 제83차 회의에서 위원 조르주 셀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은 위원회를 개혁하여 더 자주, 그리고 사무총장이 원할 때마다 회의를 개최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19]

위원회 초창기부터 제기된 또 다른 비판으로는 콜롬비아 대표 호세 마리아 예페스가 제기한 것으로, 위원회가 새로운 문제에 대한 원칙 수립을 자제하여 소극적으로 보인다는 점이 있다.[20]

참조

[1] 웹사이트 ESIL Reflection: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Celebrating Its 70th Anniversary: Dresser le bilan pour l'avenir 'à venir' https://esil-sedi.eu[...] Europe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2019-07-31
[2] UN document 2007-09-28
[3] 간행물 From mandate to actor: the case of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https://link.springe[...] 2024
[4] 웹사이트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https://legal.un.org[...] United Nations Office of Legal Affairs 2020-04-12
[5] 서적 Customary International Law in the Reasoning of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6] 웹사이트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 membership https://legal.un.org[...] United Nations Office of Legal Affairs
[7] 웹사이트 First Session (1949) https://legal.un.org[...]
[8] 문서 Yearbook of the ILC, 1949
[9] 문서 Draft Declaration on Rights and Duties of States http://legal.un.org/[...]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1949
[10] 웹사이트 Second Session (1950) https://legal.un.org[...]
[11] 문서 Yearbook of the ILC, 1950
[12] 문서 Yearbook of the ILC, 1955
[13] 문서 Yearbook of the ILC, 1949
[14] 문서 Yearbook of the ILC, 1956
[15] 문서 Yearbook of the ILC, 1956
[16] 문서 Yearbook of the ILC, 1956
[17] 웹사이트 Texts, Instruments and Final Reports https://legal.un.org[...]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2023-10-09
[18] 문서 Yearbook of the ILC, 1950
[19] 문서 Yearbook of the ILC, 1951
[20] 문서 Yearbook of the ILC, 1950
[21] 문서 ILC: Introduction
[22] 웹사이트 174 (II).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http://www.undemocra[...] United Nations 2011-05-16
[23] 웹사이트 村瀬信也・上智大学教授の国連国際法委員会委員当選 https://www.mofa.go.[...] 外務省 2011-06-09
[24] 문서 국제연합광보국 2009
[25] 서적 국제법 有斐閣
[26] 문서 국제연합광보국 2009
[27] 문서 국제연합광보국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